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네스 바이스바일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네스 바이스바일러는 독일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1948년부터 1952년까지 1. FC 쾰른에서 선수로 활동했다. 이후 감독으로 1. FC 쾰른,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FC 바르셀로나, 뉴욕 코스모스,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등에서 지도자 경력을 쌓았다.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를 이끌고 분데스리가 우승 3회, UEFA컵 우승 1회를 달성했으며, 1. FC 쾰른에서도 분데스리가 우승 1회, DFB-포칼 우승 2회를 기록했다. 1980년에는 뉴욕 코스모스를 북미 사커 리그 우승으로 이끌었고, 1982-83 시즌에는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에서 스위스 리그와 컵을 모두 우승했다. 1983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에서 스위스로 이민간 사람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독일 태생의 이론물리학자로, 상대성이론을 개발하고 광전 효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질량-에너지 등가 공식으로도 유명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 독일에서 스위스로 이민간 사람 - 헤르만 헤세
    헤르만 헤세는 독일 태생 스위스 시인이자 소설가로, 자아 성찰과 인간의 고독을 다룬 작품들로 인기를 얻었으며 반전주의적 태도를 보인 인물이다.
  •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의 축구 감독 - 크라시미르 발라코프
    크라시미르 발라코프는 불가리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불가리아 대표팀 소속으로 1994년 FIFA 월드컵 4강 진출을 이끌었으며 은퇴 후 여러 클럽과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감독직을 수행했다.
  •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의 축구 감독 - 미로슬라브 블라제비치
    미로슬라브 블라제비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의 전 축구 감독이자 정치인으로,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1998년 FIFA 월드컵 3위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고, 클럽 우승 경력과 강한 카리스마로 유명하며, 크로아티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 북미 사커 리그 (1968년)의 축구 감독 - 빌 폴크스
    빌 폴크스는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선수로 활약하며 1968년 유러피언컵 우승을 이끌었고, 뮌헨 참사 이후 팀 재건을 주도했으며, 은퇴 후 유소년 코치와 프로팀 감독을 역임하다 2013년 사망했다.
  • 북미 사커 리그 (1968년)의 축구 감독 - 푸슈카시 페렌츠
    푸슈카시 페렌츠는 1950년대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마법의 마자르"의 핵심 공격수이자 부다페스트 혼베드 FC와 레알 마드리드 CF에서 활약하며 레알 마드리드의 황금기를 이끌었고, 은퇴 후에는 감독으로서도 유러피언컵 준우승을 이끌었으며, FIFA 푸슈카시상의 이름으로 그의 업적이 기려진다.
헤네스 바이스바일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헤네스 바이스바일러 훈련 캠프 모습
1970년의 바이스바일러
본명한스 바이스바일러
출생일1919년 12월 5일
출생지에르프트슈타트-레헤니히, 독일
사망일1983년 7월 5일
사망지취리히, 스위스
포지션미드필더
선수 경력
클럽1. FC 쾰른
연도1948–1952
출장62
득점0
감독 경력
1949–19521. FC 쾰른 (선수 겸 감독)
1952–1954Rheydter SpV
1954–1955독일 (어시스턴트)
1955–19581. FC 쾰른
1958–1964Viktoria Köln
1964–1975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75–1976바르셀로나
1976–19801. FC 쾰른
1980–1982뉴욕 코스모스
1982–1983그라스호퍼

2. 선수 경력

프로이센 왕국 라인 주 (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엘프슈타트 출신이다. 선수 시절에는 1. FC 쾰른에서 활약했다.

3. 감독 경력

1949년 1. FC 쾰른이 서부 오버리가(당시 독일 1부 리그)로 승격하면서 선수 겸 감독을 맡아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1952년까지 선수 겸 감독으로 활동한 뒤, 1955년부터 1958년까지 다시 쾰른의 감독을 맡았다. 이후 지역 라이벌인 빅토리아 쾰른으로 옮겨 1964년까지 팀을 이끌었다.

1957년부터 1970년까지는 쾰른 스포츠 대학교의 주임 강사로 활동하며 지도자 육성에도 힘썼다.

1964년에는 당시 2부 리그에 있던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그의 전성기를 열었다. 귄터 네처, 유프 하인케스, 베르티 포크츠 등 젊고 재능 있는 선수들을 발굴하고 공격적인 축구를 통해 팀을 분데스리가로 승격시켰다. 이후 묀헨글라트바흐를 독일 최강팀 중 하나로 성장시키며 분데스리가 3회, DFB-포칼 1회, UEFA컵 1회 우승을 달성했다. 이 시기 묀헨글라트바흐는 젊고 역동적인 팀 컬러로 '망아지들(Die Fohlen)'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주요 우승 기록은 아래 표 참조)

1975년 FC 바르셀로나로 이적했으나, 팀의 핵심 선수였던 요한 크루이프와의 불화 등으로 인해 한 시즌 만에 팀을 떠났다.[2] 1976년 친정팀인 1. FC 쾰른으로 복귀하여 분데스리가 우승 1회와 DFB-포칼 2회 연속 우승을 이끌었다. 특히 1977년에는 일본 국가대표팀의 서독 전지훈련 중 오쿠데라 야스히코의 재능을 발견하고 직접 영입을 추진하여, 오쿠데라는 분데스리가 최초의 일본인 선수가 되었다.

1980년에는 미국 NASL뉴욕 코스모스 감독을 맡아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1982년에는 스위스그라스호퍼 취리히 감독으로 부임하여 1982-83 시즌 리그와 컵 대회 더블 우승을 달성했다.

1983년 스위스 취리히 주 에슈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감독 경력 연표
기간클럽국가
1949–19521. FC 쾰른 (선수 겸 감독)서독
1955–19581. FC 쾰른서독
1958–1964빅토리아 쾰른서독
1964–1975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서독
1975–1976FC 바르셀로나스페인
1976–19801. FC 쾰른서독
1980–1981뉴욕 코스모스미국
1982–1983그라스호퍼 취리히스위스



주요 우승 기록
대회우승 횟수시즌클럽
분데스리가4회1969–70, 1970–71, 1974–75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분데스리가1977–781. FC 쾰른
DFB-포칼3회1972–73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DFB-포칼1976–77, 1977–781. FC 쾰른
UEFA컵1회1974–75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북미 사커 리그1회1980뉴욕 코스모스
스위스 슈퍼리그1회1982–83그라스호퍼 취리히
스위스컵1회1982–83그라스호퍼 취리히


3. 1. 쾰른 (1948-1952, 1955-1958, 1976-1980)

1948년 1. FC 쾰른이 창단되었을 때, 헤네스 바이스바일러는 클럽의 창단 멤버 중 한 명이었다. 1949년 클럽이 당시 서독 1부 리그 격인 서부 오버리가로 승격하자, 그는 선수 겸 감독 역할을 맡았다. 그는 1952년까지 이 직책을 유지하며 리그에서 62경기에 출전했다.

1955년, 그는 다시 1. FC 쾰른으로 돌아와 1958년까지 3년간 수석 코치(감독)를 맡았다.

1976년, FC 바르셀로나에서의 짧은 감독 생활을 마치고 바이스바일러는 감독 경력을 시작했던 1. FC 쾰른으로 다시 복귀했다. 그는 1980년까지 쾰른을 이끌며 1977-78 시즌 분데스리가 우승과 1976-77 시즌, 1977-78 시즌 DFB 포칼 연속 우승을 달성하는 등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3. 1. 1. 오쿠데라 야스히코 영입 일화

일본 대표팀과 미쓰비시 중공업 축구부의 감독을 역임한 니노미야 히로시와 친분이 있었으며, 일본 선수들을 단기 유학 등으로 받아들이기도 했다. 다시 1. FC 쾰른의 감독을 맡고 있던 1977년 여름, 서독에서 합숙 훈련 중이던 일본 대표팀 선수 오쿠데라 야스히코의 재능에 주목했다. 바이스바일러는 그 자리에서 오쿠데라에게 쾰른 입단을 제안했지만, 당시 대표팀을 인솔하던 니노미야에게 선수 이적에 대한 권한이 없어 즉시 성사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바이스바일러는 포기하지 않고 오쿠데라의 소속팀인 후루카와 전기 축구부에 정식으로 영입을 제안하여 계약을 성사시켰다.

3. 2. 빅토리아 쾰른 (1958-1964)

헤네스 바이스바일러는 1958년부터 1964년까지 빅토리아 쾰른의 감독직을 수행했다.

3. 3.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964-1975)

1964년, 바이스바일러는 당시 독일 2부 리그에 있던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이 클럽은 1960년 DFB-포칼 우승 이후 별다른 성과가 없었으며, 바이스바일러 부임 직전 시즌에는 리그 8위를 기록하고 있었다.

바이스바일러는 부임하자마자 젊은 인재 발굴에 힘썼다. 19세의 귄터 네처와 유프 하인케스를 주축으로 삼았고, 베른트 루프와 헤어베어트 라우멘 등 훗날 서독 국가대표가 되는 선수들을 발굴했다. 평균 연령이 21.5세에 불과했던 이 젊은 팀은 곧바로 리그 1위를 차지하며 분데스리가로 승격했다.

바이스바일러와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세기의 팀" 선수들의 이름


승격 첫 시즌에는 19세의 베르티 포크츠가 팀에 합류했다. 이후 헤어베어트 비머와 같은 재능 있는 선수들이 가세했지만, 분데스리가 초반 두 시즌은 각각 13위와 8위를 기록하며 적응기를 거쳤다. 그러나 승격 3년 차에는 유프 하인케스가 하노버 96으로 이적했음에도 불구하고 리그 3위에 오르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바이스바일러의 팀은 특유의 공격적인 축구 스타일로 명성을 얻었으며, 이러한 젊고 역동적인 팀 스타일 때문에 묀헨글라트바흐는 망아지 (Die Fohlen)라는 애칭을 얻게 되었다.

1969-70 시즌을 앞두고 국가대표 수비수 루트비히 뮐러와 덴마크 국가대표 공격수 울릭 레 페브르를 영입하며 전력을 강화했고, 호르스트 쾨펠과 같은 유망주들이 성장하며 팀의 주축이 되었다. 이 시즌, 묀헨글라트바흐는 FC 바이에른 뮌헨을 제치고 구단 역사상 첫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다. 다음 1970-71 시즌에는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원정에서 4-1 대승을 거두며, 분데스리가 역사상 최초로 리그 타이틀 방어에 성공하는 기록을 세웠다.

유럽 무대에서의 도전도 이어졌다. 첫 유러피언 컵 출전은 에버튼 FC에 패하며 2라운드에서 마감했다. 1971-72 시즌 유러피언 컵에서는 인테르 밀란과의 8강전 홈 경기에서 7-1이라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나, 관중이 던진 음료수 캔에 상대 선수가 맞는 사건(일명 '캔 투척 사건')이 발생하여 경기가 무효 처리되는 불운을 겪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고) 결국 이 시즌 리그에서는 3위에 머물렀는데, 시즌 전 호르스트 쾨펠, 헤어베어트 라우멘 등이 팀을 떠났고 새로 영입된 라이너 본호프, 디트마어 다너 등이 아직 그 공백을 완전히 메우지 못한 영향도 있었다.

1972-73 시즌에는 울릭 레 페브르 등이 떠나고, 덴마크의 젊은 공격수 헤닝 옌센과 알란 시몬센이 합류했다. 옌센은 즉시 팀에 기여했지만, 19세의 시몬센은 초기에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바이스바일러는 시몬센의 잠재력을 믿고 꾸준히 기용했고, 그는 5년 후 발롱도르를 수상하며 감독의 믿음에 보답했다.

이 시기, 바이스바일러와 팀의 핵심 선수였던 귄터 네처 사이에 갈등이 불거졌다. UEFA 유로 1972 우승의 주역이었던 네처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감독과의 관계가 틀어졌고, 결국 네처는 시즌 종료 전 레알 마드리드 이적을 발표했다. 감정적으로 고조된 분위기 속에서 치러진 1. FC 쾰른과의 DFB-포칼 결승전에서 바이스바일러는 네처를 벤치에 앉혔다. 그러나 연장전 돌입 직전, 네처는 스스로 교체를 준비했고, 투입 직후 결승골을 터뜨리며 팀에 우승컵(1972-73 DFB-포칼)을 안기고 팀을 떠났다. 이 시즌 리그 순위는 5위였다.

네처가 떠난 후, 바이스바일러는 울리 슈틸리케와 같은 새로운 유망주를 발굴하며 팀을 재정비했다. 1973-74 시즌 리그 2위를 기록한 묀헨글라트바흐는 1974-75 시즌, 리그에서 86골이라는 압도적인 공격력을 선보이며 통산 세 번째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같은 시즌 UEFA컵 결승에서 FC 트벤테를 꺾고 우승하며 구단 역사상 첫 유럽 대항전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바이스바일러는 11년 동안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를 이끌며 분데스리가 3회, DFB-포칼 1회, UEFA컵 1회 우승이라는 빛나는 업적을 남겼다. 그는 무명의 팀을 독일 최강팀 중 하나로 성장시켰으며, FC 바이에른 뮌헨과 치열한 경쟁 구도를 형성했다. 그의 후임으로 온 우도 라테크 감독은 바이스바일러가 구축한 선수단을 바탕으로 리그 2연패와 유러피언 컵 준우승을 달성하며 그의 유산을 이어갔다.

3. 3. 1. 1971-72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8강전 일화

바이스바일러가 이끌던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는 1971-1972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8강전에서 이탈리아의 강호 인테르와 맞붙었다. 당시 인테르는 '카테나치오'로 유명한 견고한 수비 전술을 구사하는 팀이었다. 그러나 묀헨글라트바흐는 홈에서 열린 경기에서 이러한 인테르를 상대로 무려 7-1이라는 압도적인 점수 차로 승리했다. 하지만 이 놀라운 승리는 경기 도중 한 서포터가 던진 빈 캔에 인테르 선수가 맞는 불미스러운 사건이 발생하면서 결국 무효 경기로 처리되었다.

3. 4. FC 바르셀로나 (1975-1976)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에서 분데스리가 3회 우승과 UEFA 컵 우승 등 성공적인 시기를 보낸 후, 바이스바일러는 1975년 스페인의 명문 구단 FC 바르셀로나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1976년까지 한 시즌 동안 팀을 이끌었다.

3. 5. 뉴욕 코스모스 (1980-1981)

1980년부터 1981년까지 미국뉴욕 코스모스 감독을 맡았다. 1980년에는 팀을 이끌고 북미 사커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3. 6.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1982-1983)

1982년 스위스그라스호퍼 취리히 감독으로 부임했다. 1982-83 시즌에는 스위스 1부 리그스위스 컵에서 모두 우승하며 팀의 더블 달성을 이끌었다. 그러나 그라스호퍼 감독직을 수행하던 1983년, 스위스 취리히 주 에슈에서 사망하였다.

4. 사망

스위스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감독을 맡고 있던 1983년, 취리히 주의 에슈에서 사망했다.

5. 수상 내역

'''클럽'''
클럽대회우승준우승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분데스리가1969-70[9], 1970-71, 1974-75[10]1973-74
DFB-포칼1972-73[11]
DFB-리가포칼1972-73[12]
UEFA컵1974-75[13]1972-73[14]
FC 쾰른분데스리가1977-78
DFB-포칼1976-77[15], 1977-78[16]1953-54
뉴욕 코스모스북미 사커 리그1980[17]
그라스호퍼스위스 내셔널리가 A1982-83[1]
스위스컵1982-83



'''개인'''

6. 기타

프로이센 왕국 라인 주 (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엘프슈타트 출신이다. 1. FC 쾰른에서 선수로 활동했으며, 은퇴 후 같은 팀에서 감독을 맡기도 했다. 이후 제프 헤르베르거 아래 쾰른 스포츠 대학교의 주임 강사로 활동하며 오랫동안 지도자 육성에 힘썼다.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감독 시절인 1971-1972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 8강 인테르와의 홈 경기에서는 '카테나치오'로 유명한 상대의 견고한 수비를 무너뜨리며 7-1 대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경기 중 홈 팬이 던진 빈 캔에 인테르 선수가 맞는 사건이 발생하여 결국 무효 경기로 처리되는 아쉬움을 겪었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과 미쓰비시 중공업 축구부 감독을 지낸 니노미야 히로시와 개인적인 친분이 있었으며, 이를 계기로 일본 선수들을 단기 유학 형태로 받아들이기도 했다. 1977년 여름, 다시 1. FC 쾰른 감독을 맡고 있을 때 서독에서 합숙 훈련 중이던 일본 대표팀의 오쿠데라 야스히코의 재능을 눈여겨보았다. 그 자리에서 바로 쾰른으로의 영입을 제안했으나, 당시 인솔자였던 니노미야에게 선수 이적에 대한 권한이 없어 일단 무산되었다. 그러나 바이스바일러는 포기하지 않고 오쿠데라의 소속팀인 후루카와 전기에 정식으로 영입을 제안하여 결국 계약을 성사시켰다.

스위스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감독으로 재직하던 1983년, 취리히 주의 에슈에서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다.

참조

[1] 웹사이트 Hennes-Weisweiler-Akademie http://www.stadt-koe[...] Stadt Köln 2012-10-13
[2] 웹사이트 Paktiker ohne Probleme http://www.zeit.de/1[...] Die Zeit 2012-12-01
[3] 웹사이트 1. FC Köln » Trainerhistorie http://www.worldfoot[...] World Football 2014-01-20
[4] 웹사이트 Rheydter SV » Trainerhistorie http://www.worldfoot[...] World Football 2014-01-20
[5] 웹사이트 Bor. Mönchengladbach http://www.kicker.de[...] kicker 2014-01-20
[6] 웹사이트 FC Barcelona » Trainerhistorie http://www.worldfoot[...] FC Barcelona » Trainerhistorie 2014-01-20
[7] 웹사이트 New York Cosmos (old) » Trainerhistorie http://www.worldfoot[...] World Football 2014-01-20
[8] 웹사이트 Grasshoppers Zürich » Trainerhistorie http://www.worldfoot[...] World Football 2014-01-20
[9] 웹사이트 German champion 1970. Weisweiler's masterpiece https://artsandcultu[...] 2022-10-21
[10] 웹사이트 Spieltag/Tabelle https://www.dfb.de/b[...] 2022-10-21
[11] 웹사이트 DFB-Pokal 1972/73, Finale https://www.dfb.de/d[...] 2022-10-21
[12] 웹사이트 (West) Germany - List of Super/League Cup Finals https://www.rsssf.or[...] 2022-10-21
[13] 웹사이트 Twente-Mönchengladbach {{!}} UEFA Europa League 1974/75 https://www.uefa.com[...] 2022-10-21
[14] 웹사이트 Mönchengladbach-Liverpool {{!}} UEFA Europa League 1972/73 https://www.uefa.com[...] 2022-10-21
[15] 웹사이트 Spieltag https://www.dfb.de/d[...] 2022-10-21
[16] 웹사이트 Fussballdaten https://www.fussball[...] 2022-10-21
[17] 웹사이트 HENNES WEISWEILER; TOP SOCCER COACH ONCE LED COSMOS https://www.nytimes.[...] 2023-11-03
[18]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football managers of all time https://www.fourfour[...] 2022-10-21
[19] 웹사이트 Who are the best 50 football managers of all-time? {{!}} Goal.com https://www.goal.com[...] 2022-10-21
[20] 문서 海を渡った日本選手 1、日本サッカー途上期の先駆者 http://www.jfa.or.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