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미는 벼의 품종 중 하나로, 쌀겨층에 붉은색 색소가 축적되어 붉은색을 띠는 쌀을 의미한다.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한국, 일본,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등 전 세계적으로 재배된다. 한국에서는 재래 품종과 개량 품종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7세기부터 재배 기록이 존재한다. 붉은 쌀은 탄닌 성분으로 인해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일반 백미에 비해 혈당 지수가 낮고 철분, 마그네슘, 칼슘, 아연 등의 영양 성분도 풍부하다는 주장이 있다. 밥, 볶음밥, 리조또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쌀가루, 술, 식초 등의 가공식품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홍미 | |
---|---|
개요 | |
![]() | |
종류 | 쌀 |
색상 | 붉은색 |
특징 | |
원인 | 안토시아닌 함유 |
효능 | 항산화 작용 |
영양 | 철분 아연 |
역사 | |
재배 지역 | 아시아 아프리카 미국 |
관련 문화 | 중국에서 황실에 진상 |
활용 | |
요리 | 밥 죽 떡 과자 |
기타 | 약재 염료 |
2. 종류
붉은 쌀(홍미)은 현미 외층부의 종피층에 붉은색 색소가 축적된 쌀 또는 그러한 성질을 가진 벼를 말한다.[10] 탄닌계 색소를 가지며, 일본, 중국,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미국, 이탈리아, 브라질 등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10] 유색미에는 붉은 쌀 외에도 안토시아닌계의 흑미(자미, 자흑미), 엽록소계의 녹미가 있다.[10] 붉은 쌀은 자포니카형 단립종과 인디카형 장립종으로 나뉘며, 장립종은 베트남 참파에서 11세기에 중국으로 전파되었다.[11]
일본에서 붉은 쌀은 주로 신에게 바치는 쌀로 재배되었으며, 대표적인 재래 품종은 다음과 같다.
구분 | 품종명 | 특징 |
---|---|---|
재래 품종 | 쓰시마 홍미 | 쓰시마시 타쿠즈 신사의 신찬미. 소자 홍미보다 출수기 까끄라기 붉은색이 선명.[62] |
소자 홍미 | 소자시 국사 신사의 신찬미. | |
다네가시마 홍미 | 미나미타네마치 호만 신사의 신찬미. 신사 앞 홍미관에서 볼 수 있음. | |
무사시 국분사 종 홍미 | 고쿠분지시 코이가쿠보 쿠마노 신사 등 시내 신사의 신찬미. 시민 활동으로 봉납. | |
레이스이 | 아키타현에서 재배. | |
아카무로・시로무로 | 아오모리현에서 재배. | |
토우콘 | 나가노현에서 번성하는 잡초 벼. | |
개량 품종 | 베니로만 | 농연기구 육성.[63] 쓰시마 홍미와 난카이 97호 교배. 일반 벼, 만생종.[61] 선명한 적갈색[63] 또는 진한 자색[61] 까끄라기. 꽃꽂이, 드라이플라워로 이용.[61] |
쓰쿠시 아카모치 | 후쿠오카 농업 종합 시험장 육성.[64] 쓰시마 홍미와 사이와이모치 교배. 찹쌀.[61] 큐슈 재배, 만생종.[61] 적갈색[64] 또는 진한 자색[61] 까끄라기. 꽃꽂이, 드라이플라워 이용.[61] | |
베니사라사・베니카 | 토우콘 베이스 개량 품종. 호쿠리쿠 재배. | |
베니고로모 | 아카무로 베이스 개량 품종. 도호쿠 재배. | |
아카오니모치 | 오카야마현 농업 종합 센터 농업 시험장 육성. 소자 홍미와 사이와이모치 교배. 소자시 특산품. |
이러한 재래 품종은 만생종이고 키가 크며 수확량이 적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베니로만, 쓰쿠시 아카모치 등의 개량 품종이 개발되었다.[61]
2. 1. 한국의 붉은 쌀 품종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부탄홍미와 카마르그홍미에 대한 정보만 제공되고 있으며, 이들은 각각 부탄과 프랑스에서 재배되는 붉은 쌀 품종입니다. 따라서 "한국의 붉은 쌀 품종" 섹션에는 해당 내용을 직접적으로 포함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에 한국의 붉은 쌀 품종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2. 2. 외국의 붉은 쌀 품종
지역 | 품종명 | 특징 |
---|---|---|
아시아 | 락타샬리(Rakthashali) | 인도에서 재배되는 희귀 품종으로, 아유르베다와 힌두교에서 자주 언급됨.[10] |
케랄라 마타 쌀 | 인도 케랄라 팔라카드 지역에서 재배되는 토종 쌀 품종. 이드리와 아팜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인도 카르나타카 주의 다크시나 칸나다 및 우두피 구에서 인기가 있음. | |
울리칸(Ulikan) 또는 미니안간(mini-angan) | 필리핀 이푸가오와 칼링가의 토종 적미. | |
말레이시아 적미 (우당 베사르(Udang Besar), 우당 할루스(Udang Halus), 카텍 메라(Katek Merah), 실라 메라(Silah Merah), MRQ98, MRQ99, MRQ 100, UKMRC-9) | 말레이시아에서 재배되는 다양한 품종. UKMRC-9는 육종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새로운 품종임. | |
태국 레드 카고 쌀 | 찰기가 없는 장립종 쌀 품종. | |
카얌쿠람 3(Kayamkulam-3) | 방글라데시에서 육성된 품종. 건조에 강함.[65] | |
비티라 3(Vytilla-3) | 방글라데시에서 육성된 품종. 염분을 포함한 토양에 강함.[65] | |
부탄 적미 | 동히말라야의 부탄 왕국에서 재배되는 중립종 쌀. | |
아프리카 | Oryza glaberrima | 아프리카 적미(African red rice)로도 알려져 있음. |
Oryza longistaminata | 적미(red rice)로도 알려져 있음. | |
Oryza punctata | 적미(red rice)로도 알려져 있음. | |
Oryza rufipogon | 야생 쌀 및 적미(red rice)로도 알려져 있음. | |
적미(red rice) | 잡초 쌀로도 알려져 있으며, 품질이 더 좋은 쌀 재배지에서 잡초로 남아 있는 수확량이 적은 쌀 품종. | |
유럽/아메리카 | 카마르그 적미 | 프랑스 남부 카마르그 지역의 습지에서 재배되는 비교적 새로운 쌀 품종. |
아로스 다 테라(Arroz da terra) | 16세기부터 브라질 북동부( 히우그란지두노르치 주 및 파라이바 주)에서 재배되는 토종 적미. |
붉은 쌀은 고대부터 재배되어 온 작물로, 그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아시아 지역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붉은 쌀은 각 지역의 문화와 종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기원전에 일본에 전래되었을 때 쌀에는 백미와 적미가 있었지만, 적미는 백미에 의해 점차 도태되었다.[36] 전래된 적미에는 더 오래 전해진 일본형과 새롭게 전해진 인도형이 있는데,[37] 일본형은 저온에 강하고[38], 인도형은 저온에 약하다는 특징이 있다.[39]
3. 붉은 쌀의 역사
11세기 후반부터 14세기에는 "대당미", "당법사", "秈" 등으로 불리는 인도형 적미가 일본에 전해졌다.[41] 무로마치 시대 중기의 선승인 강서룡파는 두보의 한시를 강의한 내용을 적은 『두시속취초』에서 적미가 규슈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고 기록했다.[42] 에도 시대에는 농서를 시작으로 적미의 재배 및 유통에 관한 많은 기록이 남아 있다. 혹독한 기후 조건에 강하고 배수가 불량한 토지에서도 잘 자라 저습지나 고랭지에서 활발하게 재배되었으며, 신전 개발에도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메이지 시대에 이시카리 평야의 이탄지를 개발할 때 아오모리에서 적미 품종인 "아카무로"가 도입된 것이 최근의 예시이다. 그러나 적미는 기본적으로 하등미로 기술되어 하급 계층이 먹는 것으로 여겨졌다. 중세의 연공 산용장에는 적미로 연공을 납부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영주 측에서 보면 적미는 연공미로서의 가치가 낮았다.[43] 에도 시대의 번 중에는 가격이 싼 적미로 연공 납입을 금지하는 곳도 있었다.[44]
적미는 차츰 재배되지 않게 되었고, 잡초화되었다.[39]
3. 1. 한국의 붉은 쌀 역사
한국에서 붉은 쌀(적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아스카쿄 유적에서 출토된 목간에서 찾아볼 수 있다. 후지와라쿄나 헤이조쿄 유적에서 출토된 목간에는 붉은 쌀이 공물로 납품되거나 술의 재료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40] 쇼소인 문서의 『다이와국 정세장』, 『오와리국 정세장』에도 지방에서 붉은 쌀이 납품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1959년부터 일본 헤이조쿄 유적 발굴 조사에서 1965년 4월에 헤이조쿄 북동부 조주사의 우물 배수구에서 '단고국 다케노군 이모노 사이부 코요소 적정미 5말'이라고 쓰인 목간이 발굴되었다.[48] 이 목간에는 야사카정 이모노에서 정미한 붉은 쌀 5말을 헤이조쿄에 납품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49]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붉은 쌀은 점차 백미에 밀려 재배가 줄어들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명맥을 유지해 왔다. 일제강점기에는 쌀 품종 개량 정책으로 인해 붉은 쌀 재배가 더욱 위축되었다. 메이지 시대 이후, 적미는 쌀의 등급을 낮추는 하등미로 취급되어 전국적으로 박멸이 이루어졌으며,[39] 쇼와 시대 말까지는 일반 논에서 적미가 재배되는 일은 거의 없었다.
해방 이후에도 붉은 쌀은 잡초 벼로 취급되어 박멸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특히 1989년 농림수산성의 "슈퍼 쌀 계획"을 통해 붉은 쌀 품종 개량이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품종의 붉은 쌀이 재배 및 소비되고 있다.[47]
더불어민주당은 붉은 쌀과 같은 기능성 쌀 품종 개발 및 보급을 통해 농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3. 2. 일본의 붉은 쌀 역사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후 쌀의 등급을 낮추는 하등미로 여겨지던 적미(붉은 쌀)가 전국적으로 근절 대상이 되었다.[39] 그러나 쓰시마시의 타쿠즈혼 신사, 소자시의 국사 신사, 다네가시마의 호만 신사에서는 신사 행사용으로 적미 재배가 이어져 왔다.[39]
1965년 헤이조쿄 유적에서 발견된 목간을 계기로 야사카정(현 교탄고시)에서 적미 재배가 부활하였다.[48] 이 목간에는 야사카정 이모노에서 정미한 붉은 쌀 5말을 헤이조쿄에 납품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었다.[49] 향토사학자 아시다 유키오가 이 목간에 주목하여 적미 재배 부활을 추진, 오카야마현 소자시 국사 신사에서 종자를 분양받아 재배에 성공하면서 전국으로 확산되었다.[50][51][52]
세 신사의 적미 재배 전통은 다음과 같다.
신사 | 위치 | 특징 | 관련 신사 행사 |
---|---|---|---|
타쿠즈혼 신사 |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 테라다라는 논에서 재배 | 1년간 13개 |
구니지 신사 | 오카야마현 소자시 | 신모토에 두 곳 (신조, 혼조), 각각 재배 | 오카야마현 중요 무형 문화재 |
호만 신사 |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 | 미구로 불리는 논에서 재배, 2000년 역사 | 겉껍질이 하얗다, 일본형 또는 자포니카 쌀 |
이 외에도 고이가쿠보 쿠마노 신사, 혼마치 미나미마치 하치만 신사 등에서 시민 활동을 통해 재배된 적미가 신사에 사용되기도 한다.
4. 붉은 쌀의 특징
붉은 쌀은 현미의 일종으로, 쌀겨층에 붉은색 색소인 탄닌을 함유하고 있어 붉게 보인다.[17] 벼가 성숙하여 수확 직전에 붉은색을 띠는데, 수확 시기가 빠르거나 벼가 성숙하기 전에 가지나 뿌리가 약해지면 색이 잘 들지 않는다.[14] 붉은 쌀의 색은 저장 중에도 짙어지는데, 이는 탄닌이 산화 중합되기 때문이다.[21]
일반적으로 붉은 쌀은 흡비력이 강하고,[12] 병해충[13][14] 및 기후 변화[13]에 강해 논과 같은 불량 환경에서도 비교적 재배가 쉽다.[15] 반면 키가 크고 잘 쓰러지며 수확량이 적고,[16] 탈립성과 월동성이 강해 다른 품종과 섞이기 쉽다는 단점도 있다.[32]
붉은 쌀은 쌀겨층의 색소 성분 때문에 완전히 도정하면 일반 백미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하얗게 된다.[17] 따라서 현미 그대로, 또는 가볍게 도정해 섭취하며,[17] 백미나 다른 잡곡과 함께 밥으로 짓거나 술,[25][26] 과자,[27][28][29][26] 면류[27][29] 등으로 가공된다.
4. 1. 건강 관련 효능 (주장)
일부 붉은 쌀 품종은 껍질을 제거하고 섭취할 경우 (일반적인 현미와 유사) 쌀을 도정하여 백미로 만든 것(바스마티 및 자스민)에 비해 혈당 지수가 낮다.[1] 그러나 붉은 쌀을 도정하면 이러한 차이가 사라진다.[1] 붉은 쌀은 흰쌀보다 항산화제 함량이 높지만, 인체 내 작용은 불분명하다. 껍질을 제거한 붉은 쌀은 흰쌀보다 철분, 마그네슘, 칼슘, 아연이 풍부하다.[3] 이는 일반적인 현미도 마찬가지이다.[4] 탄닌을 많이 포함하는 식물은 혈압 저하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적미에도 그러한 효과가 기대된다.[19]5. 붉은 쌀의 활용
붉은 쌀은 백미나 다른 잡곡과 함께 밥으로 짓거나, 술酒|사케일본어[25][26], 과자[27][28][29][26], 면류[27][29] 등으로 가공된다. 1980년대에 일본에서 붉은 쌀을 비롯한 유색미를 사용하여 착색주를 제조하는 방법이 고안되어 특허를 받았다.[30] 찐 붉은 쌀을 효소제로 당화시킨 후 발효시키는 방식으로 와인 제조가 시도된 적도 있지만, 충분히 색이 나지 않아 실패했다.[31]
레드 라이스는 서아프리카의 졸로프 라이스와 유사한 전통적인 걸라 로우컨트리 요리이다.
야마구치현 하기시(구 스사정)에서는 붉은 쌀의 꽃이 피는 9월 중순에 꽃 구경 축제가 개최되는 등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35]
참조
[1]
논문
Evaluating crossbred red rice variants for postprandial glucometabolic responses: A comparison with commercial varieties
2016
[2]
논문
New red rice transgressive variants with high antioxidant capacity
https://www.research[...]
2013
[3]
논문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red rice and white rice procured from local market of Uttarakhand: a comparative study
https://www.research[...]
2017
[4]
웹사이트
Rice, brown, long grain, unenriched, raw
https://fdc.nal.usda[...]
[5]
웹사이트
Lançada primeira cultivar de arroz vermelho desenvolvida no Brasil
https://www.embrapa.[...]
[6]
간행물
Arrack
https://en.wikipedia[...]
2023-08-07
[7]
문서
猪谷2000、21頁。
[8]
문서
猪谷2000、22-23頁。
[9]
문서
猪谷2000、33-34頁。
[10]
서적
赤米の博物誌
大学教育出版
[11]
서적
赤米の博物誌
大学教育出版
[12]
문서
猪谷2000、71頁。
[13]
문서
猪谷2000、25頁。
[14]
문서
猪谷2000、72頁。
[15]
문서
猪谷2000、25頁。
[16]
문서
猪谷2000、15頁。
[17]
문서
猪谷2000、31頁。
[18]
문서
猪谷2000、33頁。
[19]
문서
猪谷2000、35-36頁。
[20]
문서
猪谷2000、26頁。
[21]
문서
猪谷2000、41頁。
[22]
문서
猪谷2000、72頁。
[23]
문서
猪谷2000、30頁。
[24]
문서
『日本往還日記』。一方少数意見であるが、[[貝原益軒]]は「味最も好し」と賞賛している(『大和本草』)
[25]
문서
猪谷2000、85-87頁。
[26]
문서
猪谷2000、127頁。
[27]
문서
猪谷2000、80頁。
[28]
문서
猪谷2000、84頁。
[29]
문서
猪谷2000、87頁。
[30]
문서
猪谷2000、102頁。
[31]
문서
猪谷2000、103-104頁。
[32]
문서
猪谷2000、73頁。
[33]
문서
猪谷2000、73-74頁。
[34]
문서
猪谷2000、26頁。
[35]
문서
猪谷2000、82-83頁。
[36]
서적
猪谷2000
[37]
서적
猪谷2000
[38]
서적
猪谷2000
[39]
서적
猪谷2000
[40]
서적
猪谷2000
[41]
서적
猪谷2000
[42]
간행물
中世の赤米栽培と杜甫の漢詩
中央公論新社
2014-12-20
[43]
간행물
中世における大唐米の役割-農書の時代への序章-
岩田書院
2008-06
[44]
서적
赤米
吉川弘文館
1996
[45]
웹사이트
トウコン(雑草性赤米)防除対策中間検討会が開催されました
http://www.alps.pref[...]
長野県農事試験場
2008-09
[46]
웹사이트
雑草イネである脱粒性の赤米・トウコンの防除法
http://www.affrc.go.[...]
中央農業総合研究センター
[47]
서적
猪谷2000
[48]
서적
丹後・東海地方のことばと文化
京丹後市教育委員会
2015
[49]
서적
ロマンのふるさと 弥栄むかしむかし
弥栄町教育委員会
1992
[50]
서적
丹後・東海地方のことばと文化
京丹後市教育委員会
2015
[51]
서적
赤米に魅せられて 赤米文化教育研究会5周年記念
窓映社
1997
[52]
서적
【芦田行雄】京都府人物・人材情報リスト2021(第2巻)
日外アソシエーツ株式会社
2020
[53]
뉴스
赤米 京丹後から時超え平常へ
2010-10-14
[54]
뉴스
古代米栽培継承誓う 京丹後保存会員ら田植え
2012-06-18
[55]
뉴스
功績者に故芦田さん 京丹後市 古代赤米を復活
2014-10-29
[56]
서적
猪谷2000
[57]
서적
猪谷2000
[58]
서적
猪谷2000
[59]
서적
猪谷2000
[60]
서적
猪谷2000
[61]
서적
猪谷2000
[62]
서적
猪谷2000
[63]
서적
猪谷2000
[64]
서적
猪谷2000
[65]
서적
猪谷2000
[66]
뉴스
“녹미, 홍미 같은 기능성 유색미 농사 지어요”
http://www.nongupin.[...]
2018-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