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허영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허영만은 1947년 전라남도 여수 출신의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1974년 소년한국일보 신인 만화가 공모전을 통해 데뷔하여, 액션 어드벤처 만화 《각시탈》의 성공으로 이름을 알렸다. 이후 《식객》, 《타짜》, 《사랑해》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으며, 그의 만화는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200편 이상의 작품을 창작했으며, 대한민국 만화대상, 부천국제만화축제 만화대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영만 - 식객
    식객은 허영만 화백의 만화로, 음식에 담긴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사회적 약자와의 연대,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 허영만 - 날아라 슈퍼보드
    허영만 원작 만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애니메이션 날아라 슈퍼보드는 손오공을 주인공으로 서유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미스터 손, 삼장법사, 저팔계, 사오정 등 개성 강한 캐릭터들이 요괴와 악당을 물리치며 서역으로 향하는 모험 이야기이다.
  • 여수고등학교 동문 - 김종빈
    김종빈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제34대 검찰총장을 역임하였으며, 검사로 임용되어 여러 검찰청에서 근무 후 검찰총장에 임명되었고, 퇴임 후에는 변호사와 대학교수 등으로 활동하였다.
  • 여수고등학교 동문 - 정원오
    정원오는 서울시립대학교 총학생회장, 국회의원 보좌관 등을 거쳐 3선 성동구청장을 역임하고 현재 더불어민주당 대표 특별보좌역으로 활동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양천 허씨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양천 허씨 - 허태정
    허태정은 충청남도 예산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충남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노무현 정부 청와대 근무 후 대전 유성구청장 재선 및 대전광역시장을 역임했다.
허영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허형만
출생일1947년 6월 26일
출생지여수시
국적대한민국
활동 기간1974년-현재
배우자이명자
자녀허석균 (아들)
허보리 (딸)
직업
직업만화가
학력
학력여수고등학교 졸업
한국어 이름
한글허영만
로마자 표기Heo Yeong-man
한글 (출생 시)허형만
로마자 표기 (출생 시)Heo Hyeong-man

2. 생애

1947년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태어나 여수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4년 소년한국일보 신인만화공모전에 당선되어 만화계에 데뷔했다.[27][28] 이후 50여 년간 200편 이상의 작품과 15만 페이지 이상의 작품을 창작했으며, 2010년 목포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29]

허영만은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화가의 꿈을 접고 만화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한국 전쟁 이후, 허영만의 아버지는 여수교육청에서 잠시 일했고, 어머니는 여수시장에서 , 유리, 스테인리스 그릇 등을 파는 양은그릇 대리점을 운영했다.[2][4] 1948년 여순사건 당시, 허영만의 가족은 경찰 가족이었기 때문에 죽을 고비를 넘겼다.[27] 이러한 경험은 훗날 《오! 한강》, 《타짜》 등의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3]

2. 1. 출생과 성장 배경

1947년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팔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다. 허영만의 아버지는 일제강점기 때 순사(巡査)였으며, 해방 후 얼마 동안은 경찰로 봉직하였다. 1948년 여순사건이 일어나면서 경찰 가족이었던 그의 가족은 죽음의 문턱에 처하기도 하였다.[27] 그 후 허영만의 아버지는 잠시 여수교육청에서 공무원으로 일했으며, 어머니는 여수시장에서 , 유리, 스테인리스 그릇 등을 파는 양은그릇 대리점을 운영한 자영업자로 일하면서 팔남매 가족의 생계를 꾸려나갔다. 하지만 아버지가 친구와 동업으로 차린 멸치어장 사업이 실패하는 등의 불운으로 가세가 기울어, 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하여 화가가 되겠다는 꿈을 포기하고 만화가가 되기로 결심하였다.

허영만은 여수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28] 서울로 올라가 만화가 박문윤의 문하생을 시작하였고, 이후 만화가 이향원의 문하생으로 일하다 1974년 소년한국일보 신인만화공모전에 당선되어 만화계에 데뷔하였다.

2. 2. 만화가의 길

허영만은 여수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28] 서울로 올라가 만화가 박문윤의 문하생으로 들어갔다. 이후 만화가 이향원의 문하생으로도 일하다가 1974년 소년한국일보 신인만화공모전에 당선되어 만화계에 데뷔하였다.

이후 50여 년간 200편 이상의 작품과 15만 페이지 이상의 작품을 창작하였고,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10년 목포대학교에서 명예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29] 1976년, 한국일보 신인만화 공모전에 응모한 집을 찾아서|집을 찾아서한국어가 채택되어 만화계에 데뷔했다.[21][22]

1974년, 소년한국일보가 주최한 신인 만화가 공모전을 통해 《집을 찾아서》로 데뷔했다. 그의 다음 만화인 액션 어드벤처 《각시탈》은 큰 성공을 거두며 허영만을 유명하게 만들었다.[5] 이후, 허영만의 작품들은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았고 대중들에게 널리 인기를 얻었다. 그의 작품 중 여러 편이 동아일보에 《식객》, 스포츠조선에 《타짜》, 《사랑해》 등이 연재되었다. 그의 만화는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로도 각색되었다.[6] 2003년부터 동아일보에 식객|식객한국어을 연재했다. 2004년에 「대한민국 만화대상」 및 「부천국제만화축제 만화대상」을 수상했다.[21][22]

2. 3. 작품 활동

허영만은 1974년 소년한국일보가 주최한 신인 만화가 공모전을 통해 《집을 찾아서》로 데뷔했다. 이후 액션 어드벤처 만화 《각시탈》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유명해졌다.[5] 허영만의 작품들은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았고 대중들에게 널리 인기를 얻었다. 동아일보에 연재된 《식객》, 스포츠조선에 연재된 《타짜》, 《사랑해》 등은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로도 각색되었다.[6]

2010년 현재 약 150여 작품을 제작했으며, 이 중 최소 11 작품이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다.[22]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타짜》(2000년), 《사랑해》(2000년), 《식객》(2003년) 등이 있다.

《식객》은 고단샤(KC 데럭스)에서 일본어판이 출판되었다. 자치체국제화협회(CLAIR)의 초청으로 일본 관광지를 취재하여 일본의 매력을 한국에 소개하기도 했다.[24]

허영만의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
1974빛 좋은 개살구
1974총소리
1974각시탈
1979태양을 향해 달려라
1980짚신왕자
1981무당거미
1982사마귀
1982쇠퉁소
1982태평양은 알고 있다
198210번 타자
1983변칙복서
1983욕망의 수레바퀴
1983오늘은 마요일
1984황금충
1984제7구단
19851+1+1
1985도롱뇽 구단의 골칫덩이들
1985아스팔트 위의 강풍
1985두 얼굴
1986단막극을 위한 소나타
1986날아라 슈퍼보드
1986카멜레온의 시
1987동체이륙
19872시간 10분
1987담배 한 개비
1987링의 골치덩이들
1987고독한 기타맨
1987질 수 없다
1987오! 한강 (글: 김세영)
1988허슬러
1988대머리 감독님
1988야구타령
1988망치
1988
1988퇴색공간
198948+1
1989형제
1989미스터 손
19900점 인간
1990미로학습
1990세일즈 맨
199019번 홀
1991아스팔트 사나이
1992무저갱 / 원제: 벌레구멍
1992굿바이 아메리카
1992들개 이빨
1992미스터 Q
1994비트
1994세일즈맨
1994닭목을 비틀면 새벽은 안온다
1995시의 밤송이
1999사랑해 (글: 김세영)
2000타짜 (글: 김세영)
2003식객
2004꼬마대장 망치
2004해머보이 망치
2005부자사전
2008
날아라 슈퍼보드
2013허허 동의보감[7]
2015커피 한잔 할까요? (공동 작가: 이호준)


3. 학력

4. 작품 세계

허영만은 만화가로서 작품을 통해 단순한 재미를 넘어 시대의 흐름과 사회적 메시지를 담아냈다. 《각시탈》에서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의 투쟁을 그려 한국인의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했고, 《타짜》에서는 인간 욕망의 본질을 탐구하는 독창적인 서사를 선보였다. 《식객》에서는 한국 음식 문화를 깊이 있게 다루며 전통 음식의 가치를 재조명했다.[1]

작품의 현실감을 높이기 위해 철저한 자료 조사를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식객》을 그릴 때는 한국 전역을 직접 돌아다니며 음식을 맛보고 기록하는 열정을 보였다. 이러한 노력은 만화가 단순한 오락거리를 넘어 학습적이고 감동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문화적, 사회적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1]

웹툰 시대에 발맞춰 새로운 플랫폼에 작품을 발표하고, 주식과 같은 현대적인 주제를 만화에 담아내는 등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며 젊은 세대와 소통하고자 노력했다.[1]

윤태호 작가(《미생》) 등 많은 후배 작가들을 양성하여 한국 만화계 발전에 기여한 멘토로도 존경받고 있다.[1]

4. 1. 소개

허영만은 한국 만화계의 산 역사로 불리며, 50년 이상 작품 활동에 몰두하며 대중과 소통해 왔다. 1974년 한국일보 신인만화공모전에서 당선되어 만화계에 입문했으며, 이후 《각시탈》, 《타짜》, 《식객》, 《날아라 슈퍼보드》 등 한국 만화사의 전설로 남을 다양한 작품을 창작하며 대중성과 작품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1]

그는 작품을 통해 단순히 오락적 요소를 넘어 시대의 흐름과 사회적 메시지를 담아냈다. 《각시탈》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독립운동가의 투쟁을 그리며 한국인의 민족적 자긍심을 자극했고, 《타짜》는 인간 욕망의 본질을 탐구하는 독창적인 서사를 통해 독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또한 《식객》을 통해 한국 음식 문화를 깊이 있게 탐구하며, 지역적이고 전통적인 음식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했다.[1]

작품 제작에 있어 철저한 자료조사를 바탕으로 현실감을 살려냈다. 《식객》 제작을 위해 한국 전역을 직접 탐방하며 음식을 경험하고 기록했으며, 이를 통해 만화를 예술적 표현의 한계를 넘어서는 문화적, 사회적 도구로 활용했다. 이러한 세심한 접근은 독자들에게 단순한 읽을거리를 넘어선 학습적이고 감동적인 경험을 선사했다.[1]

허영만은 나이가 들어서도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웹툰 시대에 맞춰 새로운 플랫폼에서 작품을 선보이며 전통적인 종이 만화와 디지털 만화를 잇는 교량 역할을 수행했다. 최근에는 주식과 같은 현대적이고 실용적인 주제를 만화에 녹여내며 젊은 세대와의 소통을 지속적으로 시도했다.[1]

그는 단순히 작품 활동에 그치지 않고, 후배 양성과 산업 발전에도 기여했다. 문하생인 윤태호 작가(《미생》)를 비롯한 많은 후배 작가들이 그의 영향 아래 성장하며 한국 만화의 저변을 확대했다. 그는 후배들에게 길을 열어주는 멘토로서도 존경받았다.[1]

그의 작품으로는 《각시탈》,《태양을향해달려라》,《짚신왕자》,《무당거미》,《변칙복서》,《사마귀》,《카멜레온의시》,《10번타자》,《고독한기타맨》,《제7구단》,《오한강》,《허슬러》,《블랙홀》,《초감각전쟁》,《날아라수퍼보드》,《망치》,《아스팔트 사나이》,《미스터Q》,《비트》,《사랑해》,《타짜》,《사랑해》,《식객》,《부자사전》,《꼴》,《동의보감》,《커피한잔할까요》 등 200여 작품이 있다.[1]

4. 2. 주요 작품

허영만은 1974년 소년한국일보 신인만화공모전에서 《집을 찾아서》로 데뷔한 후, 《각시탈》, 《타짜》, 《식객》, 《날아라 슈퍼보드》 등 다양한 작품을 창작하며 한국 만화계의 대표적인 작가로 자리매김했다.[5] 그의 작품들은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았고, 대중적으로도 큰 인기를 얻었다.[6]

허영만의 만화는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로도 각색되었으며,[6] 2010년까지 약 150여 작품을 제작했고, 이 중 최소 11 작품이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다.[22]

다음은 허영만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연도작품명연재단행본소재비고
1974《집을 찾아서》소년한국도서강아지제2회 신인만화공모 데뷔
《총소리》
《빛좋은 개살구》
각시탈소년한국일보, 월간 우등생소년한국일보, 부길문고, 땡이문고, 그림문고, 백조문고항일, 격투, 태껸소년한국일보 Ver.(1970년대), 물개만화 Ver.(1980년), 백조문고 Ver.(1984년), 2012년 KBS 드라마화
1975《심판수첩과 혼혈아》땡이문고복싱
《심판수첩과 겨울노래》땡이문고
1976《학도병》
《주먹황제 히라소니》이재학 대필
1977《동래학춤》동래학춤, 예술
《북소리》월간 우등생모험
《내 철권을 보라》
《호움런을 쳐라》소년한국일보야구
《여기는 우리땅》
《우리집 몽실이》
《돌풍》
《강속구를 쳐라》소년한국일보야구
《바뀐 타자의 초구를 노려라》
1978《진짜 승부》
《태평양은 알고 있다》어깨동무호림문고
《호랑이와 할아버지》
《약돌이 탐정》어깨동무
1979《산골 아이》
《마지막 겨울》
《우리 엄마》
《자랑스런 도전》
《태양이 있는 곳에》
우주 흑기사SF
《태양을 향해 달려라》어깨동무클로버문고, 요요코믹스야구
《내가 있다》소년생활복싱
《밀림의 북소리》어깨동무모험아들 이름인 이석균으로 연재
1980《나의 갈길은》복싱
《오빠 이야기》복싱
《5인의 표류자》
《뛰어라 강토》축구
《짚신 왕자》어깨동무1988년 《짚세기 신고 왔소이다》 대본소 만화로 재출간
《잠비지강의 달무리》어깨동무모험
《저녁 노을에 지다》주간스포츠야구
1981《두 번째 승부》민들레사
《귀향》
《자업자득》
《1대4》
《안녕 쌤》까투리문고《집을 찾아서》 재판
《무당거미》복싱
《무당거미 멕시코를 가다》복싱
《무당거미 스트레이트냐 훅이냐》복싱
《무당거미 라스베가스를 가다》복싱
1982《10번 타자》학생과학요요코믹스야구, 발명
《태풍의 다이아몬드》보물섬야구, 한센병단행본 《마운드의 두 얼굴》
쇠퉁소어깨동무항일
《변칙 복서》새소년클로버문고복싱, 발레, 태권도
《돌 주먹》
《태풍 스트라이크》어깨동무백조출판사야구
1983《트라이앵글 타율》야구
《욕망의 수레바퀴》
《겨울로 가는 복서》복싱
《무당거미와 통합타이틀전》복싱
《안타왕》야구
《검은 글러브》새소년야구
《왕부리》소년경향복싱
1984《황금충》
《무궁화 필때까지》
《사마귀》소년중앙복싱
《여우와 너구리》주간스포츠야구, 김일융, 장명부
《도롱뇽구단의 골치덩어리들》
《칫솔 한개》
《장미꽃 타자》단편
1985《흑기사》어깨동무야구
《1+1+1》
《제7구단》보물섬타임야구2013년 영화화 《미스터 고》
《봄 여름 가을 겨울》민들레사축구
《두 얼굴》새소년
《무당거미와 노랑머리》민들레사
《무당거미와 괴인해왕성》
《장미 하나 사랑 둘》멜로
《아스팔트 위의 광풍》주간스포츠야쿠자
《담배 한개비》만화광장향지서복싱
1986퇴역전선기업1987년 MBC 드라마화
카멜레온의 시민들레사복싱1988년 영화화
《도시의 밤송이》민들레사유도
《단막극을 위한 소나타》백조출판사
《2시간 10분》어깨동무마라톤
1987《고독한 기타맨》음악
오! 한강만화광장원정출판사, 타임근현대사문화공보부 지원
《비와 트럼펫》민들레사
《동체이륙》오토바이
《질 수 없다》백조출판사야구, 장훈다른 제목 《조센진 하리모토》
《잠보》보물섬검도
《야구타령》새소년야구
1988《사각의 링》복싱
《세 번째 글러브》민들레사복싱
매주만화기업, 재벌
《K킹 강토》주간야구야구
《링의 골칫덩이들》민들레사복싱
미스터 손만화왕국요요코믹스날아라 슈퍼보드》 TV 애니메이션화
《대머리 감독님》주간야구야구, 전두환
1989《형제》
《황금산장》
《허슬러》당구
《허슬러 대 허슬러》당구
48+1도박1995년 영화화
《청동미르》복수
《금간종》
1990《블랙홀》
《화이트홀》
《날아라 슈퍼보드》만화왕국
《나스카의 메세지》
《미로학습》
《망치》아이큐 점프
《퇴색공간》
《초감각 전쟁》
《0점 인간》
《라틴아메리카》
《소크라테스 클럽》타임
1991《땅콩과 라면》경찰
아스팔트 사나이자동차1995년 SBS 드라마화
《추락하는 용은 날개가 있다》경제, 김대중
세상은 넓고 할일은 많다스포츠조선
1992《굿바이 아메리카》
《들개이빨》야쿠자
무저갱
1993미스터Q팀매니아기업, 속옷1998년 SBS 드라마화
1994비트대원문화청춘, 파이트1997년 영화화
《19번 홀》골프
《오늘은 마요일》경마
1995《닭목을 비틀면 새벽은 안온다》스포츠조선정치
《고려장》
《1977년》단편집
《세일즈맨》서울문화사자동차, 영업
《망치 2》
1996《킹메이커》일요신문
1997《안개꽃 카페》일요신문타임
제3의 눈타임
1998《넥타이》타임
짜장면부킹학산문화사짜장면작가 교체
2000타짜스포츠조선도박2006년 영화화, 2008년 SBS 드라마화, 2014년 영화화
《살라망드르》바둑
사랑해스포츠조선가족, 육아2008년 SBS 드라마화
2001《노상방요 닷컴》
《해탈이》
2003식객동아일보, 파란, 쿡인터넷존요리2007년 영화화, 2008년 SBS 드라마화, 2010년 영화화
부자사전스포츠조선
2007다음 웹툰관상
《고향기찻길》해피트레인철도
2011말에서 내리지 않는 무사
2013《허허 동의보감》시루건강
2015《커피 한잔 할까요?》미스터블루예담커피
불명《그라운드의 표범》소년경향야구
《바다를 향한 사람들》
《라스트 퍼팅》goodday골프
《미스터108》
《카스체이의 서막》
《생존회로》



이 외에도 《타짜》, 《사랑해》, 《식객》 등은 일본 고단샤에서 일본어판으로 출판되었다.[24]

4. 3. 기타 작품

허영만은 1974년 소년한국일보 신인만화공모전에서 《집을 찾아서》로 데뷔한 후, 《각시탈》, 《타짜》, 《식객》, 《날아라 슈퍼보드》 등 다양한 작품을 창작했다.[5] 그의 만화는 영화와 드라마로도 만들어졌다.[6]

다음은 허영만의 기타 작품 목록이다.

연도작품명연재단행본소재비고
1974《집을 찾아서》소년한국도서강아지제2회 신인만화공모 데뷔
《총소리》
《빛좋은 개살구》
각시탈소년한국일보
월간 우등생
소년한국일보
부길문고
땡이문고
그림문고
백조문고
항일
격투
태껸
2012년 KBS 드라마화
1975《심판수첩과 혼혈아》땡이문고복싱
《심판수첩과 겨울노래》땡이문고
1976《학도병》
《주먹황제 히라소니》이재학 대필
1977《동래학춤》동래학춤
예술
《북소리》월간 우등생모험
《내 철권을 보라》
《호움런을 쳐라》소년한국일보야구
《여기는 우리땅》
《우리집 몽실이》
《돌풍》
《강속구를 쳐라》소년한국일보야구
《바뀐 타자의 초구를 노려라》
1978《진짜 승부》
《태평양은 알고 있다》어깨동무호림문고
《호랑이와 할아버지》
《약돌이 탐정》어깨동무
1979《산골 아이》
《마지막 겨울》
《우리 엄마》
《자랑스런 도전》
《태양이 있는 곳에》
우주 흑기사SF
《태양을 향해 달려라》어깨동무클로버문고
요요코믹스
야구
《내가 있다》소년생활복싱
《밀림의 북소리》어깨동무모험아들 이름인 이석균으로 연재
1980《나의 갈길은》복싱
《오빠 이야기》복싱
《5인의 표류자》
《뛰어라 강토》축구
《짚신 왕자》어깨동무1988년《짚세기 신고 왔소이다》
대본소 만화로 재출간
《잠비지강의 달무리》어깨동무모험
《저녁 노을에 지다》주간스포츠야구
1981《두 번째 승부》민들레사
《귀향》
《자업자득》
《1대4》
《안녕 쌤》까투리문고《집을 찾아서》재판
《무당거미》복싱
《무당거미 멕시코를 가다》복싱
《무당거미 스트레이트냐 훅이냐》복싱
《무당거미 라스베가스를 가다》복싱
1982《10번 타자》학생과학요요코믹스야구
발명
《태풍의 다이아몬드》보물섬야구
한센병
단행본 《마운드의 두 얼굴》
쇠퉁소어깨동무항일
《변칙 복서》새소년클로버문고복싱
발레
태권도
《돌 주먹》
《태풍 스트라이크》어깨동무백조출판사야구
1983《트라이앵글 타율》야구
《욕망의 수레바퀴》
《겨울로 가는 복서》복싱
《무당거미와 통합타이틀전》복싱
《안타왕》야구
《검은 글러브》새소년야구
《왕부리》소년경향복싱
1984《황금충》
《무궁화 필때까지》
《사마귀》소년중앙복싱
《여우와 너구리》주간스포츠야구
김일융
장명부
《도롱뇽구단의 골치덩어리들》
《칫솔 한개》
《장미꽃 타자》단편
1985《흑기사》어깨동무야구
《1+1+1》
《제7구단》보물섬타임야구2013년 영화화 《미스터 고》
《봄 여름 가을 겨울》민들레사축구
《두 얼굴》새소년
《무당거미와 노랑머리》민들레사
《무당거미와 괴인해왕성》
《장미 하나 사랑 둘》멜로
《아스팔트 위의 광풍》주간스포츠야쿠자
《담배 한개비》만화광장향지서복싱
1986퇴역전선기업1987년 MBC 드라마화
카멜레온의 시민들레사복싱1988년 영화화
《도시의 밤송이》민들레사유도
《단막극을 위한 소나타》백조출판사
《2시간 10분》어깨동무마라톤
1987《고독한 기타맨》음악
오! 한강만화광장원정출판사
타임
근현대사문화공보부지원
《비와 트럼펫》민들레사
《동체이륙》오토바이
《질 수 없다》백조출판사야구
장훈
다른제목 《조센진 하리모토》
《잠보》보물섬검도
《야구타령》새소년야구
1988《사각의 링》복싱
《세 번째 글러브》민들레사복싱
매주만화기업
재벌
《K킹 강토》주간야구야구
《링의 골칫덩이들》민들레사복싱
미스터 손만화왕국요요코믹스날아라 슈퍼보드》TV애니화
《대머리 감독님》주간야구야구
전두환
1989《형제》
《황금산장》
《허슬러》당구
《허슬러 대 허슬러》당구
48+1도박1995년 영화화
《청동미르》복수
《금간종》
1990《블랙홀》
《화이트홀》
《날아라 슈퍼보드》만화왕국
《나스카의 메세지》
《미로학습》
《망치》아이큐 점프
《퇴색공간》
《초감각 전쟁》
《0점 인간》
《라틴아메리카》
《소크라테스 클럽》타임
1991《땅콩과 라면》경찰
아스팔트 사나이자동차1995년 SBS 드라마화
《추락하는 용은 날개가 있다》경제
김대중
세상은 넓고 할일은 많다스포츠조선
1992《굿바이 아메리카》
《들개이빨》야쿠자
무저갱
1993미스터Q팀매니아기업
속옷
1998년 SBS 드라마화
1994비트대원문화청춘
파이트
1997년 영화화
《19번 홀》골프
《오늘은 마요일》경마
1995《닭목을 비틀면 새벽은 안온다》스포츠조선정치
《고려장》
《1977년》단편집
《세일즈맨》서울문화사자동차
영업
《망치 2》
1996《킹메이커》일요신문
1997《안개꽃 카페》일요신문타임
제3의 눈타임
1998《넥타이》타임
짜장면부킹학산문화사짜장면작가교체
2000타짜스포츠조선도박2006년 영화화
2008년 SBS 드라마화
2014년 영화화
《살라망드르》바둑
사랑해스포츠조선가족
육아
2008년 SBS 드라마화
2001《노상방요 닷컴》
《해탈이》
2003식객동아일보
파란
쿡인터넷존
요리2007년 영화화
2008년 SBS 드라마화
2010년 영화화
부자사전스포츠조선
2007다음 웹툰관상
《고향기찻길》해피트레인철도
2011말에서 내리지 않는 무사
2013《허허 동의보감》시루건강
2015《커피 한잔 할까요?》미스터블루예담커피
불명《그라운드의 표범》소년경향야구
《바다를 향한 사람들》
《라스트 퍼팅》goodday골프
《미스터108》
《카스체이의 서막》
《생존회로》



2010년 현재 약 150 작품을 제작했으며, 이 중 최소 11 작품이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다.[22]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타짜|타짜한국어》, 《사랑해|사랑해한국어》, 《식객|식객한국어》 등이 있으며, 『식객』은 고단샤에서 일본어판이 출판되었다.

또한, 자치체국제화협회 (CLAIR)의 초청으로 일본 관광지를 취재하여 일본의 매력을 한국에 소개하기도 했다.[24]

5. 영상화된 작품

연도장르채널원작작품명출연
1978영화각시탈각시탈 철면객김추련, 김선옥, 김기주, 장일도
1979극장애니우주의 흑기사우주 흑기사
1986극장애니각시탈각시탈
1987드라마MBC퇴역전선퇴역전선정동환, 박규채, 강문영, 방희
1988영화카멜레온의 시카멜레온의 시민규, 박준규, 문혜경, 전무송
1989TV애니KBS1미스터 손날아라 슈퍼보드 1
1990TV애니KBS1미스터 손날아라 슈퍼보드 2
1991TV애니KBS1미스터 손날아라 슈퍼보드 3
1994드라마SBS아스팔트 사나이아스팔트 사나이이병헌, 최진실, 정우성, 이영애
1994영화48+148+1김명곤, 박상민, 전무송, 진주희
1996영화비트비트정우성, 고소영, 유오성, 임창정
1997TV애니KBS1미스터 손날아라 슈퍼보드 4
1998드라마SBS미스터Q미스터Q김민종, 김희선, 송윤아, 권해효
2000TV애니KBS1미스터 손날아라 슈퍼보드 5
2003극장애니망치해머보이 망치
2006영화타짜 1부:지리산 작두타짜조승우, 김혜수, 백윤식, 유해진
2007영화식객식객김강우, 임원희, 이하나, 정은표
2008드라마SBS사랑해사랑해안재욱, 서지혜, 공형진, 조미령
2008드라마SBS식객식객김래원, 남상미, 권오중, 김소연
2008드라마SBS타짜타짜장혁, 한예슬, 김민준, 강성연
2010영화식객식객: 김치전쟁김정은, 진구, 왕지혜, 이보희
2011드라마KBS2각시탈각시탈주원, 진세연, 박기웅, 한채아, 신현준
2012영화제7구단미스터 고서교, 성동일, 김강우
2013영화타짜 2부:신의 손타짜: 신의 손최승현, 신세경, 이하늬, 곽도원, 유해진
2020드라마카카오TV커피 한잔 할까요?커피 한잔 할까요?박호산, 옹성우



2010년을 기준으로 허영만 화백은 약 150여 편의 작품을 발표했으며, 이 가운데 최소 11편이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22]

6. 기타 활동

허영만은 2010년 현재 약 150개의 작품을 제작했으며, 이 중 최소 11개 작품이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다.[22] 대표작으로 타짜, 식객 등이 있다. 『식객』은 고단샤를 통해 일본어판으로 출판되었다.

자치체국제화협회(CLAIR)의 초청으로 일본 관광지를 취재해 일본의 매력을 한국에 소개하기도 했다.[24]

6. 1. 방송

허영만의 방송 출연 및 원작 기반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

방송사프로그램명역할방영일비고
KBS퀴즈탐험 신비의 세계1991년 10월 14일, 1992년 7월 9일, 1995년 7월 7일
KBS가족오락관1996년 3월 6일
JTBC비정상회담게스트2015년 5월 4일
SBS힐링캠프게스트2015년 5월 18일
JTBC섬으로 가자2015년
TV조선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2019년 5월 14일 ~ 현재
TV조선낭만비박 집단가출2022년 11월 13일 ~ 2023년 1월 29일
KBS2K푸드쇼 맛의 나라2023년 9월 10일 ~ 11월 5일
채널A4인용 식탁게스트2023년 11월 13일
허영만 원작 기반 드라마
MBC마지막 승부1987년
SBS아스팔트 사나이1995년
SBS미스터Q1998년
SBS사랑해2008년[12]
SBS식객2008년[13]
SBS타짜2008년[14]
KBS2각시탈2012년[15]
카카오TV커피 한 잔 할까요?2021년
KBS1미스터 손1990년, 1991년, 1992년, 1998년, 2001년


6. 2. 영화

6. 3. 수상

연도수상 내역
2024년전남도립미술관 특별 초대전
2024년한국소비자포럼 브랜드 고객 충성도 대상 수상
2022년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
2020년광복회 역사정의실천 만화가 선정
2019년SICAF 어워드 만화부문 공로대상 수상
2016년주프랑스 한국문화원 허영만 특별전
2014년서울 김장문화제 홍보대사
2010년SICAF 2010 특별전시 허영만의 길
2009년시카프 어워드 만화부문 수상[31]
2009년경기국제보트쇼 및 코리아매치컵 세계요트대회 홍보대사
2009년자랑스러운 전남인상 수상
2008년제9회 대한민국 국회대상 만화부문 수상
2007년한국철도공사 KTX 홍보대사
2007년여수세계박람회 명예홍보대사
2007년제7회 고바우 만화상 수상
2006년환경재단 2006 세상을 밝게 만든 100인 선정
2005년이탈리아 나폴리 코믹콘 특별초대전
2004년대한민국 만화대상 수상
2004년제7회 부천국제만화축제(BICOF) 비코프 대상 수상
2004년문화관광부 오늘의 우리만화 수상
1974년한국일보 신인만화공모전 당선



국가, 수여 연도, 훈격
국가연도훈격 또는 상
대한민국2022문화훈장, 3등급


참조

[1] 웹사이트 Koreans Love Black Bean Sauce Noodles Most http://english.donga[...] 2014-03-27
[2] 웹사이트 "감쪽같이 사라진 팔光..." 만화 ′타짜′ 이렇게 탄생했다 - 노컷뉴스 http://www.cbs.co.kr[...] 2012-11-07
[3] 웹사이트 특집 부천만화축제 허영만전 (2) "허영만의 삶" http://www.parkseokh[...]
[4] 웹사이트 "(만화가열전) 18회 허영만" http://www.cartoon.o[...] 2005-11-07
[5] 웹사이트 맥스무비 - 정보 http://www.maxmovie.[...] 2012-11-07
[6] 웹사이트 Major cartoonist hands over works to museum http://nwww.koreaher[...] 2011-05-22
[7] 웹사이트 Comic draws on med texts for series http://koreajoongang[...] 2013-08-31
[8] 웹사이트 War of Flowers Biggest Hit This Autumn http://english.chosu[...] 2006-11-09
[9] 웹사이트 Vive La Korean Food! Hallyu Revitalizes Culinary Tradition https://www.koreatim[...] 2008-03-20
[10] 뉴스 Modern mothers lose in reactionary ''Kimchi War'' http://koreajoongang[...] 2010-04-09
[11] 웹사이트 Two Big Things Are Coming: The Dream Film of Korea - ''Mr. Go'' http://www.koreanfil[...] 2013-06-14
[12] 웹사이트 Dramas Adapt New Way of Production https://www.koreatim[...] 2008-02-10
[13] 웹사이트 Sikgaek Brings Korean Cuisine Back to TV Screen https://www.koreatim[...] 2008-06-10
[14] 웹사이트 Dramas Bring Hero, Gamblers and Orchestra https://www.koreatim[...] 2008-09-09
[15] 웹사이트 Korea and Japan https://www.koreatim[...] 2012-08-15
[16] 웹사이트 Ong Seong-wu to star in Kakao TV's 'How About a Cup of Coffee?' https://koreajoongan[...] 2021-05-26
[17] 웹사이트 BTS, Red Velvet win at Korean Popular Culture and Arts Awards https://entertainmen[...] 2018-10-18
[18] 웹사이트 BTS gets award upon their return home http://koreajoongang[...] 2018-10-25
[19] 웹사이트 Korean Popular Culture and Arts Awards announces winners http://kpopherald.ko[...] 2016-10-25
[20] 웹사이트 강수연·박찬욱, 은관문화훈장 수훈…송강호·허영만은 보관문화훈장 https://entertain.na[...] Sports DongA 2022-11-24
[21] 웹사이트 ホ・ヨンマン(許英萬) http://www.pref.niig[...] 新潟県 2014-03-12
[22] 웹사이트 韓国有名漫画家 許英萬(ホ・ヨンマン)画伯による山陰取材 http://db.pref.totto[...] 鳥取県 2014-03-12
[23]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동방의 명의’ 허준 후예들…빌딩 2채, 100억대 재력 https://skyedaily.co[...] 2018-05-16
[24] 웹사이트 日本取材記 http://clair.or.kr/b[...] 自治体国際化協会ソウル事務所 2014-03-12
[25] 뉴스 만화가 허영만 http://shindonga.don[...] 신동아
[26] 뉴스 구영탄의 만화가, 고행석 “졸린 눈으로 보면 세상이 유쾌해져요”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10-04
[27] 웹인용 노컷뉴스 http://www.cbs.co.kr[...] 2010-02-22
[28] 문서 허영만 http://people.nate.c[...]
[29] 웹인용 “식객” 만화가 허영만 목포대 명예문학박사 학위 수여 https://m.dhnews.co.[...] 2024-12-25
[30] 문서 https://ko-kr.facebo[...]
[31] 문서 허영만·황선길씨 시카프어워드 수상 한겨레 2009-09-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