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버 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버 댐은 미국 서부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홍수를 조절하기 위해 콜로라도 강에 건설된 댐이다. 1931년에 착공하여 1936년에 완공되었으며, 높이 221.4m, 제방 마루 길이 379.4m, 제체적 250만㎥ 규모의 중력식 아치 댐이다. 댐 건설로 미드 호가 형성되었으며, 수력 발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고 상수도 및 관개 용수를 공급한다. 건설 과정에서 11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노동 환경과 사고, 댐의 디자인 및 건축 양식, 운영, 환경 문제, 관광, 명칭 논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역사적, 기술적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후버 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앤설 애덤스의 후버 댐, 1941년
앤설 애덤스가 촬영한 후버 댐 (1941년)
공식 명칭후버 댐
위치클라크 카운티, 모하비 카운티, 미국
목적전력, 홍수 조절, 물 저장, 수량 조절, 레크리에이션
상태운영 중
착공1931년
개장1936년
건설 비용4,900만 달러 (1931년 예산)
소유주미국 정부
운영자미국 매립국
댐 종류콘크리트 중력 아치 댐
댐 횡단콜로라도 강
댐 길이1,244 피트 (379 미터)
댐 정상 표고1,232 피트 (376 미터)
댐 정상 폭45 피트 (14 미터)
댐 바닥 폭660 피트 (200 미터)
댐 부피3,250,000 입방 야드 (2,480,000 입방 미터)
방수로 유형2개의 제어식 드럼-게이트, 측면 채널
방수로 용량400,000 ft³/s (11,000 m³/s)
저수지 이름미드 호
총 저수 용량28,537,000 에이커 피트 (35.200 km³)
유효 저수 용량15,853,000 에이커 피트 (19.554 km³)
비활성 저수 용량10,024,000 에이커 피트 (12.364 km³)
저수지 유역 면적167,800 제곱 마일 (435,000 제곱 킬로미터)
저수지 표면적247 제곱 마일 (640 제곱 킬로미터)
저수지 최대 길이112 마일 (180 킬로미터)
저수지 최대 깊이590 피트 (180 미터)
저수지 표고1,219 피트 (372 미터)
발전소 운영자미국 매립국
발전소 정보
발전소 가동1936–1960년
수두590 피트 (180 미터) (최대)
터빈13 × 130 MW
2 × 127 MW
1 × 68.5 MW
1 × 61.5 MW (프란시스 터빈)
2 × 2.4 MW (펠턴 터빈)
댐 높이726.4 피트 (221.4 미터)
발전 설비 용량2,078.8 MW
연간 발전량3.3 TWh (2020년)
설비 이용률23%
웹사이트미국 매립국: 하류 콜로라도 지역 - 후버 댐
국가사적지 정보
명칭후버 댐
NRHP 유형NHL
가장 가까운 도시볼더 시티, 네바다주
좌표36°0′56″N 114°44′16″W
건축Six Companies, Inc. (구조), 고든 카우프만 (외관)
건축 양식아르 데코
국가사적지 지정일1985년 8월 20일
등재일1981년 4월 8일
MPSub애리조나주 차량 교량 MPS (AD)
참고 번호81000382
첫 발전1936년 9월 11일

2. 설치 배경

콜로라도강로키산맥에서 시작하여 캘리포니아만까지 2253km를 흐르며 미국 서부의 건조한 지역에 중요한 수원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서부 개척이 시작되고 인구가 급증하면서 안정적인 물 공급의 필요성이 커졌다. 특히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봄과 여름철 눈 녹은 물로 인해 저지대 농경지와 마을이 자주 침수되었고, 반대로 늦여름과 초가을에는 강 수량이 급격히 줄어들어 물 부족 현상이 반복되었다. 이러한 홍수와 가뭄 문제를 해결하고 연중 안정적인 물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콜로라도 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미래 댐 부지의 강 전망, 1904년경


미국 남서부 개발 과정에서 콜로라도강은 관개 용수의 중요한 공급원으로 주목받았다. 1890년대 후반, 토지 투기꾼 윌리엄 비티(William Beatty)는 멕시코 국경 북쪽에 알라모 운하(Alamo Canal)를 건설하여 처음으로 강물을 관개 목적으로 이용하려 시도했다. 이 운하는 멕시코를 거쳐 비티가 임페리얼 밸리(Imperial Valley)라고 명명한 황량한 지역으로 물을 공급했다. 알라모 운하 덕분에 임페리얼 밸리에 정착이 활발해졌지만, 운하 유지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었다. 특히 콜로라도 강물이 살톤호로 터져 들어가는 재앙적인 사고 이후, 서던 퍼시픽 철도는 1906년부터 1907년까지 수로 복구에 300만달러을 투입했으나 연방 정부로부터 비용을 보전받지 못했다. 수로가 안정된 후에도 멕시코 측 토지 소유주들과의 분쟁이 끊이지 않아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전력 전송 기술이 발전하면서 하부 콜로라도강(Lower Colorado)은 수력 발전의 잠재력으로도 주목받기 시작했다. 1902년, 서던 캘리포니아 에디슨(Southern California Edison)은 강을 측량하며 약 12.19m 높이의 암석 댐을 건설하여 10,000 마력의 전기를 생산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당시 기술로는 전력을 약 128.75km 이상 보낼 수 없었고, 이 거리 안에는 전력 수요처가 거의 없었다(대부분 광산). 결국 에디슨 회사는 후버 댐 부지를 포함하여 강 유역에 확보했던 토지 권리를 포기했다.

제안된 댐 부지와 저수지의 스케치, 1921년경


같은 시기, 당시 개척 사업소(Reclamation Service)로 불렸던 미국 개척국(Bureau of Reclamation, BOR) 역시 하부 콜로라도 강을 댐 건설 후보지로 검토하고 있었다. 사업소장 아서 파월 데이비스(Arthur Powell Davis)는 볼더 캐니언(Boulder Canyon)의 양쪽 절벽을 다이너마이트로 폭파시켜 무너뜨린 암석으로 자연스럽게 댐을 만드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강물이 작은 암석 조각들을 쓸어가면 남은 큰 암석들을 이용해 댐을 완성한다는 구상이었다. 그러나 이 방식은 검증되지 않은 기술이었고 비용 절감 효과도 불확실하다는 이유로, 개척 사업소는 수년간의 검토 끝에 1922년 이 제안을 최종적으로 기각했다.

1922년, 개척 사업국은 콜로라도 강에 홍수 조절과 수력 발전을 위한 댐 건설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주로 데이비스가 작성했으며, 당시 내무부 장관 앨버트 폴(Albert Fall)의 이름을 따 '폴-데이비스 보고서'로 불렸다. 보고서는 콜로라도 강 유역이 여러 주에 걸쳐 있고 멕시코로 흘러 들어간다는 점을 들어, 강 이용 문제를 연방 정부 차원에서 다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처음에는 "볼더 캐니언 부근"에 댐 건설을 제안했지만, 현장 조사 결과 볼더 캐니언은 지질 단층 문제와 협곡 폭이 좁아 공사 공간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대신 블랙 캐니언(Black Canyon)이 철도 연결이 용이하고 지질학적으로 안정적인 이상적인 부지로 평가되었다. 부지가 변경되었음에도 프로젝트 명칭은 계속 "볼더 캐년 프로젝트"로 불렸다.

콜로라도 강 물 사용 권한을 둘러싼 주(州) 간의 분쟁 가능성은 댐 건설 추진의 큰 걸림돌이었다. 미국 대법원 판례가 부족하여 소송이 끊이지 않을 것을 우려한 댐 지지자들은 주 간의 합의를 모색했다. 콜로라도주 변호사 델프 카펜터(Delph Carpenter)는 강 유역에 속한 7개 주(캘리포니아, 네바다, 애리조나, 유타, 뉴멕시코, 콜로라도, 와이오밍)가 미국 의회의 승인을 받아 주간 협약(interstate compact)을 체결할 것을 제안했다.[4] 이러한 협약은 미국 헌법 제1조에 근거했지만, 3개 주 이상이 참여한 사례는 없었다. 1922년, 7개 주 대표들은 당시 미국 상무부 장관이었던 허버트 후버의 중재 하에 회동했다. 초기 협상은 난항을 겪었으나, 대법원이 ''와이오밍 대 콜로라도'' 사건에서 상류 주의 권리를 제한하는 판결을 내리자, 각 주는 합의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되었다. 그 결과 1922년 11월 24일, 콜로라도 강 협약(Colorado River Compact)이 체결되었다.

댐 건설을 위한 법안은 캘리포니아주 공화당 소속 하원의원 필 스윙(Phil Swing)과 상원의원 하이럼 존슨(Hiram Johnson)에 의해 여러 차례 발의되었지만, 막대한 건설 비용과 혜택이 주로 캘리포니아에 집중된다는 이유로 다른 지역 대표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그러나 1927년 미시시피 강 대홍수는 중서부와 남부 의원들이 댐 건설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계기가 되었다. 결정적으로 1928년 3월 12일, 로스앤젤레스시가 건설한 세인트 프랜시스 댐이 붕괴하여 최대 600명의 사망자를 낸 참사가 발생했다. 이 댐은 후버 댐에 제안된 아치-중력식과 유사한 곡선 중력식 댐이었기 때문에, 반대론자들은 블랙 캐니언 댐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이에 의회는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하여 댐 설계의 안전성을 검토하도록 했다. 콜로라도 강 위원회는 프로젝트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결론 내리면서도, 만약 댐이 붕괴될 경우 하류 지역 사회 전체가 파괴될 수 있음을 경고하며 "극도로 보수적인 방식으로 건설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928년 12월 21일, 캘빈 쿨리지 대통령은 마침내 댐 건설을 승인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볼더 캐년 프로젝트 법(Boulder Canyon Project Act)은 댐 건설과 더불어 하류의 임페리얼 댐(Imperial Dam) 및 올 아메리칸 운하(All-American Canal) 건설을 포함하여 총 1.65억달러의 예산을 배정했다. 올 아메리칸 운하는 기존의 알라모 운하를 대체하여 미국 영토 내에 건설될 예정이었다. 또한 이 법은 콜로라도 강 협약이 7개 주 중 최소 6개 주의 비준을 받으면 발효되도록 규정했으며, 이는 1929년 3월 6일 유타주의 비준으로 충족되었다. 애리조나주는 1944년에 이르러서야 협약을 최종 비준했다.

3. 추진 경위



미국 남서부 개발 과정에서 콜로라도강은 중요한 관개 용수 공급원으로 주목받았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봄과 여름철 눈 녹은 물로 인한 홍수 피해와 늦여름, 초가을의 가뭄 문제가 반복되면서 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커졌다. 초기 관개 시도로는 1890년대 후반 윌리엄 비티가 건설한 알라모 운하가 있었으나, 운영 비용 문제와 멕시코와의 분쟁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전력 전송 기술이 발전하면서 하부 콜로라도 강은 수력 발전의 잠재력으로도 주목받았다. 1902년 로스앤젤레스의 에디슨 전기 회사는 약 12.19m 높이의 댐 건설을 검토했으나, 당시 기술로는 전력을 보낼 수 있는 거리가 약 128.75km에 불과하여 수요처가 마땅치 않아 계획을 포기했다.

이후 개척국(Bureau of Reclamation, BOR)이 댐 건설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 개척국장 아서 파월 데이비스는 볼더 캐니언에 댐 건설을 구상했으나, 기술적 문제와 비용 문제로 초기 아이디어는 폐기되었다. 1922년, 개척국은 홍수 조절과 발전을 목적으로 콜로라도 강에 댐을 건설해야 한다는 보고서(폴-데이비스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보고서는 콜로라도 강 유역이 여러 주에 걸쳐 있고 멕시코로 흘러 들어간다는 점을 들어 연방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볼더 협곡 부근'을 댐 건설지로 제안했지만, 실제 조사 결과 지질 단층 등의 문제로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최종적으로 블랙 캐니언이 최적의 부지로 선정되었다. 그럼에도 프로젝트 명칭은 계속 "볼더 캐년 프로젝트"로 불렸다.

댐 건설은 콜로라도 강 유역 7개 주(캘리포니아, 네바다, 애리조나, 유타, 뉴멕시코, 콜로라도, 와이오밍) 간의 물 분배 문제와 얽혀 있었다. 미국 대법원의 명확한 지침 부재로 소송 우려가 커지자, 당시 미국 상무부 장관이었던 허버트 후버의 중재 아래 7개 주 대표들이 모여 협상을 벌였다. 그 결과 1922년 11월 24일, 각 주의 물 사용 권리를 규정한 콜로라도 강 협약이 체결되었다.[4]

댐 건설을 위한 법안은 캘리포니아 출신 필 스윙 하원 의원과 하이럼 존슨 상원 의원이 주도했지만, 막대한 비용과 캘리포니아 편중 혜택 논란으로 난항을 겪었다. 그러나 1927년 미시시피 강 홍수와 1928년 세인트 프란시스 댐 붕괴 참사는 댐 건설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세인트 프란시스 댐 붕괴 이후 안전성 우려가 제기되자, 의회는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하여 댐 설계를 검토하도록 했다. 위원회는 댐 건설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면서도, 만일의 붕괴 사태에 대비해 극도로 신중한 건설을 권고했다.

결국 1928년 12월 21일, 캘빈 쿨리지 대통령은 댐 건설을 승인하는 볼더 캐년 프로젝트 법에 서명했다. 이 법은 댐 건설과 함께 하류의 임페리얼 댐 및 올 아메리칸 운하 건설 예산으로 총 1.65억달러를 배정했으며, 7개 주 중 6개 주 이상이 콜로라도 강 협약을 비준하면 발효되도록 규정했다. 유타 주의 비준으로 1929년 3월 6일 법안이 발효되었으나, 애리조나 주는 1944년에야 협약을 최종 비준했다.

댐 건설은 1931년에 시작되었다. 1929년 대통령에 취임한 허버트 후버는 댐 건설을 적극 추진했으며, 같은 해 발생한 대공황 이후에는 실업 구제와 경기 부양을 위한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사업이 더욱 중요해졌다.[53] 댐 건설은 험난한 과정 속에서 약 100여 명의 인명 피해를 낳기도 했지만, 당초 계획보다 2년 앞선 1935년에 완공되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1935년 9월 30일 댐 준공을 선언했다. 발전소 시설은 1936년 완공되어 그해 10월부터 발전을 시작했으며, 이후 증설을 거쳐 1961년 최종 완공되었다.

초기 '볼더 댐'으로 불렸던 댐의 이름은 1947년 미국 의회 결의를 통해 제31대 대통령 허버트 후버를 기념하여 '후버 댐'으로 공식 변경되었다.[53] (자세한 내용은 #명칭 논란 참조) 후버 댐 건설은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콘크리트 구조물이자 전기 설비였을 뿐 아니라, 블록 분할 시공 등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하여 건설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댐 건설로 인해 미국 최대의 인공 호수인 미드 호가 생겨났으며, 이 지역은 현재 미드 호 국립 레크리에이션 지역으로 지정되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3. 1. 명칭 논란

1933년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정치 만평. 이키스 장관이 댐 이름에서 '후버'를 지우려는 시도를 묘사한다.


1928년 댐 건설 승인 법안 통과를 위한 로비 과정에서 언론은 일반적으로 댐을 "볼더 댐"(Boulder Dam) 또는 "볼더 캐니언 댐"(Boulder Canyon Dam)이라고 불렀다. 이는 실제 댐 부지가 볼더 캐니언(Boulder Canyon)에서 블랙 캐니언(Black Canyon)으로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사용된 이름이었다. 1928년의 볼더 캐년 프로젝트 법(Boulder Canyon Project Act, BCPA)에는 댐의 공식적인 이름이나 명칭이 언급되지 않았다. BCPA는 단지 정부가 "블랙 캐니언 또는 볼더 캐니언의 콜로라도 강 본류에 댐과 부대 시설을 건설, 운영 및 유지 관리"하도록 허용했을 뿐이다.[51]

1930년 9월 17일, 당시 내무부 장관이었던 레이 윌버는 라스베이거스와 댐 부지 사이의 철도 건설 시작을 알리는 행사에서 댐의 이름을 당시 대통령 허버트 후버의 이름을 따 "후버 댐"(Hoover Dam)으로 명명했다. 윌버는 후버가 "그의 비전과 끈기... 이 [댐]을 가능하게 하는 데 크게 기여한 위대한 기술자"라는 점을 명분으로 내세웠다. 하지만 현직 대통령의 이름을 따 댐 이름을 짓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고, 일각에서는 "위대한 기술자가 빠르게 나라를 고갈시키고, 도랑을 파고, 댐을 건설했다"는 비판도 나왔다.

1932년 후버가 선거에서 패배하고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행정부가 들어서자, 새로운 내무부 장관 해럴드 L. 이키스는 1933년 5월 13일 댐의 공식 명칭을 다시 "볼더 댐"(Boulder Dam)으로 부르도록 명령했다. 이키스는 윌버가 현직 대통령의 이름을 딴 것이 부적절했으며, 의회가 이 이름을 승인한 적도 없고, 오랫동안 '볼더 댐'으로 불려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호머 커밍스 법무장관은 이키스에게 의회가 이미 5개의 다른 법안에서 "후버 댐"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음을 알렸지만, 이키스는 이를 무시했다. 콜로라도 출신 에드워드 T. 테일러 하원 의원도 1930년 12월 12일 하원 본회의에서 "후버 댐" 이름에 부여된 공식적 지위를 언급했지만[26], 이키스는 이 또한 고려하지 않았다.

이키스는 1935년 9월 30일 댐 헌정식 연설에서 "볼더 댐이라는 이름을 영원히 확정하려고 노력했다"고 자신의 일기에 기록했다. 그는 연설 중 30초 안에 "볼더 댐"이라는 단어를 다섯 번이나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만약 댐 이름을 사람 이름으로 짓는다면, 법안 통과를 주도한 캘리포니아 상원 의원 하이럼 존슨의 이름을 따야 한다고 제안했다. 루스벨트 대통령 역시 댐을 "볼더 댐"이라고 불렀다. 한편, 공화당 성향의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이키스의 이름 변경 시도를 비꼬는 정치 만평을 실었다.

이후 몇 년 동안 "볼더 댐"이라는 이름은 완전히 정착하지 못했고, 많은 미국인들이 두 이름을 혼용했으며 지도 제작자들도 어떤 이름을 사용해야 할지 혼란을 겪었다. 대공황의 기억이 점차 희미해지고, 제2차 세계 대전 중후반기를 거치며 후버 전 대통령이 명예를 어느 정도 회복하자 분위기가 바뀌었다. 1947년, 미국 의회 양원은 만장일치로 댐의 공식 명칭을 "후버 댐"으로 복원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27] 당시 공직에서 물러나 있던 이키스는 이 결정에 반대하며 "후버가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일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을 정도로 작은 사람이었는지 몰랐다"고 비판했다.

4. 건설



1922년 미국 간척 사업국은 콜로라도강의 홍수를 조절하고 수력 발전을 하기 위해 댐 건설을 제안하는 보고서(폴-데이비스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보고서는 콜로라도 강 유역이 여러 주에 걸쳐 있고 멕시코로 흘러 들어간다는 점에서 연방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처음에는 '볼더 협곡'이 후보지로 거론되었으나, 지질 단층 문제와 협소한 공간 때문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최종적으로 '블랙 캐년'이 선정되었다. 블랙 캐년은 라스베이거스에서 철도를 통해 접근하기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었다. 부지가 변경되었음에도 프로젝트 명칭은 한동안 "볼더 캐년 프로젝트"로 불렸다.

당시 콜로라도 강 물 분배에 대한 미국 대법원의 명확한 지침이 없어 주들 간의 소송이 우려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콜로라도주 변호사 델프 카펜터는 강 유역의 7개 주(캘리포니아, 네바다, 애리조나, 유타, 뉴멕시코, 콜로라도, 와이오밍)가 주간 협약을 맺을 것을 제안했다. 1922년 당시 상무부 장관이었던 허버트 후버의 중재 아래 7개 주 대표들이 모여 논의한 끝에, 같은 해 11월 24일 콜로라도 강 협약이 체결되었다.[4]

댐 건설을 위한 법안(볼더 캐년 프로젝트 법)은 캘리포니아 출신 필 스윙 하원의원과 하이럼 존슨 상원의원에 의해 여러 차례 발의되었으나, 막대한 비용과 캘리포니아 편중 혜택에 대한 우려로 다른 지역 대표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그러나 1927년 미시시피 강 홍수와 1928년 세인트 프란시스 댐 붕괴 사고는 댐 건설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세인트 프란시스 댐 붕괴는 제안된 블랙 캐년 댐과 유사한 설계 방식이었기에 안전성 논란을 일으켰고, 의회는 전문가 위원회를 통해 댐 계획을 검토하도록 했다. 위원회는 프로젝트가 실행 가능하다고 판단하면서도, 만일의 붕괴 가능성에 대비해 극도로 신중한 건설을 권고했다. 마침내 1928년 12월 21일, 캘빈 쿨리지 대통령이 댐 건설을 승인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이 법은 댐 건설과 함께 하류의 임페리얼 댐 및 올 아메리칸 운하 건설을 포함하여 총 1.65억달러의 예산을 배정했다.

댐 건설은 1931년에 시작되어 1935년에 마지막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이루어지며 당초 계획보다 2년 앞당겨 완공되었다.[53] 1929년 대통령에 취임한 허버트 후버가 프로젝트를 추진했으며, 마침 대공황이 발생하면서 실업자 구제와 경기 부양을 위한 뉴딜 정책의 일환이라는 성격도 갖게 되었다.[53] 건설 과정은 많은 어려움과 희생을 동반했으며, 정확한 집계는 어렵지만 약 96명에서 112명의 노동자가 건설 중 사고 등으로 목숨을 잃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53] (자세한 내용은 #노동 환경 및 #사고 섹션 참조)

댐 건설에는 뉴욕에서 샌프란시스코까지 2차선 도로를 건설할 수 있을 만큼 막대한 양의 콘크리트가 투입되었다. 또한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기술들이 개발되고 적용되었는데, 대표적으로 댐을 여러 구획(블록)으로 나누어 시공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이는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전기 설비이자 콘크리트 구조물이었던 후버 댐 건설을 가능하게 했고, 나아가 건설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끌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은 1935년 9월 30일 댐의 준공을 공식 선언했다. 발전소 시설은 1년 뒤인 1936년에 완공되어 그해 10월 첫 발전을 시작했으며, 이후 증설을 거쳐 1961년 17번째와 18번째 발전기가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 현재 후버 댐은 총 2080MW의 전력을 생산하여 캘리포니아주, 애리조나주, 네바다주 등지에 공급하고 있다.[53]

댐의 이름은 건설 초기에는 '볼더 댐(Boulder Dam)'으로 불렸고, 인근에 노동자들을 위한 도시 '볼더 시티'가 건설되기도 했다. 그러나 1947년 공화당이 다수당이던 제80차 의회에서 미국의 제31대 대통령 허버트 후버를 기념하여 '후버 댐'으로 공식 명칭을 변경했다.[53]

후버 댐 건설로 인해 거대한 인공 호수인 미드호가 만들어졌다. 미드호는 미국 최대 규모의 인공 호수로, 둘레 885km, 최대 수심 151.4m, 저수 용량 348억 5천만 입방미터에 달한다.[53] 댐과 호수 주변 지역은 미드호 국립 레크리에이션 지역으로 지정되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으며, 라스베이거스에서는 약 48km 거리에 있다.

댐 꼭대기를 지나는 도로는 네바다주도 제172호선인데, 편도 1차선으로 교통 체증이 심각한 병목 현상을 빚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댐 바로 아래쪽에 우회 도로인 콜로라도 강 다리(정식 명칭: 마이크 오캘러핸-팻 틸먼 메모리얼 브리지)가 건설되어 2010년 10월에 개통했다. 이 다리 건설에는 일본의 오바야시구미가 참여했다.

후버 댐은 광대한 건조 지대에 관개 농업을 가능하게 했지만, 동시에 하류 지역에 염류 집적이라는 환경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1961년 하류의 멕시코 정부는 미국이 1944년 체결된 양국 간 물 이용 조약을 위반하고 국제 수역을 오염시켰다며 미국 연방 정부에 공식 항의했다.[54]

오늘날 후버 댐은 미국 현대 건축물 중 7대 건축물의 하나로 꼽히며, 1981년 미국 국립역사관광지, 1985년 미국 국립역사기념물로 지정되는 등 역사적, 공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4. 1. 노동 환경

"점보 리그(Jumbo Rig)" 작업자들; 후버 댐 터널 굴착에 사용됨


"아파치 인디언들이 후버 댐 건설 현장에서 고공 작업자로 고용되었다." – NARA


댐 건설이 승인되자 대공황의 여파로 일자리를 잃은 수많은 사람이 남부 네바다로 몰려들었다. 당시 인구 약 5,000명의 작은 도시였던 라스베이거스에는 10,000명에서 20,000명에 달하는 실업자들이 유입되었다. 댐 건설 부지 근처에는 측량사 등을 위한 정부 임시 캠프가 세워졌고, 곧 그 주변으로 무허가 거주지 캠프가 형성되었다. '맥키버빌(McKeeversville)'로 알려진 이 캠프는 공사 현장에서 일자리를 구하려는 사람들과 그 가족들의 터전이 되었다. 콜로라도강 강변 평지에도 '윌리엄스빌(Williamsville)'이라는 공식 명칭의 캠프가 있었으나, 주민들은 이곳을 '래그타운(Ragtown)'이라 불렀다.

공사가 시작되면서 건설 컨소시엄인 '식스 컴퍼니스(Six Companies)'는 많은 노동자를 고용했다. 1932년에는 3,000명 이상이 급여를 받았으며, 고용 인원은 1934년 7월 5,251명으로 최고조에 달했다. 그러나 건설 계약 조건에 따라 중국인 노동자의 고용은 금지되었고, 식스 컴퍼니스에 고용된 흑인 노동자의 수는 30명을 넘지 않았다. 이들은 대부분 가장 낮은 임금을 받는 격리된 작업반에 배치되었고, 별도의 물통을 사용해야 하는 등 차별적인 대우를 받았다.

계약에 따라 식스 컴퍼니스는 노동자 숙소를 위해 볼더 시티를 건설해야 했으나, 허버트 후버 대통령이 공사 시작일을 앞당기면서 볼더 시티 완공 전에 댐 공사가 시작되었다. 회사는 협곡 벽에 임시 숙소인 '리버 캠프(River Camp)'를 지어 480명의 독신 남성을 수용했다. 가족이 있는 노동자들은 볼더 시티가 완공될 때까지 스스로 거처를 마련해야 했고, 많은 이들이 래그타운에서 생활했다. 후버 댐 건설 현장은 극심한 더위로 악명 높았는데, 특히 1931년 여름은 낮 최고 기온이 평균 약 48.8°C에 달할 정도로 더웠다. 이로 인해 1931년 6월 25일부터 7월 26일 사이에 16명의 노동자와 강변 거주자들이 열사병으로 사망했다.

총감독 프랭크 크로우(오른쪽)와 1935년 관개국 엔지니어 워커 영


열악한 노동 조건 속에서 노동 운동도 발생했다. 1931년 8월,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 일명 "워블리스")이 노동자 조직화를 시도했으나, 노동자들은 이들과 거리를 두었다. 같은 달 7일, 회사가 터널 노동자들의 임금을 삭감하자 노동자들은 자체적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 회사 측에 요구 사항을 전달했다. 그러나 총감독 프랭크 크로우는 노동자들의 요구를 거부하고 언론 인터뷰를 통해 이들을 "불만자"로 묘사하며 강경하게 대응했다. 9일 아침, 크로우는 위원회에 요구 거부와 함께 작업 중단 및 전 직원 해고(일부 사무직, 목수 제외)를 통보하고 오후 5시까지 현장을 떠날 것을 명령했다. 폭력 사태를 우려한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임금을 받고 라스베이거스로 떠났고, 남은 이들도 이틀 후 법 집행 기관의 설득으로 철수했다. 8월 13일 회사가 다시 노동자를 고용하기 시작하면서 파업은 끝났지만, 노동자들의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다만 회사는 더 이상의 임금 삭감은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1931년 말, 첫 주민들이 볼더 시티로 이주하면서 생활 환경은 점차 개선되기 시작했다.

두 번째 노동 운동은 댐 건설이 마무리되던 1935년 7월에 일어났다. 식스 컴퍼니스의 한 관리자가 노동자들의 점심 시간을 자율적으로 갖도록 근무 시간을 변경하자 노동자들이 파업으로 맞섰다. 크로우가 점심 시간 변경 명령을 철회하자, 노동자들은 이에 고무되어 하루 1USD의 임금 인상을 포함한 요구 사항을 제시했다. 회사는 연방 정부에 임금 보조를 요청하기로 했으나 지원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파업은 결국 종료되었다.

정확한 집계는 없으나, 건설 기간 중 사고 등으로 96명에서 112명 사이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4. 2. 사고



후버 댐 건설은 1931년 시작되어 1936년 완공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많은 노동자의 희생이 따랐다. 공식적으로 집계된 사고 사망자 수는 96명 또는 112명으로 알려져 있다.[53] 이는 세계 대공황 시기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한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대규모 공공 사업이었으나, 노동 환경은 매우 열악했다.

댐 건설 승인 소식에 수많은 실업자들이 일자리를 찾아 네바다주 남부로 몰려들면서, 당시 인구 5,000명 정도의 작은 도시였던 라스베이거스는 1만 명에서 2만 명에 달하는 인파로 북적였다. 댐 건설 현장 인근에는 정부 임시 캠프와 함께 노동자들이 자발적으로 형성한 무허가 거주지 캠프(McKeeversville, Ragtown 등)가 생겨났다.

건설을 맡은 Six Companies는 1934년 7월 최대 5,251명의 노동자를 고용했지만, 노동 조건은 가혹했다. 계약 조항에 따라 아시아계 노동자 고용은 금지되었고, 고용된 소수의 흑인 노동자(약 30명)는 가장 낮은 임금을 받으며 격리된 작업반에서 일하고 별도의 물통을 사용해야 하는 등 인종 차별을 겪었다.

허버트 후버 대통령의 지시로 댐 공사가 예정보다 일찍 시작되면서 노동자 숙소인 볼더 시티 건설이 지연되었다. 이로 인해 많은 노동자와 그 가족들은 열악한 임시 캠프에서 생활해야 했다. 특히 1931년 여름, 후버 댐 부지는 평균 낮 최고 기온이 약 48.8°C에 달하는 극심한 더위에 시달렸고, 6월 25일부터 7월 26일 사이에만 16명의 노동자와 강변 거주자들이 열사병으로 사망했다.

열악한 노동 조건과 저임금에 대한 불만은 노동 운동으로 이어졌다. 세계산업노동자연맹(IWW)이 노동조합 조직을 시도했으나 회사의 방해와 당국의 탄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31년 8월, 회사가 터널 노동자들의 임금을 삭감하자 노동자들은 파업에 돌입했다. 그러나 총감독 프랭크 크로우는 노동자들의 요구를 거부하고 작업을 중단, 대부분의 노동자를 해고하는 강경책으로 대응했다. 결국 파업은 실패로 끝났고, 노동자들은 아무런 요구 사항도 관철하지 못했다. 1935년 7월에도 점심시간 변경 문제로 다시 파업이 발생했으나, 임금 인상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처럼 후버 댐 건설 현장은 위험한 작업 환경, 극심한 더위, 열악한 주거 환경, 인종 차별, 노동 탄압 등으로 인해 많은 노동자들의 희생을 낳았다. 공식적인 사고 사망자 외에도 열사병 등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이는 당시 대규모 토목 공사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준다.

4. 3. 디자인 및 건축 양식

후버 댐은 건설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콘크리트 건축물로 평가받았다. 댐의 구조는 아치-중력식으로 설계되어, 협곡의 측벽이 저수지의 막대한 수압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하였다.[34] 이러한 공학적 성취와 규모 덕분에 후버 댐은 오늘날 미국 현대 건축물 중 7대 건축물 중 하나로 꼽히며, 1985년 미국 국립역사기념물로 지정되었다.

5. 구조 및 기술적 특징

후버 댐 기본 제원
항목내용
하천콜로라도 강
목적수위 조절, 발전, 상수도
형식중력식 아치
제방 높이221.4m
제방 마루 길이379.4m
제체적250만 ㎥
저수 면적639km2
유효 저수 용량344억 ㎥
착수1931년
준공1936년
댐 호수 명칭미드 호



1934년 2월 콘크리트로 채워지고 있는 후버 댐의 기둥들(네바다 림에서 상류 방향)


댐 건설에서 콘크리트 타설은 1933년 6월 6일, 예정보다 18개월 일찍 시작되었다. 콘크리트는 양생 과정에서 열팽창수축을 반복하는데, 만약 댐 전체를 한 번에 부으면 콘크리트가 완전히 식는 데 125년이 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으로 인해 댐이 갈라지거나 부서질 수 있다는 계산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척국 엔지니어들은 댐 부지를 여러 구획으로 나누고, 각 구획에 기둥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쌓아 올리는 방식을 고안했다. 일부 블록은 한 변이 약 15.24m인 정사각형에 높이 약 1.52m 크기였다.

각 블록의 거푸집 안에는 약 2.54cm 직경의 강철 파이프를 설치하여 냉각 시스템을 만들었다. 처음에는 차가운 강물을 파이프로 흘려보냈고, 이후에는 냉동 플랜트에서 생산된 얼음물을 순환시켜 콘크리트의 열을 식혔다. 개별 콘크리트 블록이 충분히 양생되어 수축이 멈추면, 냉각 파이프 내부는 그라우트로 채워졌다. 또한, 블록과 블록 사이의 미세한 틈새 역시 그라우트로 메워 댐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였는데, 접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 틈새 표면에는 홈을 파두었다.

콘크리트 운반에는 높이 약 2.13m, 지름 약 약 2.13m 크기의 거대한 강철 버킷이 사용되었다. 이 버킷은 프랭크 크로우(Frank Crowe)가 설계하여 특허를 받았으며, 콘크리트를 가득 채웠을 때 무게는 약 18143.70kg에 달했다. 네바다 쪽에 설치된 두 개의 대형 콘크리트 플랜트에서 생산된 콘크리트는 특수 제작된 철도 차량에 실려 현장으로 옮겨졌고, 이후 공중 케이블카에 매달린 버킷을 이용해 정확한 타설 위치까지 운반되었다. 댐의 위치에 따라 요구되는 콘크리트 골재의 등급(완두콩 크기의 자갈부터 최대 약 22.86cm 크기의 돌까지)이 달랐기 때문에, 적합한 버킷을 정확한 위치로 보내는 것이 중요했다. 버킷 바닥이 열리면서 8cuyd의 콘크리트가 쏟아지면, 여러 명의 작업자가 이를 거푸집 안에 고르게 폈다. 당시 콘크리트 타설 작업 중 인부가 콘크리트에 빠져 댐에 묻혔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각 버킷이 붓는 콘크리트 양은 거푸집을 약 약 2.54cm 깊이로 채우는 정도였고, 시공사인 Six Companies의 엔지니어들은 인체로 인한 구조적 결함을 용납하지 않았을 것이다.

방수 중인 후버 댐


1935년 5월 29일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될 때까지 댐 본체 건설에만 총 3250000cuyd의 콘크리트가 사용되었다. 발전소 및 기타 부대시설 건설에는 추가로 1110000cuyd가 투입되었다. 콘크리트 내부에는 총 길이 약 936.64km 이상의 냉각 파이프가 매설되었다. 댐 전체에 사용된 콘크리트 양은 샌프란시스코에서 뉴욕까지 2차선 고속도로를 포장할 수 있는 엄청난 규모이다.[32] 1995년, 댐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콘크리트 코어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후버 댐의 콘크리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해서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매스 콘크리트에서 발견되는 압축 강도를 뛰어넘는 내구성을 지닌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후버 댐의 콘크리트는 하류의 파커 댐과 달리 알칼리-실리카 반응(ASR)으로 인한 손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파커 댐에서는 ASR로 인해 측정 가능한 수준의 열화가 발생한 바 있다.

6. 운영

1936년 10월 첫 발전을 시작했으며,[41] 1961년 17번째 및 18번째 발전기가 가동되면서 당시 최대 발전 용량인 1,345MW에 도달했다.[41][42] 이후 1986년부터 1993년까지 진행된 증설 프로젝트를 통해 현재 후버 댐 발전소의 총 순 발전 정격 용량은 최대 2,080MW이다. 이는 댐 자체 운영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2.4MW급 펠톤 터빈 발전기를 포함한 수치이다.[29]

후버 댐의 연간 발전량은 미드 호의 수위와 방류량에 따라 변동한다. 최대 순 발전량은 1984년에 10.348 TWh를 기록했으며, 1940년 이후 최소 발전량은 1956년의 2.648 TWh였다. 1947년부터 2008년까지의 연평균 발전량은 약 4.2 TWh이다.[29]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지속된 가뭄과 콜로라도강 물 수요 증가로 미드 호 수위가 낮아지면서 발전량도 감소하는 추세다. 2014년에는 발전 용량이 23% 감소한 1,592 MW까지 줄어들었으며,[13] 2015년 발전량은 3.6 TWh에 그쳤다.[12] 미드 호 수위는 2021년 6월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17] 원래 설계상으로는 수위가 약 320.04m 아래로 내려가면 발전이 불가능했지만, 낮은 수위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새로운 터빈 5기를 설치하여 최소 발전 가능 수위를 약 289.56m까지 낮추었다.[15]

후버 댐 아래 발전소의 터빈/발전기 데크.
후버 댐 아래 발전소의 터빈/발전기 데크.


2000년 이후 발전량 감소.


댐 건설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물 관리였지만, 발전은 댐 프로젝트의 재정적 자립을 가능하게 했다. 전력 판매 수익금은 50년 만기의 건설 비용 대출 상환과 연간 유지 보수 비용 충당에 사용된다. 전력 생산은 하류의 물 수요에 맞춰 방류가 이루어질 때 함께 이루어진다.[43]

후버 댐에서 생산된 전력은 캘리포니아주, 애리조나주, 네바다주 등 남서부 지역에 공급된다. 전력 할당은 의회에서 제정한 법률에 따라 결정되며, 1987년부터 2017년까지 적용된 계약에 따른 주요 할당 비율은 다음과 같다.[29] 2011년에는 기존 계약을 2067년까지 연장하는 법안이 통과되었으며, 일부 물량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 및 기타 기관에 배정되었다.[52] 발전소 운영은 초기에 로스앤젤레스 수도전력국(LADWP)과 서던 캘리포니아 에디슨(SCE)이 담당했으나, 1987년부터는 미국 개척국(Bureau of Reclamation)이 직접 관리하고 있다.

지역비율
남부 캘리포니아 대도시 수자원국(Metropolitan Water District of Southern California)28.53%
네바다 주(Nevada)23.37%
애리조나 주(Arizona)18.95%
로스앤젤레스 수도전력국(Los Angeles Department of Water and Power)15.42%
서던 캘리포니아 에디슨(Southern California Edison)5.54%
볼더 시(Boulder City)1.77%
글렌데일 시(Glendale)1.59%
패서디나 시(Pasadena)1.36%
애너하임 시(Anaheim)1.15%
리버사이드 시(Riverside)0.86%
버넌 시(Vernon)0.62%
버뱅크 시(Burbank)0.59%
아주사 시(Azusa)0.11%
콜턴 시(Colton)0.09%
배닝 시(Banning)0.05%



1940년 9월, 관광객들이 발전소의 네바다 측에서 발전기 중 하나 주변에 모여 작동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댐 운영에는 미드 호의 저수 기능과 하류로의 용수 공급 역할도 포함된다. 미드 호는 미국 최대의 인공 호수로, 후버 댐에서 방류된 물은 콜로라도 강 아쿼덕트, 중앙 애리조나 프로젝트, 올 아메리칸 운하 등을 통해 애리조나, 네바다, 캘리포니아 지역 약 1,800만 명의 주민에게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100만 에이커 이상의 농경지에 관개 용수를 제공한다.[43][19] 2018년에는 로스앤젤레스 수도전력국이 풍력 및 태양광 발전을 이용해 하류의 물을 미드 호로 다시 끌어올리는 약 30억달러 규모의 양수 발전 프로젝트를 제안하기도 했다.[20][21][22]

1983년 홍수 기간에 애리조나 방수로 ''(왼쪽)''로 물이 유입되고 있다. 미드 호의 수위는 였다.


홍수 시 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양쪽 교각 뒤에는 방수로(spillway)가 설치되어 있다. 각 방수로는 4개의 거대한 강철 드럼 게이트를 통해 유입 수량을 조절하며, 최대 200000ft3/s의 물을 방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44] 물은 방수로 터널을 통해 댐 하류로 방류되는데, 이 터널은 1941년 시험 가동과 1983년 실제 홍수 때 사용되었다. 두 차례 모두 고속의 물 흐름으로 인한 캐비테이션 현상으로 터널 내벽 콘크리트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후 터널 보수 및 플립 버킷, 에어레이터 설치 등 개선 작업이 이루어졌다. 댐 하부에는 비상 방류를 위한 제트 흐름 게이트도 설치되어 있으나, 실제 방류보다는 수압관 유지보수를 위해 주로 사용된다.

6. 1. 환경 문제

후버 댐 건설 및 운영으로 인한 물 흐름과 사용의 변화는 콜로라도강 삼각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댐 건설은 이 강어귀 생태계의 쇠퇴를 초래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댐 건설 후 6년 동안 미드 호가 채워지는 과정에서 강 하구에는 사실상 물이 거의 도달하지 못했다.[49] 한때 강 하구에서 약 64.37km(약 64km) 떨어진 곳까지 담수와 염수가 섞이던 삼각주의 강어귀는, 강 하구 가까이에서 염도가 더 높은 역 강어귀로 변모했다.

콜로라도강은 후버 댐 건설 이전에는 주기적으로 자연적인 홍수를 겪었다. 그러나 댐 건설로 인해 이러한 자연 홍수가 사라지면서, 홍수에 적응해 살아가던 식물과 동물을 포함한 많은 종들이 생존에 위협을 받게 되었다. 특히 댐 건설은 댐 하류 강에 서식하는 토착 어류의 개체 수를 급격히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콜로라도 강에 서식하던 네 종의 토착 어류, 즉 보네테일 처브, 콜로라도 파이크미노, 혹등처브, 레이저백 서커는 현재 미국 연방 정부에 의해 멸종 위기 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50]

댐 건설은 하류 지역에 염류 집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댐으로 인해 물 흐름이 조절되면서 하류 토양에 염분이 축적되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이는 농업 등에 문제를 일으켰으며, 특히 멕시코와의 외교적 마찰로 이어졌다. 1961년, 멕시코 정부는 미국 정부가 1944년에 체결된 '콜로라도 강, 티후아나 강 및 리오 그란데 강 물 이용에 관한 미국과 멕시코 간의 조약'을 위반하고 국제 수역을 오염시켰다며 공식적으로 항의했다.[54]

7. 관광

마이크 오'컬라한-팻 틸만 기념교에서 바라본 후버 댐


후버 댐에서 보이는 마이크 오'컬라한-팻 틸만 기념교


후버 댐은 완공 후인 1937년 관광객에게 개방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일본 제국진주만 공격 이후 1941년 12월 7일부터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었다. 이 기간에는 허가된 차량만이 호송 하에 통행할 수 있었다. 전쟁이 끝난 후인 1945년 9월 2일에 다시 개방되었고, 1953년에는 연간 방문객 수가 448,081명에 달했다. 댐은 존 F. 케네디 대통령 추모일인 1963년 11월 25일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 추모일인 1969년 3월 31일에 일시적으로 폐쇄되기도 했다.

1995년에는 새로운 방문자 센터가 건설되었으며, 이듬해인 1996년에는 연간 방문객 수가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9.11 테러가 발생한 2001년 9월 11일 다시 일반인에게 폐쇄되었고, 같은 해 12월에 일부 수정된 형태로 관람이 재개되었다. 다음 해에는 새로운 "디스커버리 투어"가 추가되었다. 오늘날 연간 약 100만 명의 사람들이 미국 연방 개척국에서 제공하는 댐 관람 프로그램을 이용한다.[48] 그러나 정부의 보안 우려가 커지면서 댐 내부 구조의 대부분은 관광객의 접근이 제한되었고, 그 결과, 방문객들은 앨런 터퍼 트루가 디자인한 내부 장식물을 거의 볼 수 없게 되었다. 현재 방문객은 현장에서만 표를 구매할 수 있으며, 시설 전체를 안내하는 관람 또는 발전소 구역만 둘러보는 관람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방문자 센터는 유일하게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는 공간으로, 다양한 전시물을 관람하고 댐의 360도 전망을 즐길 수 있다.[25]

과거 댐 상부에는 미국 93번 국도의 일부로서 콜로라도 강을 건너는 2차선 도로가 있었다.[24] 그러나 9.11 테러 이후 보안 문제가 제기되면서 후버 댐 우회로 프로젝트가 가속화되었다. 우회로가 완공되기 전까지 일부 차량은 검사를 거쳐 댐 위 도로 통행이 허용되었으나, 세미 트레일러 트럭, 짐을 실은 버스, 길이가 약 12.19m를 초과하는 밀폐형 박스 트럭 등은 통행이 금지되어 다른 도로로 우회해야 했다.[45]

2010년 10월 19일, 4차선의 후버 댐 우회로가 개통되었다.[46] 이 우회로에는 댐에서 약 약 457.20m 하류에 건설된 강철-콘크리트 복합 아치교인 마이크 오'컬라한-팻 틸만 기념교가 포함된다. 우회로 개통으로 후버 댐을 통과하는 차량 통행은 더 이상 허용되지 않으며, 댐 방문객은 기존 도로를 이용해 네바다 쪽에서 접근하여 애리조나 쪽에 있는 주차장 및 기타 시설로 건너갈 수 있다.[47]

후버 댐 건설로 생긴 미드 호 주변 지역은 미드 호 국립레크리에이션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관광 도시인 라스베이거스와는 약 48km 거리에 있다.

8. 한국과의 관계

'''후버 댐'''과 대한민국 간의 직접적인 관계나 교류에 대한 내용은 주어진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는다. 댐 건설이나 운영, 관련 기술 등에서 한국 기업이나 인력이 참여했다는 기록은 찾아볼 수 없다.

다만, 댐 하류에 건설된 마이크 오캘러핸-팻 틸먼 기념 다리(Mike O'Callaghan–Pat Tillman Memorial Bridge|마이크 오캘러핸-팻 틸먼 메모리얼 브리지eng) 건설에는 일본 기업인 오바야시구미가 참여하여 2010년 10월에 완공하였다. 이는 동아시아 국가의 기업이 후버 댐 관련 중요 시설 건설에 참여한 사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you need to know about Lake Mead's falling water levels https://lasvegassun.[...] 2021-06-27
[2] 웹사이트 Construction of Hoover Dam https://waterandpowe[...]
[3] 웹사이트 Nevada and Arizona: Hoover Dam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2-07-14
[4] 웹사이트 Sharing Colorado River Water: History, Public Policy and the Colorado River Compact https://wrrc.arizona[...] 2011-12-09
[5] 간행물 Impacts of the 1928 St. Francis Dam Failure on Geology, Civil Engineering, and America http://web.mst.edu/~[...] Missouri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2007-09-28
[6] 문서 USStatute
[7] 문서 Olberhelman, Olberhelman, and Lampe. Quail Lakes & Coal: Energy for Wildlife ... and the World, 2013, page 60
[8] 서적 The Hoover Dam https://archive.org/[...] Twenty-First Century Books 2003
[9] 웹사이트 Fatalities at Hoover Dam http://digital-deser[...] 2016-12-07
[10] 웹사이트 Hoover Dam: 1935 Fatalities http://www.usbr.gov/[...] 2015-03-12
[11] 웹사이트 Catching a Wave - Jet Flow Gate Testing Brings a Crowd https://www.usbr.gov[...] 2015-03-12
[12] 웹사이트 OPERATION PLAN FOR COLORADO RIVER SYSTEM RESERVOIRS http://www.usbr.gov/[...] Bureau of Reclamation 2015-12-01
[13] 웹사이트 Receding Lake Mead poses challenges to Hoover Dam's power output http://www.eenews.ne[...] E&E Publishing, LLC 2014-06-30
[14] 웹사이트 Lake Mead Drops to its Lowest-Ever Level http://knau.org/post[...] 2016-07-15
[15] 웹사이트 Drought Diminishes Hydropower Capacity in Western U.S. https://wrrc.arizona[...]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2015-01-01
[16] 웹사이트 Lake Mead Water Level http://mead.uslakes.[...] 2019-06-30
[17] 뉴스 Lake Mead: Largest US reservoir dips to record low https://www.bbc.com/[...] 2021-06-11
[18] 웹사이트 Hoover Dam, symbol of the modern West, faces a new test with an epic water shortage https://www.azcentra[...] The Arizona Republic 2021-05-27
[19] 웹사이트 Parker Dam and Powerplant http://www.usbr.gov/[...] U.S. Bureau of Reclamation 2015-10-16
[20] 뉴스 Los Angeles considers $3B pumped storage project at Hoover Dam https://www.utilityd[...] 2018-07-26
[21] 웹사이트 City Of Los Angeles Wants To Turn Hoover Dam Into World's Largest Pumped Energy Storage Facility https://cleantechnic[...] 2018-07-26
[22] Youtube The plan to turn Hoover Dam into a giant battery https://www.youtube.[...] 2018-08-22
[23] 웹사이트 House, after stiff debate, backs cheap power for 3 Western states https://www.nytimes.[...] 1984-05-04
[24] 웹사이트 Hoover Dam Bypass an American Triumph http://www.azcentral[...] 2010-10-17
[25] 웹사이트 The Hoover Dam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Visiting https://www.tripstod[...] 2018-12-03
[26] 문서 Congressional Record, Vol. 74 part 1, p. 646
[27] 간행물 H. J. Res. 140. To restore the name of Hoover Dam https://www.loc.gov/[...]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47-04-30
[28]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Lake Mead http://www.usbr.gov/[...] Bureau of Reclamation 2010-07-02
[29]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ydropower http://www.usbr.gov/[...] Bureau of Reclamation
[30] 웹사이트 Hoover Dam http://tps.cr.nps.go[...] National Park Service 2010-07-04
[31] 웹사이트 Inventory-Nomination form: Hoover Dam "{{NHLS url|id=81000[...] National Park Service 2010-07-02
[32] 웹사이트 Lower Colorado Bureau of Reclamation: Hoover Dam, Facts and Figures http://www.usbr.gov/[...] Bureau of Reclamation 2010-07-04
[33] 웹사이트 Tunnels http://www.usbr.gov/[...] Bureau of Reclamation 2010-07-04
[34] 웹사이트 Cofferdams http://www.usbr.gov/[...] Bureau of Reclamation 2010-07-04
[35] 웹사이트 High Scalers http://www.usbr.gov/[...] Bureau of Reclamation 2010-07-04
[36] 웹사이트 Hoover Dam: Grout Curtain Failure and Lessons Learned in Site Characterization http://web.mst.edu/~[...] 2005-09-22
[37] 웹사이트 Artwork https://web.archive.[...] Bureau of Reclamation 2010-10-20
[38] 웹사이트 Fatalities https://web.archive.[...] Bureau of Reclamation 2011-02-07
[39] 간행물 Hoover's Promise: The Dam That Remade The American West Celebrates Its 75th Anniversary 2010-Summer
[40] 웹사이트 The Grand Dam https://web.archive.[...] Bureau of Reclamation 2004-09-10
[41] 웹사이트 Chronology https://web.archive.[...] Bureau of Reclamation 2010-07-04
[42] 웹사이트 Hoover Dam and Lake Mead http://www.a2zlasveg[...] Charleston Communications, A2Z Las Vegas 2010-07-04
[43] 웹사이트 Hoover Dam and Powerplant https://web.archive.[...] Bureau of Reclamation 2010-07-04
[44] 웹사이트 Spillways https://web.archive.[...] Bureau of Reclamation 2010-07-04
[45] 웹사이트 Crossing Hoover Dam: A Guide for Motorists https://web.archive.[...] Bureau of Reclamation 2010-06-21
[46] 뉴스 Hoover Dam bypass bridge finally opens https://www.nbcnews.[...] 2010-10-20
[47]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eb.archive.[...] 2010-06-21
[48] 웹사이트 Hoover Tour information https://web.archive.[...] Bureau of Reclamation 2010-06-21
[49] 서적 The World's Water, 2002–2003: The Biennial Report on Freshwater Resources https://books.google[...] Island Press
[50] 웹사이트 Upper Colorado River Endangered Fish Recovery Program http://www.fws.gov/C[...]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2010-06-21
[51] 웹사이트 Boulder Canyon Project Act https://web.archive.[...] 1928-12-21
[52] 뉴스 President signs Hoover Dam Power Allocation Act https://web.archive.[...] Association of California Water Agencies 2011-12-20
[53] 웹사이트 アメリカを象徴するダム「フーバーダム」 https://www.jcca.or.[...] 一般社団法人建設コンサルタンツ協会 2022-11-13
[54] 서적 アメリカはなぜダム開発をやめたのか 築地書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