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뜸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뜸부기는 물닭과에 속하는 조류로, 1789년 요한 프리드리히 그멜린에 의해 처음 학술적으로 기술되었다. 수컷은 검은 회색 깃털과 붉은색 부리, 다리, 이마판을 가지며, 암컷은 수컷보다 작고 짙은 갈색을 띤다. 뜸부기는 주로 남아시아 습지에서 번식하며, 곤충, 연체동물, 식물의 새싹, 종자 등을 먹는 잡식성이다. 습지, 초원, 갈대밭, 논 등에서 서식하며, 6~9월에 둥지를 짓고 3~6개의 알을 낳아 번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새 - 슴새
    슴새는 태평양에 서식하는 해양성 조류로, 동아시아 해안 섬에서 번식하며 어류, 낙지 등을 먹고 땅 속에 둥지를 틀지만, 과거 식용 및 깃털 채취와 현재 어업 활동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 뜸부기과 - 웨카
    웨카는 뉴질랜드 고유종으로 날지 못하는 뜸부기과의 새로, 붉은 갈색 부리와 튼튼한 다리를 가지며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는 잡식성 조류이지만, 현재 서식지 파괴 등으로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뜸부기과 - 타카헤
    타카헤는 뉴질랜드 고유종이자 현존하는 뜸부기과 조류 중 가장 큰 종으로, 한때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재발견 후 뉴질랜드 정부의 보존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멸종 위기에 처해 섬 보호구역과 사육 프로그램을 통해 개체 수 회복을 도모하고 있다.
  • 1789년 기재된 새 - 바위비둘기
    바위비둘기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비둘기과의 새로, 야생에서는 바위 절벽에 살지만 도시 환경에도 적응하여 살아가며, 인간과의 공생 관계 속에서 질병 매개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 1789년 기재된 새 - 혹고니
    혹고니는 유라시아 원산의 대형 물새로, 흰색 깃털과 주황색 부리, 검은 혹이 특징이며, 호전적인 성향과 강한 영역 의식을 가지고 있어 사람에게도 위협이 될 수 있고, 유럽에서 식용으로 사육되었으며 현재는 왕실 보호를 받지만 북아메리카 등지에서는 침입종으로 관리된다.
뜸부기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바사이 습지, 구르가온 근처, 하리아나, 인도에 있는 수컷
바사이 습지, 구르가온 근처, 하리아나, 인도에 있는 수컷
학명Gallicrex cinerea
명명자(Gmelin, 1789)
Gallicrex
속 명명자Blyth, 1852
상태관심 필요
상태 기준IUCN3.1
상태 참고BirdLife International 2016
영어 이름Watercock
일본어 이름ツルクイナ (쓰루쿠이나)
한국어 이름뜸부기
남한 천연기념물2005년 3월 17일 지정, 순번 446, 전국 일원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두루미목
뜸부기과
아과Himantornithinae
뜸부기속
기타
환경부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참고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어원백문식, 우리말 형태소 사전, 박이정 출판사, 354쪽

2. 분류

물닭은 전통적으로 물닭(moorhen)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열대 아시아에 서식하는 *Aenigmatolimnas*, *Amaurornis*, *Himantornis*, *Megacrex*속을 포함하는 계통 분류군에 속한다.[7]

2. 1. 학명

물닭(*Gallicrex cinerea*)은 1789년 독일의 자연사학자 요한 프리드리히 그멜린이 카롤루스 린네의 『자연의 체계』 개정 증보판에서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기술되었다. 그멜린은 이 종을 뜸부기속(*Fulica*)으로 분류하고 *Fulica cinerea*라는 학명을 붙였다.[2] 이는 1785년 영국의 조류학자 존 라탐이 그의 저서 『조류의 일반 개요』에서 기술한 중국산 "관을 쓴 물닭"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3] 물닭은 현재 1852년 에드워드 블라이스가 제안한 *Gallicrex*속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다.[4][5] 속명은 *Gallus*속과 *Crex*속을 결합한 것이며, 종소명 *cinerea*는 라틴어 "cinereus"(회색)에서 유래했다.[6] 이 종은 단형종으로, 아종은 인정되지 않는다.[5]

전통적으로는 물닭(moorhen)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열대 아시아에 서식하는 계통 분류군에 속하며, *Aenigmatolimnas*, *Amaurornis*, *Himantornis*, *Megacrex* 속도 포함된다.[7]

미성숙 개체

3. 형태

뜸부기는 몸이 옆으로 납작하여 갈대밭이나 덤불 속을 쉽게 지나갈 수 있다. 발가락이 길고 꼬리가 짧으며, 솜털이 난 새끼는 검은색이다.[8]

전장은 수컷이 42cm~43cm, 암컷이 36cm이다.[11] 날개를 펼친 길이는 68cm~86cm이다.[11] 체중은 0.3kg~0.5kg이고,[12] 부리는 약간 길고 굵다.[11] 수컷은 부리에서 이마에 걸쳐 살덩이(이마판)가 있다.[11]

3. 1. 수컷

수컷 뜸부기는 몸길이가 약 43cm이며, 무게는 476g에서 650g 사이이다.[8] 몸은 주로 검은 회색 깃털로 덮여 있으며, 다리, 부리, 넓적한 이마판과 뿔은 붉은색이다. 어린 수컷은 황갈색을 띠며 성장하면서 점점 어두워진다. 부리는 노란색이고 다리는 녹색이다.

번식기의 수컷은 몸 전체 깃털이 흑갈색이며 가장자리는 담황갈색이다.[14] 배에는 회색 가로줄무늬가 있다.[12][13] 작은덮깃과 큰덮깃의 가장자리는 갈색이다.[10][11][13] 홍채는 붉다.[13] 부리는 노란색이며, 이마판이 커지고 뿔처럼 튀어나와 붉게 된다.[11][13][14] 다리는 암적색이다.[13]

비번식기 수컷은 윗면 깃털이 깃 가장자리가 황갈색인 흑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아랫면 깃털은 담갈색에 갈색 가로줄무늬가 있다.[13][14] 부리는 황갈색이다.[11][13] 다리는 녹갈색이다.[13]

3. 2. 암컷

암컷은 수컷보다 작아서 길이가 약 36cm이고, 무게는 298g~434g이다.[2] 등은 짙은 갈색이고 배는 더 밝은 색이다. 깃털에는 더 어두운 색의 줄무늬가 있다. 부리는 노란색이고 다리는 녹색이다. 비번식기 암컷은 윗면 깃털이 깃 가장자리가 황갈색인 흑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아랫면 깃털은 담갈색에 갈색의 가로줄무늬가 있다.[13][14] 부리는 황갈색이고,[11][13] 다리는 녹갈색이다.[13]

3. 3. 기타

뜸부기는 몸이 옆으로 납작하여 갈대밭이나 덤불 속을 쉽게 지나갈 수 있으며, 발가락이 길고 꼬리가 짧다.[8] 매우 은밀하지만, 때때로 탁 트인 곳에서도 볼 수 있다. 새벽과 해질녘에는 꿀꺽거리는 듯한 큰 소리의 울음소리를 낸다.[8]

수컷 뜸부기는 길이가 약 43cm이며, 무게는 476g~650g이다.[8] 몸은 주로 검은 회색 깃털로 덮여 있으며, 다리, 부리, 넓적한 이마판과 뿔은 붉은색이다. 어린 수컷은 황갈색을 띠며 성장하면서 점점 어두워진다. 부리는 노란색이고 다리는 녹색이다. 암컷은 수컷보다 작아서 길이가 약 36cm, 무게는 298g~434g이다.[2] 등은 짙은 갈색이고 배는 더 밝은 색이다. 깃털에는 더 어두운 색의 줄무늬가 있다. 부리는 노란색이고 다리는 녹색이다. 솜털이 난 새끼는 모든 뜸부기과 조류와 마찬가지로 검은색이다.[8]

전장은 수컷이 42cm~43cm, 암컷이 36cm이다.[11] 날개를 펼친 길이는 68cm~86cm이다.[11] 체중은 0.3kg~0.5kg이다.[12] 부리는 약간 길고 굵다.[11]

수컷은 부리에서 이마에 걸쳐 살덩이(이마판)가 있다.[11] 번식기 수컷은 몸 전체 깃털이 흑갈색이며 가장자리(깃 가장자리)는 담황갈색이다.[14] 배에는 회색의 가로줄무늬가 있다.[12][13] 작은덮깃과 큰덮깃의 가장자리(깃 가장자리)는 갈색이다.[10][11][13] 홍채는 붉다.[13] 부리는 노란색이며, 이마판이 커지고 뿔처럼 튀어나와 붉게 된다.[11][13][14] 다리는 암적색이다.[13] 비번식기 수컷과 암컷은 윗면 깃털이 깃 가장자리가 황갈색인 흑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아랫면 깃털은 담갈색에 갈색의 가로줄무늬가 있다.[13][14] 부리는 황갈색이다.[11][13] 다리는 녹갈색이다.[13]

4. 분포 및 서식지

뜸부기는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에서 남중국, 대한민국,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에 이르는 남아시아의 습지에 번식하며, 주로 텃새이다.[11][12][13][14][9]

4. 1. 분포 지역

번식지는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에서 남중국, 대한민국,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에 이르는 남아시아의 습지이다. 이러한 대형 뜸부기들은 서식 범위 전역에서 주로 텃새이다.[11][12][13][14][9]



일본 미야기현에서는 3건의 기록이 있다.[15]

4. 2. 서식지

번식지는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에서 남중국, 한국, 일본, 필리핀, 인도네시아에 이르는 남아시아의 습지이다. 이러한 대형 뜸부기들은 서식 범위 전역에서 주로 텃새이다. 습지 초원, 갈대밭, , , 등에 서식하며[13] 이동하지 않는다.[12] 여명박명성으로, 낮에는 덤불 속에서 휴식을 취한다.[13] 단독 또는 짝으로 생활한다.[13]

5. 생태

뜸부기는 습지 초원, 갈대밭, , , 등에서 서식하며 이동하지 않는다.[12] 여명박명성으로 낮에는 덤불 속에서 휴식을 취하고, 단독 또는 짝으로 생활한다.[13] 잡식성이며 알을 낳아 번식한다.[12]

5. 1. 행동

습지 초원, 갈대밭, , , 등에서 서식한다.[13] 이동하지 않는다.[12] 여명박명성으로, 낮에는 덤불 속에서 휴식을 취한다.[13] 단독 또는 짝으로 생활한다.[13]

잡식성으로, 곤충, 연체동물, 식물의 새싹, 종자 등을 먹는다.[12][13]

알을 낳아 번식한다. 6~9월에 갈대밭이나 논의 풀 사이 또는 위에 골풀 등을 엮어 둥지를 만들고, 3~6개의 알을 낳는다.[12][13] 포란 기간은 24일이다.[13]

5. 2. 먹이

뜸부기는 부리로 진흙이나 얕은 물을 탐색하며, 시각으로도 먹이를 찾는다. 주로 곤충, 작은 물고기와 씨앗을 먹는다. 땅에서 먹이를 찾는다.[13] 잡식성으로, 곤충, 연체동물, 식물의 새싹, 종자 등을 먹는다.[12][13]

5. 3. 번식

뜸부기는 6~9월에 갈대밭이나 의 풀 사이 또는 위에 골풀 등을 엮어 둥지를 만들고, 3~6개의 을 낳는다.[12][13] 습지의 건조한 지면에 둥지를 틀기도 한다. 포란 기간은 24일이다.[13]

6. 보전 상태

(주어진 원본 소스가 비어있고, 이전 결과물도 비어있으므로, '보전 상태'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7. 갤러리

암컷

참조

[1] IUCN Gallicrex cinerea 2021-11-11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Georg. Emanuel. Beer
[3] 서적 A General Synopsis of Birds https://www.biodiver[...] Printed for Leigh and Sotheby
[4] 서적 Catalogue of the Birds in the Museum Asiatic Society https://www.biodiver[...] J. Thomas
[4] 서적 Priority! The Dating of Scientific Names in Ornithology: a Directory to the literature and its reviewers https://www.research[...] Aves Press
[5] 웹사이트 Flufftails, finfoots, rails, trumpeters, cranes, limpkin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2-10-14
[6]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7] 학술지 Deep global evolutionary radiation in birds: Diversification and trait evolution in the cosmopolitan bird family Rallidae 2014-00-00
[8]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CRC Press
[9]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IUCN 2010-00-00
[10] 서적 山溪名前図鑑 野鳥の名前 山と溪谷社
[11] 서적 日本の鳥550 水辺の鳥 文一総合出版
[12] 서적 動物大百科7 鳥I 平凡社
[13]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10-II (ツル目) 東京動物園協会
[14] 서적 日本の野鳥590 平凡社
[15] 학술지 宮城県志津川町におけるツルクイナの保護と放鳥 日本野鳥の会
[16] 문서
[17] 서적 우리말 형태소 사전 박이정 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