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디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디카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이케니족을 이끌고 로마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다. 타키투스, 카시우스 디오 등의 기록을 통해 알려졌으며, 타키투스는 부디카가 로마군에 의해 채찍질당하고 딸들이 강간당한 사실을 기록했다. 부디카는 아이세니족 왕 프라수타구스의 아내였으며, 남편의 죽음 이후 로마의 부당한 처사에 분노하여 봉기를 일으켰다. 그녀는 카물로두눔, 론디니움, 웰라미움을 파괴하며 초기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와트링 가도 전투에서 패배하고 자결했다는 설과 질병으로 사망했다는 설이 있다. 부디카는 이후 빅토리아 시대에 영국의 제국주의적 영웅으로 숭배되었으며, 현대에는 억압에 맞선 여성 지도자로 재해석되어 소설,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1년 사망 - 유건 (천승애왕)
    유건은 후한의 황족으로 천승왕에 봉해졌으나 요절하여 시호를 애라 하였고, 아들이 없어 봉국은 폐지되어 천승왕의 첫 번째 봉건이 되었다.
  • 브리튼 제도의 여왕 - 코르델리아
    코르델리아는 리어왕의 딸로, 아첨을 거부하고 프랑크 왕과 결혼했다가 아버지의 왕위 복귀를 도왔지만 조카들에게 체포되어 자살한 고대 브리튼 전설 속 인물이다.
  • 브리튼 제도의 여왕 - 색스부르흐
부디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피의 부디카 그림
존 오피의 브리튼인에게 열변하는 부디카
작위이케니 여왕
통치 기간서기 60년 ~ 61년경
전임프라스타구스
배우자
배우자프라스타구스
가족
자녀딸 2명
생애
출생지브리타니아
사망일서기 60년/61년
이케니 여왕
즉위서기 60년 ~ 61년경
재위 형태배우자
언어별 이름
로마자 표기
관련 링크
로마 연대기타키투스 연대기

2. 역사적 사료

부디카의 반란은 타키투스의 ''아그리콜라''(서기 98년경)와 ''연대기''(서기 110년대경),[2] 스웨토니우스의 ''카이사르들의 생애''(121년),[3] 카시우스 디오의 ''로마사''(서기 202년~235년경) 등 고대 로마 역사가들의 기록을 통해 알려져 있다.[4]

타키투스와 디오는 모두 부디카가 전투 전 연설을 했다고 기록했지만, 그녀의 말이 생전에 기록되었다는 증거는 없다.[2][4][6] 비록 허구적이지만, 이 연설들은 독자들에게 적대자들의 요구와 전쟁에 대한 접근 방식을 비교하고, 로마인들을 적보다 도덕적으로 우월하게 묘사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애국심의 이미지를 만들어 부디카를 전설적인 인물로 만들었다.[7][8]

20세기 후반까지 부디카(Boudica)의 이름은 'Boadicea'로 표기되었는데, 이는 중세에 타키투스의 원고를 필사하는 과정에서 생긴 철자 오류로 추정된다. 타키투스의 저서에는 'Boudicea', 디오의 저서에는 'Βουδουικα', 'Βουνδουικα', 'Βοδουικα' 등의 표기가 나타난다. 오늘날에는 승리(Victory)를 의미하는 켈트어 '*bouda' 또는 고대 켈트어 '*boudīko'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들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지는 아일랜드어 'bua', 'Buaidheach', 웨일스어 'buddug' 등의 공통 어원이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Boudicca' 또는 'Boudica'가 원래의 철자였을 것이라는 가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비문을 보면 루시타니아에서는 'Boudica', 보르도에서는 'Boudiga', 브리타니아에서는 'Bodicca'로 표기되어 있다.[43]

언어학자 케네스 잭슨((en))은 웨일스어와 아일랜드어를 바탕으로 올바른 철자를 'Boudica'로, 발음을 라고 결론지었다. 다만, 자주 사용되는 발음 도 거의 관용화되어 있다.[44]

529년경, 성 길다스(Gildas)는 저서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De Excidio Britanniae)에서 부디카를 "배신의 암사자"라고 묘사했다. 하지만 이는 길다스가 로마의 브리타니아 원정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지 못했고, 확실한 평가에 이르지 못했을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58]

2. 1. 타키투스의 기록

타키투스는 장인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가 부디카의 반란 당시 스웨토니우스 파울리누스 휘하의 로마군 장교로 복무했기 때문에, 반란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2] 그는 저서에서 부디카가 로마군에 의해 채찍질당하고 그녀의 딸들이 강간당한 사실을 기록하며, 로마의 잔혹함을 강조했다.

타키투스는 고대 로마 시대를 살았던 가장 중요한 역사가 중 한 명으로, 브리타니아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이는 그의 장인인 그나이우스 유리우스 아그리콜라(Gnaeus Julius Agricola)가 세 차례나 현지에 부임했고, 스웨토니우스의 군사 참모로서 부디카의 반란에 대처했던 경험을 자세히 전해주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2. 2. 카시우스 디오의 기록

카시우스 디오는 타키투스보다 훨씬 후대의 인물로, 그의 부디카에 대한 기록은 11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수도승인 요한 짚힐리누스의 요약본을 통해 전해진다.[4] 디오는 부디카의 외모, 연설, 그리고 반란의 잔혹 행위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제공하지만, 그의 세부 사항은 종종 허구적인 요소가 포함된 것으로 여겨진다.[5] 디오는 타키투스의 기록을 따르면서 전체적인 경과를 간략화하고, 로마 재정관들이 졌던 빚 등 개별 사건에 대한 세부 내용을 추가하고 있다.

3. 배경

아이세니족의 영토 지도


현재의 노퍽. 이전에 이케니족이 지배했던 지역


부디카는 1세기경 브리타니아 동부(현재의 노퍽, 서퍽, 케임브리지셔 일대)에 거주하던 이케니족의 왕 프라스타구스의 왕비였다.[18] 이케니족은 로마의 침략에 초기에는 저항했으나, 이후 로마와 동맹 관계를 맺고 자치권을 인정받았다.[9]

47년, 로마 총독 푸블리우스 오스토리우스 스카풀라가 로마 지배하의 모든 영국 지역 주민들을 무장 해제하려 하자, 이케니족은 반란을 일으켰다.[9] 그러나 반란은 진압되었고, 로마는 이케니 왕국이 독립을 유지하도록 허용했다.[9]

이케니족은 동맹 부족으로서 몇 가지 의무와 제약이 있었다.

의무
제약


3. 1. 프라스타구스 왕의 유언과 로마의 배신

프라스타구스는 이케니족의 왕으로, 서기 43년 로마의 브리타니아 침공 이후 로마와 동맹을 맺고 왕국을 다스렸다.[45] 그는 사후 왕국의 안정을 위해 로마 황제 네로와 자신의 두 딸을 공동 상속자로 지명하는 유언을 남겼다.[18]

하지만 프라스타구스가 죽자 로마는 유언을 무시하고 이케니 왕국을 브리타니아 속주에 강제로 편입시켰다.[24] 브리타니아 총독 카투스 데키아누스는 왕국을 점령하고 재산을 몰수했으며, 귀족들을 노예처럼 취급했다.[50] 로마는 동맹 왕의 지위가 본인에게만 유효하며 사망하면 소멸한다는 규정을 들어[46] 프라스타구스의 유언을 무효화하고 왕국을 병합했는데, 이는 소아시아의 비티니아[48], 갈라티아[49] 등 다른 동맹 왕국들을 병합했던 방식과 유사했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로마인들은 부디카를 채찍질하고 그녀의 딸들을 강간하는 만행을 저질렀다.[24] 디오는 이러한 잔혹 행위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세네카가 브리튼인들에게 빌려준 돈의 회수 요구와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빌려준 돈의 몰수 등이 반란의 원인이 되었다고 기록했다.[4][6] 이러한 로마의 배신과 가혹 행위는 이케니족과 주변 부족들의 분노를 일으켜 부디카가 이끄는 대규모 반란의 도화선이 되었다.

4. 부디카의 봉기



60년에서 61년경, 당시 총독이었던 가이우스 스웨토니우스 파울리누스가 군대를 이끌고 드루이드의 요새가 있던 북웨일스의 모나 섬을 진압하던 틈을 타, 이케니족은 트리노반테스족 등 주변 부족들과 함께 봉기하여 로마 제국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9년)에서 로마군을 물리친 케르스키족의 왕자 아르미니우스나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로마 군대를 물리친 조상들의 이야기[52]를 본받으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디오에 따르면, 반란군 지도자로 선출된 부디카는 품속에 감춰둔 산토끼를 풀어 길흉을 점치고, 브리타니아의 승리 여신 안드라스테에게 기도를 올렸다고 한다.

디오는 이 모습을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로마인을) 상대로 과감하게 행운을 믿고 나아갑시다. 그들이 개와 늑대를 지배하려는 토끼와 여우임을 보여줍시다." 그녀(부디카)는 축사를 마치고 옷의 품에서 산토끼를 놓아 예언 의식을 거행했다. 산토끼는 길조를 나타내는 쪽으로 달렸고, 군중은 환호성을 질렀다. 부디카는 손을 하늘 높이 들면서 말했다. "안드라스테 신이여, 감사합니다. 한 여자로서, 여자이신 당신께…"



이 의례가 부디카의 이름에 "승리"라는 의미를 담게 했다고 여겨진다.

반란군은 이전 트리노반테스족의 수도이자 로마의 식민지였던 카물로두눔을 첫 번째 목표로 삼았다. 이곳에는 원주민의 사유 재산과 강제 노동으로 건설된 클라우디우스 신전이 있어 반란군의 증오를 샀다. 퀸투스 페틸리우스 케리아리스는 제9군단 히스파나를 동원해 도시 탈환에 나섰지만 부디카 군에게 대패했다.

반란 소식을 접한 스웨토니우스는 론디니움으로 향하는 와트링 가도를 따라 진격했다. 부디카 군의 다음 목표였던 론디니움은 클라우디우스 원정 이후 세워진 신도시였지만, 상업 중심지로 성장해 있었다. 스웨토니우스는 병력 열세와 페틸리우스의 패전 소식을 고려해 론디니움 방어를 포기하고 도시를 버렸다. 론디니움은 반란군에 의해 불태워졌다.

right

카물로두눔, 론디니움에 이어 반란군은 웰라미움으로 진격했다. 이 세 도시는 모두 파괴되었고, 7만 명에서 8만 명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학살당했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브리타니아인들은 포로를 노예로 삼거나 매매하지 않고 교수형, 화형, 십자가형 등으로 학살했다. 디오는 귀부인들의 유방을 잘라 입에 물리고 꿰맨 후 말뚝에 꽂는 등, 안드라스테 숭배와 관련된 잔혹 행위가 있었다고 기록했다.[53]

4. 1. 초기 전투와 승리

부디카의 반란에 관련된 장소 지도
부디카의 반란 지도


반란군의 첫 번째 목표는 카물로두눔(현재의 콜체스터)이었다. 이곳은 로마의 콜로니아la로 은퇴한 병사들을 위한 곳이었다. 클라우디우스를 위한 로마 신전이 현지 주민들에게 큰 비용을 들여 세워졌으며, 퇴역 군인들의 브리튼인들에 대한 잔혹한 대우와 결합되어 로마인들에 대한 적개심을 불러일으켰다.[11]

이케니족과 트리노반테스족은 12만 명의 군대를 이루었다.[11] 디오는 부디카가 승리의 브리튼 여신 안드라스테에게 군대를 도와달라고 요청했다고 주장했다. 반란이 시작되자, 식민지 내 소수의 병력을 제외하고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로마군은 런던에 주둔한 200명의 보조군이었는데, 부디카의 군대와 싸울 장비를 갖추지 못했다. 카물로두눔은 반란군에 의해 함락되었고,[12] 초기 공격에서 살아남은 주민들은 이틀 동안 클라우디우스 신전에 피신했지만, 결국 살해당했다.

당시 레기오 IX '히스파나'를 지휘하던 퀸투스 페틸리우스 케리아리스는 카물로두눔을 구원하려 했지만 압도적인 패배를 당했다. 그와 함께 있던 보병들은 모두 죽었고, 지휘관과 일부 기병만이 탈출했다. 이 재앙 이후, 반란을 유발한 행동을 한 카투스 데키아누스는 해외(갈리아)로 도망쳤다.[11]

수에토니우스는 북웨일스 해안에 있는 모나 섬에 대한 원정을 이끌고 있었다. 이케니족의 봉기 소식을 듣고, 그는 모나에 수비대를 남겨두고 부디카를 상대하기 위해 돌아왔다.[11] 그는 적대적인 지역을 통해 신속하게 이동하여 런디니움에 도착했는데, 부디카의 군대가 도착하기 전이었다.[12] 하지만 수적으로 열세였기 때문에 그는 반란군에게 도시를 버리기로 결정했고, 반란군은 남아 있던 모든 사람들을 고문하고 살해한 후 도시를 불태웠다. 반란군은 또한 런던 북서쪽에 있는 무니키피움 베룰라미움(현재의 세인트 올번스)을 약탈했지만,[13][14] 파괴의 정도는 불분명하다.[15]

디오와 타키투스는 반란군이 약 8만 명을 살해했다고 보고했다.[4] 타키투스에 따르면, 브리튼인들은 로마인들을 포로로 잡을 생각이 없었고, "교수형, 불, 또는 십자가"로만 학살하는 데만 관심이 있었다.[16] 디오는 가장 고귀한 여성들이 말뚝에 박히고 가슴이 잘려 입에 꿰매어졌다고 덧붙이며, 특히 안드라스테의 숲에서 "희생, 연회, 방탕한 행위"를 수반했다고 한다.[17]

4. 2. 와트링 가도 전투와 패배

Gaius Suetonius Paulinus영어 총독은 군대를 재정비하여 와트링 가도(Watling Street)에서 부디카의 반란군과 맞섰다. 그는 위치를 알 수 없는 곳에 거의 1만 명의 군대를 집결시켜 숲 뒤편의 협곡에서 방어 태세를 갖췄다.[9]

로마 군대는 쐐기형 편대로 진격하며 기병을 전개하기 전에 영국군에게 창을 던져 지형적 이점을 활용했다.[9]

로마 군대는 수적으로 열세였다. 디오에 따르면 반란군의 수는 23만 명에 달했다.[18] 하지만 부디카의 군대는 궤멸되었고, 타키투스에 따르면 여성과 동물조차도 살아남지 못했다. 타키투스는 부디카가 독약을 마시고 자결했다고 기록하고 있는 반면, 디오는 그녀가 병들어 죽었고 화려한 장례식을 치렀다고 전하고 있다.

5. 부디카의 이름과 외모

부디카는 명예로운 칭호였을 가능성이 있으며,[19] 그렇다면 그녀가 생전에 사용했던 이름은 알 수 없다. 디오는 부디카에 대해 "지성이 넘치는 여성이었다"라고 묘사하며, 키가 크고 허리 아래까지 내려오는 붉은 머리를 휘날리고, 거친 목소리와 날카로운 눈빛을 가지고 있었다고 전한다. 또한 토르크 (켈트족이 즐겨 착용했던 금속으로 된 두꺼운 목걸이 모양의 장신구)로 추정되는 큰 금색 목걸이를 항상 착용하고, 화려한 색상의 튜닉을 브로치로 고정한 두꺼운 외투를 걸치고 있었다고 한다. 보석 등 호화로운 장신구를 사용한 듯하며, 부디카가 착용했다고 전해지는 장신구도 남아 있다.

5. 1. 이름의 유래와 의미

Boudicacel라는 이름은 '승리'를 의미하는 켈트어 어근 '*boudā*'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20] 영국의 언어학자 케네스 잭슨((en))은 웨일스어(Buddugcy)와 아일랜드어(Buaidhechghc)의 후대 발전을 바탕으로 부디카의 원래 이름이 브리튼 켈트어(Common Brittonic)로 Boudicacel였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20]

역사적으로 Boudicacel의 변형에는 부디카(Boudicca), 본두카(Bonduca), 보아디케아(Boadicea), 부두이카(Buduica) 등이 있다.[21] 갈리아어(Gaulish) 버전의 이름은 보르도(Bordeaux)의 부디가(Boudiga), 루시타니아(Lusitania)의 부디카(Boudica), 알제리의 보디카(Bodicca) 등 비문에서 확인된다.[43]

디오(Dio)는 부두이카(Buduica)라는 잘못된 철자를 사용했다.[21] 타키투스(Tacitus) 또한 두 번째 'c'를 추가하여 잘못 철자했다. 중세 시대의 필사가(scribe)가 이 잘못된 철자를 베껴 쓰면서 더 많은 변형이 나타났다. 두 번째 'c'가 'e'로 바뀌고 'u' 대신 'a'가 나타나면서 중세(그리고 가장 일반적인) 이름인 보아디케아(Boadicea)가 탄생했다.[19][22] 17세기경에 보아디케아(Boadicea)가 처음 등장하면서 진정한 철자가 완전히 흐릿해졌다.[21] 윌리엄 카우퍼(William Cowper)는 그의 시 "보아디케아, 송가"(Boadicea, an Ode, 1782)에서 이 철자를 사용했는데, 이 작품의 영향으로 부디카는 영국의 제국주의적 영웅으로 재탄생했다.

20세기 후반까지 "전투의 여왕"을 의미하는 부디카(Boudica)의 이름은 'Boadicea'로 표기되어 있었는데, 이는 중세에 타키투스의 원고에서 사본이 작성될 당시 철자 오류가 남은 것으로 추정된다.[43] 현재는 승리(=Victory)를 의미하는 켈트어 '*bouda' 또는 고대 켈트어 '*boudīko'에서 유래했으며, 아일랜드어 'bua', 'Buaidheach', 웨일스어 'buddug' 등의 공통 어원이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Boudicca' 또는 Boudicacel가 원래의 철자였을 것이라는 가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43]

5. 2. 외모에 대한 묘사

디오는 부디카가 지성이 넘치는 여성이었으며, 키가 크고 허리 아래까지 내려오는 붉은 머리를 휘날리고, 거친 목소리와 날카로운 눈빛을 가지고 있었다고 묘사한다. 부디카는 토르크(켈트족이 즐겨 착용했던 금속으로 된 두꺼운 목걸이 모양의 장신구)로 추정되는 큰 금색 목걸이를 항상 착용하고, 화려한 색상의 튜닉을 브로치로 고정한 두꺼운 외투를 걸치고 있었다. 또한, 보석 등 호화로운 장신구를 사용한 듯하며, 부디카가 착용했다고 전해지는 장신구도 남아 있다.

6. 부디카의 유산과 재해석

부디카는 여러 매체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었다. 인도 소왕국의 왕비 락슈미 바이는 "인도의 잔 다르크" 또는 "인도의 부디카"라고 불린다.[78] 2003년에는 만손 주혈흡충의 게놈에서 발견된 레트로트랜스포존(LTR)에 "Boudicca"라는 이름이 붙여졌다.[79] 2006년, 노르웨이의 외항선 회사 프레드 올센 크루즈 라인은 새로운 여객선에 "Boudicca"라는 이름을 붙였다.

다음은 부디카와 관련된 기타 사례들이다.

종류내용
상표아일랜드 및 켈트의 주얼리를 취급하는 수입업자가 "보우디카"라는 이름을 사용[78]
보드 게임판타지 플라이트 게임사의 『브리타니아 II』(en)에서 부디카와 벨가에족(en)의 반란이 요소로 추가됨
패션뉴욕 패션위크 가을/겨울 시즌에서 런던의 조이 브로치와 브라이언 커크비 팀이 "BOUDICCA" 브랜드의 시리즈를 발표[80]
보드 게임리처드 버그의 【Druid】, Westend Games
보드 게임Thomas Sandell의 【Hell Hath, No Fury】, Wargamer No.39, 3W
보드 게임Richard Berg의 【Boudicca】, Against the odds ( "Druid"의 리메이크 작품)


6. 1. 고대와 중세의 기록

카시우스 디오와 타키투스의 기록은 르네상스 시대에 영국에서 재발견되어 출판되면서 부디카는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25] 이탈리아 학자 폴리도르 베르길(Polydore Vergil)은 그의 역사서 ''Anglica Historia''에서 부디카를 '보아디시아(Voadicia)'로 언급했고, 스코틀랜드 역사가 헥터 보이스(Hector Boece)는 ''스코틀랜드 역사와 연대기(The History and Chronicles of Scotland)''(1526)에서 '보아다(Voada)'라고 기록했는데, 이는 부디카가 영국 출판물에 처음 등장한 것이다.[25]

영국 역사가 라파엘 홀린셰드(Raphael Holinshed)는 1577년에서 1587년 사이에 출판한 ''연대기''(Chronicles)에서 타키투스와 디오의 저술을 근거로 부디카의 이야기를 '보아디시아(Voadicia)'라는 이름으로 추가했다.[25][26][60]

튜더 시대의 부디카 묘사
홀린셰드 연대기(1577)에 묘사된 튜더 시대의 여왕 부디카


중세 시대까지 부디카와 그녀의 이야기는 잊혀졌으나, 르네상스 시대에 타키투스의 저작이 재발견되면서 1534년 폴리도르 베르길에 의해 부디카(Voadicea)의 이야기가 영국사에 수록되었다.[59]

6. 2. 빅토리아 시대의 숭배

18세기 후반, 부디카는 영국 국민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활용되었다.[31] 빅토리아 시대에 부디카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는데, 이는 그녀의 이름이 빅토리아 여왕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63]

윌리엄 쿠퍼는 1782년에 "부디카: 송가"라는 시를 발표하여 브리튼인들의 저항을 옹호하고 영국의 제국 확장에 대한 사상을 투영했으며, 이로 인해 부디카는 영국의 문화 아이콘이자 국민적 영웅으로 여겨지게 되었다.[31] 계관 시인이었던 알프레드 테니슨 경은 1859년에 ''Boädicéa''라는 시를 써서 1864년에 출판했는데, 이 시는 쿠퍼의 시를 바탕으로 이세니족 여왕 부디카를 폭력적이고 잔인한 전사로 묘사하면서도 영국 제국주의의 부상을 예고하는 듯한 내용을 담았다.[31] 프랜시스 바커의 시 "부디카"(1859) 또한 강한 애국심과 기독교적 주제를 담고 있었다. G. A. 헨티의 소설 "브리튼인 베릭"(1893)을 포함한 다양한 빅토리아 시대 어린이 책에서도 부디카가 언급되었다.

알버트 공의 격려를 받은 조각가 토마스 소니크로프트는 전차를 탄 여왕의 모습을 담은 동상 "부디카와 그녀의 딸들"을 제작했다. 1856년에서 1871년 사이에 제작된 이 동상은 1896년에 주조되어 1902년 빅토리아 엠뱅크먼트의 웨스트민스터 다리 옆에 세워졌다.[32] 동상에는 쿠퍼의 시구가 새겨져 있다.

런던의 부디카 동상
Boudica's statue in London

6. 3. 현대의 다양한 해석

부디카는 여권 운동가들이 여성 참정권 운동의 상징 중 하나로 받아들였다. 1908년에는 여러 영국 여성 참정권 연합(National Union of Women's Suffrage Societies) 행진에서 "부디카 깃발"이 등장했다.[35] 시실리 해밀턴(Cicely Hamilton)이 쓴 연극 ''위대한 여성들의 행렬(A Pageant of Great Women)''에 등장인물로 나오는데, 이 연극은 1909년 11월 런던 스칼라 극장(Scala Theatre)에서 초연된 후 전국 순회 공연을 가졌다. 1909년 소책자에서는 그녀를 "영원한 여성... 화로의 수호자, 파괴자와 약탈자에게 가해진 억울함을 갚는 자"로 묘사했다.[35]

부디카의 명성은 빅토리아 시대에 전설로서 높아졌다. 그녀의 이름이 당시 빅토리아 여왕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고 여겨졌고, 계관 시인(Poet Laureate) 알프레드 테니슨(Alfred Tennyson)은 시 「Boadicea」를 발표했다.[63] 1795년에는 영국 해군 프리깃 함대의 이름으로 "Boadicea"가 채택되었고, 이후에도 많은 함선에 그 이름이 사용되었다.[64]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알버트(Prince Albert)는 조각가 토마스 소니크로프트(Thomas Thornycroft)에게 부디카의 동상 제작을 의뢰했다. 1905년에 완성된 청동상은 두 딸을 거느리고 전차(역사적 사실과 달리 페르시아 제국풍의 수레에 쟁기를 든 형태)를 타고 팔을 치켜든 부디카의 위용을 표현한 걸작이었다. 이 동상은 웨스트민스터(Westminster) 다리에 인접한 웨스트민스터 궁전(Palace of Westminster)에 세워졌고, 윌리엄 쿠퍼(William Cowper)의 시의 한 구절이 함께 새겨져 있다.[65]

인도 소왕국의 왕비 락슈미 바이는 "인도의 잔 다르크" 또는 "인도의 부디카"라고 불린다.

2003년, 만손 주혈흡충의 게놈에서 발견된 레트로트랜스포존(LTR)에 "Boudicca"라는 이름이 붙여졌다.[79]

2006년, 노르웨이의 외항선 회사 프레드 올센 크루즈 라인((en))은 새로운 여객선에 "Boudicca"라는 이름을 붙였다.

7. 부디카 관련 문화 콘텐츠

에냐의 1987년 앨범에 수록된 부디케아는 BBC 레코드(영국)와 애틀랜틱 레코드(미국)에서 발매되었다.[66]

빅토리아 시대에 부디카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당시 빅토리아 여왕과 이름의 뜻이 같다고 여겨져, 계관 시인 알프레드 테니슨은 「Boadicea」라는 시를 발표했다.[63] 1795년에는 영국 해군 프리깃 함대의 이름으로 "Boadicea"가 채택되었고, 이후에도 많은 함선에 그 이름이 사용되었다.[64]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알버트는 조각가 토마스 소니크로프트에게 부디카의 동상 제작을 의뢰했는데, 1905년에 완성된 이 청동상은 두 딸을 거느리고 전차를 타고 팔을 치켜든 부디카의 위용을 표현한 걸작이었다. 이 동상은 웨스트민스터 다리에 인접한 웨스트민스터 궁전에 세워졌고, 윌리엄 쿠퍼의 시의 한 구절이 함께 새겨져 있다.[65]

부디카의 이야기는 많은 소설과 만화에서 소재로 다루어지고 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 메리 매키 저, 『The People of the Horse』(말의 사람들), W H Allen & Co. 1987년.
  • J. F. 브록스홈 저 (필명 던컨 카일로 집필), 『The War Queen』(전쟁 여왕), 1967년.
  • 로즈마리 새트클리프 저, 건유미코 역, 『어둠의 여왕에게 바치는 노래』(Song for a Dark Queen), 1978년/영국, 2002년/일본어 번역 ISBN 4-566-02086-X.
  • 먼다 스콧(en) 저, 『드리밍 더 이글』(Dreaming the Eagle, 독수리를 꿈꾸다)(2003년), 『드리밍 더 불』(Dreaming the Bull, 황소를 꿈꾸다)(2004년), 『드리밍 더 하운드』(Dreaming the Hound, 사냥개를 꿈꾸다)(2005년), 『드리밍 더 서펜트 스피어』(Dreaming the Serpent Spear, 뱀의 창을 꿈꾸다)(2006년) 시리즈.
  • 조이스 도레 저, 『Hemlock』(독미나리), 2002년. 이 소설에서 부디카와 두 딸은 로마로 끌려가 네로 황제를 만난다. 그 자리에서 그녀에게 독미나리(hemlock)가 담긴 술이 제공된다. 도레는 이것을 일종의 영감과 그녀가 역사적 인물과 나눈 대화의 기록에서 얻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 앨런 골드(en) 저, 『Warrior Queen』(전사 여왕), 2005년.
  • 샬럿 브론테의 장편소설 『제인 에어』(1847년)에서는 로체스터 씨의 이야기 속에 여왕 부디카에 대해 언급하는 부분이 있다.
  • 해리 터틀도브의 소설 『Ruled Britannia』(지배된 브리타니아)에서는 무적함대에 패배한 영국을 위해 셰익스피어가 희곡을 쓰고 스페인에 대한 반격을 불러일으켰다고 나오는데, 이 희곡은 부디카의 이야기를 그린 것으로 여겨진다.
  • 앨리스 보차르트(en)의 소설 『Tales of Guinevere』(기네비어의 이야기) 시리즈 주인공 기네비어는 부디카의 여자 후손으로 묘사되어 있다.
  • 영국 해군 프리깃 함대 "Boadicea"는 패트릭 오브라이언의 시리즈 소설 『영국 해군의 영웅 잭 오브리 시리즈』(Aubrey–Maturin series)의 「정복하라, 요새 모리셔스」(The Mauritius Command)에도 등장한다.
  • 시인 애드리엔느 리치는 『Snapshots of a daughter-in-law』(며느리의 스냅사진)에서 부디카를 언급하고 있다.[66]
  • 톰 클랜시의 소설 『넷포스 익스플로러즈』 시리즈 제9권 「Private Lives」(사생활)에는 전설적인 여왕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진 여성 캐릭터 "Bodicea"가 등장한다.
  • 팻 밀스(en) 작, 글렌 패브리(en)와 더모트 파워(en) 그림의, 『2000AD』(en) 시리즈 연재 코믹 『Sláine』(슬레이네)의 에피소드 「"Demon Killer" and "Queen of Witches"」(1993~1994년)는 부디카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 마이클 터너(en) 원작의 아메리칸 코믹스 시리즈 『위치 블레이드』에서는 초자연적인 무기 "위치 블레이드"를 손에 넣은 역사 속 여성 중 한 명으로 부디카가 등장한다.
  • 1990년대 DC 코믹스 연재 『그린 랜턴』에 등장하는 초경찰 기구 그린 랜턴 코스에는 흉폭한 여성 전사라는 프로필의 멤버 "Boodikka"가 소속되어 있다.
  • 앨런 무어와 에디 캠벨(en)의 그래픽 노벨 『프롬 헬』에서 등장인물 윌리엄 길 경은 부디카의 패배는 여계 승계 사회의 종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앰버 벤슨(en)과 크리스토퍼 골든(en)의 웹 배포 영화와 책 『Ghosts of Albion』(알비온의 유령) 시리즈에는 "Queen Bodicea"라는 이름의 알비온(영국의 옛 이름)을 지키는 영혼이 등장한다.
  • 찰리 플레처의 아동 소설 『스톤 하트』 시리즈에서 위에서 언급한 웨스트민스터 궁전에 있는 부디카와 그녀의 딸들을 본뜬 동상이 주인공들의 편으로 등장한다.
  • 아시베 유호 저, 『크리스탈☆드래곤』.
  • 마키 아케미 저의 만화 『신부는 수수께끼로 가득 차 있다』. 수잔 스펜서 홀 원작의 하얼퀸 히스토리컬. 체스 말의 퀸. 보아디케아로서 주인공을 돕는다.
  • 제로 THE MAN OF THE CREATION

7. 1. 영화 및 TV 드라마

다음은 영화 및 TV 드라마에서 부디카를 다룬 작품들이다.

  • 1927년: 부디카 - 싱클레어 힐 감독, 필리스 닐슨-테리 주연의 영국 무성 역사 영화.
  • 1978년: 워리어 퀸 - 마틴 멜릿 제작, 시안 필립스 주연의 영국 텔레비전 드라마.
  • 2003년: 부디카 - 빌 앤더슨 감독, 알렉스 킹스턴 주연의 영국 전기 영화이자 역사 영화인 텔레비전 영화.
  • 2023년: 부디카 - 제시 V. 존슨 감독, 올가 쿠릴렌코 주연의 영국 액션 영화이자 드라마 영화.

7. 2. 음악

에냐의 1987년 앨범에 수록된 부디케아는 BBC 레코드(영국)와 애틀랜틱 레코드(미국)에서 발매되었다.[66]

7. 3. 기타

빅토리아 시대에 부디카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당시 빅토리아 여왕과 이름의 뜻이 같다고 여겨져, 계관 시인 알프레드 테니슨은 「Boadicea」라는 시를 발표했다.[63] 1795년에는 영국 해군 프리깃 함대의 이름으로 "Boadicea"가 채택되었고, 이후에도 많은 함선에 그 이름이 사용되었다.[64]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알버트는 조각가 토마스 소니크로프트에게 부디카의 동상 제작을 의뢰했다. 1905년에 완성된 청동상은 두 딸을 거느리고 전차(역사적 사실과 달리 페르시아 제국풍의 수레에 쟁기를 든 형태)를 타고 팔을 치켜든 부디카의 위용을 표현한 걸작이었다. 이 동상은 웨스트민스터 다리에 인접한 웨스트민스터 궁전에 세워졌고, 윌리엄 쿠퍼의 시의 한 구절이 함께 새겨져 있다.[65]

부디카의 이야기는 많은 소설과 만화에서 소재로 다루어지고 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 메리 매키 저, 『The People of the Horse』(말의 사람들), W H Allen & Co. 1987년.
  • J. F. 브록스홈 저 (필명 던컨 카일로 집필), 『The War Queen』(전쟁 여왕), 1967년.
  • 로즈마리 새트클리프 저, 건유미코 역, 『어둠의 여왕에게 바치는 노래』(Song for a Dark Queen), 1978년/영국, 2002년/일본어 번역 ISBN 4-566-02086-X.
  • 먼다 스콧(en) 저, 『드리밍 더 이글』(Dreaming the Eagle, 독수리를 꿈꾸다)(2003년), 『드리밍 더 불』(Dreaming the Bull, 황소를 꿈꾸다)(2004년), 『드리밍 더 하운드』(Dreaming the Hound, 사냥개를 꿈꾸다)(2005년), 『드리밍 더 서펜트 스피어』(Dreaming the Serpent Spear, 뱀의 창을 꿈꾸다)(2006년) 시리즈.
  • 조이스 도레 저, 『Hemlock』(독미나리), 2002년. 이 소설에서 부디카와 두 딸은 로마로 끌려가 네로 황제를 만난다. 그 자리에서 그녀에게 독미나리(hemlock)가 담긴 술이 제공된다. 도레는 이것을 일종의 영감과 그녀가 역사적 인물과 나눈 대화의 기록에서 얻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 앨런 골드(en) 저, 『Warrior Queen』(전사 여왕), 2005년.
  • 샬럿 브론테의 장편소설 『제인 에어』(1847년)에서는 로체스터 씨의 이야기 속에 여왕 부디카에 대해 언급하는 부분이 있다.
  • 해리 터틀도브의 소설 『Ruled Britannia』(지배된 브리타니아)에서는 무적함대에 패배한 영국을 위해 셰익스피어가 희곡을 쓰고 스페인에 대한 반격을 불러일으켰다고 나오는데, 이 희곡은 부디카의 이야기를 그린 것으로 여겨진다.
  • 앨리스 보차르트(en)의 소설 『Tales of Guinevere』(기네비어의 이야기) 시리즈 주인공 기네비어는 부디카의 여자 후손으로 묘사되어 있다.
  • 영국 해군 프리깃 함대 "Boadicea"는 패트릭 오브라이언의 시리즈 소설 『영국 해군의 영웅 잭 오브리 시리즈』(Aubrey–Maturin series)의 「정복하라, 요새 모리셔스」(The Mauritius Command)에도 등장한다.
  • 시인 애드리엔느 리치는 『Snapshots of a daughter-in-law』(며느리의 스냅사진)에서 부디카를 언급하고 있다.[66]
  • 톰 클랜시의 소설 『넷포스 익스플로러즈』 시리즈 제9권 「Private Lives」(사생활)에는 전설적인 여왕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진 여성 캐릭터 "Bodicea"가 등장한다.
  • 팻 밀스(en) 작, 글렌 패브리(en)와 더모트 파워(en) 그림의, 『2000AD』(en) 시리즈 연재 코믹 『Sláine』(슬레이네)의 에피소드 「"Demon Killer" and "Queen of Witches"」(1993~1994년)는 부디카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 마이클 터너(en) 원작의 아메리칸 코믹스 시리즈 『위치 블레이드』에서는 초자연적인 무기 "위치 블레이드"를 손에 넣은 역사 속 여성 중 한 명으로 부디카가 등장한다.
  • 1990년대 DC 코믹스 연재 『그린 랜턴』에 등장하는 초경찰 기구 그린 랜턴 코스에는 흉폭한 여성 전사라는 프로필의 멤버 "Boodikka"가 소속되어 있다.
  • 앨런 무어와 에디 캠벨(en)의 그래픽 노벨 『프롬 헬』에서 등장인물 윌리엄 길 경은 부디카의 패배는 여계 승계 사회의 종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앰버 벤슨(en)과 크리스토퍼 골든(en)의 웹 배포 영화와 책 『Ghosts of Albion』(알비온의 유령) 시리즈에는 "Queen Bodicea"라는 이름의 알비온(영국의 옛 이름)을 지키는 영혼이 등장한다.
  • 찰리 플레처의 아동 소설 『스톤 하트』 시리즈에서 위에서 언급한 웨스트민스터 궁전에 있는 부디카와 그녀의 딸들을 본뜬 동상이 주인공들의 편으로 등장한다.
  • 아시베 유호 저, 『크리스탈☆드래곤』.
  • 마키 아케미 저의 만화 『신부는 수수께끼로 가득 차 있다』. 수잔 스펜서 홀 원작의 하얼퀸 히스토리컬. 체스 말의 퀸. 보아디케아로서 주인공을 돕는다.
  • 제로 THE MAN OF THE CREATION

참조

[1] 서적 The Annals https://en.wikisourc[...]
[2] 서적 Boudica: Iron Age Warrior Queen https://archive.org/[...] Unwin
[3] 서적 Suetonius https://catalog.hath[...] Harvard University Press 1914
[4] 서적 Boudica: Iron Age Warrior Queen https://archive.org/[...] Unwin
[5] 서적 Greek and Roman Historians: Information and Misinformation Routledge
[6] 학술지 Boudica's Speeches in Tacitus and Dio https://www.jstor.or[...] 2008
[7] 서적 The Roman Invasion of Britain: archaeology versus history Pen & Sword Books Limited 2019
[8] 서적 Women Warlords: an illustrated military history of female warriors https://archive.org/[...] Blandford 1989
[9] 서적 A History of Wales
[10] 서적 Roman History https://hdl.handle.n[...]
[11] 서적 Boudica: Iron Age Warrior Queen https://archive.org/[...] Unwin
[12] 서적 Boudica: British Rebel https://archive.org/[...]
[13] 서적 Boudica: The Untold Story of the Celtic Warrior Queen Who Defied the Roman Empire
[14] 서적 Annals
[15] 서적 The Lost Battlefields of Britain Amberley 2022
[16] 서적 Iron Age Communities in Britain: an account of England, Scotland, and Wales from the seventh century BC until the Roman conquest Routledge & Kegan Paul 1978
[17] 서적 Folly and Fortune in Early British History: from Caesar to the Norman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2008
[18] 온라인 백과사전 Boudicca (d. AD 60/61) http://www.oxforddnb[...] 2010-10-04
[19] 서적 A History of Wales
[20] 학술지 Queen Boudica?
[21] 서적 Boudica's Last Stand: Britain's Revolt Against Rome, A.D. 60–61 The History Press 2007
[22] 서적 The Rebellion of Boudicca https://archive.org/[...] Routledge & Kegan Paul 1962
[23] 서적 Boudica: Iron Age Warrior Queen https://archive.org/[...] Unwin
[24] 서적 Britain Pen & Sword Books Limited 2021
[25] 학술지 Nationalism and Biographical Transformation: the case of Boudicca Macquarie University 2013
[26] 학술지 Warrior Queens in Holinshed's Woodcuts https://web.archive.[...] 2022-10-13
[27] 학술지 Spenser and the Historical Revolution: Briton Moniments and the Problem of Roman Britain https://core.ac.uk/d[...] Indiana University & Purdue University 1996
[28] 서적 Dramatists and Their Manuscripts in the Age of Shakespeare, Jonson, Middleton and Heywood: authorship, authority and the playhous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
[29] 서적 Henry Purcell: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his musical styl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30] 서적 Henry Purcell and the London St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31] 서적 Boudica: Iron Age Warrior Queen https://archive.org/[...] Unwin
[32] 서적 Images of Women in Peace & War: cross-cultural & historical perspectives https://archive.org/[...] Macmillan Press 1987
[33] 웹사이트 The "Warrior Queen" under Platform 9 http://www.museumofl[...] Museum of London 2011-08-13
[34] 서적 Essex: Buildings of England Series Yale University Press 2007
[35] 학술지 Boadicea and British Suffrage Feminists https://www.academia[...] 2020-10-31
[36] 웹사이트 Queen Boudica, A Life in Legend https://www.historyt[...] 2022-08-04
[37] 서적 Cardiff's Civic Centre: A historical guide Priory Press
[38] 웹사이트 Statue of Buddug – Boadicea https://www.vads.ac.[...]
[39] 웹사이트 Boudicca Way (Norwich to Diss) https://www.norfolk.[...] Norfolk County Council 2020-10-31
[40] 서적 観光コースでないロンドン イギリス2000年の歴史を歩く 高文研
[41] 문서 アグリコラ 14-16 https://www.perseus.[...]
[42] 문서 ローマ史 62:1-12 https://penelope.uch[...]
[43] 서적 Boudica: The British Revolt against Rome AD 60 http://www.romanbrit[...]
[44] 서적 Queen Boudicca?
[45] 문서 年代記 12.31-32
[46] 문서 ヘロデ大王の息子アルケラオスとアンティパス
[47] 서적 イエス・キリスト時代のユダヤ民族史 II 株式会社教文館
[48] 서적 From the Gracchi to Nero
[49] 서적 Londinium: London in the Roman Empire
[50] 문서 年代記 14.31
[51] 문서 年代記 12.32
[52] 문서 アグリコラ 15
[53] 서적 Britannia: The Roman Conquest & Occupation of Britain
[54] 문서 キンブリ族の女性とウェルケラエの戦い、スエビ族のアリオウィストゥスとガリア戦記
[55] 웹사이트 FIND A GRAVE https://www.findagra[...]
[56] 웹사이트 Boudica - the case for Atherstone and Kings Cross http://www.indigogro[...]
[57] 웹사이트 A Boudicca question http://community.cha[...]
[58] 문서 The Ruin of Britain 6, History of Britain, 407-597 Book 1, Chapter 2 https://web.archive.[...]
[59] 서적 Polydore Vergil's English History Book2 https://books.google[...]
[60] 서적 Chronicles:History of England http://www.gutenberg[...]
[61] 간행물 Studies in English Literature,1500-1900 http://links.jstor.o[...]
[62] 시 Boadicea, an ode http://www.bartleby.[...]
[63] 시 Boadicea http://oldpoetry.com[...]
[64] 문서 HMS Boadicea
[65] 서적 Boudica: The British Revolt against Rome AD 60
[66] 시 Snapshots of a Daughter-in-Law http://plagiarist.co[...]
[67] 영화 Boadicea https://www.imdb.com[...]
[68] 영화 Boudica https://www.imdb.com[...]
[69] 영화 Warrior https://www.imdb.com[...]
[70] 웹사이트 The Internet Movie Database https://www.imdb.com[...]
[71] 웹사이트 IRISH-ON-FILM INDEX http://www.boudicca.[...]
[72] 문서 シリーズが続くとこのミドルネームは寿限無のような冗談みたいな長さになる
[73] 웹사이트 『Stone of Destiny』歌詞リスト http://www.daire.org[...]
[74] 웹사이트 ザ・リバティーンズ「The Good Old Days」歌詞 http://www.seeklyric[...]
[75] 웹사이트 バンドバル-サゴス「Blood Slakes the Sand at the Circus Maximus」歌詞、「When Rides the Scion of the Storms」歌詞 http://balsagoth-lyr[...]
[76] 웹사이트 フェイス・アンド・ザ・ミューズ「Boudiccea」歌詞 http://www.mercygrou[...]
[77] 서적 Haunted Highways:Ghost Stories and Strange Tales 2003
[78] 웹사이트 ケルティックジュエリー&クラダーリング専門店 【ボウディッカ】 http://www.boudicca.[...]
[79] 논문 ''Boudicca'', a retrovirus-like long terminal repeat retrotransposon from the genome of the human blood fluke ''Schistosoma mansoni'' 2003-06
[80] 웹사이트 Broad Band Factory Online Shop http://www.bb-f.jp/p[...]
[81] 웹사이트 Annals http://www.perseu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