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ㄱ은 한글 자모의 첫 번째 글자이며, 훈민정음 창제 당시 어금니소리를 본떠 만들어졌다. 현대 한국어에서 혀 뒤쪽을 연구개에 밀착시켜 발음하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을 나타내며, 음소 기호는 /k/로 표시된다. 초성에서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 어중에서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으로 발음되며, 종성에서는 내파음으로 소리 난다. ㄱ은 다양한 로마자 표기법, 모스 부호, 점자, 그리고 유니코드에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옛 한글이 사용된 문서 - 황제
황제는 진시황에서 유래한 최고 통치자 칭호로, 동양에서는 천자의 개념과 연결되었고 서양에서는 로마 황제의 칭호에서 유래했으며,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호칭과 의미를 지녔으나 현재는 일본 천황만이 유일하게 그 칭호를 유지하고 있다. - 옛 한글이 사용된 문서 - 외래어
외래어는 다른 언어에서 유입되어 특정 언어에 정착한 단어 또는 표현으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발음, 의미, 형태 등이 변화하고 외국어, 차용어, 부분 바꿈, 번역 차용, 신조어, 뜻 차용 등의 형태로 수용되면서 원래 의미와 다르게 사용되기도 하며, 각 언어는 외래어 수용에 대한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외래어 순화 운동을 통해 사용을 제한하기도 한다. - 특수 문자 - 양곤
양곤은 미얀마의 최대 도시이자 과거 수도로, 6세기 몬족의 작은 어촌에서 시작되어 알라웅파야 왕에 의해 개명 및 확장되었고, 영국령 버마의 수도를 거쳐 현재는 미얀마의 상업, 경제, 문화 중심지이지만 2005년 행정 수도가 네피도로 이전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 불교 사원과 역사적 건축물을 보유하고 최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특수 문자 - 황제
황제는 진시황에서 유래한 최고 통치자 칭호로, 동양에서는 천자의 개념과 연결되었고 서양에서는 로마 황제의 칭호에서 유래했으며,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호칭과 의미를 지녔으나 현재는 일본 천황만이 유일하게 그 칭호를 유지하고 있다. - 한글 낱자 - ㄸ
ㄸ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ㄷ을 겹쳐 쓴 형태이며, 된소리를 나타내고, 무성 파열음으로 발음되며, 유니코드에는 U+3138 (단독형)과 U+1104 (초성용) 코드로 등록되어 있다. - 한글 낱자 - ㅃ
ㅃ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쌍비읍이라고도 하며,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순음의 전탁으로 분류되고, 무성 양순 파열음의 된소리 /p'/로 발음되며, 유니코드에서 U+3143, U+1108 등의 코드 값을 가진다.
ㄱ | |
---|---|
문자 정보 | |
한글 자모 | 닿소리 |
종류 | 어금닛소리 |
자명 (표준어) | 기역 |
자명 (문화어) | 기윽 |
훈몽자회 | 其役 (기역) ('윽' 대신 '役 (역)'을 사용) |
자원 |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상형) |
획수 | 1 |
매큔-라이샤워 표기 | k |
국어의 로마자 표기 | g (초성, 모음 앞 종성) k (모음 앞이 아닐 때 종성) |
어두 발음 | 무성 연구개 파열음 |
어말 발음 | 연구개 불파음 |
이음 |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경음 후행 자음이 ㅎ일 경우: 기역(기윽) 뒤에 모음이 올 때: 유성 연구개 파열음 |
발음 정보 | |
관련 링크 | |
관련 정보 | 옛 한글 도움말을 참고 |
옴니글롯 | Korean |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 Script and pronunciation |
2. 역사
2. 1. 훈민정음
훈민정음 창제 당시 ㄱ은 어금니소리(牙音)로 분류되었으며,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떠 만들어졌다. 훈민정음 언해본에서는 "ㄱ은 어금닛소리이니 君(군)자를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 나란히 쓰면 虯(규)자를 처음 펴서 나는 소리 같으니라"라고 설명하고 있다.훈몽자회(1527)에서는 '기역(其役)'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윽(uk)'이라는 음절이 당시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대에는 다른 한글 자모의 명명법에 따라 '기윽'으로도 불린다.
2. 2. 현대 한국어
3. 음성
혀 뒤쪽을 연구개에 밀착시켜 폐쇄를 만들고, 일단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은 후, 한꺼번에 개방함으로써 만들어지는 연구개파열음의 발음을 나타낸다. 한국어의 파열음에는 유기음을 동반하는가 그렇지 않은가, 후두 긴장(텐스)을 동반하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세 계열이 존재한다. 이 자모는 무기이며 후두 긴장을 동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파열음(평음)을 나타내며, 음소 기호는 /k/로 표시된다.
어두의 초성에서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으로 발음된다.
어중의 모음 사이, 또는 어중의 유성자음 뒤에서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이 된다.
종성은, 어말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는 내파음으로 발음된다.
3. 1. 초성
혀 뒤쪽을 연구개에 밀착시켜 폐쇄를 만들고, 일단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은 후, 한꺼번에 개방함으로써 만들어지는 연구개파열음의 발음을 나타낸다. 한국어의 파열음에는 유기음을 동반하는가 그렇지 않은가, 후두 긴장(텐스)을 동반하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세 계열이 존재한다. 이 자모는 무기이며 후두 긴장을 동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파열음(평음)을 나타내며, 음소 기호는 /k/로 표시된다.어두의 초성에서는 무성 연구개 파열음/k/로 발음된다. 어중의 모음 사이, 또는 어중의 유성자음 뒤에서는 유성 연구개 파열음/ɡ/이 된다.
3. 2. 종성
ㄱ은 어말이나 무성 자음 앞에서는 내파음 /k̚/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부엌'은 [puʌk̚]으로, '밖'은 [pak̚]으로 발음된다. 겹받침 ㄳ, ㄺ의 경우, 뒤에 오는 자음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삯'은 [sak̚]으로, '닭'은 [tak̚]으로 발음된다.
4. 표기
4. 1. 획순

ㄱ의 획순은 1획이다.
4. 2. 라틴 문자 표기
문화관광부 2000년식 로마자 표기법에서 ㄱ은 초성에서는 'g', 종성에서는 'k'로 표기한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초성에서 무성음은 'k', 유성음은 'g', 종성에서는 'k'로 표기한다.4. 3. 모스 부호
한글 모스 부호에서 ㄱ은 ·-・・로 표기된다.4. 4. 점자
한글 점자에서 ㄱ은 초성일 때 ⠨ (4), 종성일 때 ⠁ (1)로 표기된다.5. 코드 값
ㄱ은 다양한 코드 체계에서 표현된다. 유니코드에서 괄호 한글 ㄱ은 U+3200, 원 안의 한글 ㄱ은 U+3260으로 표현된다.
명칭 | 용도 | 코드 | HTML 실체 참조 코드 | 표시 |
---|---|---|---|---|
HANGUL LETTER GIYEOK | 단독 | U+3131 | ㄱ | ㄱ/ㄱ한국어 |
HANGUL CHOSEONG GIYEOK | 초성용 | U+1100 | ᄀ | ㄱ/ᄀ한국어 |
HANGUL JONGSEONG GIYEOK | 종성용 | U+11A8 | ᆨ | ㄱ/ᆨ한국어 |
참조
[1]
웹사이트
[북녘말] 기윽 디읃 시읏 / 김태훈
http://www.hani.co.k[...]
2007-10-07
[2]
서적
The Sounds of Kore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Korean
https://www.omniglot[...]
Omniglot
2021-10-20
[4]
웹사이트
Script and pronunciation
https://wiki.ucl.ac.[...]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1-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