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은 인도와 티베트 경계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지진학 관측 이후 가장 강력한 지진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이 지진은 규모 M8.6~8.8로 추정되며, 아삼과 티베트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혀 4,8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지진으로 인해 산사태와 홍수가 발생했고, 지진파는 멀리 노르웨이와 영국에서도 관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
지도 정보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 진앙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 진앙
기본 정보
명칭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
현지 시각1950년 8월 15일 19시 39분 34초 (인도 표준시)
UTC 시각1950년 8월 15일 14시 09분 34초
좌표북위 28.36도, 동경 96.45도
깊이15km
관련 데이터베이스ANSS: official19500815140934_30
ISC: 895681
지진 규모
규모8.7 Mw (모멘트 규모)
진도 정보
최대 진도XI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영향 지역아삼 주, 티베트
지질학적 정보
단층 유형주향 이동 단층
관련 단층주요 히말라야 충상 단층
여파
사상자약 4,800명
기타
영향아삼 주, 인도; 티베트, 중국

2. 지질학적 특성

인도와 티베트의 경계 지역은 유라시아판인도판이 충돌하는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가 지나는 히말라야산맥에 위치하여 지진 활동이 활발한 곳이다.[19] 북쪽으로 이동하는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충돌하면서 티베트고원이 지속적으로 융기하고 있으며,[19] 이 과정에서 티베트고원 지역에는 여러 복잡한 단층대가 형성되었다.[20][21] 이러한 지질학적 특성으로 인해 아삼과 티베트 경계 지역, 특히 야루창부강 대협곡 인근의 충돌대는 지각에 응력이 집중되고 불안정하여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다.[22] 인도 북동부와 티베트 남부는 이러한 판 경계 전면에 위치하며, 여러 개의 평행에 가까운 추력 단층들이 이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2] 이 지역의 단층 구조는 남체-바르와 합성구조 지역에서 방향이 급격하게 변하는 등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2]

2. 1. 주요 단층대

티베트고원 지역의 지질학적 상황 지도. 이 중 히말라야 정면 충상단층(HMT)는 히말라야 지역에서 제일 중요한 단층대 중 하나이다.


인도티베트의 경계 지역은 유라시아판인도판이 서로 부딪히며 형성된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가 이어지는 히말라야산맥에 위치하여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곳이다.[19] 인도판은 연간 약 50mm의 속도로 북쪽으로 이동하며 유라시아판과 충돌하고 있으며, 이 충돌로 인해 티베트고원이 지속적으로 융기하고 있다.[19]

티베트고원 지역에는 여러 주요 단층대가 존재한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20][21]

단층대 이름영어 명칭 (있는 경우)
알틴 타그 단층Altyn Tagh fault (ATF)
쿤룬-마친 단층Kunlun-Machin Fault
셴수이허 단층대Xianshuihe Fault System
진사장 단층 (혹은 Yaziba 단층)Jiali Fault (Yaziba Fault)
카라코룸 단층대 / 자리 단층대Karakoram Fault / Jiali Fault
야루창부장 단층대Yarlung Zangbo Suture Zone
히말라야 융기대Himalayan Thrust Belt



이러한 지질학적 특성 때문에 아삼과 티베트 경계 지역인 야루창부강 대협곡 근처의 충돌대는 지진 발생에 필요한 응력이 집중되고 지각이 불안정하여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기 쉽다.[22]

인도 북동부와 티베트 남부는 북쪽으로 이동하는 인도판유라시아판 사이의 대륙 충돌대 전면에 위치한다. 이 판 경계 구역을 나타내는 추력대는 여러 개의 거의 평행한 단층들로 이루어져 있다. 히말라야 산맥 이 지역의 추력 단층은 남체-바르와 합성구조 지역에서 방향이 남서-북동에서 남서-북서 방향으로 급격하게 변하는 특징을 보인다. 서쪽 지역의 주요 활동 추력대는 주 전선 추력대(Himalayan Frontal Thrust, HFT)이며, 이는 지하 깊은 곳에서 주 히말라야 추력대(Main Himalayan Thrust, MHT)와 연결된다. 동쪽 지역의 활동적인 전선 구조는 미시미 추력대(Mishmi Thrust)이며, 이는 남쪽으로 나가 추력대(Naga Thrust)와 연결되고, 버마 미소판의 경계를 이루는 좌수향 주향 이동 단층인 사가잉 단층과도 연결된다.[2]

2. 2. 과거 지진 활동



인도와 티베트 경계 지역은 유라시아판인도판이 충돌하며 형성된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의 일부인 히말라야산맥에 위치하여 지진 활동이 활발하다.[19] 인도판은 연간 약 50mm의 속도로 북상하며 유라시아판과 충돌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티베트고원이 지속적으로 융기하고 있다.[19] 티베트고원 지역에는 북쪽부터 남쪽으로 알틴 타그 단층, 쿤룬-마친 단층, 셴수이허 단층대, 진사장 단층, 카라코룸 단층대/자리 단층대, 야루창부장 단층대, 히말라야 융기대 등 여러 단층대가 분포한다.[20][21] 이러한 지질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아삼-티베트 경계 지역은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평가된다.[22]

북동인도 지역의 과거 지진 기록을 밝히기 위해 국립지구물리연구소와 부바네스와르 물리학 연구소 소속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팀은 충적 선상지와 부리디힝강 계곡에서 최소 12곳의 참호 조사를 통해 과거 지진 활동의 증거를 발견했다. 발견된 증거에는 토양액상화 현상으로 생성된 암상과 모래 분출(sand boil) 등이 포함된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이 퇴적물들은 약 5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1548년에 기록된 역사 지진과 시기적으로 일치할 가능성이 있다.[23][3][11]

3. 지진

지진은 히말라야산맥헝돤산맥 사이 험준한 산맥 지역에서 발생했다. 진앙은 인도티베트의 경계인 맥마흔 라인 바로 남쪽, 현재 인도의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에 속하는 Mishmi Hills|미쉬미 언덕eng 지역이다. 이 지역은 중국과 인도 사이의 국경 분쟁 지역이기도 하다. 이 지진은 인도와 티베트 양쪽 모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대지진은 지진학이 도입되고 근대 지진 관측 이래 가장 중요한 지진 중 하나로 간주된다. 지진은 두 개의 대륙판의 충돌로 인해 발생했으며, 해양 섭입대와 관련 없는 지진 중에서는 기록상 가장 큰 규모에 해당한다.[2] 지진으로 인해 발생한 큰 소리가 이 지역 일대에서 보고되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인도 국립 지구물리 연구소와 부바네스와르 물리학 연구소의 과학자들이 인도 북동부의 지진 역사를 밝히기 위해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는 과거의 지진 활동으로 형성된 충적 선상지와 부르히 디힝강 계곡 등지에서 토양 액상화의 징후, 암상 및 모래 화산 등을 발견했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퇴적물이 약 500년 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1548년에 기록된 지진과 일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3]

본진 이후 규모 M6 이상의 강력한 여진이 다수 발생했으며, 이는 진앙과 거리가 먼 지진관측소에서도 관측이 잘 될 정도였다.

3. 1. 규모 및 진도

이 지진의 규모는 최대 M8.7로 측정되었으며, 모멘트 규모로는 8.6에서 8.8 사이로 계산되었다.[2] 이는 지진학이 도입되고 근대 지진 관측 이래 가장 중요한 지진 중 하나로 간주된다. 미국 지질조사국은 이 지진의 규모를 8.6으로 보고했다.

지진의 진도는 장안 대학의 연구에서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XII로 평가되었고,[24] 중국지진국미국 지질조사국 연구 기준으로는 XI로 평가되었다.[25]

이 지진은 20세기에 발생한 지진 중 여섯 번째로 규모가 큰 지진이며,[26][4] 해양 섭입대와 관련되지 않은 지진 중에서는 기록상 가장 규모가 큰 지진이다.[2] 지진은 인도판유라시아판이라는 두 대륙판 사이의 충돌로 인해 발생했다.

규모 M6 이상의 여진이 다수 발생했으며, 이는 진앙에서 멀리 떨어진 지진 관측소에서도 잘 기록될 정도였다. 여진의 진앙은 아보르 언덕과 미쉬미 언덕 지역에 걸쳐 약 30000km2의 매우 넓은 범위에 분포했으며, 이는 위성 영상으로 확인된 산사태 발생 지역과 일치한다. 이는 지진의 파열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2]

지표 파열의 증거는 주 전선 단층(Main Frontal Thrust, MFT)의 아보르 언덕 부분과 미쉬미 단층을 따라 여러 위치에서 발견되었다. 두 단층을 따라 관찰된 총 지표 파열 길이는 200km 이상이다.[2]

이 지진에 대해 발표된 단층 메커니즘은 서로 일치하지 않아, 역단층과 주향 이동 단층 메커니즘이 모두 제기되고 있다. 지진이 북서쪽으로 기울어진 MFT와 북동쪽으로 기울어진 미쉬미 단층 모두에서 파열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이러한 복합적인 진원은 지진파 도달 관측 결과와 잘 일치한다. 미쉬미 단층에서 관측된 미끄러짐 양은 34m ± 2.5m로 추정된다. 파열 면적 추정치와 지각 강성에 대한 합리적인 추정치를 결합하면 모멘트 규모는 8.7로 계산된다.[2]

규모가 큰 지진 (20세기 이후 · 세계)
순위명칭발생일(UTC)규모(Mw)
1칠레, 발디비아1960년 5월 22일9.5
2알래스카, 프린스 윌리엄 만1964년 3월 28일9.2
3수마트라 섬·안다만 제도2004년 12월 26일9.1
일본, 도호쿠2011년 3월 11일
5캄차카 반도 동쪽 해역1952년 11월 5일9.0
6칠레, 비오비오2010년 2월 27일8.8
에콰도르·콜롬비아1906년 1월 31일
8알류샨 열도, 랫 제도1965년 2월 4일8.7
9알류샨 열도, 유니마크 섬1946년 4월 1일8.6
아삼·티베트1950년 8월 15일
알류샨 열도, 안드레아노프 제도1957년 3월 9일
수마트라 섬 북부2005년 3월 28일
수마트라 섬 북부 서쪽 해역2012년 4월 11일
규모는 미국 지질조사국 자료 기준이다.


3. 2. 단층 메커니즘

이 지진은 미쉬미 언덕에 위치한 미쉬미 단층 표면 흔적의 북동쪽에서 발생했다. 지진의 M는 8.6~8.8로 계산되었는데[2], 이는 기록된 육상 지진 중 가장 크고 섭입 과정과 관련이 없는 지진 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에 해당한다.[2] 또한 20세기에 발생한 지진 중 여섯 번째로 큰 규모였다.[4][12] 이 지진은 해양성 섭입대 외부에서 발생한 지진 중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큰 규모이며, 두 개의 대륙판이 충돌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진 이후 다수의 여진이 발생했으며, 그중 상당수는 규모 6 이상이었다. 이 여진들은 먼 거리의 관측소에서도 비교적 정확한 진앙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잘 기록되었다. 여진의 진앙은 약 30000km2에 달하는 아보르와 미쉬미 언덕 지역에 걸쳐 매우 넓게 분포했는데, 이는 위성 영상에서 확인된 산사태 발생 위치를 통해 추정된 최대 진동 지역과 잘 일치한다. 이 분포 범위는 지진 당시 단층이 파열된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2] 인도 지진국은 여진 활동이 동경 약 90도에서 97도까지 광대한 범위에 걸쳐 있었으며, 본진의 진원은 이 범위의 동쪽 끝 부근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지표 파열의 증거는 주 전선 단층(Main Frontal Thrust, MFT)의 아보르 언덕 부분과 미쉬미 단층의 흔적을 따라 여러 위치에서 발견되었다. 두 단층을 따라 관찰된 총 지표 파열 길이는 200km 이상이다.[2]

이 지진의 단층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발표된 연구 결과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 역단층 메커니즘과 주향 이동 단층 메커니즘 모두를 지지하는 주장이 존재한다. 일각에서는 이 지진이 북서쪽으로 경사지는 MFT와 북동쪽으로 경사지는 미쉬미 단층 모두에서 동시에 파열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러한 복합적인 단층 파열 모델은 관측된 지진파 도달 시간 데이터와 잘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미쉬미 단층에서 관측된 단층의 미끄러짐 양은 34m ± 2.5m로 측정되었다. 추정된 파열 면적과 지각의 강성에 대한 합리적인 가정을 바탕으로 계산된 모멘트 규모는 8.7에 달한다.[2]

3. 3. 여진

여진도 많이 발생했으며 이 중 상당수는 규모 M6 이상이었고 진앙과 거리가 먼 지진관측소에서도 관측이 잘 될 정도였다. 여진의 진앙은 약 30000km2에 달하는 아보르 언덕과 미쉬미 언덕 지역에 걸쳐 매우 넓게 분포했으며, 이는 위성 영상에서 산사태 위치를 통해 결정된 최대 진동 지역과 잘 일치한다. 이는 파열 영역을 정의하는 것으로 해석된다.[2] 인도 기상청은 지진 데이터를 통해 지진 발생 범위가 동경 90도에서 97도 사이 광범위한 지역이며 대지진의 진앙은 동쪽 끄트머리라고 추정했다.

3. 3. 1. 여진 목록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출처1950-08-15 18:38:4828.520 N, 95.731 EM6.225kmVII[27]1950-08-16 06:42:0528.380 N, 95.894 EM6.225kmVII[28]1950-08-17 01:54:1728.427 N, 94.844 EM6.125kmVII[29]1950-08-18 01:07:5629.196 N, 95.881 EM6.320kmVII[30]1950-08-18 16:58:5429.723 N, 96.557 EM6.125kmVI[31]1950-08-22 13:22:2526.992 N, 97.171 EM6.125kmVI[32]1950-08-26 06:33:1227.233 N, 94.965 EM6.225kmVI[33]1950-09-13 11:07:4127.605 N, 95.133 EM6.225kmVI[34]1950-09-30 07:29:0028.873 N, 94.409 EM6.320kmVII[35]1950-10-03 23:01:5827.161 N, 97.508 EM6.025kmVII[36]


4. 피해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은 아삼과 티베트 지역 모두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쳤다.[37][5][13] 이 지진으로 수천 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으며,[37][5][13] 광범위한 지역에서 심각한 재산 손실이 보고되었다.

지진으로 인해 미시미 구릉을 비롯한 여러 산악 지역에서 수많은 산사태와 낙석이 발생하여 지형이 크게 변하고 구조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37] 산사태는 강물을 막아 자연댐을 형성하기도 했으며, 이 댐들이 붕괴하면서 하류 지역에 치명적인 홍수를 일으켰다.[24] 특히 아삼 지역에서는 1897년 아삼 지진 때보다 재산 피해가 더 컸으며,[24] 강물이 불어나면서 막대한 양의 토사와 잔해를 쓸어내리는 2차 피해도 발생했다.[24]

티베트 지역에서도 강한 흔들림과 지반 균열, 산사태 등이 보고되었으며,[38][7][14][39][8] 라싸 등 주요 도시에서도 며칠간 여진이 이어졌다.[38]

4. 1. 인명 피해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은 아삼과 티베트 지역 모두에 큰 피해를 입혔다. 아삼에서의 사망자는 1,526명으로 기록되었고,[37][5][13] 티베트에서는 3,300명의 사망자가 보고되어 총 사망자는 약 4,800명 이상으로 기록되었다.

미시미 구릉과 주변 산림 지역에서 발생한 많은 산사태와 낙석으로 구조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아보르 구릉 지역에서는 산사태로 70개 마을이 파괴되었고 15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산사태는 브라마푸트라강의 상류 지류를 막기도 했다. 디방 계곡에서는 산사태로 인해 형성된 자연댐이 큰 피해 없이 무너졌지만, 수반시리강의 다른 자연댐은 8일 간격으로 터져 발생한 7m 높이의 급류가 여러 마을을 물에 잠기게 했고, 이로 인해 532명이 사망했다.[24]

4. 2. 재산 피해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은 아삼과 티베트 지역 모두에 막대한 재산 피해와 인명 손실을 가져왔다. 아삼에서는 1,526명,[37][5][13] 티베트에서는 3,300명의 사망자가 보고되어,[37][5][13] 총 사망자는 약 4,800명에 달했다.[37][5][13]

지진으로 인해 미시미 구릉과 주변 산림 지역에서는 수많은 산사태와 낙석이 발생하여 구조 및 구호 활동에 큰 어려움이 따랐다.[37] 아보르 구릉 지역에서는 산사태로 70개 마을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15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24] 또한, 산사태는 브라마푸트라강 상류의 여러 지류를 막아버렸다.[24] 디방 계곡에서는 산사태로 인해 형성된 자연댐이 큰 피해 없이 무너졌으나,[24] 수반시리강에 형성된 또 다른 자연댐은 8일 후 붕괴하면서 7m 높이의 거대한 급류를 일으켰다. 이 급류는 여러 마을을 휩쓸어 물에 잠기게 했고, 532명의 사망자를 냈다.[24]

아삼 지역의 재산 피해는 1897년 아삼 지진 때보다 훨씬 심각했다.[24] 극심한 지반 흔들림 외에도, 지진 이후 강물이 급격히 불어나면서 모래, 진흙, 나무 등 온갖 파편과 잔해를 쓸어내리는 대규모 홍수가 발생했다.[24] 지진 피해 지역 상공을 비행한 조종사들은 지형에 엄청난 변화가 생겼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주로 거대한 산사태 때문이었으며, 이 중 일부는 사진으로도 기록되었다.[24]

티베트에서도 피해가 컸다. 하인리히 하러는 라싸에서 강한 흔들림을 느꼈으며 땅이 갈라지는 소리와 함께 큰 균열이 생겼다고 보고했다.[38][7][14] 라싸에서는 며칠 동안 여진이 계속되었다.[38] 티베트의 리마(현 자위 현)에 머물던 프랭크 킹던-워드는 격렬한 흔들림과 함께 광범위한 산사태가 발생하고 개울물이 솟구치는 것을 목격했다고 기록했다.[39][8] 당시 미얀마 북부 푸타오에 거주하던 미국인 선교사 헬렌 마이어스 모스 역시 본국에 보낸 편지에서 강한 본진과 수많은 여진, 땅에서 들려오는 소음에 대해 상세히 기록했다.[40][9][15]

지진 발생 당시 프랭크 킹던-워드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들었던 특이한 소리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졌다. 또한, 이 지진으로 인해 멀리 노르웨이영국에서도 세이시 현상이 관측되었다.

4. 3. 2차 피해

미스미언덕과 주변 산림 지역에서는 여러 산사태와 낙석이 발생하여 구조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다. 아보르언덕 지역에서는 산사태로 인해 70개 마을이 파괴되었고 156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산사태는 브라마푸트라강 상류의 지류를 막기도 했다. 디방계곡구에서는 산사태로 인해 형성된 자연댐이 별다른 피해 없이 무너졌지만, 수반시리강에 형성된 다른 자연댐은 8일 후에 터지면서 7m 높이의 급류를 일으켰다. 이 급류는 여러 마을을 물에 잠기게 했고 532명의 사망자를 냈다.[24]

지진의 영향으로 강물이 불어나면서 모래, 진흙, 나무 등 온갖 잔해를 휩쓸어가는 홍수가 발생했다. 이는 1897년 아삼 지진과 비교했을 때 아삼 지역의 재산 피해를 더욱 키웠다. 지진 피해 지역 상공을 비행하던 조종사들은 지형에 큰 변화가 생겼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주로 거대한 산사태 때문이었으며 일부는 사진으로도 기록되었다.

티베트의 리마(현 차위현)에 있던 프랭크 킹던워드는 지진 발생 당시 격렬한 흔들림과 함께 수많은 낙석이 발생하고 개울물이 솟구치는 것을 목격했으며, 지진 발생 시 들렸던 큰 소리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졌다.[39]

본진 발생 며칠 후, 서쪽에서 발생한 한 여진은 아삼 지역에서 본진보다 더 강하게 느껴졌다. 이 때문에 일부 언론에서는 나중에 발생한 지진이 더 강력하며 역사상 가장 큰 지진이라고 보도하기도 했으나, 이는 지진 규모진도의 개념을 혼동한 사례이다.

이 지진으로 인해 멀리 떨어진 노르웨이영국에서도 세이시 현상이 관측되었다.

5. 향후 지진 위협

2001년 부즈 지진을 계기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된 한 논문은 히말라야 산맥 지역의 70%가 매우 큰 규모의 지진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이러한 예측은 해당 지역의 역사적 지진 기록과 1950년 메도그 지진 이후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만큼 충분한 단층 이동이 축적되었다는 분석에 근거한다.[10][16] 실제로 2015년, 히말라야 산맥은 네팔 서쪽을 진원으로 하는 규모 7.8의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 Earthquakes, Assam – Tibet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2-01-24
[2] 논문 A composite rupture model for the great 1950 Assam earthquake across the cusp of the East Himalayan Syntaxis 2020
[3] 논문 The great 1950 Assam Earthquake revisited: Field evidences of liquefaction and search for paleoseismic events 2009-09
[4] 웹사이트 Largest Earthquakes in the World Since 1900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1-09-20
[5] 웹사이트 Significant Earthquake INDIA-CHINA https://www.ngdc.no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2022-02-14
[6] 논문 Historical Earthquakes and Their Socioeconomic Consequences in China: 1950–2017 2018
[7] 서적 Seven Years in Tibet Putnam 1953
[8] 논문 The Assam Earthquake of 1950 1953
[9] 서적 Once I Was Young 2003
[10] 뉴스 Quake in Himalayas: US & Indian experts differ 2001-09-06
[11] 논문 The great 1950 Assam Earthquake revisited: Field evidences of liquefaction and search for paleoseismic events 2009-09
[12] 웹사이트 Largest Earthquakes in the World Since 1900 https://earthquake.u[...] アメリカ地質調査所 2011-09-20
[13] 웹사이트 Significant Earthquake INDIA-CHINA http://www.ngdc.noa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1950-08-15
[14] 서적 Seven Years in Tibet Putnam 1953
[15] 서적 Once I Was Young 2003
[16] 뉴스 Quake in Himalayas: US & Indian experts differ 2001-09-06
[17] 웹인용 Historic Earthquakes, Assam - Tibet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2-01-24
[18] 저널 中国地震及其衍生灾害之最 1989
[19] 저널 藏东南及周边地区地震活动特征研究 2011
[20] 저널 中国活动构造基本特征 2002
[21] 저널 中国大陆的强震活动与活动地块 2003
[22] 웹인용 墨脱大地震 http://www.cas.cn/zt[...] 2017-12-26
[23] 저널 The great 1950 Assam Earthquake revisited: Field evidences of liquefaction and search for paleoseismic events 2009-09
[24] 저널 墨脱8½级地震宏观震害及烈度特征的考证 1985
[25] 저널 西藏察隅8.6级地震的烈度分布 1991
[26] 웹인용 Largest Earthquakes in the World Since 1900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1-09-20
[27] 웹인용 M 6.2 - 64 km NE of P?sigh?t, India https://earthquake.u[...] USGS 2023-10-19
[28] 웹인용 M 6.2 - 56 km NNW of Tezu, India https://earthquake.u[...] USGS 2023-10-19
[29] 웹인용 M 6.1 - 28 km N of Along, India https://earthquake.u[...] USGS 2023-10-19
[30] 웹인용 M 6.3 - 136 km NNE of P?sigh?t, India https://earthquake.u[...] USGS 2023-10-19
[31] 웹인용 M 6.1 - 167 km SSW of Qamdo, China https://earthquake.u[...] USGS 2023-10-19
[32] 웹인용 M 6.1 - 94 km NNE of Sarupathar, India https://earthquake.u[...] USGS 2023-10-19
[33] 웹인용 M 6.2 - 7 km NE of Mor?nha, India https://earthquake.u[...] USGS 2023-10-19
[34] 웹인용 M 6.2 - 14 km NNW of Ch?bua, India https://earthquake.u[...] USGS 2023-10-19
[35] 웹인용 M 6.3 - 38 km N of Shi Yomi, India https://earthquake.u[...] USGS 2023-10-19
[36] 웹인용 M 6.0 - 126 km NNE of Sarupathar, India https://earthquake.u[...] USGS 2023-10-19
[37] 웹인용 Significant Earthquake INDIA-CHINA https://www.ngdc.no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2022-02-14
[38] 서적 Seven Years in Tibet Putnam 1953
[39] 저널 The Assam Earthquake of 1950 https://archive.org/[...] 1953
[40] 서적 Once I Was Young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