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허영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영자는 1938년 경상남도 함양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경기여자고등학교와 숙명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1961년 박목월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에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시집 『가슴엔 듯 눈엔 듯』, 『조용한 슬픔』, 『은의 무게만큼』 등과 시조집 『소멸의 기쁨』, 에세이집 『한 송이 꽃도 당신 뜻으로』 등을 펴냈다. 계성여자고등학교 교사,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한국시인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국시인협회상, 월탄문학상, 동리·목월문학상, 허난설헌문학상, 옥관문화훈장 등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은 사랑과 절제를 주제로 하며, 한국적인 정서인 한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동문 - 강인숙
    강인숙은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자 수필가, 번역문학가로, 중등교사로 재직하며 문학 평론가로 등단한 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남편인 이어령의 이름을 딴 영인문학관을 개관하고 미술 관련 저서를 다수 집필했다.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동문 - 주옥순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주옥순은 엄마부대 대표로서 활동하며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 관련 폭행 혐의, 사드 배치 촉구 집회 과격 발언, 친일적 발언, 코로나19 역학조사 비협조, 위안부 관련 발언 등 여러 논란으로 비판받았고 국회의원 선거에 두 번 출마했으나 낙선하거나 사퇴했다.
  •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 이상주
    이상주는 대한민국의 교육학자, 관료, 정치인으로서, 여러 대학교의 총장을 역임하고 노태우, 김영삼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 및 비서실장을, 김대중, 참여정부에서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및 부총리를 지낸 인물이다.
  •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 서주석
    서주석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안보 전문가로, 한국국방연구원에서 근무하며 민주당계 정권에서 외교안보 정책 수립에 관여했고,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 국방부 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역임하며 남북 합의 도출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왜곡 활동에 참여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함양군 출신 - 서동렬
    서동렬은 공군 준장으로 임관하여 공군참모총장까지 역임한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공군 발전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탄압 가담 등 신군부 시절 행적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군 복무 후 한국에너지관리공단 이사장을 역임하고 정계에서도 활동했다.
  • 함양군 출신 - 신성범
    신성범은 KBS 기자 출신으로 제18대, 19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현재 제22대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허영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허영자
허영자
출생일1938년 8월 31일
출생지함양
국적대한민국
학력
학력경기여자고등학교 졸업
경력
직업시인, 대학교수
대학교성신여자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명예교수
수상
수상한국시인협회상

2. 생애

(내용 없음)

2. 1. 유년 시절과 교육

허영자는 1938년 8월 31일, 경상남도 함양에서 태어났다. 경기여자고등학교숙명여자대학교를 졸업했다. 한국 전쟁을 겪으며 어린 시절을 보냈고, 혹독한 현실 속에서 독서에 몰두했다. 주로 한국 고전문학, 세계문학 전집, 한국 문학 등을 읽었다.[3]

2. 2. 문단 데뷔와 활동

1961년, 시인 박목월의 추천을 받아 문예지 현대문학에 ''도정연가''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다.[3] 1963년에는 김선영, 김후란 등 동료 시인들과 함께 여성 시 동인 청미회를 결성하여 활동했다.

꾸준한 작품 활동을 통해 다수의 시집과 저서를 남겼다.

주요 작품
구분제목출간 연도
시집『가슴엔 듯 눈엔 듯』1966
『어여쁨이야 어찌 꽃뿐이랴』1977
『조용한 슬픔』1990
『은의 무게만큼』2007
『투명에 대하여 외』2017
시조집『소멸의 기쁨』2003
에세이집『한 송이 꽃도 당신 뜻으로』1978
『아름다운 삶을 향하여』1980
평론집『한국 여성시의 이해와 감상』1997



문학 활동 외에도 교육계와 문학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계성여자고등학교 교사를 거쳐 성신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또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상임이사, 한국시인협회 회장, 한국여성문학인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여러 문학상과 훈장을 받았다.

주요 수상 내역
연도상훈
1972한국시인협회상
1985월탄문학상
2008동리·목월문학상
2015허난설헌문학상
대한민국 옥관문화훈장


3. 작품 세계

허영자는 "사랑과 절제의 시인"으로 불리는데, 이는 그녀 작품의 주요 주제인 사랑과 그 의미를 절제된 형식미로 표현하는 데서 유래한다.[5][6] 그녀 시의 가장 큰 특징은 한국 고유의 정서인 을 바탕으로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과 그리움을 섬세하게 그리는 동양적 사랑 노래 스타일의 서정시라는 점이다.[6]

그녀의 시에서 다루는 사랑은 남녀 간의 애정을 넘어 부모와 자식 간의 사랑, 종교적 절대자를 향한 사랑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때로는 분단과 같은 현실 문제로 확장되기도 한다.[7] 시의 또 다른 특징인 "절제"는 언어를 압축하여 함축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시인은 가능한 적은 언어로 많은 의미를 담아내려 노력했다.[8][9] 또한, 그녀의 시에는 불교, 기독교, 범신론 등 다양한 종교적 색채가 나타나는데, 이는 특정 종교에 얽매이지 않고 삶을 다면적으로 바라보는 시인의 유연한 태도를 보여준다.[10]

3. 1. 사랑

허영자는 "사랑과 절제의 시인"으로 불린다. 이 별명은 그녀의 작품에서 사랑이라는 주제와 그것이 함축하는 의미를 통해 형식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그녀 시의 가장 큰 특징은 한국적인 정서인 [5]을 바탕으로,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과 그리움을 섬세하게 그려내는 동양적인 사랑 노래 스타일의 서정시라는 점이다.[6]

그녀의 시에서 다루는 사랑은 단순히 남녀 간의 애정을 넘어 부모와 자식 간의 사랑, 종교적 절대자를 향한 사랑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시 속에서 "사랑"은 최고의 가치로 여겨지며, 그 다면적인 의미를 탐구한다.[7] 허영자의 "사랑"은 감정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고 현실 문제로까지 확장된다. 예를 들어, ''분단 – 상사초''라는 시에서는 꽃과 잎이 서로 만날 수 없는 식물인 상사초에 빗대어 분단의 슬픔을 노래한다.

그녀 시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인 "절제"는 언어를 압축하여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시인 스스로 가능한 한 적은 단어를 사용하여 최대한 많은 의미를 담아내고자 노력했다. 팔행시 ''무제''에서는 언어의 절제를 통해 리듬감, 함축성, 다의성, 상징성을 얻는 것의 가치를 보여주었다.[8] 또한, ''자수''라는 시에서는 사랑하는 이를 잃은 슬픔과 아픔을 자수를 놓는 행위를 통해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절제된 감정으로 묘사했으며, 시어 "강가"는 마침내 도달한 평온한 상태를 간결하게 상징한다.[9]

3. 2. 절제

허영자 시의 또 다른 특징인 "절제"는 압축된 아름다움의 형태로 표현된다.[6] 시인 자신은 가능한 적은 언어로 최대한 많은 의미를 담아내려 노력했다.[8] 그녀는 팔행시 ''무제''에서 언어의 절제를 통해 리듬, 함축, 다의성, 상징성을 획득하는 가치를 묘사했다.[8] 시 ''자수''에서는 사랑하는 이를 잃은 아픔과 슬픔을 자수를 놓는 과정을 통해 극복하는 과정을 절제된 감정으로 묘사하며, 시어 "강가"는 간결하게 마침내 도달한 평형 상태를 표현한다.[9]

3. 3. 다양한 종교성

허영자의 시에 나타난 종교성은 특정 종교에 국한되지 않고, 불교, 기독교, 범신론 등 다양한 측면을 보여준다. 그녀의 시 《관음보살님》은 향과 촛불을 사용하며 불교적 색채를 띤다. 《임(Im)》은 만물이 신이라는 범신론적 세계관을 제시하며, 《착한 목수》는 예수의 희생과 사랑을 찬양한다. 이러한 태도는 종교적 의미를 넘어, 그녀의 시집 《막달라 마리아》(2017)에서 깨어진 자아를 세상의 중심으로 두는 인간의 서사로 확장된다.[10] 그녀의 시에 나타난 다면적인 종교성은 삶에 대한 유연한 태도와 다면적인 시각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4. 작품 목록

(내용 없음)

4. 1. 시집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가슴엔 듯 눈엔 듯》중앙문화사1966
《친전》문원사1971
《어여쁨이야 어찌 꽃뿐이랴》범문사1977
《빈 들판을 걸어가면》열음사1984
《내 작은 사랑은》예전사1986
《조용한 슬픔》문학세계사1990
《기타를 치는 집시의 노래》미래문화사1995
《목마른 꿈으로써》마을1997
《무지개를 사랑한 걸 후회하지 말자》좋은날1998
《은의 무게만큼》마을2007
《마리아 막달라》서정시학2017
《투명에 대하여 외》황금알2017


4. 2. 시조집


  • ''소멸의 기쁨'', 문학수첩, 2003

4. 3. 선집


  • 이별하는 길머리엔, 문학사상사, 1986
  • 말의 향기, 고려원, 1988
  • 암청의 문신, 미래사, 1991
  • 허영자 전시집, 마을, 1998
  • 얼음과 불꽃, 시월, 2008
  • 사랑은 스스로 선택하는 고통입니다, 둥지, 2008 (허영자, 유안진, 문정희, 이향아, 천양희, 박현령, 김소엽, 김경희, 서경온 공저)
  • 모순의 향기, 시인생각, 2013
  • 시, 우주를 채우다, 현대시학사, 2019 (공저)
  • 동백 지다 (이근배, 허영자 외 공저)

4. 4. 수필

wikitext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한 송이 꽃도 당신 뜻으로문학예술사1978
아름다운 삶을 향하여문학세계사1980
내가 너의 이름을 부르면학원사1984
영혼을 노래하며 아픔을 나누며학원사1985
사랑과 추억의 불꽃자유문학사1987
내일 우리가 이별할지라도청맥1988
우리 무엇을 꿈꾸었다 말하랴백상1988
슬프지 않은 뒷모습은 없다청맥1989
가을 사진첩청아1991
휘발유 같은 여자이고 싶다시학사1992
불로뉴 숲의 아침이슬청산1993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자유문학사1996
허영자 수필집마을1998
사랑의 일곱 가지 빛깔정민미디어2003
살아 있다는 것의 기쁨을지출판공사2015


4. 5. 이론 서적


  • 《한국여성시의 이해와 감상》, 문학아카데미, 1997
  • 《한국문학 새로 읽기》,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1999

4. 6. 아동시


  • 《어머니의 기도》, 신태양사, 1996

5. 수상

연도상 이름수상작/비고
1972한국시인협회상 및 시 4편
1985월탄문학상어둠의 빛과 사랑
1998대한민국 문학상
2008동리·목월문학상은의 무게로
2015허난설헌시문학상
2015옥관문화훈장


참조

[1] 웹사이트 허영자(許英子) http://한국시집박물관.org/?[...] 2014-12-06
[2] 웹사이트 하영자 https://terms.naver.[...] Doosan Encyclopedia 2024-05-26
[3] Youtube Huh Young Ja Interview https://www.youtub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2011-06-08
[4] Naver encyclopedia Hwang Jini –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https://terms.naver.[...]
[5] Naver encyclopedia Han –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https://terms.naver.[...]
[6] Naver encyclopedia Huh Young-ja –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https://terms.naver.[...]
[7] Youtube Huh Young Ja Interview https://www.youtube.[...]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2011-06-08
[8] 서적 A Collection of Huh Young-ja's poems Maeul 1998
[9] Naver encyclopedia Embroidery –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https://terms.naver.[...]
[10] 서적 Flowers, They Are Not the Only Beauty – My Poem, My Poetics Maeul 1998
[11] 위키백과 Society of Korean Poets Award
[12] 위키백과 Woltan Literary Prize
[13] 웹사이트 Huh Young-ja – Naver People Search https://people.searc[...]
[14] 위키백과 Dongni·Mogwol Literary Prize
[15] 뉴스 Huh Young-ja, the 3rd winner of Heo Nanseolheon Poetry Prize https://www.yna.co.k[...] Yonhap News 2015-05-02
[16] 뉴스 18 contributors to Culture and Arts are awarded Order of Cultural Merit http://www.economyta[...] Economytalk News 2015-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