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64년 알래스카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4년 알래스카 지진은 1964년 3월 27일 알래스카 프린스 윌리엄 해협에서 발생한 규모 9.2의 메가스러스트 지진이다. 이 지진으로 최대 67m 높이의 쓰나미가 발생하여 알래스카, 캐나다, 미국 서부 해안, 하와이, 일본 등 태평양 연안 국가에 광범위한 피해를 입혔다. 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131명이 사망하고, 막대한 재산 피해가 발생했으며, 알래스카 지역의 지각 변동과 산사태도 일어났다. 지진 발생 후 수많은 여진이 이어졌으며, 복구 및 재건 과정에서 과학적 평가와 군의 지원,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캐나다 - 1964년 동계 올림픽 캐나다 선수단
    1964년 동계 올림픽 캐나다 선수단은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등 여러 종목에 출전했으나 일부 종목 정보만 제공되고 메달 획득 여부와 최종 순위는 불분명하다.
  • 1964년 지진 - 니가타 지진
    니가타 지진은 1964년 6월 16일 일본 혼슈 동해안에서 발생하여 쓰나미와 액상화 현상을 동반, 26명이 사망하고 477명이 부상했으며, 일본의 안전 불감증과 부실 공사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켜 지진 보험 제도 도입 및 도시 계획, 건축 기준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 1964년 지진 - 1964년 바이허 지진
    1964년 1월 18일 중화인민공화국 자난 평원에서 발생한 규모 6.8의 바이허 지진은 추커우 단층에서 발생했으며 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인해 105명의 사망자와 주택 붕괴, 재산 피해, 2차 피해를 야기했고, 중화민국 정부의 재난 관리 시스템 개선 계기가 되었다.
  • 알래스카주의 지진 - 2018년 앵커리지 지진
    2018년 앵커리지 지진은 2018년 11월 30일 알래스카주 앵커리지 인근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7.1의 지진으로, 남부 알래스카에 상당한 피해를 입히고 100명 이상의 부상자와 3천만 달러 이상의 재산 피해를 초래하여 연방 재난이 선포되었다.
  • 알래스카주의 지진 - 2018년 알래스카만 지진
    2018년 1월 23일 알래스카 코디액에서 남동쪽으로 282km 떨어진 해상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7.9의 지진으로, 알래스카 해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가 발령되었으나 해제되었고, 태평양 판 내부의 주향 이동 단층 운동으로 발생했다.
1964년 알래스카 지진
지도 정보
앵커리지 4번가 C 스트리트 근처에서 동쪽을 바라본 모습. 앵커리지에서 발생한 여러 산사태 중 하나로, 이 산사태는 4번가 북쪽 5개 블록을 포함해 총 12개 블록 이상을 덮었습니다. 대부분의 지역은 파괴되어 도시 재개발 지구로 지정되었습니다.
앵커리지 4번가
기본 정보
발생 시각1964년 3월 28일 03시 36분 16초 (UTC) / 1964년 3월 27일 17시 36분 16초 (AKST)
지속 시간4~5분
위치프린스윌리엄 해협
좌표북위 60.908, 서경 147.339
깊이25 km
규모모멘트 규모 9.2-9.3
최대 지반 가속도~0.18 g
진도MMI X
유형메가스러스트 지진
단층태평양판북아메리카판의 충돌
여진10,000회 이상
최대 여진1964년 3월 28일 14시 47분 38초 (UTC) M6.4, 최대 진도 VI
피해
사망자131명
피해 지역미국, 캐나다, 일본 등 환태평양 지역
재산 피해3억 1,100만 달러 (1964년 USD) [29억 4천만 달러 (2022년 USD)]
쓰나미
쓰나미 정보최대 67 m 높이의 쓰나미가 알래스카 쇼업 만에서 발생

2. 지진

1964년 3월 27일 오후 5시 36분(알래스카 시각), 프린스 윌리엄 해협의 칼리지피오르 부근에서 태평양판북아메리카판 사이를 가르는 단층이 파열되었다. 이 지진으로 131명이 사망했다. 같은 해 일본에서 발생한 니가타 지진과 함께 액상화 현상에 의한 피해가 커, 이후 토질역학 분야에서 액상화 현상이 활발하게 연구되었다.

현지 시간 17시 36분(UTC: 3월 28일 3시 36분), 프린스윌리엄만 근처 칼리지 피요르드에서 길이 약 850km에 걸쳐 단층이 파괴되었다. 큰 여진을 포함해 지진은 3분에서 5분 동안 지속되었다.

이 지진으로부터 1년 가까이 지난 1965년2월 4일에 같은 해구 부근인 알류샨 열도에서 Mw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규모가 큰 지진 (20세기 이후・세계)
순위명칭발생일 (UTC)규모 (Mw)
1칠레 발디비아1960년5월 22일9.5
2알래스카 프린스윌리엄만1964년3월 28일9.2
3수마트라·안다만 제도2004년12월 26일9.1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2011년3월 11일
5캄차카 반도 동쪽 해역1952년11월 5일9.0
6칠레 비오비오2010년2월 27일8.8
에콰도르·콜롬비아1906년1월 31일
8알류샨 열도 랫섬1965년2월 4일8.7
9알류샨 열도 우니마크 섬1946년4월 1일8.6
아삼-티베트1950년8월 15일
알류샨 열도 안드레아노프 제도1957년3월 9일
수마트라 섬 북부2005년3월 28일
수마트라 섬 북부 서쪽 해역2012년4월 11일
규모는 미국 지질조사소에 의한 것


2. 1. 발생 메커니즘

1964년 3월 27일 오후 5시 36분(알래스카 표준시), 프린스 윌리엄 해협의 칼리지피오르 부근에서 태평양판북아메리카판 사이 단층이 파열되었다. 진앙프린스 윌리엄 해협 북쪽 20km, 앵커리지 동쪽 126km, 발데즈 서쪽 64km 지점이며, 진원 깊이는 약 24.9km이다. 해저 지각이 이동해 최대 높이 67m의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하여 수많은 사망자와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43] 대형 산사태도 발생해 여러 재산 피해가 일어났다. 최대 12m의 수직 변위가 알래스카주 내 약 260000km2 영역에 지각변동 영향을 미쳤다.

지진동 연구 결과 본진의 최대 지반 가속도(PGA)는 0.14~0.18 g로 측정되었다.[44]

알래스카 지진은 해양판이 대륙판 밑으로 가라앉는 섭입대에서 일어난 메가스러스트 지진이다. 지진 발생 단층은 압축력으로 형성된 역단층인 알류샨 해구의 알류샨 메가스러스트이다. 이 지진으로 지반이 서로 다른 쪽으로 이동하면서 지반이 고르지 않게 울퉁불퉁해진 지역이 곳곳에 나타났다.[45]

2. 2. 지진 규모 및 진도

1964년 3월 27일 오후 5시 36분(알래스카 시각), 프린스 윌리엄 해협의 칼리지피오르 부근에서 태평양판북아메리카판 사이의 단층이 파열되었다.[43] 진앙프린스 윌리엄 해협 북쪽 20 km, 앵커리지 동쪽 126 km, 발데즈 서쪽 64 km 지점이며, 진원 깊이는 약 24.9 km이다.[43]

지진동 연구 결과, 본진의 최대 지반 가속도(PGA)는 0.14~0.18 g로 측정되었다.[44] 최대 수정 메르칼리 진도는 X(''극심'')로 평가되었다. 지진의 흔들림은 알래스카 대부분 지역과 캐나다 서부의 유콘 준주브리티시컬럼비아주 일부 지역에서 감지되었다.[9]

이 지진은 해양판이 대륙판 밑으로 가라앉는 섭입대에서 발생한 메가스러스트 지진이다. 지진을 일으킨 단층은 알류샨 해구의 알류샨 메가스러스트이며, 압축력으로 형성된 역단층이다.[45]

관측된 표면파 규모(Ms)는 8.4~8.6으로 알려졌지만, 이후 가나모리 히로오의 추정에 의해 모멘트 규모(Mw) 9.2로 판명되어[34] '''미국 지진 관측 사상 최대 규모'''가 되었다.[35]

Mw 9.0 이상의 지진 (20세기 이후)
순위명칭발생일 (UTC)Mw
1칠레 발디비아1960년5월 22일9.5
2알래스카 프린스윌리엄만1964년3월 28일9.2
3수마트라·안다만 제도2004년12월 26일9.1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2011년3월 11일
5캄차카 반도 동쪽 해역1952년11월 5일9.0
규모는 미국 지질조사소에 의한 것


2. 3. 지각 변동

1964년 3월 27일 오후 5시 36분(알래스카 시각), 프린스 윌리엄 해협의 칼리지피오르 부근에 있는 태평양판북아메리카판 사이를 가르는 단층이 파열되었다. 진앙프린스 윌리엄 해협 북쪽 20 km, 앵커리지 동쪽 126 km, 발데즈 서쪽 64 km 지점이며, 진원 깊이는 약 24.9 km이다. 해저 지각이 이동해 최대 높이 67 m의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하여 수많은 사망자와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43] 대형 산사태도 발생해 여러 재산 피해가 일어났다. 최대 12 m의 수직 변위가 알래스카주 내 약 26만 km2의 영역에 지각변동 영향을 미쳤다.

지진동 연구 결과 본진의 최대 지반 가속도(PGA)는 0.14~0.18 g로 측정되었다.[44]

알래스카 지진은 해양판이 대륙판 밑으로 가라앉아 만들어진 섭입대에서 일어난 메가스러스트 지진이다. 지진 발생 단층은 압축력으로 형성된 역단층인 알류샨 해구의 알류샨 메가스러스트이다. 이 지진으로 지반이 서로 다른 쪽으로 이동하면서 지반이 고르지 않게 울퉁불퉁해진 지역이 곳곳에 나타났다.[45] 남부 코디악에서 프린스윌리엄만, 그리고 만의 동쪽으로 520km2에 걸쳐 융기가 발생했다. 최대 융기는 몬태규 섬에서 발생했으며, 지면이 해수면을 기준으로 13m 상승했다. 침강은 만의 북쪽과 서쪽, 추가치 산맥, 케나이 반도 대부분, 그리고 코디악 섬 전체에서 285km2에 걸쳐 관찰되었다.[9]

2. 4. 여진

본진 이후 몇 주 동안 수백 건의 여진이 발생했다. 본진 발생 당일에만 규모 M6.0 이상의 지진이 11차례 발생했고, 이후 3주 동안 9번의 여진이 더 발생했다. 지진 발생 후 수 달 동안 수천 차례의 여진이 발생했으며, 본진 발생 1년 후에도 작은 규모의 여진이 계속 발생했다.[59][23]

3. 지진 해일 (쓰나미)

1964년 알래스카 지진으로 인해 두 종류의 지진해일(쓰나미)이 발생했다. 지각 변동으로 발생한 거대한 해일과 20여 개의 국지적인 소규모 해일이었다. 소규모 해일은 주로 해저 산사태로 발생했으며, 전체 쓰나미 피해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거대한 해일은 페루,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일본, 멕시코, 남극 등 20개국 이상에서 관측되었다. 기록된 가장 큰 쓰나미는 미국 알래스카주 수프만에서 관측된 67m 높이였다.[48][47]

3. 1. 발생 원인 및 전파

이 지진으로 두 가지 유형의 지진해일(쓰나미)이 발생했다. 지각이 움직여 만들어진 거대한 해일과 국지적인 소규모 지진해일 20가지가 각각 만들어졌다. 작은 쓰나미는 대부분 수상, 해저 산사태로 만들어졌으며 쓰나미 피해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거대 쓰나미는 페루,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일본, 멕시코, 남극을 포함한 20개가 넘는 국가에서 관측되었다. 기록된 가장 큰 쓰나미는 미국 알래스카주 수프만에서 관측된 67m이다.[48][47]

섬네일

  • : 이동 시간 1~4시간
  • : 이동 시간 5~6시간
  • : 이동 시간 7~14시간
  • : 이동 시간 15~21시간

3. 2. 국가별 피해

이 지진으로 두 가지 유형의 지진해일이 발생했다. 지각이 움직여 만들어진 거대한 해일과 국지적인 소규모 지진해일 20가지가 각각 만들어졌다. 작은 쓰나미는 대부분 수상, 해저 산사태로 만들어졌으며 쓰나미 피해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거대 쓰나미는 페루,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일본, 멕시코, 남극을 포함한 20개가 넘는 국가에서 관측되었다. 기록된 가장 큰 쓰나미는 미국 알래스카주 수프만에서 관측된 67 m이다.[48][47]

  • 이동 시간 1~4시간
  • 이동 시간 5~6시간
  • 이동 시간 7~14시간
  • 이동 시간 15~21시간


캐나다에서는 지진 발생 약 3시간 후, 4.5m 파도가 알래스카 팬핸들 바로 남쪽에 위치한 프린스 루퍼트에 도달했다. 쓰나미는 이후 밴쿠버 섬 서해안에 노출된 토피노에 도달하여 피오르를 따라 이동, 포트 앨버니를 두 번 강타하여 55채의 가옥을 쓸어가고 375채의 가옥에 피해를 입혔다. 핫 스프링스 코브, 제발로스, 아마이 마을에서도 피해가 발생했다.[20]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의 피해는 1,000만 캐나다 달러(1000만캐나다 달러)로 추산되었다.[21]

미국 캘리포니아주 크레센트 시티 부근에서 12명이 쓰나미로 사망했으며, 오리건주 해안의 베벌리 비치 주립공원에서 4명의 어린이가 사망했다.[22] 태평양 북서부와 하와이의 다른 해안 마을들도 피해를 입었다. 로스앤젤레스 남쪽까지 보트에 경미한 피해가 발생했다.[23] 지진의 영향은 텍사스주 프리포트까지 동쪽으로 감지되었는데, 이곳의 조수 측정기는 지진 표면파와 유사한 파도를 기록했다.[24] 세이시잉글랜드, 나미비아, 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한 전 세계의 우물에서 감지되었다.[25]

일본에서는 쓰나미가 오후나토 (90cm), 고베항 (23cm) 등에서 관측되었으며,[36] 시마 반도에서는 양식 부유 시설이 유실되는 피해가 발생했다.[37]

4. 피해

1964년 알래스카 지진과 그로 인한 쓰나미로 알래스카와 주변 지역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총 131명이 사망했는데,[48] 이 중 9명은 지진 자체로, 122명은 쓰나미로 인해 사망했다.[49]

앵커리지에서 발생한 가장 큰 산사태는 포인트 워런조프 공원과 피시크릭 사이의 크니크 수협에서 발생했으며, 인근 주택에 큰 피해를 입혔다.


지반 침하로 대부분의 주택이 땅 속에 잠긴 포티지 마을


휘티어에 닥친 쓰나미로 판자가 타이어에 박힌 모습


1964년 지진으로 앵커리지에 있는 5층짜리 J. C. 스토어 백화점 건물이 무너진 모습


지진의 최대 진도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XI로, 매우 강력했다.[53] 재산 피해는 당시 기준으로 11.6억달러에 달했다.[48]

주요 피해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알래스카주:
  • 앵커리지: 진앙에서 약 121km 떨어진 앵커리지에서는 건물이 파괴되고, 산사태가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 특히 터너게인 지역은 산사태로 주택 75채가 붕괴되었고, 이 지역은 지진공원으로 재건되었다.[54] 테드 스티븐스 앵커리지 국제공항 관제탑도 붕괴되어 관제사 1명이 사망했다.[55]
  • 거드우드와 포티지: 지반 침하와 해일로 파괴되었다. 거드우드는 내륙으로 이전하여 재건되었고, 포티지는 버려졌다.
  • 프린스윌리엄만, 케나이반도, 코디액섬 해안 마을: 슈어드, 휘티어, 코디액 등 주요 항구는 지진, 지반 침하, 쓰나미, 화재 등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발데즈는 완전히 파괴되지는 않았지만, 3년 후 더 높은 지대로 이전했다.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프린스루퍼트에는 4.5m 높이의 해일이 닥쳤다. 포트앨버르니는 쓰나미로 주택 55채가 파괴되고 375채 이상이 손상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56]
  • 미국 오리건주캘리포니아주: 크레센트시티에서는 쓰나미로 12명이, 오리건주에서는 4명이 사망했다.

4. 1. 인명 피해

1964년 알래스카 지진으로 총 131명이 사망했다.[48] 이 중 9명은 지진으로 직접 사망했고, 나머지 122명은 지진 해일(쓰나미)로 인해 사망했다.[49] 오리건주에서는 쓰나미로 5명이 사망했고,[50] 캘리포니아주 크레센트시티에서는 쓰나미로 12명이 사망했다.[51][52]

지진의 최대 진도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XI였다.[53] 재산 피해는 당시 기준으로 11.6억달러였다.[48]

일본 오후나토시에서는 90 cm, 고베항에서는 23 c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으며,[62] 시마반도에서는 쓰나미로 양식장이 피해를 입었다.[63]

4. 2. 재산 피해

지진으로 총 131명이 사망했다.[48] 이 중 9명은 지진으로, 나머지 122명은 쓰나미로 사망했다.[49] 오리건주에서는 쓰나미로 5명이,[50] 캘리포니아주 크레센트시티에서는 쓰나미로 12명이 사망했다.[51][52]

지진의 최대 진도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XI로 큰 피해를 입었다.[53] 재산 피해는 당시 기준 1억 1,600만 달러(현재 기준 11.6억달러)이다.[48]

지진 발생 3시간 후 동남부 알래스카 바로 남쪽에 있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프린스루퍼트에서 4.5m 높이의 해일이 도달했다. 이후 쓰나미는 벤쿠버섬의 서해안 돌출부에 있는 터피노에 도달해 피오르를 따라 포트앨버르니를 두 번 강타해 주택 55채가 파괴되고 375채 이상이 손상되었다. 핫스프링스코브, 제발러스, 애매이 마을도 약간의 피해를 입었다.[56] 지진으로 발생한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피해액은 1천만 캐나다 달러(현재 기준 1000만캐나다 달러)이다.[57]

4. 3. 지역별 피해

1964년 알래스카 지진으로 알래스카 내 여러 지역이 큰 피해를 입었다.

  • 앵커리지: 진앙에서 북서쪽으로 약 121km 떨어진 앵커리지는 쓰나미 피해는 없었지만, 시내가 큰 지진 피해를 입었다. 특히 터너게인 지역은 큰 산사태로 주택 75채가 붕괴되었고, 이후 피해 지역은 지진공원으로 재건되었다.[54] 가버먼트힐 학교도 산사태로 두 동강 났으며, 십크릭 일대도 산사태로 건물과 블록이 파괴되었다. 테드 스티븐스 앵커리지 국제공항의 관제탑이 붕괴되어 관제사 1명이 사망했다.[55] 완공된 포시즌스 빌딩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 거드우드와 포티지: 앵커리지 중심부에서 남동쪽으로 약 48km와 64km 떨어진 거드우드와 포티지는 침하와 조수로 파괴되었다. 거드우드는 내륙으로 옮겨 재건되었고, 포티지는 버려졌다. 수워드 고속도로의 32km 구간은 만조 지점 아래로 내려가 1964~1966년에 다시 들어 올려 재건했다.
  • 프린스 윌리엄 해협, 케나이반도, 코디액섬: 슈어드, 휘티어, 코디액 등 주요 항구는 지진, 지반 침하, 쓰나미, 화재 등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발데즈는 완전히 파괴되진 않았지만 지진 발생 3년 후 서쪽으로 약 6.4km 떨어진 고지대로 옮겨졌다. 치니거와 어퍼그넥 등 알래스카 원주민 마을도 파괴되거나 큰 피해를 입었다.
  • 기타 지역: 클리어 공군기지의 탄도 미사일 탐지 레이더가 6분간 작동을 중지했다. 커르더바 인근의 밀리언 달러 다리가 무너졌다.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프린스루퍼트에서 4.5m 높이의 해일이 도달했다. 터피노를 거쳐 포트앨버르니를 두 번 강타해 주택 55채가 파괴되고 375채 이상이 손상되었다. 핫스프링스코브, 제발러스, 애매이 마을도 피해를 입었다.[56]
  • 미국 캘리포니아주 및 오리건주: 크레센트시티에서 쓰나미로 12명이 사망했고,[51][52] 오리건주 베벌리비치 주립공원 해안에서 어린이 4명이 쓰나미에 사망했다.[58]
  • 일본: 오후나토시에서 90cm, 고베항에서 23c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으며,[62] 시마반도에서는 양식장이 피해를 입었다.[63]

5. 복구 및 재건

알래스카주는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대규모 재난을 경험한 적이 없었고, 이런 사건의 영향에 대처할 자원도 매우 제한적이었다. 앵커리지에서는 지질학자 리디아 셀크레그의 요청으로 앵커리지 시와 알래스카주 주택부가 지질학자, 토양과학자, 공학자 등 40명의 과학자로 구성된 연구팀을 구성해 지진으로 발생한 도시 피해를 분석했다.[64] "공학 및 지질학적 평가집단"이라 부른 이 연구팀은 알래스카 앵커리지 대학교의 지질학 교수 루트 A. M. 슈미트 박사가 지휘했다. 연구팀은 바로 재건 사업을 시작하려는 지역 내 건설계 및 사업가들과 갈등을 겪었고, 과학자들은 재건된 인프라가 안전할 수 있도록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평가하고자 했다.[65] 연구팀은 지진 발생 한 달이 조금 지난 1964년 5월 8일 보고서를 작성했다.[64][66]

알래스카주에 대규모로 주둔한 미국 육군도 지진 발생 직후 지원에 나섰다. 알래스카주 주둔 미국 육군은 신속하게 48개 다른 주와 통신을 재개했고, 앵커리지 시민을 지원하기 위한 병력을 배치하고 발데즈에는 호송대를 배치했다.[67] 군 및 민간의 조언에 따라 당시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은 지진 발생 다음 날 알래스카 전역을 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즉각적인 지원 요구에 지원을 위해 미국 해군미국 해안경비대가 고립된 해안 마을에 선박을 배치했다. 지진 발생 다음 날은 악천후와 매우 좁은 시야로 항공 구조 및 관측 활동이 큰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 다음 날인 29일 일요일에는 날씨가 개어 구조 헬기와 관측용 항공기가 배치되었다.[67] 또한 군 공수부대가 알래스카로 즉시 보급품을 공수하기 시작했고, 총 1170000kg 가량의 식량과 기타 물품을 전달했다.[70] 방송사 저널리스트인 지니 찬스는 앵커리지의 공공대피소 건물 내 임시 사무실에서 24시간 이상 연속으로 앵커리지 대상으로 방송하는 KENI 라디오 전파를 통해 침착하게 복구 및 지원 활동을 지원했다.[68] 앵커리지시 경찰서장은 찬스를 사실상의 공공안전 책임자로 임명했다.[68] 찬스는 규모 M9.2의 지진 이후 지속되는 재난 상황에 대한 속보를 전달했으며, 공공 대피소 대변인으로 대응 과정을 조정하고, 가용 자원을 지역 사회의 필요와 연결하고, 대피소와 준비된 식량 배급 정보를 전파하고, 생존자들의 안부를 전달하고, 가족의 재회를 도왔다.[69]

이후 장기간에 걸쳐 미국 육군 공병대가 도로를 재건하고 완전히 파괴된 마을을 복구하기 위한 새 마을 건설을 주도했으며, 이 과정에서 1100억달러의 비용을 소모했다.[70] 지진 이후 재난에 직접 대응하기 위해 서해안 및 알래스카 지진해일 경보 센터(WCATWC)가 설립되었다. 연방 재난구호기금이 알래스카주의 황폐화된 인프라를 재정적으로 지원했고, 재건 비용을 지불해 수억 달러를 지출하여 프루드배이에서 대규모 석유 매장지가 발견되기 전까지 알래스카주의 재정 위기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미 국방부의 명령에 따라 알래스카 주방위군은 향후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알래스카 비상대책국을 설치했다.[67]

참조

[1] 서적 "The great Alaska earthquake of 1964, Volume 1, Part 1"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ies
[2] 간행물 M 9.2 – The 1964 Prince William Sound, Alaska Earthquake
[3] 논문 Rupture process of the 1964 Prince William Sound, Alaska, earthquake from the combined inversion of seismic, tsunami, and geodetic data https://agupubs.onli[...] 2007
[4] 간행물 ISC-GEM Global Instrumental Earthquake Catalogue (1904–2018) http://www.isc.ac.uk[...]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5] 웹사이트 1964 Alaskan Tsunami http://www.usc.edu/d[...]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15-07-18
[6] 웹사이트 Historic Earthquakes: Prince William Sound, Alaska https://earthquake.u[...]
[7] 서적 "The great Alaska earthquake of 1964, Volume 1, Part 1"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ies
[8] 웹사이트 The Great Alaska Earthquake of 1964 and Its Legacy https://www.air-worl[...] 2014-03-27
[9] 보고서 Seismicity of the United States, 1568-1989 (revised) 1993
[10] 웹사이트 Geoware Tsunami Products http://www.geoware-o[...] 2018-06-21
[11] 뉴스 Getting Ready to Rumble The Wall Street Journal 2017-08-26
[12] 웹사이트 Tsunami Events Search – sorted by Date, Country http://www.ngdc.noa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2014-01-09
[13] 웹사이트 The Great Alaskan Earthquake & Tsunamis of 1964 http://wcatwc.arh.no[...]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14] 뉴스 Tsunami generated by Good Friday quake devastated Oregon Coast 50 years ago Thursday https://www.oregonli[...] 2018-07-27
[15] 뉴스 The day in 1964 when a tsunami ravaged Crescent City https://www.sfgate.c[...] 2020-04-09
[16] 뉴스 Remembering the Deadly 75-Foot Tidal Wave that Leveled Crescent City in 1964 https://activenorcal[...] 2020-04-09
[17] 웹사이트 Earthquake Park {{!}} Things to Do in Anchorage https://www.alaska.o[...] 2021-05-03
[18] 서적 Analysis of the failure of the Anchorage International Airport control tower National Research Council (U.S.). Committee on the Alaska Earthquak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 웹사이트 50 YEARS since 1964 earthquake catastrophe: Military integral to recovery https://www.pacaf.af[...] Pacific Air Forces 2024-05-12
[20] 웹사이트 Tsunami runups in Canada in 1964 http://www.ngd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1-03
[21] 뉴스 A brief history of the Canadian dollar https://www.theglobe[...] 2018-01-11
[22] 뉴스 Oregon's pioneer spirit Statesman Journal 1999-12-26
[23] 웹사이트 USGS Release: 40th Anniversary of "Good Friday" Earthquake Offers New Opportunities for Public and Building Safety Partnerships (3/26/2004) http://www.usgs.gov/[...] 2006-11-19
[24] 웹사이트 Tsunami runups in Freeport http://www.ngd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1-04
[25] 서적 The Great Quake: How the biggest earthquake in North America changed our understanding of the planet Crown
[26] 문서 Guide to the Anchorage Engineering Geology Evaluation Group papers, 1964 https://archives.con[...] UAA/APU Consortium Library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27] 웹사이트 Ruth Anne Marie Schmidt Ph.D. Alaska Women's Hall of Fame 2015-11-23
[28] 웹사이트 PROWESS Honors Historic Earthquake Survivor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2018-07-31
[29] 웹사이트 "Helping Hand" Military response to Good Friday earthquake http://alaskahistori[...] Alaska Historical Society 2014-03-04
[30] 웹사이트 When a Quake Shook Alaska, a Radio Reporter Led the Public Through the Devastating Crisis https://www.smithson[...] 2020-12-02
[31] 웹사이트 Genie Chance and the Great Alaska Earthquake https://www.nytimes.[...] 2020-05-22
[32] 간행물 Great Alaskan Earthquake and Tsunami: Alaska, March 1964 http://www.popularme[...] Popular Mechanics 2007-06-29
[33] 웹사이트 NOAA Tsunami Event http://www.ngdc.noaa[...]
[34] 논문 The energy release of great earthquakes http://gps-staging-s[...]
[35] 웹사이트 USGS Largest Earthquakes in United States http://earthquake.us[...]
[36] 웹사이트 兵庫県で観測された津波の記録 http://www.nishi.or.[...]
[37] 웹사이트 鳥羽市/アラスカの地震・津波 http://www.city.toba[...]
[38] 웹인용 M9.2 - The Great Alaska Earthquake and Tsunami of March 27, 1964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7-08-28
[39] 서적 The great Alaska earthquake of 1964, Volume 1, Part 1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ies
[40] 웹인용 M 6.4 - 67 km SW of Cordova, Alaska https://earthquake.u[...] USGS 2024-05-07
[41] 웹사이트 US Geological Survey report on the earthquake https://earthquake.u[...]
[42] 웹인용 1964 Alaskan Tsunami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15-07-18
[43] 웹사이트 Historic Earthquakes: Prince William Sound, Alaska https://earthquake.u[...]
[44] 서적 The great Alaska earthquake of 1964, Volume 1, Part 1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ies
[45] 웹사이트 The Great Alaska Earthquake of 1964 and Its Legacy https://www.air-worl[...] 2014-03-27
[46] 웹인용 Geoware Tsunami Products http://www.geoware-o[...] 2018-06-21
[47] 뉴스 Getting Ready to Rumble The Wall Street Journal 2017-08-26
[48] 인용 Tsunami Events Search – sorted by Date, Country http://www.ngdc.noa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2014-01-09
[49] 웹사이트 The Great Alaskan Earthquake & Tsunamis of 1964 http://wcatwc.arh.no[...]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50] 뉴스 Tsunami generated by Good Friday quake devastated Oregon Coast 50 years ago Thursday https://www.oregonli[...] 2018-07-27
[51] 뉴스 The day in 1964 when a tsunami ravaged Crescent City https://www.sfgate.c[...] 2020-04-09
[52] 뉴스 Remembering the Deadly 75-Foot Tidal Wave that Leveled Crescent City in 1964 https://activenorcal[...] 2020-04-09
[53] 웹사이트 ushistory.com: Great Alaskan Quake of 1964 http://www.u-s-histo[...]
[54] 웹인용 Earthquake Park {{!}} Things to Do In Anchorage https://www.alaska.o[...] 2021-05-03
[55] 간행물 Analysis of the failure of the Anchorage International Airport control tower National Research Council (U.S.). Committee on the Alaska Earthquak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56] 웹인용 Tsunami runups in Canada in 1964 http://www.ngd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1-03
[57] 뉴스 A brief history of the Canadian dollar https://www.theglobe[...] 2018-01-11
[58] 뉴스 Oregon's pioneer spirit Statesman Journal 1999-12-26
[59] 웹인용 USGS Release: 40th Anniversary of "Good Friday" Earthquake Offers New Opportunities for Public and Building Safety Partnerships (3/26/2004) http://www.usgs.gov/[...] 2006-11-19
[60] 웹인용 Tsunami runups in Freeport http://www.ngdc.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1-04
[61] 서적 The Great Quake: How the biggest earthquake in North America changed our understanding of the planet https://archive.org/[...] Crown
[62] 웹인용 兵庫県で観測された津波の記録 http://www.nishi.or.[...] 2024-05-07
[63] 웹인용 鳥羽市/アラスカの地震・津波 http://www.city.toba[...] 2024-05-07
[64] 문서 Guide to the Anchorage Engineering Geology Evaluation Group papers, 1964 https://archives.con[...] UAA/APU Consortium Library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65] 문서 Ruth Anne Marie Schmidt Ph.D. Alaska Women's Hall of Fame
[66] 문서 PROWESS Honors Historic Earthquake Survivor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2014-04
[67] 웹사이트 "Helping Hand" Military response to Good Friday earthquake http://alaskahistori[...] Alaska Historical Society 2014-03-04
[68] 웹인용 When a Quake Shook Alaska, a Radio Reporter Led the Public Through the Devastating Crisis https://www.smithson[...] 2020-12-02
[69] 웹인용 Genie Chance and the Great Alaska Earthquake https://www.nytimes.[...] 2020-05-22
[70] 뉴스 Great Alaskan Earthquake and Tsunami: Alaska, March 1964 http://www.popularme[...] Popular Mechanics 2007-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