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순역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고려 시대 화순현에서 유래된 지명에서 역명이 유래되었다. 1930년 12월 25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경전선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운행된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으로, 과거 화순선이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순군의 건축물 - 능주역
능주역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며, 능성현에서 유래된 역명을 가지며 여객열차가 운행 중이다. - 화순군의 건축물 - 화순시외버스터미널
화순시외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하며 금호고속의 서울행 고속버스와 호남권 각 지역으로 가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터미널이다. - 화순군의 교통 - 능주역
능주역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며, 능성현에서 유래된 역명을 가지며 여객열차가 운행 중이다. - 화순군의 교통 -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29호선은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충청남도 서산시까지 이어지는 200km가 넘는 국도로, 여러 차례 노선 변경 및 확장 개통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남도를 지나며 여러 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하는 주요 교통로이지만, 일부 구간은 개선이 필요하다. - 전라남도의 철도역 - 백양사역
백양사역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한 호남선 지상역으로, 1914년 사거리역으로 개업하여 1967년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 전라남도의 철도역 - 나주역
나주역은 1913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KTX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화순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화순역 |
한자 표기 | 和順驛 |
로마자 표기 | Hwasun |
위치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
운영 정보 |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KORAIL) |
역 등급 | 3급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섬식 1면 2선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경전선, 화순선 |
경전선 영업 거리 | 삼랑진역 기점 252.0 km |
경전선 이전 역 | 능주역 |
경전선 이전 역 거리 | 8.9 km |
경전선 다음 역 | 남평 |
경전선 다음 역 거리 | 9.2 km |
화순선 영업 거리 | 당역 기점 0.0 km |
화순선 다음 역 | 남화순역 |
화순선 다음 역 거리 | 2.0 km |
역사 | |
개업일 | 1930년 12월 25일 |
기타 |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비치역 |
2. 역명 유래
고려시대에 온화하고 착하며 순진한 사람들이 모여 살고 있다 하여 화순현으로 개칭하고 1914년 화순군으로 개칭하였으며, 지역명을 따라 화순역이라 하였다.
1930년 12월 25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2] 1942년 10월 1일에는 화순선이 개통되었다.[3]
3. 역사
1950년 10월 4일에는 역사가 전소되었으나, 1957년 9월 7일 역사를 신축하여 준공하였다.[2] 1964년 9월 15일 앵남역이 관리역으로 지정되었고,[4] 1974년 1월 1일 화순선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1984년 12월 1일에는 화순선 장동~복암 구간이 대한석탄공사 전용선으로, 1986년 1월 1일에는 화순선 모든 구간이 대한석탄공사 전용선으로 변경되었다.[3] 1988년 1월 20일 무연탄화물(수입무연탄한) 도착취급역으로 지정되었으며,[5] 1991년 9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6] 2003년 6월 18일에는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고,[2] 2004년 3월 31일 통일호 운행이 종료되었다. 2006년 10월 31일에는 통근열차 운행이 종료되었으며, 2017년 12월 18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7] 2021년 1월 15일부터 남도해양열차 운행이 개시되었다.
3. 1. 일제강점기
1930년 12월 25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2] 1942년 10월 1일에는 화순선이 개통되었다.[3]
3. 2. 해방 이후
1942년 10월 1일 화순선이 개통되었다.[3] 1950년 10월 4일에는 역사가 전소되었으나, 1957년 9월 7일 역사를 신축하여 준공하였다.[2] 1964년 9월 15일 앵남역이 관리역으로 지정되었고,[4] 1974년 1월 1일 화순선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1984년 12월 1일에는 화순선 장동~복암 구간이 대한석탄공사 전용선으로, 1986년 1월 1일에는 화순선 모든 구간이 대한석탄공사 전용선으로 변경되었다.[3] 1988년 1월 20일 무연탄화물(수입무연탄한) 도착취급역으로 지정되었으며,[5] 1991년 9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6] 2003년 6월 18일에는 역사가 신축 준공되었고,[2] 2004년 3월 31일 통일호 운행이 종료되었다. 2006년 10월 31일에는 통근열차 운행이 종료되었으며, 2017년 12월 18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7] 2021년 1월 15일부터 남도해양열차 운행이 개시되었다.
4. 역 구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경전선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S-Train)가 운행되며, 부산 방면 열차는 4번 승강장, 서광주 방면 열차는 5번 승강장을 이용한다.
4. 1. 승강장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경전선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S-Train)가 운행되며, 부산 방면 열차는 4번 승강장, 서광주 방면 열차는 5번 승강장을 이용한다.```wikitable
5. 인접한 역
경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