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툴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툴륨(Tm)은 원자 번호 69번의 희토류 원소로, 은백색 금속이다. 1879년 스웨덴 화학자 페르 테오도르 클레베가 에르비아에서 불순물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견했으며, 스칸디나비아의 고대 지명 툴레에서 이름을 따왔다. 툴륨은 레이저, X선원, 고온 초전도체, 위조 방지 등에 사용되며, 자연 상태에서는 안정 동위원소인 ¹⁶⁹Tm만 존재한다. 툴륨은 희귀하며, 모나자이트 등의 광물에서 추출되며, 수용성 툴륨 염은 약한 독성을 띠고, 툴륨 먼지는 폭발 및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툴륨 - 툴륨 동위 원소
    툴륨 동위 원소는 원자 번호 69번인 툴륨의 여러 형태이며, 안정 동위 원소 툴륨-169와 다양한 방사성 동위 원소들이 존재하고, 각각 고유한 핵 특성과 반감기, 붕괴 방식, 핵 스핀을 가진다.
  • 란타넘족 - 가돌리늄
    가돌리늄은 은백색의 연성과 전성을 가진 희토류 원소로, 특정 온도에서 강자성 또는 강한 상자성을 띠어 MRI 조영제, 중성자 차폐물, 합금, 형광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핀란드 화학자의 이름을 딴 원소이다.
  • 란타넘족 - 루테튬
    루테튬은 원소 기호 Lu, 원자 번호 71을 갖는 희토류 원소로, 란타넘족 중 밀도, 녹는점, 경도가 가장 높고, 주로 +3의 산화 상태를 가지며, 안정 동위원소와 방사성 동위원소 형태로 존재하고, 제한적인 상업적 용도에도 불구하고 촉매, LED, PET, 연대 측정, 암 치료 등에 사용된다.
  • 장소 이름이 포함된 화학 원소 - 루테튬
    루테튬은 원소 기호 Lu, 원자 번호 71을 갖는 희토류 원소로, 란타넘족 중 밀도, 녹는점, 경도가 가장 높고, 주로 +3의 산화 상태를 가지며, 안정 동위원소와 방사성 동위원소 형태로 존재하고, 제한적인 상업적 용도에도 불구하고 촉매, LED, PET, 연대 측정, 암 치료 등에 사용된다.
  • 장소 이름이 포함된 화학 원소 - 레늄
    레늄은 텅스텐과 탄소 다음으로 녹는점이 높고 끓는점이 가장 높은 은백색 금속 원소이며, 몰리브데넘 광석에서 주로 추출되어 제트 엔진, 촉매, 고옥탄가 휘발유 생산 등에 사용된다.
툴륨
툴륨 정보
일반 정보
왼쪽 원소에르븀
오른쪽 원소이터븀
위쪽 원소-
아래쪽 원소Md
사진
겉모습은회색
전자 껍질 당 전자 수2, 8, 18, 31, 8, 2
상태고체
밀도9.320 g/cm3
밀도 조건(20°C에서)
액체 상태 밀도8.56 g/cm3
녹는점1818 K (1545 °C, 2813 °F)
끓는점2223 K (1950 °C, 3542 °F)
융해열16.84 kJ/mol
기화열191 kJ/mol
열용량27.03 J/(mol·K)
증기압 (1 Pa)1117 K
증기압 (10 Pa)1235 K
증기압 (100 Pa)1381 K
증기압 (1 kPa)1570 K
증기압 (10 kPa)(1821 K)
증기압 (100 kPa)(2217 K)
결정 구조육방 조밀 격자
결정 구조 피어슨 기호hP2
격자 상수a = 353.77 pm, c = 555.39 pm (20 °C에서)
전기 음성도1.25 (폴링 척도)
이온화 에너지3
1차 이온화 에너지596.7 kJ/mol
2차 이온화 에너지1160 kJ/mol
3차 이온화 에너지2285 kJ/mol
원자 반지름176 pm
공유 반지름190±10 pm
자기 정렬상자성 (300 K에서)
전기 저항(다결정) 676 nΩ·m (실온에서)
열전도율16.9 W/(m·K)
열팽창(다결정) 13.3 µm/(m·K) (실온에서)
자기 감수율25,500 × 10-6 (291 K)
영률74.0 GPa
전단 탄성률30.5 GPa
부피 탄성률44.5 GPa
푸아송 비0.213
비커스 경도470–650 MPa
브리넬 경도470–900 MPa
CAS 등록번호7440-30-4
명명 유래툴레, 스칸디나비아의 신화 속 지역
발견 및 첫 분리페르 테오도르 클레베
발견 날짜1879년
추가 정보
일본어 이름ツリウム
원자 질량168.93421
전자 배치[Xe] 4f13 6s2
산화 상태2, 3, 4 (약한 염기성 산화물)
동위 원소
질량수167
기호Tm
존재비인공
반감기9.25 d
붕괴 방식ε
붕괴 에너지0.748 MeV
붕괴 후 원자 번호167
붕괴 후 원소 기호Er
질량수168
기호Tm
존재비인공
반감기93.1 d
붕괴 방식ε
붕괴 에너지1.679 MeV
붕괴 후 원자 번호168
붕괴 후 원소 기호Er
질량수169
기호Tm
존재비100 %
질량수170
기호Tm
존재비인공
반감기128.6 d
붕괴 방식β-
붕괴 에너지0.968 MeV
붕괴 후 원자 번호170
붕괴 후 원소 기호Yb
질량수171
기호Tm
존재비인공
반감기1.92 y
붕괴 방식β-
붕괴 에너지0.096 MeV
붕괴 후 원자 번호171
붕괴 후 원소 기호Yb

2. 역사

툴륨과 홀뮴을 발견한 과학자 페르 테오도르 클레베(Per Teodor Cleve)


툴륨은 1879년 스웨덴의 화학자 페르 테오도르 클레베(Per Teodor Cleve)가 에르비아()에서 불순물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견했다.[15] 클레베는 에르비아에서 알려진 불순물을 제거하고 추가 처리하여 갈색의 홀미아(홀뮴 산화물)와 녹색의 툴리아(툴륨 산화물)를 분리해냈다.[15] 툴륨이라는 이름은 스칸디나비아 또는 아이슬란드를 지칭하는 고대 그리스 지명 툴레(Thule)에서 유래했다.[28][16][17][18][19][20][21] 툴륨의 원소 기호는 처음에는 Tu였지만, 나중에 Tm으로 변경되었다.[28][16][17][18][19][20][21]

초기에는 툴륨이 희귀하여 순수한 툴륨을 얻기 어려웠으나, 1911년 찰스 제임스가 브롬산염 분별 결정화 방법을 통해 고순도 툴륨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22] 그는 물질의 균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15,000번의 정제 작업을 거쳤다고 알려져 있다.[22]

1950년대 후반 이온 교환 분리 기술이 도입되면서 고순도 툴륨 산화물이 상업적으로 공급되기 시작했다.[23][24] 미국 포타시 & 케미컬 코퍼레이션(American Potash & Chemical Corporation)의 린지 케미컬 디비전(Lindsay Chemical Division)은 99%와 99.9% 순도의 툴륨 산화물을 제공했다.[23][24] 1959년부터 1998년까지 99.9% 순도의 툴륨 산화물 가격은 킬로그램당 4,600달러에서 13,300달러 사이로, 루테튬에 이어 란타넘족 원소 중 두 번째로 높았다.[23][24]

2. 1. 대한민국에서의 툴륨 연구

3. 성질

3. 1. 물리적 성질

툴륨은 밝고 은백색 광택을 지닌 금속으로, 공기 중에서는 광택이 흐려진다.[28] 모스 경도는 2~3 정도로 칼로 자를 수 있을 만큼 무르며, 전성과 연성이 있다.[28][29] 32K 이하에서는 강자성체, 32K에서 56K 사이에서는 반강자성체, 56K 이상에서는 상자성체의 성질을 나타낸다.[3] 툴륨은 두 가지 주요 동소체를 가지는데, 정방정계 α-Tm와 보다 안정적인 육방정계 β-Tm이 있다.[29]

3. 2. 화학적 성질

툴륨은 공기 중에서 서서히 변색되며 150 °C에서 쉽게 연소되어 툴륨(III) 산화물을 형성한다.[4]

:

툴륨은 매우 전기 양성적이며 차가운 물과는 느리게, 뜨거운 물과는 매우 빠르게 반응하여 수산화툴륨을 형성한다.[9]

:

툴륨은 모든 할로젠과 반응한다. 상온에서는 반응 속도가 느리지만, 200 °C 이상에서는 활발하게 반응한다.[9]

: (흰색)[9]

: (노란색)[9]

: (흰색)[9]

: (노란색)[9]

툴륨은 묽은 황산에 쉽게 녹아 연한 녹색의 Tm(III)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형성하며, 이 이온은 착물로 존재한다.[58]

:

툴륨은 다양한 금속 및 비금속 원소와 반응하여 TmN, TmS, TmC2, Tm2C3, TmH2, TmH3, TmSi2, TmGe3, TmB4, TmB6, TmB12를 포함한 다양한 이원 화합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화합물에서 툴륨은 +2 및 +3의 원자가 상태를 나타내지만, +3 상태가 가장 일반적이며 툴륨 용액에서 유일하게 관찰되는 상태이다.[59] 툴륨은 용액에서 Tm3+ 이온으로 존재하며, 이 이온은 9개의 물 분자로 둘러싸여 있다.[78] Tm3+ 이온은 밝은 청색의 발광을 나타낸다.[60]

유일하게 알려진 툴륨의 산화물은 Tm2O3이며, "툴리아"라고도 불린다.[60] 붉은색을 띤 자주색의 툴륨(II) 화합물은 툴륨(III) 화합물의 환원을 통해 만들 수 있다. 툴륨(II) 화합물의 예로는 할로겐화물(플루오르화물 제외)이 있다. TmCl3·7H2O나 Tm2(C2O4)3·6H2O 등의 일부 수화 툴륨 화합물은 녹색 또는 녹색을 띤 백색이다.[61] 이염화툴륨은 물과 매우 격렬하게 반응한다. 이 반응으로 수소 기체와 붉은색을 띠는 Tm(OH)3이 생성된다. 툴륨과 칼코겐을 결합하면 칼코겐화물이 생성된다.[62]

툴륨은 염화수소와 반응하여 수소 기체와 염화툴륨을 생성한다. 질산을 사용하면 질산툴륨(Tm(NO3)3)이 생성된다.[63]

3. 3. 동위원소

툴륨은 자연 상태에서 안정한 동위원소인 ¹⁶⁹Tm만을 가지며, 이는 툴륨의 유일한 원시 동위원소이다.[11][64] ¹⁶⁹Tm은 매우 긴 반감기를 가지며 홀뮴-165(¹⁶⁵Ho)로 알파 붕괴할 것으로 예측된다.[28][13][78][65]

인공 방사성 동위원소로는 ¹⁷⁰Tm(반감기 128.6일), ¹⁷¹Tm(반감기 1.92년) 등이 알려져 있다.[14][66] 이 외 대부분의 동위원소는 반감기가 수 분 이내이다. 현재까지 총 40개(혹은 35개)의 동위원소와 26개의 핵 이성질체가 발견되었다.[28][78]

¹⁶⁹Tm보다 가벼운 동위원소는 주로 전자 포획 또는 베타 플러스 붕괴를 하며, 일부는 상당한 알파 붕괴 또는 양성자 방출을 나타낸다. 붕괴 생성물은 주로 어븀 동위원소이다.[12][64] 반면, ¹⁶⁹Tm보다 무거운 동위원소는 베타 마이너스 붕괴를 하며, 붕괴 생성물은 주로 이터븀 동위원소이다.[14][60]

4. 존재 및 생산

툴륨은 자연에서 순수한 형태로 발견되지 않지만, 모나자이트, 제노타임, 유크세나이트 등 다른 희토류 원소와 함께 광물에서 발견된다.[25][26][76][77] 특히 이트륨가돌리늄을 포함하는 광물이나 가돌리나이트에서 산출된다.[25][76] 지각에 매우 희귀하게 존재하며, 지구 지각에 존재하는 량은 무게로 0.5mg/kg이다.[27][78] 토양에는 약 0.4~0.8ppm, 해수에는 250ppq(1000조 분의 1)정도 존재한다.[28][78] 태양계에서는 무게로 200ppt(조 분의 1), 몰 농도로 1ppt(조 분의 1)의 농도로 존재한다.[10][60]

툴륨은 모나자이트에 존재한다.


툴륨 광석은 중국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지만,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그린란드, 인도, 탄자니아, 미국에도 많이 매장되어 있다.[28][78] 툴륨의 총 매장량은 약 10만 톤으로 추정되며, 방사성 프로메튬을 제외하면 지구상에서 가장 희귀한 란타넘족 원소이다.[28][78]

주로 강 모래에서 발견되는 모나자이트 광석(툴륨 함량 약 0.007%)에서 이온 교환을 통해 추출된다.[78] 새로운 이온 교환 및 용매 추출 기술의 발전으로 희토류 분리가 용이해져 툴륨 생산 비용이 크게 감소했다.[78] 현재 주요 생산지는 중국 남부의 이온 흡착 점토이며, 전체 희토류 함량의 약 3분의 2가 이트륨이고 툴륨은 약 0.5%를 차지한다.[78] 금속 툴륨은 산화물을 란타넘 금속으로 환원하거나 밀폐 용기에서 칼슘으로 환원하여 분리할 수 있다.[28][78]

1996년 툴륨 산화물의 가격은 그램 당 20달러였으며, 2005년에는 99% 순도의 툴륨 금속 분말 가격이 그램 당 70달러였다.[29][79] 연간 약 50톤의 툴륨 산화물이 생산된다.[28][78] 툴륨의 천연 화합물 중 상업적으로 중요한 것은 없다.[28][78]

4. 1. 대한민국 내 툴륨 매장 현황

5. 용도

툴륨은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 레이저 ====

홀뮴-크로뮴-툴륨 삼중 도핑 이트륨 알루미늄 가넷(Ho:Cr:Tm:YAG 또는 Ho,Cr,Tm:YAG)은 고효율의 활성 레이저 매질 물질이다. 2080 nm 파장의 적외선 영역에서 레이저 발진을 하며, 군사, 의료, 기상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30][67] 단일 원소 툴륨 도핑 YAG(Tm:YAG) 레이저는 2010 nm에서 작동한다.[30][67] 툴륨 기반 레이저의 파장은 공기 또는 물 속에서 응고 깊이가 최소화되면서 조직의 표면 절삭에 매우 효율적이다. 이로 인해 툴륨 레이저는 레이저 수술에 매력적인 선택이 된다.[31][68]

==== X선원 ====

높은 비용에도 불구하고 휴대용 X선 장치는 원자로에서 중성자를 충돌시켜 생산된 툴륨 동위원소인 ¹⁷⁰Tm을 사용한다. ¹⁷⁰Tm은 반감기가 128.6일이며, 비슷한 강도의 5가지 주요 방출선(7.4, 51.354, 52.389, 59.4 및 84.253 keV)을 가지고 있다.[32][71] 이러한 방사성 동위원소는 의료 및 치과 진단 도구뿐만 아니라 접근이 어려운 기계 및 전자 부품의 결함을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약 1년의 유용한 수명을 갖는다. 이러한 방사선원은 광범위한 방사선 차폐가 필요하지 않으며, 작은 납 용기만 있으면 된다.[32][69] ¹⁷⁰Tm은 산업 방사선 사진에 사용되는 가장 인기 있는 방사선원 중 하나이며,[33][72] 근접 방사선 치료(봉입형 방사선 치료)를 통한 암 치료를 위한 X선 원으로도 사용된다.[34][35][70]

==== 기타 용도 ====

툴륨은 고온 초전도체에서 이트륨과 유사하게 사용되어 왔다.[32][69] 페라이트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데, 페라이트는 마이크로파 장비에 사용되는 세라믹 자성체이다.[32] 툴륨은 스칸듐과 유사하게 독특한 녹색 방출선 때문에 아크 조명에 사용된다.[36][73] 자외선에 노출되면 청색으로 형광을 내기 때문에 유로 지폐에 위조 방지 조치로 사용된다.[37][74] Tm이 도핑된 황산칼슘의 청색 형광은 방사선의 시각적 모니터링을 위한 개인용 선량계에 사용되어 왔다.[28][78] Tm이 2+ 산화 상태에 있는 Tm이 도핑된 할라이드는 발광 태양광 농축기 원리를 기반으로 한 발전 창문에 사용될 것으로 제안된 발광 재료이다.[38][75]

5. 1. 레이저

홀뮴-크로뮴-툴륨 삼중 도핑 이트륨 알루미늄 가넷(Ho:Cr:Tm:YAG 또는 Ho,Cr,Tm:YAG)은 고효율의 활성 레이저 매질 물질이다. 2080 nm 파장의 적외선 영역에서 레이저 발진을 하며, 군사, 의료, 기상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30][67] 단일 원소 툴륨 도핑 YAG(Tm:YAG) 레이저는 2010 nm에서 작동한다.[30][67] 툴륨 기반 레이저의 파장은 공기 또는 물 속에서 응고 깊이가 최소화되면서 조직의 표면 절삭에 매우 효율적이다. 이로 인해 툴륨 레이저는 레이저 수술에 매력적인 선택이 된다.[31][68]

5. 2. X선원

높은 비용에도 불구하고 휴대용 X선 장치는 원자로에서 중성자를 충돌시켜 생산된 툴륨 동위원소인 ¹⁷⁰Tm을 사용한다. ¹⁷⁰Tm은 반감기가 128.6일이며, 비슷한 강도의 5가지 주요 방출선(7.4, 51.354, 52.389, 59.4 및 84.253 keV)을 가지고 있다.[32][71] 이러한 방사성 동위원소는 의료 및 치과 진단 도구뿐만 아니라 접근이 어려운 기계 및 전자 부품의 결함을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약 1년의 유용한 수명을 갖는다. 이러한 방사선원은 광범위한 방사선 차폐가 필요하지 않으며, 작은 납 용기만 있으면 된다.[32][69] ¹⁷⁰Tm은 산업 방사선 사진에 사용되는 가장 인기 있는 방사선원 중 하나이며,[33][72] 근접 방사선 치료(봉입형 방사선 치료)를 통한 암 치료를 위한 X선 원으로도 사용된다.[34][35][70]

5. 3. 기타 용도

툴륨은 고온 초전도체에서 이트륨과 유사하게 사용되어 왔다.[32][69] 페라이트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데, 페라이트는 마이크로파 장비에 사용되는 세라믹 자성체이다.[32] 툴륨은 스칸듐과 유사하게 독특한 녹색 방출선 때문에 아크 조명에 사용된다.[36][73] 자외선에 노출되면 청색으로 형광을 내기 때문에 유로 지폐에 위조 방지 조치로 사용된다.[37][74] Tm이 도핑된 황산칼슘의 청색 형광은 방사선의 시각적 모니터링을 위한 개인용 선량계에 사용되어 왔다.[28][78] Tm이 2+ 산화 상태에 있는 Tm이 도핑된 할라이드는 발광 태양광 농축기 원리를 기반으로 한 발전 창문에 사용될 것으로 제안된 발광 재료이다.[38][75]

6. 생물학적 역할 및 주의 사항

수용성 툴륨염은 약한 독성을 띠지만, 불용성 툴륨염은 무독성이다.[28] 툴륨을 주사하면 비장의 퇴행을 일으킬 수 있으며, 헤모글로빈 농도의 변동을 야기할 수도 있다. 툴륨으로 인한 간 손상은 암컷 쥐보다 수컷 에서 더 흔하다.[39][40] 사람의 경우 툴륨은 , 신장, 에 가장 많이 존재한다. 사람은 일반적으로 매년 수 마이크로그램의 툴륨을 섭취한다. 식물의 뿌리는 툴륨을 흡수하지 않으며, 채소의 건물에는 일반적으로 1ppb의 툴륨이 포함되어 있다.[28] 툴륨 먼지폭발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46] 툴륨의 분진 및 분말은 흡입하거나 섭취하면 유독하며, 폭발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서적 Selected Values of the Crystallographic Properties of Elements ASM International 2018
[2]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hemical Rubber Company Publishing
[3] 학술지 Magnetism of Rare Earth http://www.irm.umn.e[...] 2000
[4] 서적 Inorganic Chemistry, 3rd Edition Pearson
[5] 웹사이트 Chemical reactions of Thulium https://www.webeleme[...] Webelements 2009-06-06
[6] 서적 Handbook of Inorganic Chemical Compound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3
[7] 서적 The History and Use of Our Earth's Chemical Elements: A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2006
[8] 서적 Concise Encyclopedia Chemistr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4
[9] 서적 Advances in Inorganic Chemistry and Radiochemistr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977
[10] 웹사이트 Thulium http://www.chemicool[...] 2023-03-10
[11] 학술지 Observation of New Isotopes in the Fragmentation of 198Pt at FRIB 2024
[12] 서적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1998
[13] 학술지 Experimental searches for rare alpha and beta decays 2019
[14] 웹사이트 Untitled https://web.archive.[...] National Nuclear Data Center 2013-02-20
[15] 학술지 Sur le thulium https://babel.hathit[...] 1880
[16] 서적 Concise Encyclopedia Chemistr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4
[17] 서적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56
[18] 학술지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XVI. The rare earth elements
[19] 학술지 Rediscovery of the elements: The Rare Earths–The Confusing Years http://www.chem.unt.[...] 2019-12-30
[20] 학술지 Extricating erbium
[21] 웹사이트 Thulium https://www.rsc.org/[...] 2020-01-04
[22] 학술지 Thulium I https://babel.hathit[...] 1911
[23] 뉴스 Rare-Earth Metals https://minerals.usg[...] U.S. Geological Survey 2009-06-06
[24] 뉴스 Rare Earth Elements http://www.rareeleme[...] 2009-06-06
[25] 서적 CRC Handbook of Metal Etchant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0
[26] 웹사이트 Mindat.org https://www.mindat.o[...] 2018-01-14
[27] 서적 ABUNDANCE OF ELEMENTS IN THE EARTH’S CRUST AND IN THE SEA,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7th edition (2016–2017)
[28]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9] 서적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000
[30] 서적 Solid-state laser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6
[31] 서적 Tunable laser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8
[32] 서적 Extractive metallurgy of rare earth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4
[33] 서적 Practical Radiography https://books.google[...] Alpha Science Int'l 2004
[34] 학술지 Comparison of high–dose rate prostate brachytherapy dose distributions with iridium-192, ytterbium-169, and thulium-170 sources 2011
[35] 서적 World Congress on Medical Physics and Biomedical Engineering, September 7 - 12, 2009, Munich, Germany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23-04-01
[36] 서적 The Elements: A Visual Exploration of Every Known Atom In The Universe https://archive.org/[...] Black Dog & Leventhal Publishers 2009
[37] 서적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Photochemist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11-06
[38] 학술지 Luminescent solar concentrators for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2023
[39] 서적 Dictionary of environmentally important chemicals https://www.worldcat[...] CRC Press 2022-02-15
[40] 서적 Rare Earth Materials : Properties and Applications. https://www.worldcat[...] CRC Press 2014
[41] 학술지 Studies of nutritional safety of some heavy metals in mice 1975
[42] 학술지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terbium, thulium, and ytterbium chlorides 1963
[43] 학술지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the rare earth elements 1965
[44] 학술지 The acute mammalian toxicity of rare earth nitrates and oxides 1963
[45] 웹사이트 Thulium https://periodic.lan[...] Triad National Security, LLC 2024-06-01
[46] 웹사이트 SAFETY DATA SHEET https://www.fishersc[...] 2024-03-28
[47] 학술지 Sur deux nouveaux éléments dans l'erbine https://babel.hathit[...] 1879
[47] 학술지 Sur l'erbine https://babel.hathit[...] 1879
[47] 학술지 Sur le thulium https://babel.hathit[...] 1880
[48] 서적 Concise Encyclopedia Chemistr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4
[49] 서적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56
[50] 학술지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XVI. The rare earth elements
[51] 학술지 Rediscovery of the elements: The Rare Earths–The Confusing Years http://www.chem.unt.[...] 2015
[52] 학술지 Extricating erbium http://www.nature.co[...] 2014
[53] 웹사이트 Thulium https://www.rsc.org/[...] 2020
[54] 학술지 Thulium I https://babel.hathit[...] 1911
[55] 뉴스 Rare-Earth Metals https://minerals.usg[...] U.S. Geological Survey
[56] 뉴스 Rare Earth Elements http://www.rareeleme[...]
[57] 학술지 Magnetism of Rare Earth http://www.irm.umn.e[...] 2000
[58] 웹사이트 Chemical reactions of Thulium https://www.webeleme[...] Webelements
[59] 서적 Handbook of Inorganic Chemical Compound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3
[60] 서적 The History and Use of Our Earth's Chemical Elements: A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2006
[61] 서적 Concise Encyclopedia Chemistr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4
[62] 서적 Advances in Inorganic Chemistry and Radiochemistr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977
[63] 웹사이트 Thulium http://www.chemicool[...] 2013-03-29
[64] 서적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1998
[65] 학술지 Experimental searches for rare alpha and beta decays 2019
[66] 웹사이트 Untitled https://www.nndc.bnl[...] National Nuclear Data Center
[67] 서적 Solid-state laser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6
[68] 서적 Tunable laser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8
[69] 서적 Extractive metallurgy of rare earth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4
[70] 학술지 Comparison of high–dose rate prostate brachytherapy dose distributions with iridium-192, ytterbium-169, and thulium-170 sources 2011
[71] 간행물 Development of New Tm-170 Radioactive Seeds for Brachytherapy http://www.rooj.com/[...]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Ben-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72] 서적 Practical Radiography https://books.google[...] 2004
[73] 서적 The Elements: A Visual Exploration of Every Known Atom In The Universe https://archive.org/[...] Black Dog & Leventhal Publishers 2009
[74] 서적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Photochemistry https://books.google[...] 2009-11-06
[75] 학술지 Efficient luminescent solar concentrators based on self-absorption free, Tm2+ doped halides https://www.research[...] 2015
[76] 서적 CRC Handbook of Metal Etchant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0
[77] 웹사이트 Mindat.org https://www.mindat.o[...] 2018-01-14
[78]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79] 서적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000
[80] 학술지 Studies of nutritional safety of some heavy metals in mice 1975
[81] 학술지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terbium, thulium, and ytterbium chlorides 1963
[82] 학술지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the rare earth elements 1965
[83] 학술지 The acute mammalian toxicity of rare earth nitrates and oxides 196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