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거리 지진해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거리 지진해일은 지진해일의 일종으로, 진앙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까지 영향을 미치는 특징을 갖는다. 파도는 여러 번 반복되어 나타나며, 첫 번째 파도가 가장 높지 않은 경우도 있다. 지구 반대편에서도 다시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해저 지형에 따라 방향이 바뀌거나 증폭될 수 있다. 지진해일 감시 및 경보 시스템을 통해 미리 경고하고 대피할 수 있도록 하며, 대한민국 기상청은 지진해일 발생 시 해수면 높이에 따라 주의보 또는 경보를 발령한다. 역사적으로 1755년 리스본 지진,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진해일 -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2004년 12월 26일 수마트라섬 북서쪽 해안에서 발생한 규모 9.1의 지진으로 인해 인도양 연안 여러 국가에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힌 재난이다.
  • 지진해일 - 포트로열
    포트로열은 한때 카리브해의 중요한 항구 도시였으나 1692년 대지진으로 파괴되어 쇠퇴했고, 현재는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받는 작은 마을이다.
원거리 지진해일
정의
원거리 지진해일지진 발생 위치에서 1,000 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거대한 지진해일

2. 특성

원거리 지진해일의 일반적인 특성은 일반적인 지진해일의 특성과 비슷하다. 각 너울 사이의 간격은 5분에서 60분까지 다양하지만 보통 10분에서 30분 사이가 주기이다.[21] 원거리 지진해일이 이동하는 속도는 수심에 따라 달라지며 수심이 얕아질수록 속도가 감소한다. 평균적으로 태평양을 지나는 지진해일의 속도는 약 773 km/h이지만 수심에 따라 해일의 높이는 수십 cm에 불과하다.[18] 진폭은 매우 낮고 약 80 km에서 240 km에 달하는 매우 넓은 파장으로 대양에 있는 선박은 지진해일이 지나가는 것을 느낄 수 없다. 또한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당시 연안에 있던 스쿠버다이버들은 수중에서 이리저리 휩쓸렸지만 그 위에 떠 있던 배는 영향을 받지 않아 쓰나미가 지나가는 걸 알아차리지 못했다.[18]

원거리 지진해일은 보통 하나의 파도가 아니라 일련의 여러 파도로 구성된다.[22] 이 파도의 수는 그때그때 다르지만 과거 데이터에 따르면 보통 2개에서 10개 사이의 파도가 밀려온다. 보통 첫 파도가 가장 높은 파도가 아니다.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의 경우 두 번째 파도가 제일 높았으며 1964년 알래스카 지진 당시 지진해일은 네 번째 파도가 제일 높았다.[18] 이 때문에 첫 번째 파도가 물러나면 지진해일이 완전히 끝났다고 잘못 인식해 호기심이나 안심하고 해안에 다시 가다가 두 번째로 온 파도에 휩쓸려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23]

해안가의 물은 보통 첫 번째 지진해일이 닥치기 전에 물러나고[24] 이후 많은 목격자들은 다가오는 원거리 지진해일의 소리가 기차나 제트기가 지나가는 것 같은 매우 큰 소리였다고 말했다.[25]

2. 1. 지구 반대편으로의 전파

지구는 구형이므로, 지진해일은 지구 반대편 지점(대척점)에서 다시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26] 칠레 연안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이 태평양 건너 일본에 큰 피해를 주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이다.[26]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당시 발생한 지진해일은 태평양의 여러 해령의 영향으로 방향이 바뀌어 진원지에서 수천 km 떨어진 해상에서 양쪽에서 오던 지진해일이 합쳐져 더욱 강력한 해일로 바뀌었다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이슨-1의 관측 결과가 2011년 12월 5일 발표되었다.[27] 이와 같이 해저 지형의 영향으로 지진해일의 방향이 바뀌거나 증폭될 수 있다.

3. 지진해일 감시와 경보

원거리 지진해일은 보통 큰 규모의 지진으로 발생하지만 지진해일의 영향을 받는 지역은 진앙으로부터 매우 멀리 있어 지진의 흔들림은 느끼지 못한다. 또한 원거리 지진해일은 해일이 해안선 인근에 닿기 전까지는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이에 쓰나미 경보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여러 과학 기관이 협력하기 시작했으며 다가오는 지진해일을 미리 경보해 비상 대비를 하고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대표적으로 하와이의 태평양 지진해일 경보 센터(PTWC)는 섬나라를 포함해 태평양 부근의 거의 모든 국가에 태평양에서 발생한 원거리 지진해일 경보를 제공한다.

미국 알래스카주 파머에 있는 미국 지진해일 경보 센터(NTWC)는 미국과 캐나다 서해안으로 접근하는 원거리 지진해일을 감시한다.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PTWC는 NTWC가 경보에 실패하지 않는 한 미국 서해안에 대한 주의보나 경보를 발령하지 않는다.[28]

NTWC는 원거리 지진해일 주의보 및 경보 발령 기준에 대한 지침을 아래와 같이 마련했다.[28]


  • 예상되는 지진해일 도달 시간이 경보 발령 시점에서 2시간 이상 경과할 경우 먼저 예보(Watch)가 발표된다. 이 경우 경보 혹은 취소령이 발표되기 전에 미국 해양대기청(NOAA) 부표를 통해 지진해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며 확인 후 경보 혹은 취소령 발표를 결정한다.
  • 환태평양 지역 어디든 규모 M7.5 이상의 지진이 발령되면 상황에 따라 즉시 예보 또는 경보가 발표된다.
  • 경보가 발령된 시점에서 2시간 이내에 해일이 육지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경보가 발표된다.


예를 들어 알류샨 열도에서 규모 M8.0의 지진이 발생하면 미국 워싱턴주, 오리건주, 캘리포니아주 등 미국 서부 해안 주에 우선 쓰나미예보가 발표되고 이후 실제로 지진해일이 발생했음이 확인되면 경보로 승격된다. 해일이 관측되지 않으면 예보 대신 취소령이 발표된다. 만약 미국 서해안에서 M8.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한다면 먼저 해일이 발생했는지 확인한 후엔 위험 지역을 대피할 시간이 충분치 않기 때문에 지진해일 발생 확인 없이 즉각 쓰나미경보를 발령한다.[28]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지진해일 발생 시 예상되는 해수면 높이에 따라 특보를 발령한다. 해수면 높이가 0.5m에서 1.0m 사이로 예상될 경우 지진해일 주의보가 발령되며, 해수면 높이가 1.0m 이상으로 예상될 경우에는 지진해일 경보가 발령된다. 특보가 발령되면, 국민들은 신속하게 대피해야 하며, 대한민국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국민 행동 요령에 따라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3. 1. 대한민국 기상청 지진해일 특보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지진해일 발생 시 예상되는 해수면 높이에 따라 특보를 발령한다. 해수면 높이가 0.5m에서 1.0m 사이로 예상될 경우 지진해일 주의보가 발령되며, 해수면 높이가 1.0m 이상으로 예상될 경우에는 지진해일 경보가 발령된다. 특보가 발령되면, 국민들은 신속하게 대피해야 하며, 대한민국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국민 행동 요령에 따라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4. 역사적 사례

파괴적인 원거리 지진해일은 한 세기에 한두번 꼴로 발생한다고 기록되어 있다.[28] 가장 오래 전에 기록된 원거리 지진해일 중 하나는 1755년 11월에 발생한 1755년 리스본 지진(혹은 리스본 대지진)으로 포르투갈리스본을 덮쳐 파괴시킨 지진해일이 발생했다. 이 지진해일은 대서양을 건너 바베이도스앤티가 바부다, 서쪽으로는 쿠바까지 카리브해 전역에서도 해일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해일 높이는 2~3 m로 유지되었으며 수 시간 동안 그대로 유지되며 밀려들어왔다. 피해나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다. 유럽 지역 출처에 따르면 1761년 3월 발생한 지진에서도 아조레스 제도 단층대로 원거리 지진해일이 발생했으나 카리브해에서 지진해일이 관측되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다.[20]

마지막으로 대규모 인명피해를 입힌 원거리 지진해일은 2004년에 발생한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 해안의 대지진이다. 해저에서 발생한 해구형 지진으로 인도양 연안의 여러 국가에서 30만명에 가까운 사상자가 발생했다.[29]

환태평양 지역에서는 매 세기마다 큰 규모의 지진으로 몇 차례의 파괴적인 원거리 지진해일이 형성된다. 이런 지진해일은 24시간 이내에 태평양 전 지역으로 전파되며 진원에서 수천 km 떨어진 지역의 해안선에 광범위한 피해를 입힐 수 있다.[30] 마지막으로 피해가 있었던 원거리 지진해일은 2011년 있었던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크루즈에서 보트 30척이 전복되는 사건이 있었다.[31]

그 외에 큰 피해가 보고된 원거리 지진해일은 아래와 같다.


  • 1700년 캐스케이디아 지진: 1700년 1월 26일 일본을 강타한 쓰나미는 일본 역사 기록에 있는 대부분의 쓰나미와 달리 일본 연안의 지진과 관련이 없었다. 이 사건은 현재 캐스케이디아 섭입대에서 발생한 강력한 지진과 연관되어 있다.
  • 1868년 아리카 지진: 1868년 아리카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는 하와이와 뉴질랜드에서 상당한 피해를 입혔으며, 뉴질랜드에서는 사망자 1명이 발생했다. 쓰나미는 일본에서도 기록되었다.
  • 1946년 알류샨 열도 지진: 1946년, 알류샨 열도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인해 알래스카에서 발생한 원거리 지진해일이 하와이 힐로를 강타했다. 힐로에서는 높이 30ft의 파도가 관측되었으며, 최소 170명이 사망했다. 경고가 발령되지 않아 우려가 제기되었고, 이는 하와이 에와 비치에 태평양 쓰나미 경보 센터(Pacific Tsunami Warning Center)가 설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쓰나미는 캘리포니아에서도 관측되었지만,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고 피해는 경미했다. 피해는 주로 항구에 정박해 있던 개인 선박에 국한되었다.[13]
  • 1960년 발디비아 지진: 1960년, 칠레 해안 근처에서 발생한 원거리 지진해일은 다시 한번 힐로를 초토화시켜 61명의 사망자를 냈다. 이 지진은 기록상 가장 강력한 지진으로, 규모 9.5의 지진으로 인해 힐로에서 35ft 높이의 파도가 발생했다. 힐로에는 사전에 쓰나미의 도달 시간을 정확히 예측하는 경보가 발령되었지만, 대부분의 주민들이 대피하기에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지 못했다.[14] 이 쓰나미는 또한 일본을 강타하여 138명의 사망자를 냈고, 필리핀에서도 32명이 사망했다.
  • 1964년 알래스카 지진: 1964년, 거대한 지진해일은 알래스카 만에서 발생한 규모 9.2의 지진으로 인해 발생했다. 그 결과, 캘리포니아에서는 20–25ft 높이의 파도가 관측되었고, 일부 지역은 홍수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어 11명이 사망했다. 알래스카, 브리티시컬럼비아, 워싱턴주, 오리건주, 하와이 등의 다른 지역 또한 이 원거리 지진해일의 영향을 다양한 정도로 받았다.
  •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은 약 23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으며, 사망자 대부분은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했다. 이 원거리 지진해일은 수마트라 북부 해안에서 발생한 규모 9.1의 지진에 의해 발생했으며, 태국, 말레이시아, 미얀마, 스리랑카, 인도, 그리고 소말리아에도 큰 피해를 입혔다. 이 지진해일은 광범위한 영상 증거가 확보된 최초의 원거리 지진해일이었다.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2011년 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대한민국 동해안에도 지진해일 영향이 있었다.


== 대한민국에 영향을 미친 주요 사례 ==

1983년 동해 중부 지진일본 아키타현 서쪽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지진으로, 이로 인해 동해안에 지진해일이 내습하여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되었으며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1993년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은 일본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7.8의 지진으로, 동해안에 지진해일이 내습하여 울릉도에서 최대 2.76m의 해일이 관측되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은 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9.0의 지진으로, 이로 인해 동해안에 지진해일이 내습하여 묵호에서 최대 45cm의 해일이 관측되었다.

4. 1. 대한민국에 영향을 미친 주요 사례

1983년 동해 중부 지진일본 아키타현 서쪽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지진으로, 이로 인해 동해안에 지진해일이 내습하여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되었으며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1993년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은 일본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7.8의 지진으로, 동해안에 지진해일이 내습하여 울릉도에서 최대 2.76m의 해일이 관측되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은 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9.0의 지진으로, 이로 인해 동해안에 지진해일이 내습하여 묵호에서 최대 45cm의 해일이 관측되었다.

5. 추가 정보

참조

[1] 웹사이트 Tsunami Glossary http://itic.ioc-une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1-03-02
[2] 웹사이트 Tsunami Terms http://nthmp-history[...] The National Tsunami Hazard Mitigation Program 2011-03-02
[3] 웹사이트 Tsunami Emergency Response Plan http://nctr.pmel.noa[...] County of San Luis Obispo 2005-10
[4] 서적 Caribbean Tsunamis: A 500-Year History from 1498–1998 Springer
[5] 논문 A Brief History of Tsunamis in the Caribbean Sea http://www.ngdc.noaa[...]
[6] 논문 Mob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for effective disaster warning: lessons from the 2004 tsunami http://unpan1.un.org[...]
[7] 웹사이트 Warning Signs: Nature and Technology http://www2.gi.alask[...] Geophysic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Alaska
[8] 웹사이트 Tsunami http://www.caymanpre[...] Hazard Management Cayman Islands 2011-03-02
[9] 서적 Major Natural Disaster Fatalities in Hawaii During the 20th Century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10] 웹사이트 Monterey County Operational Area Tsunami Incident Response Plan http://ci.marina.ca.[...] City of Marina 2007-01
[11] 웹사이트 PTWC Responsibilities http://ptwc.weather.[...] NOAA's National Weather Service
[12] 뉴스 Crescent City, Santa Cruz, hit hard by tsunami from Japan quake https://www.latimes.[...] 2011-03-11
[13] 웹사이트 The April 1, 1946 Earthquake and Tsunami in the Aleutian Islands http://drgeorgepc.co[...] 2011-03-02
[14] 웹사이트 The 1960 Tsunami, Hilo http://hvo.wr.usgs.g[...] Hvo.wr.usgs.gov 2011-03-02
[15] 웹사이트 1964 Alaskan Tsunami http://usc.edu/dept/[...]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1-03-02
[16] 웹인용 Tsunami Glossary http://itic.ioc-une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1-03-02
[17] 웹인용 Tsunami Terms http://nthmp-history[...] The National Tsunami Hazard Mitigation Program 2011-03-02
[18] 웹인용 Tsunami Emergency Response Plan http://nctr.pmel.noa[...] County of San Luis Obispo 2005-10
[19] 저널 인용 The Really Big One: An earthquake will destroy a sizable portion of the coastal Northwest. The question is when. http://www.newyorker[...] 2015-07-14
[20] 서적 인용 Caribbean Tsunamis: A 500-Year History from 1498–1998 Springer
[21] 저널 인용 Mob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for effective disaster warning: lessons from the 2004 tsunami http://unpan1.un.org[...] 2024-04-02
[22] 웹인용 Warning Signs: Nature and Technology http://www2.gi.alask[...] Geophysic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Alaska
[23] 웹인용 Tsunami http://www.tulane.ed[...] Tulane University 2009-09-09
[24] 웹인용 Tsunami http://www.caymanpre[...] Hazard Management Cayman Islands 2011-03-02
[25] 서적 인용 Major Natural Disaster Fatalities in Hawaii During the 20th Century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26] 웹인용 東日本大震災の大津波、太平洋を往復・・チリで反射、日本に/気象庁気象研究所・岡田正実客員研究員ら発表 http://jcpre.com/?p=[...] 日本共産党嶺南地区委員会 2017-08-10
[27] 뉴스 津波融合し威力倍増か 海底地形が影響とNASA http://sankei.jp.msn[...] 2011-12-06
[28] 웹인용 Monterey County Operational Area Tsunami Incident Response Plan http://ci.marina.ca.[...] City of Marina 2007-01
[29] 웹인용 Home http://www.islamicre[...] Islamic Relief USA 2010-08-12
[30] 웹인용 PTWC Responsibilities http://ptwc.weather.[...] NOAA's National Weather Service 2024-04-02
[31] 뉴스 인용 Crescent City, Santa Cruz, hit hard by tsunami from Japan quake http://articles.lati[...] 2011-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