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푸구 (상하이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푸구는 중국 상하이시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황푸강의 좌안에 자리 잡고 있다. 2000년 난시구와 합병되었고, 2011년 루완구와 통합되어 현재의 황푸구가 되었다. 황푸구는 상하이의 오랜 역사적 중심지로서, 난시구, 황푸, 루완구의 합병으로 이루어졌다. 현재 상하이시의 중심 상업 지구이며, 와이탄, 난징루, 인민광장, 예원, 신천지 등 다양한 관광 명소를 포함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상하이시에서 1인당 GDP가 가장 높으며, 상하이 지하철 여러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푸구 (상하이시) - 예원
예원은 명나라 시대에 판윤단이 아버지 판은을 위해 1559년부터 짓기 시작하여 1577년에 완공된 상하이의 대표적인 강남 정원으로, 인공 수로, 암석 정원, 건물 등이 조화를 이루며 '평화와 위안의 정원'으로 알려져 있고, 역사적 피해와 복원을 거쳐 현재는 국가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소주식 정원의 특징을 살린 6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각 구역마다 독특한 주제와 건축물을 통해 '평화와 즐거움'이라는 정원의 주제를 보여준다. - 황푸구 (상하이시) - 인민광장
인민광장은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에 위치하며, 과거 경마장이었던 부지에 조성되어 퍼레이드와 문화 시설을 갖춘 광장으로, 상하이 시 정부 청사, 박물관, 극장 등 다양한 시설과 지하철역을 포함한다. - 상하이시의 시할구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 상하이시의 시할구 - 바오산구 (상하이시)
바오산구는 상하이시 북부에 위치한 구로, 창장과 황푸강에 접하며 상하이 지하철 노선과 주요 도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하이 대학을 비롯한 교육 시설과 바오산강철 그룹과 같은 산업 시설을 갖춘 온대 계절풍 기후 지역이다.
황푸구 (상하이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간체 | 黄浦区 |
번체 | 黃浦區 |
병음 | Huángpǔ Qū |
상하이어 로마자 표기 | Waon1 phu2 chiu1 |
기본 정보 | |
국가 | 중국 |
성 | 상하이 |
행정 구역 종류 | 구 |
면적 (전체) | 20.52 km² |
육지 면적 | 18.72 km² |
물 면적 | 1.82 km² |
인구 (추정) | 656,200명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8) |
우편 번호 | 200001 |
지역 번호 | 21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위치
황푸구는 상하이시 중심에 위치하며, 동쪽 및 남쪽은 황푸강을 사이에 두고 푸둥 신구와 마주보고 있다. 서쪽은 징안구 및 쉬후이구와 접하고 있으며, 북쪽은 쑤저우강을 사이에 두고 훙커우구 및 징안구와 접해 있다. 구 인민정부 소재지는 옌안둥루 300호이다.[1]
오늘날의 황푸구는 상하이시의 오랜 3개 구인 난시, 황푸, 루완의 합병으로 이루어졌다. 이들 각 구는 뚜렷한 역사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의 황푸구는 2000년 이전에 존재했던 합병 전 황푸구와 구별하기 위해 "신 황푸"라고 불리기도 한다. 2000년, 합병 전 황푸구와 난시구가 합쳐져 새로운 구를 형성했고, 이 또한 황푸구로 불렸다. 2011년 6월에는 기존의 황푸구가 루완구와 합쳐져 또 다른 새로운 구를 형성했으며, 역시 황푸구로 불렸다.[2]
3. 역사
1945년(중화민국력 34년)에 설치되었으며, 이후 라오자구 등을 통합하였다. 2000년 6월 13일에는 난시구를,[3] 2011년에는 루완구를 통합하여 현재의 행정 구역이 되었다.
2000년 상하이시 정부는 난시구를 황푸 구에 통합했으며,[3] 2011년 루완구와 황푸 구의 통합이 발표되었다. 2011년 6월 8일, 루완구와 황푸 구의 통합 계획이 국무원의 승인을 받았다.[3]
3. 1. 난시 (南市)
난시는 '남쪽 도시'라는 뜻으로 역사적으로 상하이의 중심지였다. 황푸강 양안의 성벽으로 둘러싸인 오래된 도시가 여기에 속했다. 상하이 현은 명나라 초기에 설립되었다. 도시의 성벽은 왜구를 막기 위해서 만들어졌고, 이 벽이 상하이 시가지를 정의하는 기준이 되었다. 1842년 구 시가지의 북쪽에 영국인 조계가 설립됨에 따라, 그곳은 상하이 공공 조계가 되었다. 조계가 위치한 곳은 '북쪽 도시'로 일컬어졌고, 성벽으로 둘러싸인 구 시가지는 '남쪽 도시'로 불렸다.[1]
옛 '''난시구'''는 문자 그대로 "남쪽 도시"를 뜻하며, 상하이의 역사적 중심지였다. 여기에는 오래된 성벽 도시뿐만 아니라 황푸강 양쪽의 인근 부두도 포함되었다. 상하이현은 명나라 초기에 설립되었다. 왜구를 격퇴하기 위해 도시 성벽이 건설되었으며, 이 명나라 시대의 성벽은 다음 몇 세기 동안 상하이 도시의 범위를 정의했다.[1]
1842년, 구시가지 북쪽 지역은 상하이에 영국 조계지로 설정되었으며, 이후 상하이 국제 조계가 되었다. 당시 조계는 현지인들에게 "북쪽 도시"로 불렸고, 성벽으로 둘러싸인 중국 도시는 "남쪽 도시"로 불렸다. 이 명칭에서 나중에 ''난시''(南市|난시중국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이 패배하면서, 19세기 중반 이후 처음으로 상하이 도시에 통합적인 시정부가 수립되었다.[1]
1945년, 중화민국 정부가 통제권을 얻은 후, 구시가지는 제3구(이먀오구)와 제4구(펑라이구)로 분할되었다. 1959년, 이들은 합쳐져 '''''난시구'''''를 형성했다(이전 이먀오구의 작은 부분은 루완구로 합병).[1]
3. 2. 황푸 (黃浦)
오늘날의 황푸는 예전에 주로 상하이 공공 조계가 있던 곳이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이곳은 상하이 상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공공 조계는 1943년부터 다시 중국 정부가 관할하게 되었다.[1] 그 후 상하이 시 정부는 지금까지 황푸 구에 위치해 있다.
합병 전의 ''황푸구''는 주로 이전 상하이 국제 조계에 위치해 있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이 지역은 빠르게 상하이의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국제 조계는 1943년 중국 정부에 반환되었다.[1]
1945년 중화민국 정부가 통제권을 얻은 후, 이전 국제 조계의 남동쪽 부분은 제1구(황푸구)와 제2구(라오자구)로 나뉘었다. 이 중 제1구는 황푸강변에 위치해 있었고, 강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56년, 두 구는 합병되어 새롭게 확장된 '''''황푸구''''를 형성했다.[1]
1943년 이래로 상하이 시 정부는 항상 황푸구에 위치해 왔으며, 처음에는 옛 상하이 시 의회 건물, 다음에는 옛 HSBC 빌딩, 현재는 인민 광장에 있는 맞춤형 건물에 위치해 있다.[1] 1945년(중화민국력 34년)에 설치되었다. 이후 라오자구 등을 통합하고, 2000년 6월 13일에 난시구를, 2011년에 루완구를 통합하여 현재의 행정 구역이 되었다.[1]
3. 3. 루완 (盧灣)
과거 '''루완 구'''는 과거 상하이 프랑스 조계지의 동부 대부분과 인근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 지역은 오랫동안 상하이의 주요 주거 지역이자 고급 상업 지역으로 여겨졌다. 플라타너스 가로수, 카페와 레스토랑, 고급 소매점, 역사적인 주택으로 유명하다.
1945년, 중화민국 정부가 통제권을 갖게 된 후, 과거 프랑스 조계지의 동중앙부는 제5구(타이산)와 제6구(루자완)로 나뉘었고, 난충칭루와 루반루가 경계를 이루었다. 이 중 제6구는 '루의 만'을 의미하는 卢家湾|Lújiāwān중국어, 즉 ''자오자방'' 개울의 굽이진 곳을 따라 이름 붙여진 지역인 뤄카웨이를 따서 명명되었다. 프랑스 조계지의 주요 경찰서와 감옥이 이곳에 위치해 있었다. 1947년, 타이산 구는 "쑹산 구"로 개칭되었다.
1950년, 루자완 구는 "루완 구"로 개칭되었다. 1956년, 쑹산 구는 루완 구로 합병되었다. 1959년, 과거 이먀오 구의 일부도 루완 구로 합병되었다.
3. 4. 통합
1945년 (중화민국력 34년)에 설치되었다. 이후 라오자구 등을 통합하고, 2000년 6월 13일에 난시구를,[3] 2011년에 루완구를 통합하여 현재의 행정 구역이 되었다.
2000년에는 상하이시 정부가 난시구를 완전히 폐지하고 황푸 구에 통합했다.[3] 2011년에는 루완구와 황푸 구의 통합이 발표되었다. 2011년 6월 8일, 루완구와 황푸 구의 통합 계획이 국무원의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이 발표되었다.[3]
4. 행정 구역
이름 | 중국어 (간체) | 한어 병음 | 상하이 방언 로마자 표기 | 인구 (2010년)[2] | 면적 (km2) |
---|---|---|---|---|---|
반송위안루 가도 | Bànsōngyuánlù Jiēdào | peu son yeu lu ka do | 89,776 | 2.87 | |
화이하이중루 가도 | Huáihǎi Zhōnglù Jiēdào | wa he tzon lu ka do | 57,931 | 1.41 | |
다푸차오 가도 | Dǎpǔqiáo Jiēdào | tan phu djio ka do | 59,085 | 1.59 | |
난징둥루 가도 | Nánjīng Dōnglù Jiēdào | neu cin ton lu ka do | 66,285 | 2.41 | |
라오시먼 가도 | Lǎoxīmén Jiēdào | lo sij men ka do | 72,898 | 1.24 | |
루이진얼루 가도 | Ruìjīn Èrlù Jiēdào | zeu cin gnij lu ka do | 49,360 | 1.98 | |
우리차오 가도 | Wǔlǐqiáo Jiēdào | ng lij djio ka do | 82,403 | 3.09 | |
샤오둥먼 가도 | Xiǎodōngmén Jiēdào | sio ton men ka do | 74,994 | 2.59 | |
위위안 가도 | Yùyuán Jiēdào | yu yeu ka do | 61,042 | 1.19 |
각 가도는 다시 여러 개의 사회구역(社区)으로 나뉜다.[6]
가도 판사처 | 사회구역 |
---|---|
난징둥루 가도 | 윈난중루, 룽취안위안루, 구이저우루, 신차오, 뉴좡루, 샤먼루, 푸하이, 청싱, 싼더, 푸루이, 핑왕제, 샤오화위안, 창장, 장인, 쥔러, 신창, 전싱, 딩싱, 순톈춘 |
와이탄 가도 | 한커우루, 베이징, 닝보루, 우시루, 둥펑, 산둥베이루, 후추루, 융안루, 융성루, 중산둥이루, 셩쩌, 진링, 푸난, 바오싱, 자오퉁루, 루이푸, 윈난, 산시난루, 신젠얼춘 |
반쏭위안루 가도 | 민리, 취쓰, 시산, 후이닝, 가오슝, 취얼, 싼먼샤, 시민, 시이, 즈자오, 바오툰, 시얼, 야오장화위안, 황푸 신위안, 잉쉰, 하이시, 이위안, 중푸화위안 제일, 처중, 푸이, 신춘, 중푸화위안 제이 |
샤오둥먼 가도 | 신마, 룽탄, 시야오, 중화, 바이두, 톈덩, 샤오스차오, 차오자, 진탄, 자오자자이, 허화츠, 양광, 뚸자, 완위, 푸구, 샹위안 |
위위안 가도 | 쓰신, 바오다이, 광치, 구위, 허우자, 타이양 도시, 단마, 쉬에위안, 루샹, 푸춘, 창성, 광푸, 자오팡, 퉁칭, 타이루이, 화이하이, 후이쥐, 팡시, 구청 |
라오시먼 가도 | 다싱, 다린, 문묘, 쉬에궁제, 차오자제, 아이자농, 샤오타오위안, 팡시에, 파이러우, 예스위안, 룽먼춘, 샤오시먼, 당자완, 징투제, 차오자차, 루싱, 밍르싱청, 루잉 |
우리차오 가도 | 차오이, 차오얼, 중얼, 중이, 톄이, 톄얼, 취난, 취중, 취둥, 취시, 시에투, 다푸, 멍즈, 룽화, 리위안, 상청, 쯔징, 루이난, 하이위에 |
다푸차오 가도 | 다퉁, 자오둥, 타이캉, 젠중, 리이, 멍시, 리얼, 잉싱, 쥐허우, 젠이, 쉬이, 젠산, 쉬얼, 젠우, 진하이, 난탕, 후이룽 |
화이하이중루 가도 | 신화, 허얼, 푸싼, 푸쓰, 즈청, 다화, 류허, 징안, 푸싱, 시청, 샤오허, 루이화, 젠얼, 젠쓰, 젠류, 허이, 순류, 신천지 |
루이진얼루 가도 | 옌당, 옌중, 쥐루, 진장, 난창, 마오밍, 화이중, 창러, 샹산, 융자, 스난, 샨젠, 루이청, 루이싱, 젠더, 루이쉐 |
5. 경제
합병 전의 황푸구는 오랫동안 상하이의 상업 중심지였다. 황푸강 유역을 따라 상하이의 주요 부두들이 위치해 있었다. 부두 뒤, 와이탄에는 주요 금융 기관과 무역 회사들의 사무실이 있었다. 와이탄에서 서쪽으로 뻗어 있는 주요 상업 거리가 여러 개 있다. 여기에는 전국 각지에서 온 방문객들에게 인기 있는 난징둥루가 포함된다. 푸저우루는 상하이 서점의 중심지로, 대규모 일반 서점, 전문 서점 및 출판사가 특징이다.
과거 상하이 레이스 클럽이었던 인민광장은 현재 상하이 대극원, 상하이 박물관, 상하이 미술관 및 상하이 도시계획 전시관의 부지이다. 상하이 자연사 박물관도 황푸구에 위치해 있다.
황푸구는 2023년 기준 상하이시에서 1인당 GDP가 가장 높은 구(621500CNY, 약 86319USD)이며, 2위(창닝구)보다 거의 두 배에 달한다. 황푸구는 전체가 CAZ(중앙 활동 구역)인 유일한 구이다. 또한 황푸구는 상하이시에서 평방미터당 주택 가격이 가장 높다. 특별한 위치로 인해, 일부 유명 기업들도 황푸구에 본사를 두고 있다. 예를 들어, 샤오홍슈(Xiaohongshu) 본사가 황푸구에 있다.[4]
6. 관광
합병 이전의 황푸 구는 상하이의 오랜 상업 중심지였다. 황푸강변을 따라 상하이의 주요 선착장이 위치해있고 그 뒤에 부두 위로 주요 금융 회사의 사무실과 교역소가 있다. 부두 서쪽에는 난징루와 같은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몇몇 주요 상업가로가 있다. 푸저우 로는 상하이 책 판매의 중심지이다. 상하이 인민 광장 주변으로 상하이 대극원, 상하이 박물관, 상하이 미술관이 있고 상하이 자연사 박물관 또한 황푸 구에 있다. 예전의 난시 구였던 곳에는 상하이 성황묘, 예원과 같은 수많은 관광지가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 또한 이곳에 있었다.[1]
오늘날의 황푸구를 구성하는 이전 세 개의 구역은 합병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 옛 난시 구는 상하이의 옛 성곽 도시로, 성황묘와 인근의 예원을 포함하여 많은 중요한 명소를 보존하고 있다. 구 루완 구는 과거 프랑스 조계 지역의 일부였으며, 화이하이 중루는 이 지역의 주요 상업 도로이다.
황푸구는 현재 상하이시의 중심 상업 지구로, 구내에는 상하이시 인민정부와 상하이 와이탄, 예원 등 역사 인문 경관, 더불어 인민광장, 난징루 보행자 거리, 상하이 대극원, 상하이 도시 계획 전시관 등 현대 도시 경관이 위치해 있다.
6. 1. 와이탄 (外灘)
와이탄은 황푸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상하이 상업 중심지였다. 황푸강변을 따라 상하이의 주요 선착장이 위치해 있으며, 그 뒤편에는 주요 금융 회사와 교역소 사무실이 있었다. 와이탄은 1943년 중국 정부에 반환되었다. 현재 황푸구는 상하이시의 중심 상업 지구로, 상하이시 인민정부와 와이탄이 위치해 있다.
6. 2. 난징루 (南京路)
난징루는 합병 전 황푸 구에 있었으며, 도시에서 가장 번화한 상업 거리 중 하나이다. 부두 서쪽에 위치하며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1]

6. 3. 인민광장 (人民廣場)
상하이 인민 광장 주변으로 상하이 대극원, 상하이 박물관, 상하이 미술관이 있고, 상하이 자연 박물관 또한 황푸 구에 있다.[1] 황푸 구는 현재 상하이시의 중심 상업 지구로, 구내에는 상하이시 인민정부와 인민광장 등이 있다.[2]6. 4. 예원 (豫園)
성황묘와 인근의 예원은 옛 난시 구, 즉 상하이의 옛 성곽 도시에 있는 중요한 명소이다.[1] 이 옛 도시는 대대적인 재개발을 겪고 있는데, 기존 주택들은 고층 아파트와 전통적인 중국 양식의 외관을 갖춘 현대식 건물로 대체되고 있다.[1] 옛 성벽과 해자를 따라 건설된 넓은 순환도로는 여전히 성곽 도시의 경계를 보여준다.[1] 성벽은 거의 대부분 철거되었지만, 중세 시대에 탑이 사찰로 개조되면서 살아남은 탑 하나와 이에 부착된 짧은 성벽 구간은 예외이다.[1]6. 5. 신천지 (新天地)
과거 '''루완 구'''는 과거 상하이 프랑스 조계지의 동부 대부분과 인근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 지역은 오랫동안 상하이의 주요 주거 지역이자 고급 상업 지역으로 여겨졌다. 플라타너스 가로수, 카페와 레스토랑, 고급 소매점, 역사적인 주택으로 유명하다.
1945년, 중화민국 정부가 통제권을 갖게 된 후, 과거 프랑스 조계지의 동중앙부는 제5구(타이산)와 제6구(루자완)로 나뉘었고, 난충칭루와 루반루가 경계를 이루었다. 이 중 제6구는 '루의 만'을 의미하는 뤄카웨이를 따서 명명되었는데, 이는 ''자오자방'' 개울의 굽이진 곳을 따라 이름 붙여진 것이다. 프랑스 조계지의 주요 경찰서와 감옥이 이곳에 위치해 있었다. 1947년, 타이산 구는 "쑹산 구"로 개칭되었다.
1950년, 루자완 구는 "루완 구"로 개칭되었다. 1956년, 쑹산 구는 루완 구로 합병되었다. 1959년, 과거 이먀오 구의 일부도 루완 구로 합병되었다.
구 루완 구는 과거 프랑스 조계 지역의 일부였으며, 전통적으로 상하이에서 가장 명망 있는 지역 중 하나였다. 100년도 더 전에 수입된 플라타너스가 늘어선 대로로 유명했다. 급격한 재개발에도 불구하고, 이 구는 뚜렷한 특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자체로 관광 명소이다. 이 지역에는 쑨원,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애그니스 스메들리, 메이란팡 등 많은 역사적 인물들의 거주지가 있었다. 화이하이 중루는 이 지역의 주요 상업 도로이다.
6. 6.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
대한민국 임시정부 또한 이곳에 있었다.[1]7. 교통
황푸구는 상하이 지하철 노선이 잘 갖춰져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특히 '''인민광장역'''은 여러 노선이 교차하는 중심지 역할을 한다.
주요 도로로는 옌안 고가도로, 남북 고가도로, 내환 고가도로가 있으며, 황푸강을 건너는 페리 노선도 운행되고 있다. 페리 노선으로는 둥진선(둥진링루-둥창루), 둥푸선(둥푸싱루-둥창루), 양푸선(둥푸싱루-양자두), 탕둥선(둥자두-탕차오), 난루선(루자방루-난마터우) 등이 있다.
7. 1. 지하철
황푸구에는 현재 상하이 지하철에서 운영하는 9개의 지하철 노선이 운행 중이거나 건설 중이다.중심이 되는 역은 '''인민광장역'''이다.
노선 | 구간 |
---|---|
상하이 지하철 1호선 | 난샤오시루 - 난황피루 - 런민광창 - 신자루 |
상하이 지하철 2호선 | 런민광창 - 난징둥루 |
상하이 지하철 4호선 | 난푸다교 - 난시짱루 - 루반루 |
상하이 지하철 8호선 | 런민광창 - 다스제 - 라오시먼 - 루자방루 - 난시짱루 |
상하이 지하철 9호선 | 다푸차오 - 마다루 - 루자방루 - 샤오난먼 |
상하이 지하철 10호선 | 난샤오시루 - 신톈디 - 라오시먼 - 위위안 - 난징둥루 |
상하이 지하철 12호선 | 난샤오시루 |
상하이 지하철 13호선 | 화이하이중루 - 신톈디 - 마다루 - 스보우관 |
상하이 지하철 14호선 | 난황피루 - 다스제 - 위위안 |
7. 2. 도로
7. 3. 페리
- 둥진선 (둥진링루 - 둥창루)
- 둥푸선 (둥푸싱루 - 둥창루)
- 양푸선 (둥푸싱루 - 양자두)
- 탕둥선 (둥자두 - 탕차오)
- 난루선 (루자방루 - 난마터우)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xzqh.org/[...]
XZQH
2012-05-24
[2]
서적
China Statistics Print
2012
[3]
뉴스
搜狐:上海宣布黄浦区和卢湾区建制撤销 将设新黄浦区
http://roll.sohu.com[...]
搜狐
[4]
웹사이트
Home
https://www.xiaohong[...]
Xiaohongshu
2022-04-22
[5]
간행물
Arrangements for Entry to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HKSAR) from the Mainland China
http://www.immd.gov.[...]
Hong Kong Immigration Department
2017-05-28
[6]
웹사이트
2017年统计用区划代码
http://www.stats.gov[...]
2018-07-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