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려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려시는 중국의 관청으로, 한나라의 대홍려에서 기원하여 역대 왕조에서 외교, 의례, 장례 등의 업무를 담당했다. 북제 시대에 설치되어 주변 국가와 민족의 손님을 맞이하고 장례를 관장했으며, 당나라 시대에는 손님과 장례 사무를 담당했다. 송나라 시대에는 외교 사절 접대, 조공품 관리, 흉례 등을 맡았으며, 명나라와 청나라에서도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 청나라에서는 만주족과 한족이 함께 관원으로 임명되었으며, 무술변법으로 폐지되었다가 부활하는 과정을 거쳤다.

2. 역사

홍려시는 한나라의 대홍려를 기원으로 하며, 북제 시대에 처음 설치되었다.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외교 및 의례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그 역할과 조직이 변화했다.[1] 당나라 시대에는 손님과 장례 사무를 관장했다.[2]

2. 1. 중국

한나라의 대홍려를 기원으로 한다. 북제 시대에 홍려사가 설치되어 주변 국가와 여러 민족의 손님을 조정에 맞이하고, 길흉과 상장(喪葬)을 관장했다[1]. 당나라 시대에는 손님과 장례 사무를 관장했다. 홍려사의 장관은 홍려사경(鴻臚寺卿)이라 하며, 그 관위는 종3품이었다. 차관은 홍려사소경(鴻臚寺少卿)이라 하며, 그 관위는 종4품상이었다[2].

2. 1. 1. 송나라

신종이 제정한 원풍관제(元豊官制)에서는 경 1인, 소경 1인, 승과 주부 각 1인이 있었다. 경은 당시 중화 세계에서 사이, 즉 중화 바깥의 존재로 간주되었던 국가와 민족들과의 사이에 조공이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지는 외교 교섭과 각 사절들에 대한 접대 연회, 조공품에 대한 사여품, 맞이는 물론이고 국가의 흉의, 중도의 사묘, 도교 및 불교 서적 등에 대한 금령 등을 맡았다. 소경은 경의 다음으로 승과 함께 업무를 담당하였다.

무릇 사이의 군장이 그 사절을 보내 오면 사절을 받는 나라에서는 그 등위를 맞추어 지정된 빈례로 대접하며, 사절 일행이 숙소로 머물 관사를 지급해 회견 및 사여품 하사, 위로 및 환영/송별 연회를 베푸는데, 담당 관사에서는 미리 관련 물품들을 갖추어 둔다. 사절들이 조공이라는 이름으로 가져온 물품의 수효는 사방관에 보고되고 가져다 확인한 다음 바쳐진다. 여러 번에 대한 봉책은 즉시 그 예에 따른 명으로 행해진다. 예를 들어 숭의공(崇義公)이라는 작위를 이어받는 경우 곧 그 적서를 따져서 그 이름을 갖추어 상서성에 올렸다.

그 주숭(周嵩)、경(慶)、의릉묘(懿陵廟)는 관에 명하여 때를 맞추어 제향을 올리는데 흉의(凶儀)로 온 사절의 경우(이를테면 천자의 죽음으로 파견된 조문 사절) 종실은 복(服)에 맞추어, 신료는 그 품(品)에 맞추어 그 상복의 기일을 따라 부의 절차를 행하였다.

의례는 그에 걸맞는 의복을 입고 이루어지는데 곧 경이 관련 의례를 집행하고, 장례의 경우 유사에 명하여 관련 물품을 갖추게 하였다. 그 사안은 넷(관례, 혼례, 상례, 제례)으로 나누고 아홉 관리를 두었다.

그 관하에는 12개의 소속 관서가 있었다.

관서명담당 업무
왕래국신소(往来国信所)대요(大遼) 즉 거란의 사절에 대한 교빙 업무
도정서역(都亭西驛)과 관간소(管干所)서하(대하) 등 하서(河西) 번부의 공봉 관련 업무
예빈원(禮賓院)회흘(回鹘), 토번(吐蕃), 당항(党项), 여진(女真) 등의 국가들로부터 오는 조공과 관설(馆设) 및 호시(互市)에서의 역어(译语, 통역) 업무
회원역(懷遠驛)송 왕조에서 남번(南蕃)으로 분류되었던 교주(交州), 서번(西蕃)이라 불렸던 쿠차(龟兹), 대식(大食), 호탄(于阗), 감(甘), 사(沙), 종가(宗哥) 등의 국가들로부터의 공봉 관련 업무
중태일궁(中太一宫)과 건륭관(建隆觀) 등의 제점소(提点所)건물 관리 및 의례용 기물, 비용 구비 등의 업무
재경시무사급제점소(在京寺務司及提点所)각 관사 건물 수리
전법원(傳法院)불경 번역 및 윤문
좌、우 가승록사(街僧录司)사찰 승려들의 장적 및 승관(僧官) 수여 등의 일
동문관(同文館) 및 관구소(管勾所)대고려 관련 사명



이상의 관청들이 모두 홍려시에 속해 있었다.

송 왕조가 금 왕조에 밀려 남쪽으로 내려가고 중흥 이후에는 홍려시가 다시 설치되지 않고 홍려시의 업무는 예부로 편입되었다.

2. 1. 2. 명나라

명나라 초기에는 시의사(侍儀司)를 두어 종6품 아문으로 하였다. 시의사는 조회 때의 빈객 및 길흉 예의에 관한 업무를 전담하였다. 홍무 연간에는 이를 전대의 이름인 홍려시로 고치고 정4품 아문으로 승격시켰다.[1]

홍려시에는 경, 좌우 소경, 좌우 시승(寺丞) 등의 관직이 있었다. 소속 관리로는 주부, 사의(司儀), 사빈서(司賓署)에 각기 승(丞), 명찬(鳴贊), 서반(序班) 등의 관직을 두었다. 후에 외이통사(外夷通事)를 두어 홍려시에 속하게 하였다.[1]

2. 1. 3. 청나라

순치 원년에 홍려시가 세워졌는데, 대부분 한족의 명 왕조 제도를 본떴다.

청 왕조는 만주족과 한족을 함께 홍려시 관원으로 임명하였다. 최고 장관인 경은 만주인인 만경(滿卿)과 한인인 한경(漢卿)이 각 1명씩 있었고, 소경도 만주인 소경 1명에 한인 좌우 소경 각 1명이 있었다(순치 15년에 1인을 없앴다). 승 역시 한인은 좌, 우 각 1인으로 2인이었던 것을 순치 15년에 1인을 없앴고, 강희 52년에 한 명을 마저 없앴다. 주부는 만주족과 한족 각 1명씩 있었다. 명찬은 만주인이 16인이었는데 순치 13년에 2인을 없앴고, 건륭 7년에 다시 2인을 없앴다. 서반은 22인이 있었는데 순치 15년에 10인을 없앴다. 강희 38년에 6인을 없앴다. 건륭 7년에는 2인을 없앴다. 사빈서반 2인은 건륭 2년에 없앴다. 학습서반은 정해진 인원이 없었고 옹정 6년에 직예(直隸), 산동(山東), 산서(山西), 하남(河南)의 유학생(儒學生) 가운데서 뽑도록 하였는데 건륭 9년에 12인으로 인원을 정하였고 건륭 17년에 직예 인원을 6인으로, 나머지는 각기 2인으로 정하였다. 같은 해에 산동 등지에 각 4인을 없앴다.

관련 업무는 예부에서 모두 맡아 보았으나 순치 16년에 다시 홍려시에서 맡아 보는 것으로 되돌렸으며, 순치 18년에 다시 예부에 속하게 하였다. 강희 10년에 예전대로 돌렸다. 옹정 4년에 다시 예부에서 총괄하는 것으로 복구하였다. 건륭 14년에 처음으로 만주족 상서로 하여금 홍려시의 일을 맡아 보게 하였다. 건륭 59년에 만주어로 학습하는 만주학습명찬 4인을 늘렸다. 광서(光緒) 24년에 무술변법으로 홍려시를 없애고 예부에 편입시켰다가 얼마 안 가서 다시 예전대로 되돌렸다. 광서 32년에 다시 홍려시를 없애고 예부로 편입시켰다.[4]

3. 참조 문헌

《歷代職官表중국어》는 청나라 학자 황본기(黃本驥)가 저술한 책으로, 역대 중국 왕조의 관직 변천사를 정리한 자료이다.[1]

4. 추가 자료

위키문헌
진몽뢰의 《古今圖書集成》 중 '[https://zh.wikisource.org/wiki/欽定古今圖書集成/明倫彙編/官常典/鴻臚寺部#鸿胪寺 欽定古今圖書集成·明倫彙編·官常典·鴻臚寺部]'

참조

[1] 서적 隋書
[2] 서적 新唐書
[3] 서적 汉书
[4] 간행물 清史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