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로스트라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로스트라토스는 고대 그리스의 인물로, 명성을 얻기 위해 에페소스에 있던 아르테미스 신전을 방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자신의 이름을 불멸로 만들고자 범죄를 저질렀으며, 에페소스 당국은 그의 이름을 언급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테오폼포스 등 고대 역사가들의 기록으로 인해 그의 이름은 역사에 남게 되었다. 헤로스트라토스의 이름은 '헤로스트라토스적 명성'이라는 용어로,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얻고자 하는 명성을 의미하며, 문학 작품과 현대 언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에페소스인 - 교황 요한 6세
    교황 요한 6세는 701년부터 705년까지 재임한 그리스 출신 교황으로,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 유지, 랑고바르드족 침입으로부터의 로마 보호, 잉글랜드 교회 문제 관여 등 교회 행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 고대 에페소스인 - 미하일 7세 두카스
    미하일 7세 두카스는 1050년경 태어나 17세에 비잔틴 제국 황제가 되었으나 무능한 통치로 인해 퇴위하여 수도원으로 들어갔다.
  • 방화범 - 김대한 (범죄인)
    김대한은 2003년 대구 지하철 방화 참사의 주범으로, 휘발유를 이용해 지하철에 방화하여 다수의 사상자를 발생시켰으며, 정신 질환 및 뇌졸중 후유증이 범행 동기로 작용했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 지병으로 사망했다.
  • 방화범 - 채종기
    채종기는 토지 보상 문제에 불만을 품고 창경궁 문정전과 숭례문에 방화를 저지른 대한민국의 방화범으로, 숭례문 방화로 징역 10년을 선고받고 복역 후 만기 출소했다.
헤로스트라토스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헤로스트라토스
원래 이름Ἡρόστρατος
출생지에페소스(현재의 튀르키예, 이즈미르 주, 셀축)
사망일기원전 356년경
사망지에페소스
사망 원인사형
국적에페소스
직업알려지지 않음
활동 기간알려지지 않음
알려진 이유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 파괴 및 그로 인한 명성 추구
사건 개요
범행기원전 356년에 헤로스트라토스는 오로지 명성을 얻기 위해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에 불을 질렀다.
처벌에페소스인들은 그의 이름을 언급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령을 내렸지만, 테오폼포스를 포함한 역사가들은 그의 행위를 기록했다.
후대의 영향
헤로스트라투스 증후군자신의 이름을 알리기 위해 극단적인 행동(예: 테러)을 하는 것을 가리킨다.

2. 역사적 배경

헤로스트라토스는 기원전 356년 7월 21일, 악명을 떨치려는 목적으로 에페소스(현재의 터키)에 위치한 아르테미스 신전을 불태웠다. 리디아크로이소스 왕이 대리석으로 건설한 이 신전은, 홍수로 폐허가 된 터에 지어졌으며 사냥과 야생동물의 여신인 아르테미스와 융합된 이 지역 여신을 경배하는 데 사용되었다. 130m 길이에 18m 높이의 기둥들로 이루어진 이 신전은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였다.

헤로스트라토스는 방화 후 자신의 죄를 자랑스럽게 떠벌리고 다녔다. 에페소스 관료들은 유사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그를 사형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의 이름을 언급하는 행위도 처벌하려 했다. 그러나 고대 역사가 테오폼푸스가 자신의 저서 ''Hellenics''에 이 사건을 기록하면서 헤로스트라토스의 목적은 달성되었다.

헤로스트라토스의 삶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그는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 에페소스인이 아니거나 노예였을 것으로 추정된다.[5] 전설에 따르면, 아르테미스 신전을 파괴한 화재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태어난 날에 발생했다.[3] 그는 체포되어 고문대에서 고문을 받았고,[5] 자신의 이름을 불멸화하기 위해 방화를 저질렀다고 자백했다.[6]

2. 1. 두 번째 신전

청동기 시대부터 신성한 용도로 사용되었던 아르테미스 신전 부지는 기원전 7세기에 홍수로 파괴되었다.[1] 기원전 560년경 리디아크로이소스 왕이 크레타 출신 건축가인 케르시프론 등에게 의뢰하여 두 번째 신전을 건설하였다.[3] 주로 대리석으로 지어진 두 번째 신전은 길이 약 102.72m, 폭 약 54.86m, 기둥 높이 약 12.19m였다.[3] 기둥의 조각된 받침대에는 실물 크기의 조각이 있었고 지붕은 아르테미스의 조각상 주변으로 하늘을 향해 열려 있었다.[3] 두 번째 신전은 기원전 5세기에 헤로도토스가 작성한 초기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 목록에 포함되었으며, 고대 시대에 널리 알려졌다.[4]

2. 2. 헤로스트라토스의 방화

기원전 356년 7월 21일, 헤로스트라토스는 악명을 떨치려는 목적으로 고대 그리스의 에페소스(현재의 터키)에 위치한 아르테미스 신전을 불태웠다.[1]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였던 이 신전은 130m 길이에 18m 높이의 기둥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방화 후, 헤로스트라투스는 자신의 죄를 변명하기는커녕 자랑스럽게 떠벌리고 다녔다. 에페소스의 관료들은 이후 유사한 범죄를 예방하려는 목적에서 그를 사형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의 이름을 언급하는 행위도 처벌하려 했다.[1] 그러나 고대 역사가 테오폼푸스가 자신의 저서 ''필리피카''에 이 사건을 기록하면서, 결국 헤로스트라투스의 목적은 달성되었다.[7][8]

미니어쳐크([Miniatürk]), 터키 이스탄불에 있는 아르테미스 신전의 현대적인 1:25 축소 모형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에페소스아르테미스 신전 부지는 청동기 시대부터 신성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1] 원래 건물은 기원전 7세기에 홍수로 파괴되었다.[2] 기원전 560년경 리디아크로이소스 왕이 크레타 출신 건축가 케르시프론 등에게 의뢰하여 두 번째 신전을 건설했다. 이 신전은 주로 대리석으로 지어졌고, 길이는 약 102.72m이며 폭은 약 54.86m이고 기둥 높이는 약 12.19m에 달했다.[3] 기둥의 조각된 받침대에는 실물 크기의 조각이 있었고 지붕은 아르테미스 조각상 주변으로 하늘을 향해 열려 있었다.[3] 두 번째 신전은 기원전 5세기에 헤로도토스가 작성한 초기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 목록에 포함되었으며, 고대 시대에 널리 알려졌다.[4]

헤로스트라토스의 삶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그는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 에페소스인이 아니거나 노예였을 것으로 추정된다.[5] 전설에 따르면, 두 번째 신전을 파괴한 화재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태어난 날인 기원전 356년 7월 21일에 발생했다.[3] 헤로스트라토스는 체포되어 고문대에서 고문을 받았고,[5] 자신의 이름을 불멸화하기 위해 방화를 저질렀다고 자백했다.[6] 에페소스 당국은 이와 유사한 의도를 가진 사람들을 단념시키기 위해 헤로스트라토스를 처형했을 뿐만 아니라, 사형에 처한다는 조건으로 그의 이름을 언급하는 것을 금지하는 사후 명예 훼손을 통해 그를 잊혀지게 만들려고 했다. 그러나 에페소스 사람이 아닌 키오스 출신의 고대 역사가 테오폼포스는[7] 자신의 저서 ''필리피카''에서 헤로스트라토스의 이름을 언급했고,[8] 이후 스트라보의 저서에서도 다시 나타난다.[9]

2. 3. 처벌과 망각형

헤로스트라토스는 자신의 이름을 불멸로 남기기 위해 방화를 저질렀다고 자백했다.[6] 에페소스 당국은 이와 유사한 범죄를 막기 위해 헤로스트라토스를 처형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이름을 언급하는 것을 사형으로 처벌하는 사후 명예 훼손 형벌을 통해 그를 역사에서 지우려 했다.[9] 그러나 키오스 출신의 고대 역사가 테오폼포스는[7] 자신의 저서 ''필리피카''에서 헤로스트라토스의 이름을 언급했고,[8] 이후 스트라보의 저서에도 다시 등장한다.[9]

3. 문화적 유산

헤로스트라토스의 이름은 고전 문학을 통해 전해져 현대 언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의 이름은 범죄 행위로 악명을 떨치고 그것을 즐기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독일어 'Herostrat'는 유명세를 얻기 위해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을, 영어 단어 'Herostratic Fame'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얻으려는 명성을 의미한다.[13]

줄리아 H. 파우셋은 헤로스트라토스를 "어떤 수단을 통해서든 자신을 역사에 기록하려 하고, 자신을 모르는 역사에 맞서 싸우며, 자기 정의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인물의 전형"으로 묘사했다. "헤로스트라토스적 명성"이라는 용어는 헤로스트라토스를 지칭하며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얻고자 하는 명성"을 의미한다.[2]

3. 1. 문학과 예술에서의 헤로스트라토스

헤로스트라토스의 이름은 고전문학을 통해 전해져 현대 언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범죄 행위로 악명을 떨치고 그것을 즐기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독일어 'Herostrat'는 유명세를 얻기 위해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을, 영어 단어 'Herostratic Fame'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얻으려는 명성을 의미한다.[13]

  • 제프리 초서는 '명성의 집'에서 헤로스트라토스를 언급하며, 그가 이시스 신전을 불태운 악당이라고 묘사한다.[14]
  • 16세기와 17세기 스페인의 많은 작가들은 명성을 얻기 위해 무엇이든 하는 사람을 나타내기 위해 헤로스트라토스를 언급했다.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돈 키호테'(1615) 2부 8장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 에르난 코르테스와 함께 논의된다.[15] 루이스 데 알라르콘의 '진실은 의심스럽다'의 주인공 돈 가르시아는 자신의 행적을 고대 인물과 비교한다.[16]
  • 콜리 시버의 '리처드 3세'(1699)에는 "에페소스 사원을 불태운 야심 찬 젊은이 / 그것을 세운 경건한 바보 케르시프론보다 명성을 더 오래 누린다."라는 구절이 있다.[12]
  • 허먼 멜빌의 '마르디, 그리고 그곳으로의 항해'(1849)에서 주인공은 자신을 돌로 치는 자는 에로스트라투스와 같다고 말한다.[17]
  • 야로슬라프 하셰크는 '착한 병사 슈베이크'(1921–1923) 서문에서 헤로스트라토스를 주인공 슈베이크에 비유하여 칭찬했다.
  • 아돌프 히틀러는 1939년 10월 6일 베를린 국회 연설에서 헤로스트라토스를 언급하며, 특정 유대 국제 자본주의와 언론이 방화를 삶의 가장 큰 성공으로 간주한다고 비판했다.[18]
  • 1967년 영화 '헤로스트라투스'의 주인공은 자살을 대중 매체 쇼로 만들기 위해 마케팅 회사를 고용한다.
  • 고어 비달의 1970년 소설 '두 자매'에서 헤로스트라토스의 실제 이야기는 하위 플롯으로 사용된다.
  • 그리고리 고린의 1972년 연극 '헤로스트라토스를 잊어라!'에서 현재의 "연극인"은 헤로스트라토스의 재판을 지켜본다.
  • 장 폴 사르트르의 단편 소설 "에로스트라투스"(1939)는 헤로스트라토스의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바탕으로 한다.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1979년 영화 '스토커'는 헤로스트라토스를 언급한다.
  • 헤로스트라토스의 이야기는 If These Trees Could Talk 앨범 'Above the Earth, Below the Sky'(2009)의 두 곡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된다.
  • 샘 레빈슨의 2018년 영화 '어쌔시네이션 네이션'에서 "Er0str4tus"라는 아이디를 가진 해커는 살렘 마을의 개인 정보를 유출하여 마을을 폭력의 광란으로 몰아넣는다.

3. 2. 현대 사회의 헤로스트라토스적 명성

헤로스트라토스의 이름은 고전 문학을 통해 전해져 현대 언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범죄 행위로 악명을 얻고 이를 즐기는 사람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독일어 'Herostrat'은 유명세를 얻기 위한 범죄자를, 영어 'Herostratic Fame'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얻고자 하는 명성을 의미한다.[1] 줄리아 H. 파우셋은 헤로스트라토스를 "어떤 수단을 통해서든 자신을 역사에 기록하려 하고, 자신을 모르는 역사에 맞서 싸우며, 자기 정의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 인물의 전형"으로 묘사했다.[2]

3. 2. 1. 한국 사회에서의 예

(내용 없음)

참조

[1] 간행물 A Peripteros of the Geometric Period in the Artemision of Ephesus
[2]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3] 서적 Love in Crisis: Modern Parallels to the Church at Ephesus https://books.google[...] Creation House
[4] 서적 The History of Herodotus D. Appleton and Company
[5] 서적 The Intellectual Devotional Biographies https://books.google[...] Rodale
[6] 문서 Memorable Deeds and Sayings https://penelope.uch[...]
[7] 서적 Theopompus of Chios: History and Rhetoric in the Fourth Century BC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8] 서적 Terrorism for Self-glorification: The Herostratos Syndrome https://books.google[...] Kent State University Press
[9] 서적 Delphi Complete Works of Strabo - Geography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6-02-13
[10] 서적 The Works of Sir Thomas Browne https://archive.org/[...] John Grant
[11] 문서 Zondervan Handbook of Biblical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Zondervan
[12] 문서 Spectacular Disappearances: Celebrity and Privacy, 1696-180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3] 웹사이트 From Heroes to Herostratus https://jamesbowman.[...] 2001-04-18
[14] 웹사이트 The House of Fame http://www8.georgeto[...] Georgetown University 1379–1380
[15] 서적 Don Quixote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16] 간행물 The Burning at Ephesus: Cervantes and Alarcón's ''La verdad sospechosa'' Juan de la Cuesta 1996
[17] 서적 Mardi, and a Voyage Thither https://books.google[...] Harper & Brothers
[18] 웹사이트 Adolf Hitler Addresses The Reichstag – October 6, 1939 – Past Daily Reference Room https://pastdaily.co[...] 2014-10-06
[19] 서적 The Intellectual Devotional Biographies https://books.google[...] Rodale 2010
[20] 문서 Memorable deeds and sayings https://penelope.uch[...]
[21] 서적 Love in Crisis: Modern Parallels to the Church at Ephesus https://books.google[...] Creation House 2015
[22] 웹사이트 https://penelope.uch[...]
[23] 서적 Theopompus of Chios: History and Rhetoric in the Fourth Century BC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4] 서적 Terrorism for Self-glorification: The Herostratos Syndrome https://books.google[...] Kent State University Press 2005-01
[25] 서적 Delphi Complete Works of Strabo - Geography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6-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