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ㅁ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현대 한국어에서 양순 비음 /m/ 소릿값을 나타낸다.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 순음으로 분류되었으며, 입의 모양을 본떠 만들어졌다. 자모의 명칭은 1527년 『훈몽자회』에서 '미음'으로 명명되었다. 유니코드에서 단독으로는 U+3141, 초성으로는 U+1106, 종성으로는 U+11B7 코드를 가지며, 문화관광부 2000년식 및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 모두 'm'으로 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글 낱자 -
    ㄸ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ㄷ을 겹쳐 쓴 형태이며, 된소리를 나타내고, 무성 파열음으로 발음되며, 유니코드에는 U+3138 (단독형)과 U+1104 (초성용) 코드로 등록되어 있다.
  • 한글 낱자 -
    ㅃ은 한글 자모 중 하나로 쌍비읍이라고도 하며,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순음의 전탁으로 분류되고, 무성 양순 파열음의 된소리 /p'/로 발음되며, 유니코드에서 U+3143, U+1108 등의 코드 값을 가진다.
문자 정보
종류닿소리 (자음)
자명미음
훈몽자회眉音 (미음)
자원입술의 모양 (입술소리)
획수3
매큔-라이샤워 표기m
국어의 로마자 표기m
발음 (어두)양순 비음
발음 (어중)양순 비음
발음 (어말)양순 비음
이음어두·어중 구개음화:
미음 필순
미음 필순
한국어 표기
로마자 표기Mieum
문화어 표기미음
발음 정보

2. 발음

현대 한국어에서 ㅁ은 양순 비음m|/m/영어 소릿값을 가진다. 음소는 /m/으로 표기된다.[1] 앞 음절의 파열음(종성의 , , 및 그것들과 같은 발음을 하는 것)을 비음화한다.[1] 종성에서는 양순을 떼지 않는다.[1]

음가종성 자겹받침
, ,
, , , , , ,   
, (),
, , , , () 
,  
 
  


3. 역사

훈민정음 세종 어제 서문에서는 ㅁ을 '미' 자 처음 소리와 같다고 하였다. 1527년에 간행된 훈몽자회에서 '미음'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1]

3. 1. 제자 원리

훈민정음에 따르면, ㅁ은 입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다.[1] , 은 ㅁ에 획을 더하여 만들어진 순음 계열의 글자이다.[1]

4. 코드 값

미음(ㅁ)은 유니코드에 한글 자음, 초성, 종성에 대한 코드가 각각 부여되어 있다. HTML에서는 10진수 또는 16진수 코드로 표현할 수 있다.

4. 1.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의 문자 코드
명칭용도코드HTML 실체 참조 코드표시
HANGUL LETTER MIEUM단독U+3141ㅁ
HANGUL CHOSEONG MIEUM초성U+1106ᄆ
HANGUL JONGSEONG MIEUM종성U+11B7ᆷ


5. 획순

ㅁ의 획순

6. 라틴 문자 표기

문화체육관광부 2000년식 및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모두 초성과 종성을 '''m'''으로 표기한다.

참조

[1] 서적 The Sounds of Kore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Korean https://www.omniglot[...] Omniglot 2021-10-20
[3] 웹사이트 Script and pronunciation https://wiki.ucl.ac.[...] University College London 2021-10-20
[4] 웹사이트 ㅁ https://encykorea.ak[...] 2024-0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