해양지질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양지질학은 해저의 지질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19세기 챌린저호 탐험을 통해 시작되었으며, 음향 탐사, 자력 탐사, 해저 표본 채취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한다. 판구조론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해저 확장, 섭입대, 열수 분출공 등과 같은 지질 현상을 설명한다. 경제적으로는 해저 자원 탐사, 해상 에너지 개발에 기여하며, 환경적으로는 해양 환경 보존, 해안 침식 연구, 자연재해 예측에 활용된다. 현재는 고해상도 해저 지도를 제작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며, 해저퇴적학, 해저층서학, 해저고생물학 등 다양한 세부 분야를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해양지질학 | |
---|---|
해양 지질학 | |
정의 | 해저의 역사와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 |
분야 | 지질학 지구물리학 지구화학 고생물학 |
주요 연구 대상 | 해저 확장 해저 화산 활동 해저 지진 퇴적물 해양 자원 |
연구 방법 | 해저 탐사 해저 시추 지진파 탐사 지구물리학적 측정 원격 탐사 |
관련 학문 | 해양학 |
참고 문헌 | |
참고 자료 | 파란사전 해양지질학 |
외부 링크 | |
관련 링크 | 파란사전 링크 |
2. 해양지질학의 역사
해양지질학 연구는 19세기 후반 HMS 챌린저호 탐험이 진행되면서 시작되었다.[1][2] 찰스 와이빌 톰슨(Charles Wyville Thomson)이 이끄는 6명의 과학자를 포함하여 약 250명이 챌린저호에 탑승했다.[1][3] 과학자들은 심해에도 생명체가 존재함을 증명하고자 하였다.[3] 챌린저호 탐험대는 측심줄을 사용하여 방대한 자료를 수집했고, 해저가 바다 한가운데에 있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 이는 해령계의 최초 기록 중 일부였다.
해양지질학은 대서양 심해 퇴적물 연구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 중반, 신대륙의 발전과 함께 유럽과 북미 간의 통신이 매우 중요해지면서 해저 전선 설치 및 수리 공사가 활발해졌다. 따라서 해저 지형에 대한 자세한 조사가 필요해졌고, 해저 퇴적물의 성질을 밝힐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산업적 요구에 따라 켈빈식 심해 측심기와 프루크식 채니기 등이 만들어지면서 해저 지질 연구가 진행되었다.
20세기 초, 스크립스 해양연구소(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와
1950년대, 해양지질학은 해령(mid-ocean ridge)계라는 중요한 발견을 이루었다. 1953년, 지도 제작자인 마리 탑(Marie Tharp)은 해저의 첫 번째 3차원 지형도를 만들었는데, 이 지도는 대서양 한가운데에 대서양 중앙 해령(Mid-Atlantic Ridge)과 함께 해저 산맥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했다.[7]
1960년, 미국의 지구물리학자인 해리 H. 헤스는 해저가 해령계에서 확장되고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6] 헤스는 지구 맨틀(Earth's mantle)이 해령에서 용암을 지속적으로 방출하고 그 용암이 고체화되어 두 개의 판구조판 사이의 경계가 발산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8] 지자기 조사를 통해 해령 양쪽에서 지구 극성이 시간에 따라 변화함에 따라 대칭적인 "줄무늬"가 발견된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는 해저 확장(seafloor spreading)의 증거가 되었다.[6][9] 암석 연대 측정 결과, 해령에 가장 가까운 암석이 서반구와 동반구(Eastern Hemisphere) 대륙 근처의 암석보다 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9세기 중반, 신대륙의 발전과 함께 유럽과 북미 간의 통신이 중요해지면서 해저 전선 설치 및 수리 공사가 활발해졌다. 이에 따라 해저 지형에 대한 자세한 조사와 해저 퇴적물의 성질을 밝힐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켈빈식 심해 측심기와 프루크식 채니기 등이 만들어지면서 해저 지질 연구가 진행되었다.
3. 해양지질학의 연구 방법
해저에 사람이나 기계를 직접 보내지 않고도 해저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음향 탐사는 음파를 이용하여 해저 지형 및 지질 구조를 파악하며, 자력 탐사는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여 해저 지질 구조를 분석한다. 또한, 시추, 준설, 잠수정 등을 통해 해저 퇴적물 및 암석 표본을 채취하여 분석하기도 한다.
3. 1. 음향 탐사
음향 탐사는 음파를 이용하여 해저 지형 및 지질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3. 1. 1. 측면주사소나 (Side-scan sonar)
측면주사소나는 해저 지형을 촬영하는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11][12] 1960년대 후반에 개발된 이 탐사 방법은 해저에 있는 능동 소나 시스템을 사용하여 물체를 탐지하고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1] 소나 장치의 물리적 센서는 트랜스듀서 어레이로 알려져 있으며, 선체에 장착되어 해저에서 반사되는 음향 펄스를 송수신한다. 영상은 해저의 구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단단한 물체는 더 강한 반사를 생성하여 반환된 이미지에서 어둡게 나타나고, 모래나 진흙과 같은 부드러운 물질은 어레이 펄스를 잘 반사하지 못하므로 이미지에서 밝게 나타난다. 이 정보는 전문가가 분석하여 수면 아래 암석의 암석 노두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12]
이 방법은 해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잠수정을 투입하는 것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시간이 덜 걸린다.[12] 측면주사소나는 해저 영상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과학자들에게 유용하지만, 수심과 같은 다른 요소는 측정할 수 없다.[11][12] 따라서, 보다 자세한 탐사를 위해 측면주사소나와 함께 다른 수심 측정 소나 장치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1]
3. 1. 2. 다중빔 수심측심 (Multibeam bathymetry)
다중빔 수심 측심법은 측면 주사 소나와 마찬가지로, 음파를 주고받아 해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한다.[13] 과학자들은 다중빔 수심 측심법으로 기록된 자료에서 여러 유형의 측정값을 얻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설을 세울 수 있다. 물속에서 음파가 이동하는 속도를 이용하여, 과학자들은 선박의 센서에서 해저까지, 그리고 다시 선박으로 돌아오는 음파의 왕복 시간을 계산하여 해당 지역 해저의 깊이를 알아낸다.[13]
후방산란은 센서로 되돌아오는 음파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13] 이 정보는 해저의 지질 구성 및 물체뿐만 아니라 수주 내에 있는 물체(난파선의 구조물, 밀집된 생물, 기포 기둥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해양 지질학에서 수주 내 물체의 중요성은 특정 특징을 식별하는 데 있는데, 예를 들어 기포 기둥은 열수 분출공과 냉수 분출공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다.[13]
이 기술에는 한계가 있는데, 해저와 센서 사이의 거리는 생성되는 지도의 해상도와 관련이 있다.[13] 센서가 해저에 가까울수록 해상도가 높아지고, 멀어질수록 낮아진다. 따라서, 원격 조종 무인 잠수정(ROV)과 자율 무인 잠수정(AUV)에 다중빔 센서를 장착하거나 선박 자체에서 센서를 예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수집된 데이터의 해상도가 적절한 분석에 충분히 높도록 보장하기 위해서이다.[13]
3. 1. 3. 해저면 프로파일러 (Sub-bottom profiler)
Sub-bottom profiler영어는 저주파 음파를 이용하여 해저면 아래의 퇴적층 구조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3. 2. 자력 탐사 (Marine magnetometry)
자력 탐사는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여 해저 지질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3. 3. 해저 표본 채취
해양지질학에서는 시추, 준설, 잠수정 등을 통해 해저 퇴적물 및 암석 표본을 채취하여 분석한다.
4. 판구조론과 해양지질학
판구조론은 지구 표면이 여러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판들이 서로 움직이면서 지진, 화산 활동, 해저 산맥 형성 등 다양한 지질학적 현상을 일으킨다는 이론이다. 해양지질학은 판구조론을 바탕으로 해저 확장, 섭입대, 해구, 열수 분출공 등 해양 지질 현상을 설명한다.
1950년대, 해양지질학은 해령(mid-ocean ridge)계라는 중요한 발견을 이루었다. 선박에 음파 탐지기를 장착하여 대서양을 가로질러 해저 관측을 수집하며 항해했고, 1953년, 지도 제작자인 마리 탑(Marie Tharp)은 해저의 첫 번째 3차원 지형도를 만들었는데, 이 지도는 대서양 한가운데에 대서양 중앙 해령(Mid-Atlantic Ridge)과 함께 해저 산맥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했다.[7]
연해와 심해에서 탄산칼슘의 침강, 석출, 용해 속도에 관한 연구를 하는데, 이것은 다양한 해양 환경이 지구의 온도 변화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4. 1. 해저 확장 (Seafloor spreading)
1960년, 미국의 지구물리학자 해리 H. 헤스는 해저가 해령(mid-ocean ridge)계에서 확장되고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6] 해저 지도와 최근 개발된 판구조론(Plate tectonics) 및 대륙 이동(continental drift) 이론의 지원을 받아, 헤스는 지구 맨틀(Earth's mantle)이 해령에서 용암을 지속적으로 방출하고 그 용암이 고체화되어 두 개의 판 사이의 경계가 발산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8]이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 지자기 조사가 실시되었다. 이 조사는 과학자들이 자력계(magnetometer)를 사용하여 해령에서 돌출된 현무암의 자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6][9] 과학자들은 해령의 양쪽에서 지구의 극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함에 따라 대칭적인 "줄무늬"가 발견되었다는 것을 알아냈다.[6][9] 이것은 해저 확장(seafloor spreading)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후년에 새로운 기술을 통해 암석의 연대를 측정할 수 있었고, 해령에 가장 가까운 암석이 서반구와 동반구(Eastern Hemisphere) 대륙 근처의 암석보다 젊다는 것을 확인했다.
4. 2. 섭입대 (Subduction zone)
불의 고리에는 화산활동과 지진활동이 동반되며, 그로 인해 지진, 쓰나미, 화산폭발 등과 같은 재해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재해에 대비하는 조기경보 시스템은 해양지질학에서 연구하는 근해의 지질이나 호상열도 환경에 대한 상세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마리아나 해구는 섭입대에 위치한다.4. 2. 1. 해구 (Trench)
해구는 바다의 바닥에 위치하고, 반구형의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해저의 침강현상으로 인해 지형적으로 좁게 나타난다.마리아나 해구는 현재 알려진 해구들 중에서는 가장 깊은 해구이며, 지구 지각에서 가장 깊은 곳이다.[38] 태평양판이 필리핀판과 만나 섭입되는 섭입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깊이는 에베레스트 산이 들어가고도 한참 남을 정도로 깊다. 가장 깊은 지점은 해수면 아래 약 11000m에 달한다.[38][3] 이는 에베레스트산의 해발고도보다 2km 이상 더 깊은 것이다.
4. 3. 열수 분출공 (Hydrothermal vent)
중앙 해양단층지대의 화산활동과 열수 분출공(Hydrothermal vent)의 발견과 지속적인 연구는 처음에는 홍해에서 시작되어 동태평양 해팽과 대서양 중앙 해령에서의 학설까지 해양지질학적 연구에서 중요한 영역으로 계속되어 오고 있다.[1] 열수 분출공 근처에서 서식하는 극한성 미생물의 발견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환경, 생명의 기원이나, 지구의 생명체에 대해 이해를 하는데 있어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1]5. 환태평양 지진대 (Ring of Fire)
태평양 주변의 '불의 고리'라고도 불리는 환태평양 지진대는 화산 활동과 지진 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곳이다. 이곳에서는 지진, 쓰나미, 화산 폭발과 같은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41] 이러한 재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해양지질학에서 근해의 지질이나 호상열도의 환경에 대한 상세한 이해를 바탕으로 조기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41]
불의 고리는 여러 개의 수렴판 경계에서 생성되어 태평양을 둘러싸고 있다.[39] 이 지역의 강렬한 화산 활동과 지진 활동은 파괴적인 지진, 쓰나미, 그리고 화산 폭발의 주요 위협이 된다.[40] 대한민국도 환태평양 지진대의 영향권에 있기 때문에, 지진 및 해일 대비 연구가 중요하다.
6. 해양지질학의 경제적 이점
해양지질학은 해저 자원 탐사 및 개발, 해상 에너지 개발 등에 기여한다.
해양지질학은 해저 지질 구조를 탐지하는 여러 방법을 가지고 있으며,[2][13][14][15] 해저 지질 조사를 통해 채굴할 수 있는 귀중한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42] 해상에서 채굴되는 주요 자원은 석유와 광물이다. 지난 30년 동안 심해 채굴은 미국에서 90억달러~110억달러의 수익을 창출했다.[43][44] 해양에서 채굴되는 주요 광물에는 니켈, 구리, 코발트, 망간, 아연, 금 등이 있다.[46]
해양지질학은 풍력, 파력, 조력 등 해양 에너지 개발 분야에도 많이 응용된다.[55][56] 해저와 지질 구조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지원하는 기반시설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57]
6. 1. 해저 자원 탐사 (Resource exploration)
해양지질학은 해저 지질 구조를 탐지하는 여러 방법을 가지고 있으며,[2][13][14][15] 해저 지질 조사를 통해 채굴할 수 있는 귀중한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42] 해상에서 채굴되는 주요 자원은 석유와 광물이다. 지난 30년 동안 심해 채굴은 미국에서 90억달러~110억달러의 수익을 창출했다.[43][44] 이 산업은 고위험 고수익 산업이며, 유해한 환경적 영향을 미친다.[45]해양에서 채굴되는 주요 광물에는 니켈, 구리, 코발트, 망간, 아연, 금 등이 있다.[46] 이러한 광물은 화산 활동 주변, 특히 열수 분출구와 망간단괴에서 형성된다.[47][48] 열수 분출구는 다량의 과열된 금속 함유 유체를 방출하며, 차가운 바닷물과 섞이면 빠르게 식는다. 화학 반응으로 인해 황과 광물이 침전되어 해저에 굴뚝, 탑, 광물이 풍부한 퇴적물을 형성한다.[49]
6. 1. 1. 망간단괴 (Manganese nodules)
망간단괴는 수백만 년 동안 바닷물과 퇴적물 간극수에서 침전된 금속으로 형성된 둥근 광석이다.[50] 이들은 일반적으로 심해저에 퍼져 있으며, 코발트, 니켈, 구리, 망간을 포함하여 배터리와 터치스크린 제작에 중요한 금속을 함유하고 있다.[50]
태평양의 클라리온-클립퍼턴 해역 (CCZ)은 심해 채굴이 활발한 지역이다. CCZ는 다양한 해저 단층대로 이루어진 약 4500000km2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51] 이 지역은 16개의 채굴 구역과 9개의 보존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다.[52] 국제해저기구 (ISA)에 따르면, 약 210억 톤(Bt)의 망간단괴가 매장되어 있으며, 그중 망간 5.95Bt, 니켈 0.27Bt, 구리 0.23Bt, 코발트 0.05Bt로 추정된다.[53][54]
6. 2. 해상 에너지 개발 (Offshore energy development)
해양지질학은 해양 에너지 개발 분야에서도 많이 응용된다.[55] 해양 에너지는 바다 기반 자원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풍력, 파력, 조력을 이용한 에너지 변환이 포함된다.[56] 해저와 지질 구조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지원하는 기반시설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57] 수중 지질 구조는 해류와 수온과 같은 해양 특성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기반시설의 위치 선정에 매우 중요하다.[58]해저의 안정성은 해상 풍력터빈 건설에 중요하다.[59] 수심이 15미터를 초과하는 경우 대부분의 터빈은 모노파일을 사용하여 해저에 고정된다.[60] 퇴적작용, 침식, 또는 지구조 운동의 위험이 없는 지역에 설치되어야 한다. 측량을 통해 지질 지역을 조사하여 터빈의 적절한 지지와 터빈에 가해지는 힘을 보장해야 한다.[60] 해양 지질학이 미래 에너지 프로젝트에 필요한 또 다른 이유는 파랑과 해류 패턴을 이해하기 위해서이다.[61] 해저가 수위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 해상 발전기의 계획 및 위치 선정을 지원하고 에너지 생산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62]
7. 해양 환경 변화와 해양지질학
해양지질학은 해양 환경 변화를 연구하고, 해양 오염 및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데 기여한다.
7. 1. 해양 환경 보존 (Habitat mapping and conservation)
해양지질학은 서식지 맵핑 및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양지질학은 심해 채굴 및 저층 트롤링과 같이 해양 서식지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줄 수 있는 전 지구적 사건들의 영향을 연구하고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63]클라리온-클리퍼톤 해역(CCZ)은 광산업과 보존을 위한 특정 지역을 지정하기 위해 조사되고 지도화되었다. 국제해저기구(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는 CCZ 내 약 160000km2의 해저를 생물다양성과 서식지가 풍부한 지역으로 따로 설정했다.[51] 이 지역에는 해삼, 산호, 게, 새우, 해면동물(유리해면), 거미류(거미과) 및 새로운 종의 다모류(바다벌레)가 발견된 지역을 포함하여 5,000종 이상이 서식한다.[53] 게다가 종의 90%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64] 적절한 해양 조사 기술은 보존에 전념함으로써 수천 개의 서식지와 종을 보호해 왔다.
저층 트롤링 또한 바다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며, 해양 지질학 기술을 사용하면 이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65] 일반적으로 상업적 어업 기술인 저층 트롤링은 물고기나 게와 같은 표적 종을 모으고 포획하는 대형 그물을 끌어들이는 것을 포함한다.[66] 이 과정에서 그물은 산호초, 상어, 바다거북을 포함하여 해저에 서식하는 동물과 식물을 긁어내고 제거함으로써 해저를 손상시킨다.[67] 뿌리 시스템과 동물의 굴을 찢을 수 있으며, 이는 퇴적물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68] 이는 해수의 화학 및 영양소 수준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69] 해양지질학은 서식지 복원 기술을 사용하기 위해 손상된 지역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저층 트롤링의 영향을 받지 않은 지역을 결정하고 보존 보호를 적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7. 2. 해안 침식 (Coastal erosion)
해안 침식은 바다의 영향으로 퇴적물과 물질이 분해되고 운반되는 과정이다.[71] 이는 동물 서식지, 어업 및 기반 시설 파괴로 이어질 수 있다.[72] 미국에서는 부동산 및 기반 시설 피해로 연간 약 5억달러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 정부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연간 1.5억달러를 추가로 투입하고 있다.[73] 해양지질학은 퇴적물 종류, 해류 패턴 및 해저 지형을 연구하여 침식 경향을 예측하고 이러한 환경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74]7. 3. 자연재해 예측 및 대응 (Natural hazard assessment)
태평양 주변 환태평양 지진대(불의 고리)에서는 화산 활동과 지진 활동이 함께 일어나며, 이로 인해 지진, 쓰나미, 화산 폭발과 같은 재해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재해에 대비하는 조기 경보 시스템은 해양지질학에서 연구하는 근해 지질이나 호상열도 환경에 대한 상세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75]
지진은 가장 흔한 자연재해 중 하나이며,[75] 쓰나미와 산사태와 같은 다른 재해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도양에서 발생한 해저 지진은 magnitude|규모영어 9.1을 기록했으며, 이는 최소 약 9.14m 높이의 파도를 일으킨 쓰나미를 발생시켜 13개국에서 약 23만 명의 사망자를 냈다.[76][77] 해양지질학과 판 경계에 대한 이해는 조기 경보 시스템 및 기타 완화 기술 개발을 지원하여 자연재해에 취약할 수 있는 사람들과 환경을 보호한다.[78] 많은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EEWS)이 구축되어 있으며 더 많은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79][80]
8. 해양지질학의 미래 연구
해양의 많은 부분은 영구적으로 어둡고, 저온이며, 극심한 수압을 받아 관찰하기 어렵다.[81] 미국 해양대기청(NOAA)에 따르면, 해저의 23%만이 상세하게 지도화되었으며, 주요 탐사 프로젝트 중 하나는 고해상도 해저 지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NOAA 소유의 '오케아노스 탐험선(NOAAS Okeanos Explorer)'은 2008년 이후로 다중빔 음향측심기(Multibeam echosounder)를 사용하여 2000000km2가 넘는 해저를 지도화했지만, 이 기술은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는 것으로 판명되었다.[82]
해저 지도 제작의 중요성은 정부와 과학자 모두가 인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 해저의 고해상도 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국제 공동 노력인 '니폰재단-GEBCO 해저 2030 프로젝트(Nippon Foundation-GEBCO Seabed 2030 Project)'가 개발되었다. 이 위원회는 2030년까지 프로젝트를 완료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목표 달성을 위해 기존 및 신규 장비, 그리고 자율주행 차량(Vehicular automation)에 음향측심기(sonar), 센서(sensor), 기타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기술을 장착하고 있다.[82]
9. 해양지질학의 분야 (일본어 위키 참고)
- '''해저퇴적학'''은 해저에 쌓이는 퇴적물의 종류, 분포, 퇴적 과정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 '''해저층서학'''은 해저 퇴적층의 층서 관계, 시대, 퇴적 환경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 '''해저고생물학'''은 해저 퇴적물 속에 보존된 고생물의 화석을 연구하여 과거 해양 환경과 생물의 진화를 밝히는 분야이다.
- '''해저고기후학'''은 해저 퇴적물에 기록된 과거의 기후 변화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 '''해저지형학'''은 해저 지형의 기원, 발달 과정, 형태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 '''해저구조지질학'''은 해저 지각의 구조, 변형, 지진 활동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 '''해저광물학'''은 해저에 분포하는 광물 자원의 종류, 분포, 성인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 '''해저응용지질학'''은 해저 지질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해저 자원 개발, 해양 환경 보전, 해양 재해 예측 등 실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분야이다.
참조
[1]
웹사이트
Exploring the deep with the HMS Challenger {{!}} College of Liberal Arts & Sciences at Illinois
https://las.illinois[...]
2023-02-10
[2]
간행물
Achievements in Marine Geology and Geophysics
https://www.ncbi.nlm[...]
National Academies Press (US)
2000
[3]
웹사이트
HMS Challenger Expedition {{!}} History of a Scientific Trailblazer
https://www.rmg.co.u[...]
[4]
웹사이트
Who We Are -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https://www.whoi.edu[...]
[5]
웹사이트
About Scripps Oceanography
https://scripps.ucsd[...]
[6]
웹사이트
Seafloor spreading {{!}} Evidence & Proces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7]
웹사이트
Seeing Is Believing: How Marie Tharp Changed Geology Forever
https://www.smithson[...]
2016-08-30
[8]
웹사이트
Plate Tectonics
https://education.na[...]
[9]
웹사이트
Seafloor Spreading
https://education.na[...]
[10]
웹사이트
marine geology research: Topics by Science.gov
https://www.science.[...]
[11]
논문
The geological interpretation of side-scan sonar
http://basin.earth.n[...]
1990
[12]
웹사이트
Exploration Tools: Side-Scan Sonar: NOAA Office of Ocean Exploration and Research
https://oceanexplore[...]
[13]
웹사이트
Exploration Tools: Multibeam Sonar: NOAA Office of Ocean Exploration and Research
https://oceanexplore[...]
[14]
웹사이트
Exploration Tools: Sub-Bottom Profiler: NOAA Office of Ocean Exploration and Research
https://oceanexplore[...]
[15]
논문
2019 IEEE International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Technology Conference (I2MTC)
IEEE
2019-05
[16]
논문
A model of the dynamical structure of Earth's outer core
http://dx.doi.org/10[...]
2000-01
[17]
간행물
The Earth's Magnetic Field
http://dx.doi.org/10[...]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6
[18]
보고서
Geophysical reconnaissance of Hudson Bay Part I Sea-magnetometer Survey Part Ii Subbottom Depth Recorder Survey
Natural Resources Canada/CMSS/Information Management
1966
[19]
논문
Geomagnetism in marine geology
http://dx.doi.org/10[...]
1973-10
[20]
논문
2019 IEEE Underwater Technology (UT)
IEEE
2019-04
[21]
웹사이트
Exploration Tools: Magnetometer: NOAA Office of Ocean Exploration and Research
https://oceanexplore[...]
[22]
논문
Highly sensitive magnetometers—a review
http://dx.doi.org/10[...]
2006-05
[23]
논문
Active underwater detection with an array of atomic magnetometers
http://dx.doi.org/10[...]
2018-03-22
[24]
논문
The magnetometer and underwater archaeology
http://dx.doi.org/10[...]
1976-05
[25]
논문
Low-noise, low-power-consumption seafloor vector magnetometer
http://dx.doi.org/10[...]
2023-03
[26]
간행물
Plate tectonics
http://dx.doi.org/10[...]
Elsevier
1997
[27]
간행물
Plate tectonics and mountain building
http://dx.doi.org/10[...]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0-11-02
[28]
논문
Plate Tectonics: How It Works
http://dx.doi.org/10[...]
1986-12
[29]
간행물
The Rheology and Morphology of Oceanic Lithosphere and Mid-Ocean Ridges
http://dx.doi.org/10[...]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13-03-19
[30]
웹사이트
What is the mid-ocean ridge?: Ocean Exploration Facts: NOAA Ocean Exploration
https://oceanexplore[...]
[31]
논문
Building the crust at the Mid-Atlantic Ridge
http://dx.doi.org/10[...]
1993-10
[32]
논문
Crustal Evolution of the Mid-Atlantic Ridge near the Fifteen-Twenty Fracture Zone in the last 5 Ma
http://dx.doi.org/10[...]
2003-03
[33]
논문
Early Central Atlantic Ocean seafloor spreading history
http://dx.doi.org/10[...]
2007
[34]
간행물
Subduction zones
http://www.springerr[...]
Springer-Verlag
[35]
논문
Structure of oceanic crust and serpentinization at subduction trenches
http://dx.doi.org/10[...]
2018-01-12
[36]
논문
Yield failure of the subducting plate at the Mariana Trench
http://dx.doi.org/10[...]
2021-09-01
[37]
서적
Lithosphere–Mantle Interactions in Subduction Zones
http://dx.doi.org/10[...]
Elsevier
2024-04-11
[38]
논문
So, How Deep ''Is'' the Mariana Trench?
http://dx.doi.org/10[...]
2014-01-02
[39]
논문
Exploring the Submarine Ring of Fire: Mariana Arc - Western Pacific
2007-12-01
[40]
웹사이트
Ring of Fire
https://education.na[...]
2024-04-11
[41]
논문
An evaluation of volcanic cloud detection techniques during recent significant eruptions in the western 'Ring of Fire'
http://dx.doi.org/10[...]
2004-05-01
[42]
논문
Technology developments in the exploration and evaluation of deep-sea mineral resources
http://dx.doi.org/10[...]
2017-01-03
[43]
웹사이트
"Who stands to benefit?" To engage in deep-sea mining or not. Not, say international scientists
https://oceans.ubc.c[...]
2024-04-11
[44]
논문
Deep-Sea Mining: Economic, Technical,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dx.doi.org/10[...]
2011-09-01
[45]
논문
Is Deep-Sea Mining Worth It?
http://dx.doi.org/10[...]
2018-04-17
[46]
서적
Deep-Sea Mining versus Land-Based Mining: A Cost Comparison
http://dx.doi.org/10[...]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24-04-11
[47]
논문
Scientific rationale and international obligations for protection of active hydrothermal vent ecosystems from deep-sea mining
http://dx.doi.org/10[...]
2018-04-01
[48]
논문
The Development History and Latest Progress of Deep-Sea Polymetallic Nodule Mining Technology
2021-10-14
[49]
서적
Hydrothermal Systems and the Origin of Life
http://dx.doi.org/1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4-04-11
[50]
논문
Deep-ocean polymetallic nodules as a resource for critical materials
http://dx.doi.org/10[...]
2020-02-24
[51]
논문
Geology of parts of the central and eastern Clarion Clipperton Zone
2022-03-02
[52]
논문
Seabed mining: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for the Clarion–Clipperton Zone. A partnership approach
http://dx.doi.org/10[...]
2014-11-01
[53]
웹사이트
DeepCCZ: Deep-sea Mining Interests in the Clarion–Clipperton Zone: NOAA Office of Ocean Exploration and Research
https://oceanexplore[...]
2024-04-11
[54]
웹사이트
Polymetallic Nodules -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https://www.isa.org.[...]
2024-04-11
[55]
논문
The Role of Federalism in Initiating Offshore Wind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Rhode Island
2022-01-01
[56]
논문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of Offshore Energy Exploration and Development Technology
http://dx.doi.org/10[...]
2016-01-01
[57]
논문
INFOMAR data supports offshore energy development and marine spatial planning in the Irish offshore via the EMODnet Geology portal
2020-09-09
[58]
서적
2010 World Non-Grid-Connected Wind Power and Energy Conference
IEEE
2010-11-01
[59]
논문
Geological and geotechnical constraints in the Irish Sea for offshore renewable energy
http://dx.doi.org/10[...]
2020-06-03
[60]
논문
A Compliance Model for Monopiles for Offshore Wind Turbines
http://dx.doi.org/10[...]
2024-04-11
[61]
논문
Geo-spatial multi-criteria analysis for wave energy conversion system deployment
http://dx.doi.org/10[...]
2009-01-01
[62]
서적
Wave Energy Utilization in Europe: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http://dx.doi.org/10[...]
Routledge
2024-04-11
[63]
서적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for Deep-Sea Mining
http://dx.doi.org/10[...]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4-04-11
[64]
웹사이트
These deep-sea animals are new to science—and already at risk
https://www.national[...]
2024-04-11
[65]
논문
Effects of bottom trawling on ecosystem functioning
http://dx.doi.org/10[...]
2008-11-01
[66]
논문
Impacts of bottom trawling on deep-coral ecosystems of seamounts are long-lasting
http://dx.doi.org/10[...]
2009-12-17
[67]
논문
The impact of bottom trawling on benthic fauna of the North Sea
http://dx.doi.org/10[...]
1984-09-01
[68]
논문
What a drag: Quantifying the global impact of chronic bottom trawling on continental shelf sediment
http://dx.doi.org/10[...]
2016-07-01
[69]
논문
Deciphering the lithological consequences of bottom trawling to sedimentary habitats on the shelf
http://dx.doi.org/10[...]
2016-07-01
[70]
서적
Tidal Evolution Related to Changing Sea Level; Worldwide and Regional Surveys, and the Impact to Estuaries and Other Coastal Zones
IntechOpen
2020-03-25
[71]
논문
Coastal Erosion and Transgressive Stratigraphy
http://dx.doi.org/10[...]
1968-07-01
[72]
서적
Climate Change and Coastal Erosion
http://dx.doi.org/10[...]
CRC Press
2024-04-11
[73]
웹사이트
Coastal Erosion U.S. Climate Resilience Toolkit
https://toolkit.clim[...]
2024-04-11
[74]
서적
Handbook of Coastal Processes and Erosion
http://dx.doi.org/10[...]
2018-02-06
[75]
논문
Large earthquakes may trigger more earthquakes
http://dx.doi.org/10[...]
2013-01-01
[76]
논문
Crustal Deformation and Seismic History Associated with the 2004 Indian Ocean Earthquake: A Perspective from the Andaman-Nicobar Islands
http://dx.doi.org/10[...]
2007-01-01
[77]
웹사이트
2004 Indian Ocean Earthquake and Tsunami: Facts and FAQs
https://www.worldvis[...]
2024-04-11
[78]
논문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meteotsunami warning network for the Adriatic Sea
2011-01-05
[79]
논문
An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for Southwestern British Columbia
2021-08-04
[80]
논문
Developing a risk-informed decision-support system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at a critical seaport
http://dx.doi.org/10[...]
2022-02-01
[81]
웹사이트
Boldly Explore Where No One Has Explored Before Bureau of Ocean Energy Management
https://www.boem.gov[...]
2024-04-11
[82]
웹사이트
Seafloor Mapping
https://oceanexplore[...]
2024-04-11
[83]
웹사이트
깨진 링크
http://dic.paran.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