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파나 제9군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스파나 제9군단은 로마 공화정 시대에 창설되어 로마 제정 시대까지 존속했던 로마 군단이다. 기원전 1세기 갈리아 전쟁, 디라키움 전투, 악티움 해전에 참전했으며, 히스파니아와 브리타니아에서 활동했다. 120년경 네덜란드 네이메헌에서 마지막으로 활동이 확인된 후, 197년 이후 기록이 사라져 소멸 시기와 원인을 두고 다양한 추측이 존재한다. 제9군단의 소멸은 소설, 영화, 드라마 등 대중문화에서 널리 다루어지는 소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량 실종 사건 - 로어노크 식민지
로어노크 식민지는 16세기 잉글랜드가 현재의 노스캐롤라이나 로어노크 섬에 건설하려다 실패하고, 정착민들이 사라지는 미스터리로 남은 "잃어버린 식민지"이다. - 대량 실종 사건 - 2014년 이괄라 집단 납치
2014년 이괄라 집단 납치는 2014년 9월 26일 멕시코 이괄라에서 아요치나파 농촌 사범학교 학생 43명이 실종된 사건으로, 이괄라 시 경찰의 발포와 시장 부인 행사 방해 시도 학생 단체와의 충돌이 있었으며, 정부 발표에도 불구하고 증거 부족과 고문 의혹으로 국제 사회와 피해자 가족들이 독립적인 진실 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 유대-로마 전쟁 - 베스파시아누스
베스파시아누스는 69년부터 79년까지 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이며, 유대 전쟁을 진압하고 내전을 수습하여 권력을 강화했으며, 재정 개혁과 로마 재건 사업을 추진하고 백성들에게 관대한 통치를 했다고 평가받는다. - 유대-로마 전쟁 - 마사다
마사다는 사해 연안의 바위산에 있는 고대 요새로, 하스모네아 왕조 시대에 요새화되었으나 헤롯 대왕이 확장했고, 유대-로마 전쟁 중 시카리 반군이 점령하여 로마에 저항하다 함락되었으며, 현대 이스라엘에서 민족적 성지로 여겨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히스파나 제9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부대 정보 | |
![]() | |
| 활동 기간 | 기원전 58년 ~ 서기 2세기경 |
| 국가 | 로마 공화정 → 로마 제국 |
| 병과 | 로마 군단(마리우스식) |
| 역할 | 보병 타격대 |
| 규모 | 약 5,400명 |
| 주둔지 |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기원전 41년 ~ 기원전 13년경? 판노니아: 서기 9년 ~ 43년 에보라쿰(브리타니아): 71년 ~ 서기 121년경 노비오마구스(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서기 121년경 ~ 133/134년 |
| 별칭 | 사라진 군단 |
| 마스코트 | 황소 |
| 참전 전투 | 갈리아 전쟁(기원전 58년–51년) 칸타브리아 전쟁(기원전 29년–19년) 로마의 브리타니아 정복 부디카의 난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 |
| 주요 지휘관 |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퀸투스 페틸리우스 케리알리스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 |
| 기타 정보 | |
| 라틴어 명칭 | (레기오 노나 히스파나) |
2. 역사
히스파나 제9군단의 기원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기원전 90년 사회 전쟁 중 아스쿨룸 포위전에 참여한 기록이 남아있다.[4]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58년 알프스 이북 갈리아 총독으로 부임했을 때, 제9군단을 포함한 4개 군단을 물려받았다. 제9군단은 일리리아인들의 공격에 대비하여 아퀼레이아에 주둔했을 가능성이 있다.[4]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쟁을 시작하며 헬베티족을 공격하는데 제9군단을 동원했다.
제9군단은 카이사르파 소속으로 디라키움 전투, 파르살루스 전투(기원전 48년), 그리고 기원전 46년 아프리카 원정에 참전했다. 카이사르 사후, 푸블리우스 벤티디우스 바수스가 제9군단을 재건하려 했으나 성공 여부는 불확실하다.[4] 옥타비아누스는 퇴역 군인들을 다시 소집하여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의 반란 진압에 투입했고, 이후 마케도니아 속주로 이동시켰다. 제9군단은 악티움 해전(기원전 31년)에서 옥타비아누스를 지원했다.
아우구스투스가 로마 세계의 유일한 통치자가 된 후, 제9군단은 히스파니아로 파견되어 칸타브리아 전쟁(기원전 25년~19년)에 참여했다. "히스파나"라는 별칭은 이때 처음 등장했다.[4] 이후 라인강 국경 지역에서 게르만 부족에 맞서 싸웠으며,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 패배(서기 9년) 이후 판노니아 (로마 속주)로 이동했다.[4]
서기 43년,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로마의 브리타니아 침공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곧 브리타니아 주둔군으로 나타났다. 서기 50년경 카라타쿠스를 격파하고 린둠 콜로니아(현재 링컨) 요새를 건설했다. 카에시우스 나시카 지휘하에 브리간테스 부족의 반란(52~57년)을 진압했다.[6] 부디카의 반란(61년) 당시 카물로두눔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으나, 게르마니아 속주에서 보강되었다.
아그리콜라의 칼레도니아(현재 스코틀랜드) 침공(82~83년)에 참여하여 칼레도니아인들의 야간 기습을 받았으나, 기병대의 도움으로 위기를 넘기고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에서 승리했다.[7] 108년 요크(에보라쿰) 요새 재건에 참여한 기록이 남아있다.
108년 이후에는 네덜란드 네이메헌에서 제9군단의 유물이 발견되어, 104년에서 120년 사이에 이곳에 주둔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8] 독일 아헨 근처에서 발견된 아폴로 신전 제단에는 제9군단 수석 백부장의 봉헌 기록이 남아있다.[9]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제9군단은 104년 이후 노비오마구스에 주둔했으며, 120년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제30군단 울피아 빅트릭스 파견대로 대체된 것으로 보인다.[10] 제9군단 전체가 네이메헌에 있었는지, 아니면 일부 파견대만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2. 1. 공화정 시대 (기원전 1세기)
제9군단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기원전 90년에 일어난 사회 전쟁 동안 아스쿨룸 포위전에 제9군단이 참여했던 것으로 보인다.[4]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58년에 알프스 이북 갈리아의 총독이 되었을 때, 그는 이미 그곳에 주둔하고 있던 제7, 제8, 제9, 제10군단 등 4개의 군단을 물려받았다. 제9군단(IX)은 "일리리아인들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아퀼레이아에 주둔했을 수 있다.[4] 카이사르는 제11군단과 제12군단 두 개를 더 창설했고, 이 6개 군단을 모두 동원하여 헬베티족을 공격함으로써 갈리아 전쟁을 시작했다.
카이사르파 제9군단은 디라키움 전투와 파르살루스 전투 (기원전 48년)에서 싸웠으며, 기원전 46년 아프리카 원정에도 참전했다. 최종 승리 후 카이사르는 군단을 해산하고 퇴역 군인들을 피케눔 지역에 정착시켰다.[5]
카이사르 암살 이후, 카이사르의 동맹 푸블리우스 벤티디우스 바수스는 제7, 제8, 제9군단을 재건하려 시도했지만, "이들 중 어떤 군단도 필리피 시기까지 살아남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4] 옥타비아누스는 이후 제9군단의 퇴역 군인들을 불러 시칠리아에서 섹스투스 폼페이우스의 반란에 대항하여 싸우게 했다. 섹스투스를 격파한 후 그들은 마케도니아 속주로 보내졌다. 제9군단은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에 맞서 싸운 옥타비아누스와 함께했다.
2. 2. 제정 시대 (기원전 30년 ~ 서기 2세기)
옥타비아누스가 원로원으로부터 아우구스투스 칭호를 받고 로마 세계의 유일한 통치자가 되자, 제9군단은 히스파니아로 보내져 칸타브리아 전쟁 (기원전 25년~19년)에 참여했다. "히스파나"("히스파니아에 주둔")라는 별칭은 아우구스투스 통치 기간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아마도 그 당시에 유래했을 것이다.[4]이후, 제9군단은 게르만 부족에 대항하여 작전을 수행했던 라인강 국경 지역의 제국군에 소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기 9년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로마군이 대패하여 동부 라인 지역이 폐기된 후, 제9군단은 판노니아 (로마 속주)로 이동했다.[4]
서기 43년, 제9군단은 황제 클라우디우스와 장군 아울루스 플라우티우스가 이끈 로마의 브리타니아 침공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그들은 곧 브리타니아 주둔군에 나타났기 때문이다. 서기 50년, 제9군단은 카라타쿠스의 군대를 격파한 두 군단 중 하나였다. 같은 해경에 이 군단은 요새 린둠 콜로니아(현재의 링컨)를 건설했다. 카에시우스 나시카의 지휘하에 제9군단은 52년에서 57년 사이에 브리간테스 부족의 왕 베누티우스의 첫 번째 반란을 진압했다.[6]
제9군단은 부디카의 반란 (61년) 당시 퀸투스 페틸리우스 세리알리스의 지휘하에 카물로두눔 전투에서 심각한 패배를 겪었다. 당시 보병 대부분이 포위된 카물로두눔(콜체스터)을 구출하려다 참혹하게 전사했고, 기병대만 탈출했다. 이후 이 군단은 게르마니아 속주에서 온 군단병들로 보강되었다.
10년 후 세리알리스가 브리타니아 총독으로 돌아왔을 때, 그는 71~72년에 브리간테스에 대한 성공적인 원정에서 제9군단을 다시 지휘하여 브리타니아 북중부를 정복했다. 이 무렵 제9군단은 요크 (에보라쿰)에 새로운 요새를 건설했는데, 이는 그곳에서 발견된 타일 스탬프에서 알 수 있다.
제9군단은 아그리콜라의 82~83년 칼레도니아(현재의 스코틀랜드) 침공에 참여했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이 군단은 포스 강 너머의 칼레도니아인들이 밤에 기습 공격을 가했을 때 간신히 파괴를 면했다. 칼레도니아인들은 "그들이 잠든 채 겁에 질린 그들에게 들이닥쳤다". 필사적인 백병전에서 칼레도니아인들은 진영에 들어왔지만, 아그리콜라는 기병대를 보내 군단을 구출할 수 있었다. 구원 부대를 본 "제9군단 병사들은 기운을 되찾고, 안전을 확신하며, 영광을 위해 싸웠다"면서 칼레도니아인들을 밀어냈다. 제9군단은 또한 결정적인 몬스 그라우피우스 전투에도 참여했다.[7]
브리타니아에서 제9군단의 마지막으로 증명된 활동은 108년에 요크 (에보라쿰)의 군단 요새를 돌로 재건하는 동안 이루어졌다. 이는 1864년에 발견되어 현재 요크의 요크셔 박물관에 전시된 비문이 새겨진 석판에 기록되어 있다.
2. 3. 네덜란드 네이메헌 주둔 (108년? ~ 130년?)
네덜란드 네이메헌(노비오마구스 바타보룸)에서 히스파나 제9군단의 유물이 발견되어, 이 군단이 104년에서 120년 사이에 이곳에 주둔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발견된 유물 중에는 "LEG HISP IX"가 새겨진 팔레라 (군사 훈장)의 일부인 은도금 청동 펜던트[8]와 몇몇 타일 도장(104–120년경)이 있다. 독일 아헨(아쿠아에 그란니) 근처에서 발견된 아폴로 신전 제단에는 제9군단 히스파나의 수석 백부장이자 부사령관인 루키우스 라티니우스 마케르의 봉헌 기록이 남아있다.[9]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제9군단 히스파나는 104년 이후(이전에 주둔했던 제10 쌍둥이 군단이 다뉴브 강으로 이동한 후) 노비오마구스에 주둔했으며, 120년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제30군단 울피아 빅트릭스 파견대로 대체된 것으로 보인다.[10]
제9군단 전체가 네이메헌에 있었는지, 아니면 일부 파견대만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루키우스 라티니우스 마케르와 같은 고위 장교가 있었다는 증거는 제9군단 전체가 121년에서 130년 사이에 그곳에 주둔했음을 시사한다.
3. 소멸과 미스터리
121년경 네이메헌에서 발견된 유물은 2015년 기준으로 제9군단에 관한 가장 최근 기록이다.[8] 197년 이후 작성된 두 개의 로마 군단 목록에는 제9군단 히스파나가 누락되어 있어, 120년에서 197년 사이에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 이 목록들은 로마에서 발견된 기둥의 비문(CIL VI 3492)과 210–232년경 그리스-로마 역사가 디오 카시우스의 '로마사'(LV.23–24)에 나타난 "오늘날" 존재했던 군단 목록이다. 두 목록 모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197년에 창설한 3개의 '파르티카' 군단을 포함하여 동일한 33개의 군단을 나열하지만, "IX 히스파나"는 언급되지 않는다.
이후 기록은 불분명하여, 오현제 시대 하드리아누스 치세에 픽트족의 공격으로 큰 타격을 입어 하드리아누스 장벽 건설의 원인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121년 이후 저지 게르마니아에 잠시 주둔한 사실도 확인되었다.
제9군단의 기록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치세 무렵 사라졌는데, 이 시기 마르코만니 전쟁이나 도나우강 유역 반란 중 소멸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9군단의 운명은 학계에서 여전히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다.[18]
3. 1. 소멸에 대한 여러 가설
테오도르 몸젠은 117년 이후 브리타니아 북부에서 일어난 반란 진압 과정에서 제9군단이 전멸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그는 108년 직후에 일어난 브리간테스의 반란이 가장 유력한 설명이라고 주장했다. 몸젠은 서기 160년대에 글을 쓴 로마 역사가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가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당신의 할아버지 하드리아누스가 황제의 권력을 잡았을 때, 유대인에 의해 얼마나 많은 병사들이 죽었으며, 브리튼족에 의해 얼마나 많은 병사들이 죽었는가."라고[11] 말한 것을 증거로 인용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117–138 재위)는 서기 122년경에 직접 브리타니아를 방문하여 하드리아누스 장벽 건설을 시작했는데, 로마 자료에 따르면 "브리튼족을 로마의 통제하에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12]그러나 120년경에는 고고학적 증거가 없다. 몸젠의 주장은 IX 히스파나의 첫 흔적이 네이메헨에서 발견되기 훨씬 전에 발표되었다. 이러한 사실과, 120년경 제9군단의 부사령관이었던 두 명의 고위 장교가 수십 년 동안 살아남아 뛰어난 공직 생활을 했다는 비문을 통해 몸젠의 이론은 많은 학자들에게 외면받게 되었다.
이들은 IX 히스파나의 멸망 가능성이 있는 다른 전장으로 다음을 제시한다.
- 제2차 유대-로마 전쟁 (바르 코흐바의 난, 132년~136년) 투입 후 전멸: 로마군이 이 전쟁에서 심각한 사상자를 냈다는 보고가 있었는데, 그 시작 시점은 IX 히스파나가 네이메헨을 떠난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120–130년)와 정확히 일치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제9군단은 현지 주둔 군단을 증원하기 위해 유대로 파견되었지만 유대군에게 크게 패배하고 부대의 잔존 병력이 해산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이집트에 주둔하는 제22 데이오타리아나가 실제로 유대에서 문서로 확인되었으며, 그 생존 기록의 연대 역시 서기 120년경에 중단된다. 두 군단이 모두 유대인에 의해 파괴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렇다면 이는 3개의 군단이 손실된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 (서기 9년) 이후 최악의 로마 군사적 참사가 될 것이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파르티아 전쟁 (161년~166년) 투입 후 전멸: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장군 호스로에스가 이끄는 파르티아 군대가 아르메니아에서 특정되지 않은 로마 군단을 포위하여 전멸시켰다. 이로 인해 카파도키아의 총독인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리아누스가 자살했다.[14] 이 당시 카파도키아에는 제12 풀미나타와 제15 아폴리나리스 두 개의 군단이 영구적으로 주둔하고 있었다. 이 두 부대는 모두 서기 200년 이후까지도 작전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파르티아인에 의해 파괴된 군단일 수 없다. 제9군단이 잃어버린 군단이었다는 이론은 제9군단이 130–160년 기간 동안 동방에 존재했다는 증거가 전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디오가 언급한 군단이 제22 데이오타리아나라고 주장하지만, 그렇다면 후자는 30년 전에 유대인에 의해 전멸될 수 없었을 것이다.
일부 학자들은 브리타니아에서의 파괴가 제9군단의 사라짐에 대한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라고 계속 주장한다. 다른 학자들은 비문 증거에서 추론하는 사람들의 가정을 비판하며, 서로 다른 이름을 가진 다른 사람에 대한 증거를 혼동하기 쉽다고 주장한다. 제9군단이 161년 아르메니아 전쟁까지 존재했다면, 120년 이후의 기록이 전혀 알려지지 않았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하지만 군단이 브리타니아에서 최후를 맞이했다는 이론을 지지하지 않는 학자들은 군단이 트라야누스 황제 말에 파르티아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117년경에 요크에서 철수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3. 2. 소멸 관련 논쟁
제9군단의 소멸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아, 학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가설과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9세기 독일의 저명한 고전학자 테오도르 몸젠은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대에 에보라쿰(요크) 요새가 공격받고, 부디카 반란에서 이미 큰 피해를 입었던 제9군단이 전멸했다는 이론을 제시했다.[11] 그는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의 기록을 인용하며, 108년 직후 브리간테스의 반란이 가장 유력한 원인이라고 주장했다.[11]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하드리아누스 장벽 건설을 시작한 것도 이러한 군사적 재앙에 대한 대응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3]
그러나 네덜란드 네이메헌(노비오마구스 바타보룸)에서 제9군단의 흔적이 발견되고,[8] 120년경 제9군단의 고위 장교들이 이후에도 활동한 기록이 발견되면서, 몸젠의 이론은 많은 학자들에게 외면받게 되었다.[9][10] 이들은 제9군단의 멸망 가능성이 있는 다른 전장으로 다음과 같은 분쟁을 제시한다.
- 제2차 유대 반란(132년): 로마군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고 보고되었으며, 이는 제9군단이 네이메헌을 떠난 시기(120–130년)와 일치한다. 제9군단이 유대 반란 진압에 투입되었다가 전멸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이 시기 제22 데이오타리아나 군단도 유대에서 활동한 기록이 120년경에 중단되어, 두 군단이 모두 전멸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 볼로가세스 4세의 파르티아 전쟁 (161–166년):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아르메니아에서 로마 군단이 파르티아 군대에 의해 전멸당했다.[14] 그러나 당시 카파도키아에 주둔했던 제12 풀미나타 군단과 제15 아폴리나리스 군단은 200년 이후에도 활동한 기록이 있어, 이들이 전멸한 군단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일부 학자들은 여전히 브리타니아에서의 파괴가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라고 주장한다.[15][16] 이들은 비문 증거에 대한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며, 다른 인물에 대한 증거와 혼동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제9군단이 161년까지 존재했다면 120년 이후의 기록이 전혀 없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지적한다.
셰퍼드 프레어는 "더 많은 것을 말하기 전에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다"고 언급하며,[18] 제9군단의 운명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임을 강조했다.
4. 대중문화 속 제9군단
로즈메리 서트클리프는 제9군단의 소멸에서 영감을 얻어 1954년 역사 소설 ''제9군단의 독수리''를 저술했다. 이 소설에서 젊은 로마 장교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아퀼라는 아버지의 군단의 독수리 기를 하드리아누스 장벽 너머에서 되찾으려 한다. 이 소설은 1956년경 BBC 홈 서비스에서 라디오 드라마로, 1977년에는 BBC 텔레비전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1996년에는 BBC 라디오 4에서 전체 출연진이 참여한 라디오 드라마가 방송되었다.
앨런 가너의 1973년 소설 ''레드 시프트''는 한 줄거리에서 2세기 체셔에서 적대적인 환경에서 살아남으려고 애쓰는 제9군단 파괴의 생존자들을 그리고 있다. 칼 에드워드 와그너의 1976년 판타지 소설 ''그림자 속 군단'' (로버트 E. 하워드의 브란 맥 모른 등장)에서 제9군단의 생존자들은 지하로 도망쳐 지구의 벌레와 교배한다. 아만다 코크렐의 1979년 역사 소설 ''안개의 군단''은 스코틀랜드의 부족 연합의 공격으로 제9 히스파니아 군단이 파괴된 사건을 재현한다.
데이비드 젬멜의 "파워의 돌" 역사 판타지 시리즈 (1988–1991)에서 제9군단은 림보에 갇혔다가 주인공들에 의해 풀려나 전투를 돕는다. 윌 머레이(작가)의 1993년 닥 사바지 소설 ''잊혀진 왕국''에서[22] 제9 히스파나 군단은 아프리카 콩고에 노붐 에보라쿰 ("뉴욕")이라는 도시를 세웠고, 1930년대까지 살아남았다.
마리온 짐머 브래들리의 역사 판타지 소설 ''아발론의 여인''(1997)에서 제9군단은 원주민 브리튼족과의 전투에서 파괴되었고, 영웅 가웬은 아발론으로 탈출한다. 수산나 키어슬리의 1997년 소설 ''그림자 말''에서 한 고고학자는 스코틀랜드 외딴 지역인 아이마우스에서 제9군단이 주둔했던 요새의 유적을 발견했다고 믿는다.[24] N. M. 브라운의 2000년 ''알라브나의 전사''는 군단을 다른 현실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군단의 소멸을 설명한다.
발레리오 마시모 만프레디의 2002년 역사 소설 ''L'ultima legione''(''마지막 군단'')은 제9군단을 아서 왕 전설의 일부로 묘사한다. 짐 부처의 ''코덱스 알레라'' 판타지 시리즈 (2004–2009)는 제9군단과 그 캠프 추종자들의 후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카르나의 세계로 이동되었다.[25] 2006년 독일 켈트 메탈 밴드 수이다크라의 앨범 ''칼레도니아''에는 군단이 픽트족과 싸우는 내용의 "The IXth Legion"이라는 곡이 수록되어 있다. 2007년 영화 ''마지막 군단''은 만프레디 소설을 기반으로 한다.
스티븐 로른 베넷의 2010년 역사 소설 ''마지막 제9군단''에서 제9군단은 161년 카파도키아에서 장군 코스로에스 휘하의 파르티아 제국에 의해 파괴된다. 2010년 영국 영화 『센츄리온』은 백인대장 퀸투스 디아스의 시점에서 제9군단의 운명을 따라간다. 2011년 영화 ''이글''은 ''제9군단의 독수리''를 바탕으로 한다. 2013년 브라이언 영이 쓴 책 ''이글이 추락했다'' 역시 제9군단이 브리튼에서 파괴되었다는 이론을 지지한다.
영국 드라마 『닥터 후』의 2017년 에피소드 「사라진 로마 병사의 수수께끼」에는 외차원 존재에 의해 전멸된 제9군단의 잔해가 등장한다. 마크 앨런 에델하이트의 2017년 책 ''잃어버린 레기오 IX: 카루스 사가''에서 토착 브리튼족에 의해 파괴될 위기에 처한 제9군단의 잔해는 다른 행성으로 이동하여 로마 문명을 재건한다. TV 시리즈 ''브리타니아''에도 제9군단이 등장한다.[26]
케이트 앳킨슨(작가)의 소설 ''박물관 뒷이야기''는 20세기 요크를 배경으로 하며, 레기오 IX의 유령들이 등장한다. 로버트 크로이즈의 대체 역사 소설 "철룡" 시리즈에서 제9군단은 유대 반란에서 탈출하는 시간 여행자들이 오작동하는 양성자 반응로를 그들에게 떨어뜨리면서 전멸한다. SCP 재단 웹 시리즈의 지식 체계에서 제9군단은 변칙 개체 SCP-067을 사용한 실험 중 SCP-682에 의해 파괴된 것으로 밝혀졌다.[27] 2019년에 개봉된 영화 끔찍한 역사: 로튼 로마인들에서 이야기의 일부는 제9 히스파나 군단을 포함한다. 할 콜배치(작가)와 매튜 조셉 해링턴의 2009년 이야기 Aquila Advenio는 맨-킨 전쟁 XII에 인쇄되었으며, 제9 히스파나 군단의 후손들이 킨티가 점령한 행성에 존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5. 주요 인물
| 이름 | 계급 | 기간 | 주둔 속주 |
|---|---|---|---|
|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스키피오 | 군단장 | 기원전 22년경 | 아프리카 |
| 카에시우스 나시카[19] | 군단장 | 50년경 | 브리타니아 |
| 퀸투스 페틸리우스 케리알리스[19] | 군단장 | 59년~61년 | 브리타니아 |
| 루키우스 두키우스 루피누스 | 기수 | 71년~125년 | 브리타니아 |
| 가이우스 카리스티니우스 프론토[19] | 군단장 | 76년–79년경 | 브리타니아 |
| 루키우스 아니니우스 섹스티우스 플로렌티누스[19] | 군단장 | 118년–122/123년 | 브리타니아 |
| 티투스[19] | 광폭 트리부누스 | 60년경 | 브리타니아 |
| 루키우스 로시우스 아이리아누스 매키우스 케레르[19] | 광폭 트리부누스 | 83년 | 브리타니아 |
| 루키우스 부르불레이우스 옵타투스 리가리아누스[19] | 광폭 트리부누스 | 118년-122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루키우스 아이밀리우스 카루스[19] | 광폭 트리부누스 | 123년경 |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
| 루키우스 노비우스 크리스피누스 마르티알리스 사투르니누스[19] | 광폭 트리부누스 | 125년경 | 브리타니아 |
| 퀸투스 카무리우스 누미시우스 주니어 | 광폭 트리부누스 | 145년경 | 브리타니아 |
참조
[1]
서적
Paulys Realencyclopädie der classischen Altertumswissenschaft
[2]
웹사이트
Legio VIIII Hispana - Livius
https://www.livius.o[...]
[3]
학술 논문
The End of the Ninth Legion, War in Britain and the Building of Hadrian's Wall
[4]
서적
The Making of the Roman Army, from Republic to Empire
Batsford
[5]
서적
Colonisation and veteran Settlement in Italy, 47–14 BCE
https://archive.org/[...]
British School at Rome
[6]
학술 논문
Tile-Stamps of the Ninth Legion found in Britain
[7]
서적
Tacitus – Agricola, Germany, and dialogue on orators
Hackett Publishing
[8]
문서
AE (1996) 1107
[9]
문서
AE (1968) 323
[10]
학술 논문
Ulpia Noviomagus
[11]
문서
Fronto Parthian War 2, 220
[12]
문서
Scriptores Historiae Augustae Hadrian, 5, 1
[13]
서적
Hadrian's Wall
Penguin Books
[14]
문서
Dio LXXI. 2
[15]
간행물
What Happened to Britain's Lost Roman Legion?
2011-05
[16]
서적
Bloodline: The Celtic Kings of Roman Britain
Amberley
[17]
서적
Legions and Veterans: Roman Army papers 1971–2000
[18]
서적
Britannia: A History of Roman Britain
https://archive.org/[...]
Routledge & Kegan Paul
[19]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Clarendon Press
[20]
문서
Spain. HEp 9, 1999, 405
[21]
보고서
Silchester Eagle
http://www.readingmu[...]
Reading Museum
[22]
서적
Doc Savage: The Forgotten Realm
Bantam Spectra
[23]
서적
Eagle of the ninth
https://www.amazon.c[...]
BBC
[24]
웹사이트
Amazon reviews of The Shadowy Horses
https://www.amazon.c[...]
[25]
Youtube
Q&A with Jim Butcher
https://www.youtube.[...]
[26]
문서
Named in episode 4 of season 1, Britannia
[27]
웹사이트
Experiment Log T-98816-OC108/682
https://scp-wiki.wik[...]
2021-06-24
[28]
뉴스
York's Spanish connection
http://www.bbc.co.uk[...]
BBC.co.uk
2008-01-13
[29]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High Empire, A.D. 70–19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문서
Bowman, p. 15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서기 125년 로마 제국 지도, 제9 히스파나 군단의 마지막 기록 위치는 라인 강변의 노비오마구스 바타보룸 ([[네이메헌]], 네덜란드)](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