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해양열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도해양열차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하는 관광 전용 열차이다. 2013년 9월 27일 운행을 시작했으며, 경전선 계통(부산 ↔ 광주송정)과 전라선 계통(서울 ↔ 여수엑스포)으로 나뉘어 운행한다. 'S'는 남쪽(south), 남해의 S자형 노선, 느림(slow), 바다(sea), 관광(sightseeing)을 의미하며, 느린 운행 속도와 다양한 객차 구성이 특징이다. 열차는 가족 행사, 다도, 파티, 스포츠 및 레저 등 다양한 기능을 위한 5개의 객차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차 외부는 남해와 동백나무 꽃을 상징하는 파란색과 분홍색으로 도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열차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열차 - 새마을호
새마을호는 1969년 관광호로 시작하여 새마을운동과 함께 명칭이 변경된 대한민국의 특급 여객열차였으나, KTX 개통 후 ITX-새마을에 자리를 내주며 운행 구간이 축소되었고 2029년 KTX-이음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 새마을호
새마을호는 1969년 관광호로 시작하여 새마을운동과 함께 명칭이 변경된 대한민국의 특급 여객열차였으나, KTX 개통 후 ITX-새마을에 자리를 내주며 운행 구간이 축소되었고 2029년 KTX-이음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 철도 여행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는 1999년부터 한국 철도 10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되었으며, 주요 역과 철도 관련 시설에 비치되어 철도 팬과 여행객에게 의미를 지니지만, 일부 스탬프는 비치 장소 변경 또는 날인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확인이 필요하다. - 철도 여행 - 바다열차
2007년부터 2023년까지 동해안 해안 절경을 감상하며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를 잇는 관광 열차였던 바다열차는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를 개조한 한국철도 9501계 디젤 동차를 사용하여 특실, 가족실, 스낵바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잦은 노선 변경과 차량 노후화, 지자체의 재정 지원 부족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
남도해양열차 | |
---|---|
개요 | |
이름 | 남도해양열차 (S-Train) |
종류 | 지역 철도 |
상태 | 운행 중 |
운영 주체 | 한국철도공사 |
이전 운영 주체 | 해당 없음 |
개통일 | 2013년 9월 27일 |
후신 | 해당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운행 정보 | |
시작역 | 부산역 / 여수엑스포역 |
종착역 | 광주역 / 마산역 |
경유 노선 | 경부선, 경전선, 호남선, 전라선 |
사용 차량 | 새마을호 |
열차 번호 | 해당 없음 |
접근성 | 해당 없음 |
좌석 | 해당 없음 |
침대 | 해당 없음 |
차량 수송 | 해당 없음 |
식당차 | 해당 없음 |
전망차 | 해당 없음 |
엔터테인먼트 | 해당 없음 |
수하물 | 해당 없음 |
기타 편의 시설 | 해당 없음 |
수송량 | 해당 없음 |
노선 번호 | 해당 없음 |
유지 보수 | 해당 없음 |
공유 | 해당 없음 |
거리 | 해당 없음 |
소요 시간 | 해당 없음 |
운행 횟수 | 해당 없음 |
등급 | 해당 없음 |
궤간 | 1435mm |
전철화 여부 | 해당 없음 |
최고 속도 | 해당 없음 |
소유주 | 해당 없음 |
차량 정보 | |
차량 종류 | 남도해양열차 (S-Train) |
![]() | |
편성 | 기본 편성 - 5량 |
영업 최고 속도 | 120(150) km/h |
최고 속도 | 120(150) km/h |
궤간 | 1435 mm |
제조 시작 년도 | 2003년 |
편성 정원 | 218명 |
2. 운행 구간 및 정차역
남도해양열차는 2013년 9월 27일에 운행을 시작했으며, 부산에서 여수, 광주에서 마산을 잇는 두 개의 노선으로 운행한다.[2][3] 두 노선은 하동에서 만나며, 승객들은 이 역에서 다른 열차로 환승할 수 있다.[4]
열차 이름의 "S"는 남쪽(south), 한국 남해의 구불구불한 모양을 따라가는 S자형 노선,[2] 느림(slow), 바다(sea), 관광(sightseeing)을 의미한다.[6] 이 열차는 느린 운행 속도가 특징이다.[7][4]
2. 1. 전라선 계통 (서울 ↔ 여수엑스포)
서울-영등포-수원-천안-서대전-논산-익산-전주-임실-남원-곡성-구례구-순천-여천-여수엑스포 구간을 운행한다(#2521, #2522).[5]2. 2. 경전선 계통 (부산 ↔ 광주송정)
부산-구포-물금-삼랑진-진영-창원중앙-마산-진주-북천-하동-광양-순천-벌교-득량-보성-명봉-능주-화순-남평역-효천-서광주-광주송정 구간을 운행하며, 예상 소요 시간은 5시간 30분이다.[5]3. 열차 구성 및 특징
2013년 9월 27일 운행을 시작한 남도해양열차는 무궁화호 객차 10량, 침대차 2량, 발전차 2량, 기관차 2량 등 총 16량을 개조하여 만들었다.[14] 기관차는 거북선 이미지를 하고 있으며, 객차 5량은 가족실, 다례실, 레포츠실, 카페실, 힐링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성당 총 좌석 수는 218석이다. 현재 거북선 이미지 기관차는 코레일 도색으로 변경되었고, 전라선 운행은 전기 기관차로 변경되었다.
열차 이름의 "S"는 "남쪽(south)", 한국 남해의 구불구불한 모양을 따라가는 S자형 노선,[2] "느림(slow)", "바다(sea)", "관광(sightseeing)"을 의미한다.[6] 이 열차는 느린 운행 속도가 특징이다.[7][4]
객차는 가족 행사, 다도,[8] 파티, 스포츠 및 레저 등 다양한 기능을 위해 5개의 칸으로 구성되어 있다.[4][6] 객차 사이의 작은 공간은 자전거 이용객을 위한 보관소로 사용된다. 전통적인 한국 다도 행사에는 담소가 포함되며, 제공되는 차는 열차 정차역 중 하나인 보성군과 하동군 지역에서 생산된 것이다.[4][9]
열차 외부 색상은 남해의 바다와 붉은 동백나무 꽃을 상징하는 파란색과 분홍색이다. 열차 앞부분은 거북이 머리 모양으로 칠해져 거북선 테마로 꾸며졌는데,[2] 이는 거북선으로 유명한 16세기 해군 장군 이순신에 대한 오마주이다.[4]
2014년 4월, 이 열차는 대중음악 듀오 동방신기가 팬 투어를 위해 사용하기도 했는데, 이는 그들의 10주년과 한국철도공사의 KTX 철도 시스템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10][11][12]
4. 연혁
- 2013년
- * 9월 11일: 서울역에서 운행 개시 행사.[2]
- * 9월 27일: 정식 운행 개시.[2][3]
- * 11월: 광주 ~ 마산 열차 운행 중지.
- * 12월 9일: 철도노조파업으로 운행 중지.
- * 12월 13일: 광주 ~ 마산 구간이 서대전 ~ 광주송정으로 변경.
- 2014년
- * 1월 4일: 운행 재개.
- * 1월 11일: 서대전 ~ 광주송정 구간 개통 및 운행 시작.
- * 2월 10일: 부산 ~ 보성 노선이 광주송정으로 변경.
- * 4월 1일: KTX 개통 10주년 기념 용산 ~ 곡성 특별 열차 운행.[10][11][12]
- * 6월 1일: 서대전 ~ 광주송정 구간이 용산 ~ 여수엑스포로 변경, 부산 ~ 여수엑스포 구간이 부산 ~ 보성으로 변경.
- * 10월 1일: 용산 ~ 여수엑스포 구간이 서울 ~ 여수엑스포로 변경, 영등포역 추가 정차, 부산 ~ 보성 열차 물금역, 삼랑진역 추가 정차.
- 2016년
- * 5월 16일: 서울 ~ 여수엑스포 구간이 용산 ~ 여수엑스포로 환원.[15]
- * 7월 13일: 용산 ~ 여수엑스포 구간이 서울 ~ 여수엑스포로 재변경.[16]
- 2019년 5월: 7380호와 7381호가 7477호와 7476호로 각각 교체됨.
- 2021년 1월 5일: 시간표 개정으로 부산 ~ 보성 구간 운행 노선이 광주송정까지 연장.
- 2023년 3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임실역 추가 정차.
5. 차내 안내방송
남도해양열차는 한국어와 영어 안내방송을 제공한다.
5. 1. 한국어 성우
강유경과 조예신이 각각 2013년 9월 27일과 2015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어 성우를 담당하고 있다.[1][2]5. 2. 영어 성우
- 2013년 9월 27일부터 현재까지는 미상이다.
- 2015년부터 현재까지는 리사 켈리이다.
6. 기타
열차 이름의 "S"는 "남쪽(south)", 한국 남해의 구불구불한 모양을 따라가는 S자형 노선,[2] "느림(slow)", "바다(sea)", "관광(sightseeing)"에서 유래했다.[6] 이 열차는 느린 운행 속도로 특징지어진다.[7][4]
이 열차는 가족 행사, 다도,[8] 파티, 스포츠 및 레저 등 다양한 기능을 위해 5개의 객차로 구성되어 있다.[4][6] 객차 사이의 작은 공간은 자전거 이용객을 위한 보관소로 사용된다. 전통적인 한국 다도 행사에는 담소가 포함되며, 제공되는 차는 열차 정차역 중 하나인 보성군과 하동군 지역에서 생산된 것이다.[4][9]
열차 외부의 색상은 남해의 바다와 붉은 동백나무 꽃을 상징하는 파란색과 분홍색으로 칠해져 있다. 열차의 앞부분이 거북이 머리 모양으로 칠해진 거북선 테마 열차는[2] 거북선으로 유명한 16세기 해군 장군 이순신에 대한 오마주이다.[4]
2014년 4월, 이 열차는 대중음악 듀오 동방신기가 팬 투어를 위해 사용했으며, 이는 그들의 10주년과 한국철도공사의 KTX 철도 시스템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10][11][12]
참조
[1]
웹사이트
KORAIL runs new route for S-train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5-03-08
[2]
웹사이트
S-train adds more fun to southern region
http://www.korea.net[...]
Korea.net
2015-03-08
[3]
웹사이트
남도해양관광열차(S트레인) 27일 본격 운행
http://news1.kr/arti[...]
News 1
2015-03-08
[4]
웹사이트
S-train, a 'slow' addition to the south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5-03-08
[5]
웹사이트
Experience the southern coast with ease on the S-train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5-03-08
[6]
웹사이트
[Weekender] Sightseeing trains make hard to reach more convenient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5-03-08
[7]
웹사이트
[조성하의 철도 힐링투어]<5>남도해양관광열차 ‘S트레인’ 27일 개통
http://news.donga.co[...]
Dong-A Ilbo
2015-03-08
[8]
웹사이트
Exploring South Korea via train
http://www.mb.com.ph[...]
Manila Bulletin
2015-03-08
[9]
웹사이트
[박준규의 칙칙폭폭] ② S- 트레인 남도해양관광열차
http://life.joins.co[...]
JoongAng Ilbo
2015-03-08
[10]
웹사이트
Pop duo TVXQ hosts fan train trip
http://www.korea.net[...]
Korea.net
2015-03-08
[11]
웹사이트
동방신기, 팬들과 함께한 기차여행 엿보니…동방신기 특별 열차까지
http://tenasia.hanky[...]
Ten Asia
2017-12-06
[12]
웹사이트
한류 열차…동방신기와, 기차 타고~ 칙칙폭폭~
http://www.hankyung.[...]
Korea Economic Daily
2015-03-08
[13]
뉴스
부산~경남~광주… ‘남해안 해양관광열차’ 다음달부터 달린다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3-02-09
[14]
문서
당시 개조된 차량번호는 10177, 10178(장애인용), 12759 ~ 12766, 12793 ~ 12794(일반실), 99419 ~ 99420(발전차), 7380, 7381(기관차)이다.
[15]
웹사이트
관광전용열차 운행 조정안내
http://www.letskorai[...]
[16]
웹사이트
관광전용열차 운행구간조정 안내
http://www.letskora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