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개 (기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개 (기독교)는 기독교 신학에서 죄로부터 돌이키는 것을 의미하며, 히브리어 성경에서 "돌아서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신약성경에서 세례자 요한과 예수 그리스도는 회개를 외쳤으며, 베드로와 사도 바울의 설교의 핵심 내용이었다. 가톨릭 신학에서는 죄 사함의 근본으로, 마음의 회심을 강조하며 고해성사를 통해 회개를 실천한다. 개신교에서는 루터교, 개혁주의, 감리교 등 각 교파에 따라 회개에 대한 신학적 입장이 다르며, 자유 은혜 신학은 다른 기독교 전통과 다른 방식으로 회개를 해석한다. 후기 성도 운동에서도 회개를 중요하게 여기며, 초교파 기독교에서는 구원과 거듭남을 위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구원론 - 회개
회개는 여러 종교에서 죄를 뉘우치고 잘못된 길에서 돌아서는 중요한 개념으로, 윤리적 자기 변화, 죄의 속죄, 신과의 관계 회복 등 다양한 목적을 강조한다. - 기독교 구원론 - 영생 (기독교)
영생은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며 믿음을 통해 얻는 하나님의 선물로, 다양한 교파들이 각기 다른 교리를 가지고 있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회개 (기독교) | |
---|---|
기독교에서의 회개 | |
개요 | |
중요성 | |
2. 근원
히브리 성경에서 ''회개''라는 용어는 "돌아서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그룹에서 유래했다.[29] [5] 데이비드 램버트(David Lambert)는 "랍비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의 저술에서 신흥 종교 어휘의 기본 항목인 기술 용어의 지위를 획득했습니다"라고 주장한다.[30] [6]
신약에서 세례자 요한은 연설 중에 회개를 외쳤다.[31] [7] 예수 그리스도 또한 복음을 통해 구원을 선포하면서 회개를 외쳤다.[32] [8] 회개는 베드로와 사도 바울의 설교의 핵심이었다.[33] [9]
신약 성경에서 ''메타노이아''(μετανοέωgrc-x-biblical)는 뉘우침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죄로부터 돌이키는 것으로 번역된다(마태복음 3:2).[34] [5] 신학적으로 '회개', 즉 죄로부터 돌이키는 것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으로의 전환과 연결된다.[29] [5]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와 조나단 S. 로즈는 교회 전체의 회개가 하나님께서 간과하실 수 없는 심각한 악을 제거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설명한다.[10]
2. 1. 구약 성경
히브리 성경에서 ''회개''라는 용어는 "돌아서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그룹에서 유래했다.[29] 데이비드 램버트(David Lambert)는 "랍비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의 저술에서 신흥 종교 어휘의 기본 항목인 기술 용어의 지위를 획득했습니다"라고 주장한다.[30]2. 2. 신약 성경
히브리 성경에서 '회개'라는 용어는 "돌아서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어군에서 유래되었다.[29][5] 데이비드 램버트는 "랍비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의 저술에서 회개는 기술적인 용어, 즉 새롭게 부상하는 종교 용어의 기본 항목의 지위를 얻게 된다"고 주장한다.[30][6]신약에서 세례자 요한은 연설 중에 회개를 외쳤다.[31][7] 예수 그리스도 또한 복음을 통해 구원을 선포하면서 회개를 외쳤다.[32][8] 회개는 베드로와 사도 바울의 설교의 핵심이었다.[33][9]
신약 성경에서 ''메타노이아''(1007/μετανοέω}})는 뉘우침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죄로부터 돌이키는 것으로 번역된다(마태복음 3:2).[34][5][5]
에마누엘 스베덴보리와 조나단 S. 로즈는 교회 전체의 회개가 하나님께서 간과하실 수 없는 심각한 악을 제거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설명한다.[10]
3. 신학
3. 1. 가톨릭
로마 가톨릭 신학에서 회개는 죄 사함의 근본이다.[35] 가톨릭 신자들에게는 대죄가 있는 경우 고해성사를 거행해야 한다.[35]예수의 회개와 참회의 부르심은 외적인 행위가 아니라 마음의 회심, 즉 내적 회심에 목표를 둔다. 내적 회개는 삶 전체의 근본적인 재지향이며, 마음을 다하여 하나님께로 돌아가고, 죄를 끊고, 악에서 돌아서는 것이며, 하나님의 자비에 대한 희망과 은총에 대한 신뢰와 함께 삶을 변화시키려는 열망과 결심이다.[35]
조지 헤이 신부는 그의 교리문답에서 진정한 회개의 주요 부분은 다음 세 가지라고 설명한다. (1.) 죄를 통해 선하신 하나님을 거스른 것에 대한 진심 어린 후회와 마음의 슬픔. (2.) 다시는 그분을 거스르지 않겠다는 확고한 결심과 함께 삶과 행동의 효과적인 변화. (3.) 죄로 인해 하나님께 가해진 손상을 보상하고, 어느 정도 그분의 거스름을 만족시키기 위해 스스로를 벌하는 것이다.[35]
3. 2. 개신교
3. 2. 1. 루터교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콘페시오 아우구스타나/Confessio Augustanala)은 루터교에서 사용되는 주요 신앙고백이다. 개신교 종교개혁의 가장 중요한 문서 중 하나이다. 회개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 "하나는 통회, 즉 죄에 대한 지식으로 인해 양심을 치는 공포다."
- "다른 하나는 믿음, 복음이나 사면에서 태어나 그리스도로 인해 죄가 용서되고 양심을 위로하며 공포에서 구원받는다는 것이다."[36]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서(라틴어: ''Confessio Augustana'')는 루터교에서 사용되는 주요 신앙 고백이다. 이 문서는 종교 개혁의 가장 중요한 문서 중 하나이다. 이 문서는 회개를 두 부분으로 나눈다.
- "하나는 뉘우침, 즉 죄의 지식을 통해 양심을 때리는 공포이다."
- "다른 하나는 복음, 즉 사죄로 인해 생겨나는 믿음이며, 그리스도를 위해 죄가 용서받고, 양심을 위로하며, 공포로부터 벗어난다고 믿는 것이다."[13]
3. 2. 2. 개혁주의 (칼뱅주의)

개혁 전통에서 존 칼빈은 회개는 "하나님에 대한 진지한 두려움에서 출발하고 육신과 옛 사람을 죽이며, 성령으로 인한 영의 살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우리가 제시한 정의를 확대하고 설명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특히 고려해야 할 세 가지 사항이 있다"라고 말했다.
우선, 우리가 회개를 '하나님을 향한 삶의 전환'이라고 부를 때, 우리는 외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영혼 내의 변화도 요구하는 것이다. 옛 본성을 벗어버린 후에는 그 혁신에 상응하는 행동의 열매를 맺어야 한다....
둘째로, 우리는 회개가 하나님에 대한 심각한 두려움에서 나오는 것임을 표현했다. 죄인의 마음이 회개할 수 있으려면 먼저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지식으로 자극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로, 회개는 두 부분, 즉 육신의 죽임과 영의 살림으로 구성된다는 우리의 입장을 설명해야 한다.... 회개의 이 두 가지는 우리가 그리스도에 참여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만일 우리가 그의 죽으심에 참여하면 우리 옛 사람이 그 권세로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죄의 몸이 멸절하리니 이는 우리의 부패한 성품이 그 활력을 모두 잃음이니라.... 만일 우리가 그의 부활에 참여하는 자라면, 그 부활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의에 상응하는 새 생명으로 일으킴을 받는 것이다. "[Hugh T. Kerr가 편집한 John Calvin의 ''A Compend of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에서 인용, The Westminster Press-Philadelphia 1939.]
3. 2. 3. 감리교
감리교 신학에서는 회개를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하나님께 대한 참된 회개는 죄를 알고, 후회하고, 자백하고, 버리는 것이다. 이는 진리를 통해 하나님의 선하심과 준엄하심을 알고, 성령의 확신을 주시는 능력으로 말미암는 것이다." (Matthew영어|마태복음 3:2; Acts of the Apostles영어|사도행전 20:21; Second Epistle to the Corinthians영어|고린도후서 7:10, 11; First Epistle of John영어|요한일서 1:9; 첫 번째 절). —종교 조항, 임마누엘 선교 교회[14]
3. 2. 4. 자유 은혜 신학
자유 은혜 신학은 대부분의 다른 기독교 전통과는 다른 방식으로 회개 교리에 접근한다. 자유 은혜 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회개에 대해 세 가지 견해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15][16]대다수의 자유 은혜 신학자들은 회개(''메타노이아/metanoiagrc'')를 죄로부터 돌이키거나 죄에 대한 슬픔이 아닌 마음의 변화로 간주해야 한다고 가르쳐 왔다. 따라서 이 견해에서 회개는 믿음의 동의어로 간주된다.[17][18][19]
두 번째 견해는 자네 C. 호지스(Zane C. Hodges)에 의해 제시되었는데, 여기서 회개는 자신의 죄로부터 돌이키는 것으로 정의되지만, 회개는 영생의 필요 조건이 아니며 오직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만 필요하다. 자네 호지스는 그의 저서 "하나님과의 화합"에서 이 견해를 제시했으며, 회개는 구원의 조건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교제와 성화의 조건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회개는 불신자들에게 설교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한다. 이 견해에서 ''누가복음 13:3''과 같은 구절은 일시적이고 집단적으로 간주되며, 자네 호지스는 예수가 로마인에 의한 유대 땅의 파멸에 대해 이스라엘 민족에게 경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20][21][22][23]
조셉 딜로우(Joseph Dillow)는 회개가 죄에 대한 후회나 뉘우침을 의미하며, 그의 견해로는 믿음의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라고 가르쳤다. 그러나 딜로우는 회개가 그리스도께 대한 헌신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견해를 거부했다.[20]
3. 3. 초교파 기독교
초교파 기독교, 특히 복음주의와 연관된 교회에서 회개는 구원과 거듭남을 위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24] 이는 설교와 예배 중 특별히 초청되는 주제이며,[24] 기독교인의 삶과 성화 과정의 일부이기도 하다.[25]3. 4. 후기 성도 운동 (몰몬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회원들은 다른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회개를 믿는다. 그들은 회개가 "하나님, 우리 자신, 세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마음과 마음의 변화"라고 믿는다.4. 한국 교회와 회개
4. 1. 한국 교회의 회개 운동
4. 2. 사회적 책임과 회개
4. 3. 더불어민주당과 회개 (정치적 관점)
5. 현대적 의미
5. 1. 개인적 차원
5. 2. 사회적 차원
5. 3. 환경적 차원
참조
[1]
서적
The Christian Workers' Manual
George H. Doran Company
1922
[2]
간행물
Private Confession and Absolution in the Lutheran Church: A Doctrinal, Historical, and Critical Study
1992
[3]
문서
The Cross and Salvation
Demarest
[4]
서적
The Cross and Salvation: The Doctrine of Salvation
Crossway
1997
[5]
문서
Repentance
Inter-Varsity Press
1996
[6]
서적
How Repentance Became Biblical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1-01
[7]
문서
Biblical Interpretation: Theory, Process, and Criteria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3
[8]
문서
Introducing Christian Theologies II: Voices from Global Christian Communities - Volume 2
Lutterworth Press
2016
[9]
문서
A Theology for the Church
B&H Publishing Group
2014
[10]
웹사이트
True Christianity 2: The New Century Edition Portable
http://ithaca-primo.[...]
[11]
서적
Works of the Right Rev. Bishop Hay of Edinburgh
William Blackwood and Sons
[12]
웹사이트
Joseph Martos on The History of Penance and Reconciliation.
http://johnwijngaard[...]
[13]
웹사이트
Augsburg Confession - Book of Concord
http://www.bookofcon[...]
2018-08-15
[14]
서적
Discipline of the Immanuel Missionary Church
Immanuel Missionary Church
1986
[15]
서적
A Defense of Free Grace Theology: With Respect to Saving Faith, Perseverance, and Assurance
https://books.google[...]
Grace Theology Press
2017
[16]
문서
Systematic Theology
[17]
문서
All About Repentance
1974
[18]
서적
A Defense of Free Grace Theology: With Respect to Saving Faith, Perseverance, and Assurance
https://books.google[...]
Grace Theology Press
2017
[19]
웹사이트
Repentance: What's in a Word
https://www.gracelif[...]
2023-04-17
[20]
서적
A Defense of Free Grace Theology: With Respect to Saving Faith, Perseverance, and Assurance
https://books.google[...]
Grace Theology Press
2017
[21]
웹사이트
Unless You Repent You Will All Likewise Perish (Luke 13:3, 5) – Grace Evangelical Society
https://faithalone.o[...]
2018-12-14
[22]
웹사이트
Harmony with God – Grace Evangelical Society
https://faithalone.o[...]
2023-06-08
[23]
웹사이트
Turn and Live: The Power of Repentance – Grace Evangelical Society
https://faithalone.o[...]
2023-06-08
[24]
문서
The Evangelicals: A Historical, Thematic, and Biographical Guid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9
[25]
문서
Transforming Conversion: Rethinking the Language and Contours of Christian Initiation
Baker Academic
2010
[26]
서적
The Cross and Salvation: The Doctrine of Salvation
Crossway
1997
[27]
간행물
[28]
문서
The Cross and Salvation
Demarest
[29]
문서
Repentance
Inter-Varsity Press
1996
[30]
서적
[31]
문서
Biblical Interpretation: Theory, Process, and Criteria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3
[32]
문서
Introducing Christian Theologies II: Voices from Global Christian Communities - Volume 2
Lutterworth Press
2016
[33]
문서
A Theology for the Church
B&H Publishing Group
2014
[34]
문서
Repentance
Inter-Varsity Press
1996
[35]
웹인용
Joseph Martos on The History of Penance and Reconciliation.
http://johnwijngaard[...]
2024-02-21
[36]
웹인용
Augsburg Confession - Book of Concord
http://www.bookofcon[...]
2018-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