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동인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동인도는 동부 히말라야, 파트카이 산맥, 브라마푸트라 계곡, 바락 계곡 평야 등으로 구성된 지역으로,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티베트-버마어족, 인도-아리아어족 등 다양한 민족이 이주해 정착했다. 카마루파 왕국이 이 지역 대부분을 아우르며 번성했고, 영국 식민지 시대에 여러 주가 설립되었다. 현재 아루나찰 프라데시, 아삼, 마니푸르, 메갈라야, 미조람, 나갈랜드, 시킴, 트리푸라 등 8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아열대 기후, 풍부한 생물 다양성,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을 특징으로 한다.
이 지역은 지진 위험 지역이며, 다양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한다. 주요 도시로는 구와하티, 아가르탈라, 임팔 등이 있으며, 아삼어, 영어 등 여러 언어가 사용된다. 힌두교,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며, 각 주마다 고유한 음식, 예술, 축제, 스포츠 문화를 가지고 있다. 북동인도는 중국, 방글라데시, 미얀마 등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국경 관리 및 개발을 위한 다양한 정부 기구와 정책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동방정책을 통해 동남아시아와의 경제 통합을 추진하고 있으며, 도로, 철도, 항공 등 인프라 개발 및 연결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지역 - 말라바르 해안
말라바르 해안은 인도 남서부 아라비아 해안에 위치하며 향신료 무역의 중심지였고, 다양한 문명의 교류를 거쳐 식민지 시대를 겪은 후 케랄라 주가 형성되었다. - 인도의 지역 - 남인도
남인도는 인도 반도 남쪽의 데칸 고원과 카르나틱 지역을 포함하며, 드라비다어를 사용하고 힌두교, 이슬람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며, 농업, IT 산업, 제조업, 관광 등이 발달한 지역이다. - 북동인도 - 시킴주
시킴주는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존재했던 시킴 왕국이 있었던 곳으로, 티베트 불교 닝마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는 인도 북동부에 위치하며 험준한 지형과 다양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고, 힌두교, 불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다민족 사회이며, 네팔어가 공용어이다. - 북동인도 - 트리푸라주
트리푸라주는 인도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서, 트리푸라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인도에 합병되었고, 다양한 민족과 언어를 사용하며 농업과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원주민들의 분리·독립 요구와 민족 갈등이 사회적 이슈이다.
북동인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개요 | |
![]() | |
별칭 | 북동부 지역 (North Eastern Region, NER) |
위치 | 인도 |
행정 구역 | |
국가 | 인도 |
구성 주 |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아삼 주 마니푸르 주 메갈라야 주 미조람 주 나가랜드 주 트리푸라 주 시킴 주 |
최대 도시 | 구와하티 |
주요 도시 (2011년 인도 인구 조사 기준) | 아가르탈라 임팔 디마푸르 실롱 아이자울 실차르 디브루가르 조르하트 나गांव |
지리 | |
면적 | 262,184 제곱킬로미터 |
최대 길이 | 북-남: 5182 km 동-서: 1395 km |
접경 국가 | 티베트: 중국 미얀마 방글라데시 부탄 |
인구 | |
총 인구 (2011년) | 45,772,188명 |
인구 밀도 | 173명/제곱킬로미터 |
추정 인구 (2022년) | 51,670,000명 |
언어 | |
공용어 | 아삼어 (아삼 주) 벵골어 (트리푸라 주, 바라크 계곡) 보도어 (보도랜드) 코크보로크어 (트리푸라 주) 미조어 (미조람 주) 메이테이어 (마니푸르 주, 아삼 주) 네팔어 (시킴 주) 영어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메갈라야 주, 나가랜드 주) 시킴어 (시킴 주) |
지정 언어 | 아삼어 벵골어 보도어 메이테이어 (마니푸리어) 네팔어 |
시간대 | |
시간대 | 인도 표준시 (UTC+5:30) |
기타 | |
전화 코드 | +91 |
2. 역사
북동 인도의 초기 정착민은 동남아시아에서 온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사용자들로 추정되며, 이후 중국에서 온 티베트-버마어족 사용자, 기원전 500년경 갠지스 평원에서 온 인도-아리아어족 사용자, 윈난 남부와 샨 주에서 온 크라다이어족 사용자들이 이주해 왔다.[22] 고고학 연구자들은 이 지역 초기 정착민들이 여러 중요한 식물을 재배했다고 믿는다.[23]
기원전 100년경 중국 탐험가 장건의 기록은 북동 인도를 통한 초기 무역로를 보여준다.[24] 에리트리아해의 항해일지에는 구세계에서 귀하게 여겨졌던 말라바트론을 생산한 세사타이(Sêsatai)라는 민족이 언급되어 있다.[25][26]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2세기)에서는 이 지역을 ''키르라디아(Kirrhadia)''라고 불렀다.[27]
카마루파는 초기 역사 시대에 현재 북동 인도 대부분을 아우르는 강력한 왕국이었다. 7세기 중국 불교 승려 현장은 카마루파를 방문하여 주민들의 외모, 언어, 성격 등을 기록했다. 그는 카마루파 사람들이 위험한 산 너머 동쪽에 있는 쓰촨을 알고 있었다고 전한다.[28]
2. 1. 영국 식민지 시대
모암리아 소요 이후 아홈 왕조는 쇠퇴해 갔다. 영국은 구세주의 모습으로 등장했다.[31] 19세기 초, 아홈과 마니푸르 왕국 모두 버마의 침공으로 멸망했다.[31] 그 결과 발생한 제1차 영국-버마 전쟁은 이 지역 전체가 영국의 통치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식민지 시대(1826~1947년)에 북동 인도는 1839년부터 1873년까지 벵골 주의 일부가 되었고, 그 후 식민지 시대 아삼은 자체 주가 되었지만,[32] 실렛을 포함하고 있었다.1947년 영국 통치로부터 인도 독립 후, 영국령 인도의 북동부 지역은 아삼과 토후국인 트리푸라 왕국과 마니푸르 왕국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마니푸르와 트리푸라는 1956년에 인도 연방 준주가 되었고, 1972년에 완전한 주 지위를 획득했다. 나중에 나갈랜드는 1963년에, 메갈라야는 1972년에 주 지위를 얻었다. 아루나찰 프라데시와 미조람은 아삼의 광대한 영토에서 분리되어 1987년 2월 20일에 완전한 주가 되었다.[33] 식킴은 2002년에 8번째 북동부 평의회 주로 통합되었다.[34]
실롱시는 영국 통치 시대에 만들어진 아삼 주의 수도 역할을 했다. 1972년 메갈라야 주가 설립될 때까지 실롱은 분할되지 않은 아삼의 수도로 남아 있었다.[35] 아삼의 수도는 구와하티의 일부인 디스푸르로 옮겨졌고, 실롱은 메갈라야의 수도로 지정되었다.
주 | 역사적 명칭 | 수도 | 주 지위 획득 |
---|---|---|---|
아루나찰 프라데시 | 북동부 국경 지역 | 이타나가르 | 1987년 (이전에는 인도 연방 준주, 1971년 설립)[37] |
아삼 | 카마루파 | 실롱 (1969년까지), 디스푸르 | 1947년 |
마니푸르 | 캉레이팍[36] | 임팔 | 1971년 (이전에는 인도 연방 준주, 1956년 설립)[37] |
메갈라야 | 카시 언덕, 자인티아 언덕, 가로 언덕 | 실롱 | 1971년[37] |
트리푸라 | 티페라[38] | 아가르탈라 | 1971년 (이전에는 인도 연방 준주, 1956년 설립)[37] |
미조람 | 루샤이 언덕 | 아이자월 | 1987년 (이전에는 인도 연방 준주, 1971년 설립)[37][39] |
나갈랜드 | 나가 언덕 지구 | 코히마 | 1963년 |
식킴 | 식킴 | 강토크 | 1975년 |
2. 2. 제2차 세계 대전
1944년 3월, 일본군은 인도 북동부의 주요 지역인 임팔과 코히마를 점령하기 위한 공세를 시작했다. 이 지역을 점령하면 중국으로 향하는 연합군 보급로를 차단하고 인도에 대한 공습을 가할 수 있었다.[42]그러나 윌리엄 슬림 원수 휘하의 연합군은 굳건히 버텼다. 이들은 방어적인 "상자"를 구축하고 정글전 전술을 사용하는 등 공격적인 전술을 채택했다. 코히마의 방어군은 포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격렬한 일본군 공격을 격퇴하고 증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버텼다.[43]
임팔 전투와 코히마 전투는 일본군의 결정적인 패배로 이어졌다. 일본군은 큰 피해를 입고 후퇴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는 버마 전역의 전환점이 되었다. 연합군의 승리는 이후 버마에서 일본군을 제거하기 위한 공세의 길을 열었고 궁극적으로 이 지역의 재탈환으로 이어졌다.[44]
2. 3. 중국-인도 전쟁 (1962)
인도 북동쪽 끝에 위치한 아루나찰프라데시주는 중국이 남 티베트로 주장하는 지역이다.[45] 1962년 중국-인도 전쟁은 중국-인도 관계 악화로 발발했다. 전쟁 원인은 중국과 인도 양측의 주장이 상충하기 때문이다. 전쟁 중 중국은 인도가 1954년에 설립한 북동부 국경 지역(NEFA)의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 그러나 중국은 1962년 11월 21일 일방적인 휴전을 선언하고 맥마흔 라인 뒤로 20km 후퇴했으며, 1963년 인도의 전쟁 포로들을 송환했다.[46]2. 4. 분리주의 운동
1947년 인도 독립 이후, 북동인도 지역에서는 여러 분리주의 단체들이 무장 투쟁을 벌여왔다.[103] 이들은 인도 중앙 정부로부터의 독립 또는 자치권 확대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리주의 운동은 지역의 불안정성을 야기하고 경제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이 지역의 여러 무장 단체들은 인도, 부탄, 미얀마 정부에 맞서 싸우기 위해 동맹을 맺었고, 현재는 이 지역을 "서남아시아"(WESEA)라고 부른다.[102] 주요 분리주의 단체는 다음과 같다.[103]
- 만니푸르: 캉레이팍 공산당(KCP), 캉레이 야볼 칸나 루프(KYKL), 캉레이팍 인민혁명당(PREPAK), 캉레이팍 인민혁명당-프로(PREPAK-Pro), 혁명인민전선(RPF), 통일국가해방전선(UNLF)
- 메갈라야: 힌니에트렙 국가해방위원회(HNLC)
- 아쌈과 북벵골: 카마타푸르 해방 조직(KLO)
- 아쌈: 보도랜드 민족민주전선(NDFB), 아쌈 통일해방전선(ULFA)
- 트리푸라: 트리푸라 국민해방전선(NLFT)
3. 지리
북동인도는 인도-말레이, 인도-중국 및 인도 생물지리 지역의 합류점에 위치하며, 동부 히말라야, 파트카이 산맥, 브라마푸트라 및 바락 계곡 평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고온다습한 아열대 기후로, 덥고 습한 여름, 격렬한 계절풍, 온화한 겨울이 특징이다. 아루나찰프라데시와 시킴 주는 차갑고 눈이 내리는 겨울과 온화한 여름을 가진 산악 기후를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의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은 인도 총 잠재량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또한, 이 지역은 거대한 브라마푸트라-바락 강 시스템과 그 지류로 덮여 있으며, 높은 강우량은 생태계 문제, 높은 지진 활동 및 홍수를 야기한다.
북동 인도의 브라마푸트라 강 지류는 다음과 같다.
- 베키 강
- 보그도이 강
- 다한시리 강
- 디방 강
- 디힝 강
- 카멩 강
- 콜롱
- 코필리 강
- 로히트 강
- 마나스 강
- 산코시 강
- 수반시리 강
- 티스타 강
세계자연보전기금(WWF)은 동쪽 히말라야 산맥 전체를 우선순위 글로벌 200 생태지역으로 선정했으며, 국제보전협회(Conservation International)는 동 히말라야 핫스팟을 확대하여 인도 북동부 8개 주와 부탄, 중국 남부, 미얀마 등 인접 국가를 포함했다. 이 지역은 벼 유전자원의 중심지이자 감귤류의 기원지로, 다양한 희귀, 멸종 위기 분류군이 풍부하여 생물다양성 핫스팟으로 분류되었다.
이 지역의 생물다양성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53]
- 51가지의 산림 유형이 발견되며, 열대 습윤 활엽수림, 열대 반상록수림, 열대 습윤 상록수림, 아열대림, 온대림, 고산림 등 6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된다.
- 인도의 9가지 중요한 식생 유형 중 6가지가 북동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 15,000종의 피자식물 중 8,000종이 서식하며, 아룬차르 프라데시주(5000종)와 시킴주(4500종)에서 가장 높은 다양성이 보고되었다.
- 인도 꽃 피는 식물 중 10%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1500종의 멸종 위기 꽃 식물 중 800종이 인도 북동부에서 보고되었다.
- 북동부 주 대부분은 면적의 60% 이상이 산림으로 덮여 있다.
- 인도-버마 핫스팟의 일부로, 지중해 분지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핫스팟이며, 면적이 2206000km2이다.
3. 1. 지형
북동인도 지역은 동부 히말라야, 파트카이 산맥, 브라마푸트라 및 바락 계곡 평야로 구분된다. 브라마푸트라, 바락 및 임팔 계곡과 메갈라야와 트리푸라 언덕 사이의 일부 평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은 구릉 지형이며, 고도는 해발 거의 0m에서 7000m 이상까지 다양하다.


이 지역은 브라마푸트라-바락 강 시스템과 그 지류로 덮여 있다. 높은 강우량(평균 10000mm 이상)은 생태계 문제, 높은 지진 활동 및 홍수를 야기한다.[51][52]
북동 인도는 인도판, 유라시아판, 버마판 등 세 개의 지각판이 수렴하여 형성된 활성 단층면 아래에 위치하여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기 쉬운 지역이다. 1897년 아삼 지진과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을 포함하여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의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3. 1. 1. 최고봉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인 칸첸중가는 8586m에 달하며, 시킴주와 인접국 네팔 사이에 위치해 있다.봉우리 | 주 | 산맥/지역 | 높이 (m) | 높이 (ft) |
---|---|---|---|---|
칸첸중가 (네팔과 공유) | 시킴주 | 동히말라야 산맥 | 8,586 | 28,169 |
캉토 (중국과 공유) | 아룬나찰프라데시주 | 동히말라야 산맥 | 7,090 | 23,261 |
사라마티 산 (미얀마와 공유) | 나갈랜드주 | 나가힐스 지역의 푸르반찰 산맥 | 3,841 | 12,602 |
템푸 산 (아이소 산으로도 알려짐) | 마니푸르주 | 나가힐스 지역의 푸르반찰 산맥 | 2,994 | 9,823 |
파웅푸이 | 미조람주 | 루샤이힐스 지역의 푸르반찰 산맥 | 2,165 | 7,103 |
실롱 봉 | 메갈라야주 | 카시힐스 지역의 실롱 고원 | 1,965 | 6,447 |
무명봉 | 아쌈주 | 카차르힐스 지역의 카르비 앙롱 고원 | 1,960 | 6,430 |
베틀링치프 (시브라이쿵으로도 알려짐) | 트리푸라주 | 잠푸이힐스 지역의 푸르반찰 산맥 | 930 | 3,051 |
3. 2. 기후
북동인도는 아열대 기후를 가지며, 지형과 남서 계절풍 및 북동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다.[49] 히말라야 산맥, 메갈라야 고원, 그리고 나갈랜드, 미조람, 마니푸르의 구릉 지대가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49] 벵골 만에서 발생하는 계절풍은 이 산맥들에 의해 습한 바람이 상승하면서 단열 감률에 따라 냉각되고 구름으로 응결되어 폭우를 내리게 한다.[49]이 지역은 인도에서 가장 강우량이 많은 지역으로, 많은 곳에서 연평균 2000mm의 비가 내리며, 대부분 여름 계절풍 계절에 집중된다.[49] 특히 메갈라야 고원에 위치한 체라푼지는 연간 11777mm의 강수량을 기록하며 세계에서 가장 비가 많이 오는 지역 중 하나이다.[49] 브라마푸트라 강과 바락 강 유역 평야는 온화한 기온을 보이지만, 구릉 지역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이 낮아진다.[49] 가장 높은 고도에서는 만년설이 나타난다.[49]
일반적으로 겨울, 여름, 우기의 세 계절이 있으며, 우기는 여름철과 겹친다.[49] 겨울은 11월 초부터 3월 중순, 여름은 4월 중순부터 10월 중순까지이다.[49]
3. 3. 지진 위험 지역
인도 북동부 지역은 인도판, 유라시아판, 버마판 등 세 개의 지각판이 수렴하여 형성된 활성 단층면 아래에 위치하여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기 쉬운 지역이다.[51][52] 역사적으로 이 지역에서는 1897년 아삼 지진과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 등 두 차례의 대규모 지진(M > 8.0)이 발생했으며, 1897년 이후로 약 20회의 대규모 지진(8.0 > M > 7.0)이 발생했다.[51][52] 1950년 아삼-티베트 지진은 인도에서 발생한 가장 큰 지진이다.4. 야생
인도 북동부는 동물 다양성이 매우 풍부하다. 이 지역에는 흰뺨긴팔원숭이, 꼬리짧은원숭이, 돼지꼬리원숭이, 금색랑구르, 하누만 랑구르, 붉은털원숭이 등 15종에 달하는 비인간 영장류가 서식하고 있다. 인도 코뿔소는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이다.[54]
이 지역의 숲은 코끼리, 벵골호랑이, 표범, 금빛고양이, 어업고양이, 대리석고양이, 벵골여우 등의 서식지이기도 하다.[54] 브라마푸트라 강의 갠지스 돌고래도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이 외에도 수달, 앨리게이터가르, 거북, 일부 어류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54]
세계조류보존협의회는 아삼 평원과 동쪽 히말라야 산맥을 고유종 조류 지역으로 분류했다. 이 지역에는 2종 이상의 심각한 멸종 위기종, 3종의 멸종 위기종, 14종의 취약종 조류를 포함하여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이 지역의 국립공원은 다음과 같다.
국립공원 | 위치 | 주 | 면적 (km2) | 중요성 | 식생 |
---|---|---|---|---|---|
남다파 국립공원 | 창랑구 | 아루나찰 프라데시 | 1,985 | 동히말라야에서 가장 큰 보호 지역 |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산악림 |
마나스 국립공원 | 박사구 | 아삼 | 950 | 유네스코 세계유산 |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
카지랑가 국립공원 | 골라갓구 및 나가온구 | 아삼 | 882[55] | 유네스코 세계유산 | 브라마푸트라 계곡 반상록림, 테라이-두아르 사바나 및 초원 |
캉첸중가 국립공원 | 북시킴구 | 시킴 | 850 | 유네스코 혼합 세계유산 및 인도에서 가장 높은 고도의 야생동물 보호 지역 | 아열대부터 고산까지, 크룸홀츠(왜소한 숲)[56] |
몰링 국립공원 | 어퍼 시앙구, 웨스트 시앙구, 이스트 시앙구 | 아루나찰 프라데시 | 483 | 열대림부터 온대림까지의 숲 | |
디브루-사이코와 국립공원 | 디브루가르구 및 틴수키아구 | 아삼 | 350 | 브라마푸트라 계곡 반상록림 | |
발파크람 국립공원 | 사우스 가로힐스구 | 메갈라야 | 220 | 아열대 상록 활엽수림 | |
인탕키 국립공원 | 페렌구 | 나갈랜드 | 202 | 온대 상록수림 | |
나메리 국립공원 | 소닛푸르구 | 아삼 | 200 | 브라마푸트라 계곡 반상록림 | |
멀렌 국립공원 | 참파이구 | 미조람 | 100 | 산악 아열대 반상록림[57] | |
오랑 국립공원 | 다랑구 및 소닛푸르구 | 아삼 | 79 | 동부 계절 습지림, 동부 히말라야 습윤 혼합 활엽수림, 동부 습윤 충적 초원[58] | |
파웅푸이 국립공원 | 롱틀라이구 | 미조람 | 50 | 온대림[59] | |
녹렉 국립공원 | 웨스트 가로힐스구 | 메갈라야 | 48 |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 |
시로히 국립공원 | 우크룰구 | 마니푸르 | 41 | 미조람-마니푸르-카친 우림 | |
케이불람자오 국립공원 | 비슈누푸르구 | 마니푸르 | 40 | 세계 유일의 부유하는 국립공원 | 품디 (부유 습지) |
비손(라즈바리) 국립공원 | 사우스 트리푸라구 | 트리푸라 | 32 | 열대 반상록 및 습윤 활엽수림 | |
구름표범 국립공원 | 세파히잘라구 | 트리푸라 | 5 |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
4. 1. 식물
세계자연보전기금(WWF)에서 동부 히말라야를 우선순위 글로벌 200 생태지역으로 선정했고, 국제보전협회(Conservation International)는 동 히말라야 핫스팟을 확대하여 인도 북동부 8개 주와 인접 국가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지정했다.[53] 이 지역은 벼 유전자원의 중심지이자 감귤류의 기원지로 알려져 있다.[53]이 지역에서는 51가지의 산림 유형이 발견되며, 열대 습윤 활엽수림, 열대 반상록수림, 열대 습윤 상록수림, 아열대림, 온대림, 고산림 등 6가지 주요 유형으로 크게 분류된다.[53] 인도의 9가지 중요한 식생 유형 중 6가지가 북동부 지역에서 발견된다.[53] 숲에는 15,000종의 피자식물 중 8,000종이 서식하며, 꽃 식물 종 풍부도 측면에서 아룬차르 프라데시주(5000종)와 시킴주(4500종)에서 가장 높은 다양성이 보고되었다.[53] 인도식물조사소(Botanical Survey of India)가 발행한 "인도 적색자료 목록"에 따르면, 인도의 꽃 피는 식물 중 10%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1500종의 멸종 위기 꽃 식물 중 800종이 인도 북동부에서 보고되었다.[53]
화전 농업이 이 지역의 산림 피복 손실의 원인으로 언급되기도 하지만, 지역 부족이 실천하는 이 주요 농업 경제 활동은 35가지 품종의 작물 재배를 지원했다.[53] 이 지역은 약용 식물과 기타 많은 희귀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분류군이 풍부하며, 고등 식물, 척추동물, 조류 다양성 모두에서 높은 고유종 비율을 보여 생물다양성 핫스팟으로 분류되었다.[53]
4. 2. 동물
인도 북동부는 동물 다양성이 매우 풍부하다. 15종에 달하는 비인간 영장류가 있으며, 그중 가장 중요한 종은 흰뺨긴팔원숭이, 꼬리짧은원숭이, 돼지꼬리원숭이, 금색랑구르, 하누만 랑구르, 붉은털원숭이이다. 인도 코뿔소는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이다.[54]이 지역의 숲은 코끼리, 벵골호랑이, 표범, 금빛고양이, 어업고양이, 대리석고양이, 벵골여우 등의 서식지이기도 하다.[54] 브라마푸트라 강의 갠지스 돌고래도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이다. 이 외에도 수달, 앨리게이터가르, 거북이, 일부 어류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54]
세계조류보존협의회는 아삼 평원과 동쪽 히말라야 산맥을 고유종 조류 지역으로 분류했다. 이 지역에는 2종 이상의 심각한 멸종 위기종, 3종의 멸종 위기종, 14종의 취약종 조류를 포함하여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4. 3. 국립공원
국립공원 | 위치 | 주 | 면적 (km2) | 중요성 | 식생 |
---|---|---|---|---|---|
남다파 국립공원 | 창랑구 | 아루나찰 프라데시 | 1,985 | 동히말라야에서 가장 큰 보호 지역 |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산악림 |
마나스 국립공원 | 박사구 | 아삼 | 950 | 유네스코 세계유산 |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
카지랑가 국립공원 | 골라갓구 및 나가온구 | 아삼 | 882[55] | 유네스코 세계유산 | 브라마푸트라 계곡 반상록림, 테라이-두아르 사바나 및 초원 |
캉첸중가 국립공원 | 북시킴구 | 시킴 | 850 | 유네스코 혼합 세계유산 및 인도에서 가장 높은 고도의 야생동물 보호 지역 | 아열대부터 고산까지, 크룸홀츠(왜소한 숲)[56] |
몰링 국립공원 | 어퍼 시앙구, 웨스트 시앙구, 이스트 시앙구 | 아루나찰 프라데시 | 483 | 열대림부터 온대림까지의 숲 | |
디브루-사이코와 국립공원 | 디브루가르구 및 틴수키아구 | 아삼 | 350 | 브라마푸트라 계곡 반상록림 | |
발파크람 국립공원 | 사우스 가로힐스구 | 메갈라야 | 220 | 아열대 상록 활엽수림 | |
인탕키 국립공원 | 페렌구 | 나갈랜드 | 202 | 온대 상록수림 | |
나메리 국립공원 | 소닛푸르구 | 아삼 | 200 | 브라마푸트라 계곡 반상록림 | |
멀렌 국립공원 | 참파이구 | 미조람 | 100 | 산악 아열대 반상록림[57] | |
오랑 국립공원 | 다랑구 및 소닛푸르구 | 아삼 | 79 | 동부 계절 습지림, 동부 히말라야 습윤 혼합 활엽수림, 동부 습윤 충적 초원[58] | |
파웅푸이 국립공원 | 롱틀라이구 | 미조람 | 50 | 온대림[59] | |
녹렉 국립공원 | 웨스트 가로힐스구 | 메갈라야 | 48 |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 |
시로히 국립공원 | 우크룰구 | 마니푸르 | 41 | 미조람-마니푸르-카친 우림 | |
케이불람자오 국립공원 | 비슈누푸르구 | 마니푸르 | 40 | 세계 유일의 부유하는 국립공원 | 품디 (부유 습지) |
비손(라즈바리) 국립공원 | 사우스 트리푸라구 | 트리푸라 | 32 | 열대 반상록 및 습윤 활엽수림 | |
구름표범 국립공원 | 세파히잘라구 | 트리푸라 | 5 |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 |
5. 인구 통계
인도 북동부의 총 인구는 약 4,600만 명이며, 그중 68%가 아삼 주에 거주하고 있다. 아삼 주는 인구 밀도가 1km²당 397명으로, 인도 전국 평균(1km²당 382명)보다 높다.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와 아삼 주를 제외한 북동부 지역 주들의 평균 문해율은 인도 전국 평균 74%보다 높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메갈라야 주는 이 지역 주들 중 가장 높은 27.8%의 인구 증가율을 기록했는데, 이는 인도 전국 평균 17.64%보다 높은 수치이다. 반면 나갈랜드 주는 전국에서 가장 낮은 -0.5%의 인구 증가율을 기록했다.[60]
주 | 인구 | 남성 | 여성 | 성비 | 문해율 (%) | 농촌 인구 | 도시 인구 | 면적 (km2) | 인구 밀도 (/km2) |
---|---|---|---|---|---|---|---|---|---|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 1,383,727 | 713,912 | 669,815 | 938 | 65.38 | 870,087 | 227,881 | 17 | |
아삼 주 | 31,205,576 | 15,939,443 | 15,266,133 | 958 | 72.19 | 23,216,288 | 3,439,240 | 78,438 | 397 |
마니푸르 주 | 2,570,390 | 1,290,171 | 1,280,219 | 992 | 79.21 | 1,590,820 | 575,968 | 22,327 | 122 |
메갈라야 주 | 2,966,889 | 1,491,832 | 1,475,057 | 989 | 74.43 | 1,864,711 | 454,111 | 22,429 | 132 |
미조람 주 | 1,097,206 | 555,339 | 541,867 | 976 | 91.33 | 447,567 | 441,006 | 21,081 | 52 |
나갈랜드 주 | 1,978,502 | 1,024,649 | 953,853 | 931 | 79.55 | 1,647,249 | 342,787 | 16,579 | 119 |
시킴 주 | 610,577 | 323,070 | 287,507 | 890 | 81.42 | 480,981 | 59,870 | 7,096 | 86 |
트리푸라 주 | 3,673,917 | 2,087,059 | 2,086,858 | 960 | 91.58 | 2,639,134 | 1,534,783 | 10,486 | 350 |
북동인도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아삼 주, 마니푸르 주, 메갈라야 주, 미조람 주, 나갈랜드 주, 트리푸라 주, 시킴 주 등 8개 주로 구성되며, 인도 내무부 북동지역협의회(North Eastern Zonal Council)가 지역 발전 등을 목표로 관할한다. 1972년 나갈랜드 주 실롱에서 7개 주로 시작하여 "7자매"라고 불렸으며, 아삼 주 구와하티가 중심 도시였다. 2002년 시킴 주가 추가되어 8개 주가 되었다.
이 지역은 중국, 미얀마, 방글라데시 등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다민족 거주로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114]
주 | 힌두교 | 이슬람교 | 기독교 | 불교 | 자이나교 | 시크교 | 기타 종교 | 무종교 |
---|---|---|---|---|---|---|---|---|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 401,876 | 27,045 | 418,732 | 162,815 | 771 | 3,287 | 362,553 | 6,648 |
아삼 주 | 19,180,759 | 10,679,345 | 1,165,867 | 54,993 | 25,949 | 20,672 | 27,118 | 50,873 |
마니푸르 주 | 1,181,876 | 239,836 | 1,179,043 | 7,084 | 1,692 | 1,527 | 233,767 | 10,969 |
메갈라야 주 | 342,078 | 130,399 | 2,213,027 | 9,864 | 627 | 3,045 | 258,271 | 9,578 |
미조람 주 | 30,136 | 14,832 | 956,331 | 93,411 | 376 | 286 | 808 | 1,026 |
나갈랜드 주 | 173,054 | 48,963 | 1,739,651 | 6,759 | 2,655 | 1,890 | 3,214 | 2,316 |
시킴 주 | 352,662 | 9,867 | 60,522 | 167,216 | 314 | 1,868 | 16,300 | 1,828 |
트리푸라 주 | 3,063,903 | 316,042 | 159,882 | 125,385 | 860 | 1,070 | 1,514 | 5,261 |
합계 | 24,726,344 | 11,466,329 | 7,893,055 | 627,527 | 33,244 | 33,645 | 903,545 | 88,499 |
5. 1. 주요 도시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북동인도의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순위 | 도시 | 유형 | 주 | 인구 | |||||
---|---|---|---|---|---|---|---|---|---|
1 | 구와하티 | 시 | 아삼 주 | 968,549 | |||||
2 | 아가르탈라 | 시 | 트리푸라 주 | 622,613 | |||||
3 | 임팔 | 도시권 | 마니푸르 주 | 414,288 | |||||
4 | 디마푸르 | 시 | 나갈랜드 주 | 379,769 | |||||
5 | 실롱 | 도시권 | 메갈라야 주 | 354,325 | |||||
6 | 아이자월 | 시 | 미조람 주 | 291,822 | |||||
7 | 실찰 | 도시권 | 아삼 주 | 229,136 | |||||
8 | 디브루가르 | 도시권 | 아삼 주 | 154,296 | |||||
9 | 조르햇 | 도시권 | 아삼 주 | 153,889 | |||||
10 | 나가온 | 도시권 | 아삼 주 | 147,496 | |||||
11 | 봉가이가온 | 도시권 | 아삼 주 | 139,650 | |||||
12 | 틴수키아 | 도시권 | 아삼 주 | 126,389 | |||||
13 | 테즈푸르 | 도시권 | 아삼 주 | 102,505 | |||||
14 | 코히마 | 도시권 | 나갈랜드 주 | 100,000 | |||||
15 | 강톡 | 시 | 시킴 주 | 98,658 | |||||
16 | 이타나가르 | 시 |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 95,650 | |||||
도시권(Urban Agglomeration)은 인구 10만 명 이상의 도시 지역을 의미한다.[61] |
5. 2. 언어
북동 인도는 인도 전역에서 하나의 언어 지역을 구성하며, 여러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티베트-중국어족, 크라이-다이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약 220개 언어가 있다.[62][63] 이는 인도 전체 언어의 절반에 해당한다.아삼어는 브라마푸트라 계곡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아리아어파 언어로, 많은 언어 공동체의 통용어로 발전했다. 아삼어 기반의 피진/크리올어는 나갈랜드(나가메스어)와 아룬차알(네파메스어)에서 발전했지만,[64] 네파메스어는 최근에 힌디어로 대체되었다. 벵골어는 남아삼의 바락 계곡과 트리푸라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인도-아리아어파 언어이며, 두 지역 모두에서 주요 언어이자 공용어이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메갈라야의 카시어, 자이니아어, 와어 등으로 대표된다. 소수의 타이-카다이어족 언어(아홈어, 타이 파케어, 캄티어 등)도 사용된다. 티베트-중국어족은 서로 상당히 다른 여러 언어들[65]로 대표되는데,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아삼: 보로어, 라브하어, 카르비어, 미싱어, 티와어, 데오리어, 흐마르어 (비아테어, 초레이어, 할람어, 흐랑카울어, 카이펭어, 몰솜어, 랑롱어, 사이흐리엠어, 사카체프어, 탕가체프어, 티에크어 포함), 제메 나가어, 렝마 나가어, 쿠키어 (타도어)
- 메갈라야: 가로어, 라브하어, 흐마르어 (비아테어, 사카체프어 포함)
- 나갈랜드: 아오어, 앙가미어, 세마어, 로타어, 코냐크어, 차케상어, 창어, 키암니웅안어, 폼어, 포추리어, 렝마어, 상탐어, 티키르어, 임키웅어, 젤리앙어, 쿠키어(타도어), 흐마르어 (사카체프/켈마 포함)
- 미조람: 루세이어 (후알롱고 포함), 흐마르어 (초레이어, 달롱어, 당가운어, 카이펭어, 카울링어, 몰솜어, 겐테어, 사카체프어, 조테어 포함), 라이어 (하카어, 팔람어, 쿠알심어, 자니엣어, 심어 포함), 마라어, 랄테/갈테어, 조미/파이테어, 쿠키/타도어
- 아룬차알: 흐루소어, 타니어, 니시어, 아디어, 아보어, 녹테어, 아파타니어, 미시미어
콕보록어는 트리푸라의 부족 사람들 사이에서 가장 우세한 언어이며 주의 공용어 중 하나이며, 가로어, 흐마르어 (봉어, 봉체어, 초레이어, 다브어, 달롱어, 흐마르차팡어, 흐랑카울어, 랑카이어, 카이펭어, 콜로이어, 코르봉어, 몰솜어, 랑롱어, 루피니어, 사이흐마르어, 사카체프어, 탕가체프어 포함), 루세이어 (로크훔 포함) 등도 사용된다. 메이테이어는 마니푸르의 공용어이자 임팔 계곡의 주요 언어이며, 포우마이어, 마오어, 마람어, 롱메이어 (카부이), 탕쿨어, 제메어, 리앙마이어, 인푸이어, 탕갈 나가어와 같은 "나가" 언어와 쿠키/타도어, 루세이어, 조미어 (파이테어, 심테어, 바이페이어, 조어, 마테어, 탕칼어, 테딤-친어 포함), 강테어, 흐마르어 (비에테어, 흐랑카울어, 티에크어, 조테어 포함) 등의 미조어는 주의 각 구릉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66]

다른 인도-아리아어파 언어 중에는 미조람에서 사용되는 착마어와 아삼과 메갈라야에서 사용되는 하종어가 있다. 인도-아리아어파 언어인 네팔어는 티베트-중국어족 언어인 림부어, 부티아어, 레프차어, 라이어, 타망어, 셰르파어 등과 함께 시킴에서 주로 사용된다.
각 주별 공용어는 다음과 같다.[70]
주 | 공용어 |
---|---|
아루나찰프라데시주 | 영어 |
아삼주 | 아삼어, 보도어, 메이테이어(마니푸리어),[14] 벵골어[71] |
마니푸르주 | 메이테이어 |
메갈라야주 | 영어 |
미조람주 | 미조어, 영어 |
나갈랜드주 | 영어[72] |
시킴주 | 시킴어, 레프차어, 네팔어, 영어[16] |
트리푸라주[73] | 벵골어, 콕보록어, 영어 |
북동인도에서 볼 수 있는 언어 계통은 다음과 같다.
- 인도유럽어족
- 인도-아리아어파(아삼어, 벵골어 등)
- 티베트-버마어족
- (보도어, 가로어 등)
- 쿠키-친어족, 나가어족
- 아루나찰프라데시의 고립된 언어 및 독립 어족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카시어 등
- 타이어족
북동인도에서 언어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은 티베트-버마어족이지만, 화자 수가 가장 많은 것은 인도-아리아어파이다.
5. 3. 민족
북동 인도에는 220개가 넘는 민족 집단이 있으며, 그중 보도족이 가장 큰 토착 민족 집단을 형성한다.[77] 이 지역의 아루나찰프라데시, 메갈라야, 미조람, 나갈랜드와 같은 산악 주들은 부족민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으며, 부족 집단 내에서도 다양한 정도가 존재한다. 이 지역의 인구는 티베트, 인도-갠지스 평원 인도, 히말라야, 현재의 방글라데시 및 미얀마에서 고대부터 이어진 지속적인 이주로 인한 결과이다.[78]다음 민족 집단들은 인도 북동부의 주/지역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 아삼인 - (48.38%), 아삼에서 가장 큰 민족
- 타니족 - (40.32%), 아루나찰프라데시에서 가장 큰 민족
- 보도족 - (30.47%), 아삼의 보돌랜드 지역에서 가장 큰 민족
- 벵골인 - (63.48% 및 80.84%), 트리푸라 주와 아삼의 바락 계곡 지역에서 가장 큰 민족
- 메이테이족 - (53.3%), 마니푸르에서 가장 큰 민족
- 트리푸리족 - 트리푸라의 트리푸라 부족 지역 자치구 의회에서 가장 큰 민족
- 미조족 - (73.14%), 미조람에서 가장 큰 민족
- 카시족 - (46.24%), 메갈라야에서 가장 큰 민족
- 나가족 - (88.24%), 나갈랜드에서 가장 큰 민족
- 네팔인 - (62.6%), 시킴에서 가장 큰 민족
- 시킴인 - 시킴의 원주민 민족
5. 4. 종교
주 | 힌두교 | 이슬람교 | 기독교 | 불교 | 자이나교 | 시크교 | 기타 종교 | 무종교 |
---|---|---|---|---|---|---|---|---|
아루나찰프라데시주 | 401,876 | 27,045 | 418,732 | 162,815 | 771 | 3,287 | 362,553 | 6,648 |
아삼주 | 19,180,759 | 10,679,345 | 1,165,867 | 54,993 | 25,949 | 20,672 | 27,118 | 50,873 |
마니푸르주 | 1,181,876 | 239,836 | 1,179,043 | 7,084 | 1,692 | 1,527 | 233,767 | 10,969 |
메갈라야주 | 342,078 | 130,399 | 2,213,027 | 9,864 | 627 | 3,045 | 258,271 | 9,578 |
미조람주 | 30,136 | 14,832 | 956,331 | 93,411 | 376 | 286 | 808 | 1,026 |
나갈랜드주 | 173,054 | 48,963 | 1,739,651 | 6,759 | 2,655 | 1,890 | 3,214 | 2,316 |
시킴주 | 352,662 | 9,867 | 60,522 | 167,216 | 314 | 1,868 | 16,300 | 1,828 |
트리푸라주 | 3,063,903 | 316,042 | 159,882 | 125,385 | 860 | 1,070 | 1,514 | 5,261 |
합계 | 24,726,344 | 11,466,329 | 7,893,055 | 627,527 | 33,244 | 33,645 | 903,545 | 88,499 |
북동인도에는 힌두교, 이슬람교, 기독교, 불교 등 다양한 종교가 공존한다. 아삼주, 트리푸라주, 마니푸르주, 시킴주에서는 힌두교가 가장 큰 종교이며, 메갈라야주, 나갈랜드주, 미조람주에서는 기독교가 가장 큰 종교이다. 아루나찰프라데시주에서는 토착 종교인 도니-폴로를 믿는 사람들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6. 문화
북동인도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어우러진 지역으로, 각기 독특한 생활 방식과 전통을 지니고 있다.
초기 정착민으로는 오스트로아시아어를 사용하는 동남아시아 출신, 티베트-버마어를 사용하는 중국 출신, 인도-아리아어를 사용하는 갠지스 평원 출신, 크라다이어를 사용하는 남부 윈난과 샨 주 출신 등이 있었다.[22] 이 지역은 생물 다양성과 작물 다양성이 풍부하여, 초기 정착민들이 여러 중요한 식물을 재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3] 기원전 100년경 중국 탐험가 장건의 기록에는 북동 인도를 통한 초기 무역로가 나타나 있으며,[24] 『에리트리아해의 항해일지』에는 말라바트론을 생산했던 세사타이(Sêsatai)라는 민족이 언급되어 있다.[25][26]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2세기)에서는 이 지역을 ''키르라디아(Kirrhadia)''라고 불렀다.[27]
초기 역사 시대에 카마루파는 현재 북동 인도 대부분을 아우르고 있었으며, 7세기에 중국 불교 승려 현장이 이 지역을 방문하여 사람들의 외모와 언어, 성격 등에 대해 기록했다.[28]
19세기와 20세기 초 영국 식민지 시대에 북동부 주들이 설립되었고, 이 지역은 부탄과 미얀마 등 전통적인 무역 파트너들로부터 고립되었다.[29] 현재 미조람, 메갈라야, 나갈랜드의 많은 사람들은 영국(웨일스)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기독교로 개종했다.[30]
북동부 지역은 지리적으로 동부 히말라야, 파트카이 산맥, 브라마푸트라 및 바락 계곡 평야로 분류될 수 있다.
북동인도 주들의 소수 민족은 다음과 같다.
주 이름 | 어원 | 문자 그대로의 의미 |
---|---|---|
아루나찰 프라데시 (Arunachal Pradesh) | 산스크리트어 | 새벽이 밝아오는 산들의 땅 |
아삼 (Assam) | 고유어 | 아삼(Assam)과 아홈(Ahom) 모두 아삼(asam), 아캄(acam)에서 유래하며, 아홈족이 사용했던 샨(Shan)/샴(Shyam)의 변형이다.[74] |
마니푸르 (Manipur) | 산스크리트어 | 보석이 풍부한 땅, 18세기에 채택됨 |
메갈라야 (Meghalaya) | 산스크리트어 | 구름의 거처, 시바 P. 차터지가 명명 |
미조람 (Mizoram) | 미조어 | 미조족의 땅; 람(Ram)은 땅을 의미함 |
나갈랜드 (Nagaland) | 영어 | 나가족의 땅 |
식킴 (Sikkim) | 림부어 | 새 집 – "수킴(Sukhim)"에서 유래, 수(Su)는 새롭다는 의미이고 킴(Khim)은 집이라는 의미임 |
트리푸라 (Tripura) | 콕보록어 | 고유어의 산스크리트어 버전: 티프라(Tipra), 투이푸라(Tuipura), 트위프라(Twipra) 등. 문자 그대로는 물 가까이에 있는 땅을 의미함 – "트위프라(TWIPRA)"에서 유래, 트위(Twi)는 물을 의미하고 부프라(Bupra)는 가까이를 의미하며, 트리푸라가 벵골 만과 약간 가까이 있기 때문임. |
동북부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 중심지이며, 각 지역 사회는 풍부한 민속 음악 유산을 가지고 있다. 아쌈 출신의 가수 겸 작곡가 부펜 하자리카(Bhupen Hazarika)는 국내외 명성을 얻었으며, 프라티마 바루아 판데이(Pratima Barua Pandey)는 잘 알려진 민속 가수이다. 주빈 가르그(Zubeen Garg), 파폰(Papon), 아누라그 사이키아(Anurag Saikia)는 아쌈(Assam) 주 출신의 주목할 만한 가수이자 음악가들이다. 레우벤 마샹바(Rewben Mashangva)는 밥 딜런과 밥 말리에게 영감을 받은 음악으로 찬사를 받는 민속 가수이며, 테트세오 자매(Tetseo Sisters)는 독창적인 음악 장르로 주목할 만하다. 최근에는 젊은 세대가 서양 음악을 점점 더 많이 추구하기 시작했다.[89]
6. 1. 요리
북동인도는 주마다 고유한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쌀, 생선, 고기, 채소 등을 주재료로 사용한다. 발효 식품과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주 | 주식 | 대표 음식 |
---|---|---|
아룬차르프라데시 | 쌀, 생선, 고기, 잎채소 | 툭파, 모모, 아퐁 (쌀 맥주) |
아쌈 | 쌀, 생선, 고기, 잎채소 | 아쌈 차, 피타 (쌀 케이크), 카르 (알칼리), 카르-마티다일, 우-텐가-마소르-줄, 푸라-마스, 알루-피티카, 파니-텐가, 카롤리, 코리사 (대나무 새싹), 슈칸 마소르 슈코티, 포인타-바트, 투풀라-바트, 숭가-사울 (대나무에 쪄낸 쌀), 카리카트 디야 마스, 카리카트 디아-망크소, 파티-하노르-망크소-줄 (오리 스튜), 라이-삭-가호리-망크소 (겨자잎과 돼지고기), 쿠몰 사울-도이 졸판, 타물(빈랑 – 파안), 쌀 맥주 (주디마, 로히, 사즈 파니, 아퐁 등) |
마니푸르 | 쌀, 생선, 지역 채소 | 에롬바, 우-모록, 싱주, 응가리 (발효 생선), 캉쇼이 |
메갈라야 | 쌀, 매운 고기, 생선 | 카시 요리 – 퉁탑, 도젬, 퉁룸바이, 자도, 키 크푸, 가로 요리 – 캡파, 브렝가, 소테파, 와테파, 푸라, 미닐, 나캄 (말린 생선), 대나무 새싹 |
미조람 | 쌀, 생선, 고기 | 바이, 베캉 (발효 콩), 사움 (발효 돼지고기), 사우치아르 |
나갈란드 | 쌀, 고기, 찜 또는 삶은 채소 | 발효 대나무 새싹, 훈제 돼지고기와 소고기, 악소네, 갈호, 부트 졸로키아 |
시킴 | 쌀, 고기, 유제품 | 툭파, 모모, 샤 팔레이, 군드룩, 싱키, 셀 로티 |
트리푸라 | 쌀, 고기, 채소 | 메이둘 (쌀 공), 아왕 방위, 아왕 소크랑, 차쿠이, 구독, 모소뎅, 아완드루, 무쿠이, 행작, 이크작, 와한 모소뎅, 무이야 (대나무 새싹), 베르마 브트위 (발효 생선) |
6. 2. 예술
마니푸르 라스 릴라 춤(마니푸르 출신)과 사트리아(아삼 출신)는 인도 고전 무용에 포함되며, 상기트 나탁 아카데미와 인도 문화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다.[81] 이 외에도 동북 인도의 모든 부족들은 종교 및 축제와 관련된 고유한 민속 무용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의 부족 유산은 사냥, 농업, 그리고 토착 공예의 풍부한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각 공동체의 전통 의상에서 그 풍부한 문화를 엿볼 수 있다.동북 인도의 모든 주는 대나무와 갈대 공예, 목각 조각, 전통 무기 및 악기 제작, 도자기와 손으로 짜는 직조 기술을 공유한다.[81] 아삼 실크는 이 지역의 유명한 산업이다.
주 | 전통 공연 예술 | 전통 시각 예술 | 전통 공예 |
---|---|---|---|
아루나찰 프라데시 | 완초 춤, 이두 미쉬미 춤, 디가루 미쉬미 부이야 춤, 캄프티 춤, 포눙 춤, 사디눅트소[79] | 갈대와 대나무, 목화와 양모 직조, 목각 조각, 대장간(손 도구, 무기, 장신구, 그릇, 성스러운 종과 파이프)[79][80] | |
아삼 | 사트리아, 바구룸바, 비후 춤, 바오나 (자세한 내용은 아삼의 음악 참조) | 하스티비디야르나바 (자세한 내용은 아삼의 회화와 아삼의 미술 참조) | 갈대와 대나무, 벨 메탈과 황동, 실크, 장난감, 가면 제작, 도자기와 테라코타, 보석류, 악기 제작, 배 제작, 페인트. |
마니푸르 | 마니푸르 춤(라스 릴라), 카르탈 촐롬, 만지라 촐롬, 쿠박 에세이, 풍 촐롬, 라이-하라오바 | 목화 섬유, 대나무 공예(모자, 바구니), 도자기[80][81] | |
메갈라야 | 농크렘, 샤드 숙, 베디엔클람, 왕갈라, 라후 춤[82][80] (자세한 내용은 메갈라야의 음악 참조) | 손 도구와 무기 제작, 악기(북), 갈대와 대나무 공예, 전통 의상 직조, 보석 제작(금, 산호, 유리), 벽 조각, 목각[80][83] | |
미조람 | 체라우, 쿠알람, 체이 람, 차이 람, 랄루 람, 살람카이/솔라키아, 파람, 사케이 루람[84] (자세한 내용은 미조람의 음악 참조), 비주 춤 | 전통 손 도구, 무기 및 섬유 제작, 대나무와 갈대 공예[85][80] | |
나갈랜드 | 젤리앙 춤, 전쟁 춤, 누루롤리안스(닭 춤) (자세한 내용은 나갈랜드의 음악 참조) | 갈대와 대나무 공예, 전통 손 도구, 무기 및 섬유 제작, 목각, 도자기, 전통 의상 장신구, 악기(북과 나팔)[80] | |
시킴 | 추 파앗 춤, 루 캉타모, 가 토 키토, 레충마, 마루니, 타망 셀로, 싱히 쳄, 야크 쳄, 쿠쿠리 춤, 룸텍 쳄(가면 춤) 챠브룽[86][87][88] (시킴의 음악 참조) | 탕카(식물성 염료를 사용하여 목화 캔버스에 불교 교리를 보여줌)[87] | 수제 종이, 카펫 제작, 양모 섬유, 목각[87] |
트리푸라 | 트리푸리 춤, 마미타 춤, 고리아 춤, 레방 춤, 모삭 술마니 춤, 호자기리 춤, 비주 춤, 왕갈라, 하이-하크 춤, 상그라이 춤, 오와 춤 | 여러 신과 여신의 바위 조각 | 갈대와 대나무, 전통 목화 직물, 직조와 손으로 짜는 직조, 몰루와/시탈파티(돗자리 제작), 목각,[80] 현악기와 관악기 |
6. 3. 문학
동북 인도의 많은 토착 공동체는 기원, 의례, 신앙 등을 이야기하는 오래된 전통의 민담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이야기들은 구전으로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져 내려온다.[90] 아삼, 트리푸라, 마니푸르에는 고대 기록 문서들이 있는데, 이 주들은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에 언급되어 있다. 마다바 칸달리의 아삼어 삽타칸다 라마야나는 산스크리트어 라마야나를 현대 인도아리아어로 번역한 최초의 작품으로 여겨지며, '카르비 라마야나'는 아삼의 오래된 서면 문학 유산을 보여준다.비렌드라 쿠마르 바타차랴와 마모니 라이솜 고스와미 등 동북 지역의 두 작가는 인도 최고의 문학상인 냐나피트 상을 수상했다.[90] 비렌드라 쿠마르 바타차랴는 아삼어 소설 'Mrityunjay'(1979)로 냐나피트 상을 수상한 최초의 아삼어 작가이자 동북 인도 출신 작가였다.[91] 마모니 라이솜 고스와미는 2000년에 냐나피트 상을 수상했다.[92][93] 템술라 아오는 단편 소설집 'Laburnum for My Head'로 인도 영어 문학 부문에서 사히티야 아카데미 상(2013)을 수상한 최초의 동북 인도 작가이며, 파드마 슈리(2007)를 수상했다. 이스터린 키레는 나갈랜드 출신의 최초의 영어 소설가로, 소설 'When the River Sleeps'로 힌두 문학상(2015)을 수상했다. 인디라 고스와미(마모니 로이솜 고스와미)는 'Moth-Eaten Howda of the Tusker', 'Pages Stained with Blood', 'The Shadow of Kamakhya', 'The Blue-Necked God' 등의 소설을 쓴 아삼 작가이며, 마망 다이는 소설 'The Black Hill'로 사히티야 아카데미 상(2017)을 수상했다.[94]
6. 4. 축제
북동인도의 각 민족과 종교는 고유한 축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축제들은 춤, 음악, 의례 등이 어우러진 다채로운 행사들로 이루어져 있다.주요 축제는 다음과 같다.
- 완초족의 오지알레 축제
- 셰르둑펜족의 체카르 축제
- 니시족의 롱테 율로 축제
- 아디족의 솔룽 축제
- 몬파족의 로사르 축제
- 이두 미시미족의 레 축제
- 아파타니족의 드리 축제
- 트리푸라의 마미타, 트리푸라브다(트링 축제), 부이수, 헝그라이, 호자기리, 크하르치 및 가리아 축제
- 마니푸르의 닝골 차코우바와 마니푸르 보트 경주 축제 ( 헤이크루 히동바)
- 림부족의 차속 탕남 축제
6. 5. 스포츠
축구는 북동인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미조람 출신의 탈리메렌 아오(Talimeren Ao)는 1948년 인도 국가대표팀의 첫 주장을 역임했다.[95] 마니푸르에서는 야구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96]7. 행정 및 정치 분쟁
모암리아 소요 이후 아홈 왕조는 쇠퇴해 갔다. 19세기 초, 아홈과 마니푸르 왕국 모두 버마의 침공으로 멸망했다.[31] 그 결과 발생한 제1차 영국-버마 전쟁으로 이 지역 전체가 영국의 통치하에 들어가게 되었다. 식민지 시대(1826~1947년)에 북동 인도는 1839년부터 1873년까지 벵골 주의 일부가 되었고, 그 후 식민지 시대 아삼은 자체 주가 되었지만,[32] 실렛을 포함하고 있었다.
1947년 영국 통치로부터 인도 독립 후, 영국령 인도의 북동부 지역은 아삼과 토후국인 트리푸라 왕국과 마니푸르 왕국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마니푸르와 트리푸라는 1956년에 인도 연방 준주가 되었고, 1972년에 완전한 주 지위를 획득했다. 나갈랜드는 1963년에, 메갈라야는 1972년에 주 지위를 얻었다. 아루나찰 프라데시와 미조람은 아삼에서 분리되어 1987년 2월 20일에 완전한 주가 되었다.[33] 식킴은 2002년에 8번째 북동부 평의회 주로 통합되었다.[34]
실롱은 영국 통치 시대에 아삼 주의 수도였다. 1972년 메갈라야 주가 설립될 때까지 분할되지 않은 아삼의 수도였으며,[35] 아삼의 수도는 구와하티의 일부인 디스푸르로 옮겨졌고, 실롱은 메갈라야의 수도로 지정되었다.
북동인도는 8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의 역사적 명칭, 수도, 주 지위 획득 시기는 다음과 같다.
주 | 역사적 명칭 | 수도 | 주 지위 획득 |
---|---|---|---|
아루나찰 프라데시 | 북동부 국경 지역 | 이타나가르 | 1987년 (이전에는 인도 연방 준주, 1971년 설립)[37] |
아삼 | 카마루파 | 실롱(1969년까지), 디스푸르 | 1947년 |
마니푸르 | 캉레이팍[36] | 임팔 | 1971년 (이전에는 인도 연방 준주, 1956년 설립)[37] |
메갈라야 | 카시 언덕, 자인티아 언덕, 가로 언덕 | 실롱 | 1971년[37] |
트리푸라 | 티페라[38] | 아가르탈라 | 1971년 (이전에는 인도 연방 준주, 1956년 설립)[37] |
미조람 | 루샤이 언덕 | 아이자월 | 1987년 (이전에는 인도 연방 준주, 1971년 설립)[37][39] |
나갈랜드 | 나가 언덕 지구 | 코히마 | 1963년 |
시킴 | 식킴 | 강토크 | 1975년 |
각 주의 이름과 그 어원은 다음과 같다.
주 이름 | 어원 | 문자 그대로의 의미 |
---|---|---|
아루나찰 프라데시 (Arunachal Pradesh) | 산스크리트어 | 새벽이 밝아오는 산들의 땅 |
아삼 (Assam) | 고유어 | 아삼(Assam)과 아홈(Ahom) 모두 아삼(asam), 아캄(acam)에서 유래하며, 아홈족이 사용했던 샨(Shan)/샴(Shyam)의 변형이다.[74] |
마니푸르 (Manipur) | 산스크리트어 | 보석이 풍부한 땅, 18세기에 채택됨 |
메갈라야 (Meghalaya) | 산스크리트어 | 구름의 거처, 시바 P. 차터지가 명명 |
미조람 (Mizoram) | 미조어 | 미조족의 땅; 람(Ram)은 땅을 의미함 |
나갈랜드 (Nagaland) | 영어 | 나가족의 땅 |
식킴 (Sikkim) | 림부어 | 새 집 – "수킴(Sukhim)"에서 유래, 수(Su)는 새롭다는 의미이고 킴(Khim)은 집이라는 의미임 |
트리푸라 (Tripura) | 콕보록어 | 고유어의 산스크리트어 버전: 티프라(Tipra), 투이푸라(Tuipura), 트위프라(Twipra) 등. 문자 그대로는 물 가까이에 있는 땅을 의미함 – "트위프라(TWIPRA)"에서 유래, 트위(Twi)는 물을 의미하고 부프라(Bupra)는 가까이를 의미하며, 트리푸라가 벵골 만과 약간 가까이 있기 때문임. |
7. 1. 국경 관리
- 맥마흔 라인 및 중국-인도 국경 횡단 지역은 시킴과 아루나찰프라데시주를 따라 인도-티베트 국경경비대와 특수 국경군이 순찰한다.
- 인도-방글라데시 국경 및 횡단 지역은 아삼, 메갈라야, 트리푸라, 미조람을 따라 국경보안군이 순찰한다.
- 인도-미얀마 국경, 횡단 지역은 아루나찰프라데시, 나갈랜드, 마니푸르, 미조람을 따라 아삼 라이플스와 인도 육군이 순찰한다.
- 인도-부탄 국경은 시킴, 아삼, 아루나찰프라데시를 따라 사샤스트라 시마 발이 순찰한다.
- 인도-네팔 국경은 시킴을 따라 사샤스트라 시마 발이 순찰한다.
7. 2. 개발 당국
동북부 지역 개발부(Ministry for Development of North Eastern Region)와 동북부 평의회(North Eastern Council)는 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한다.7. 3. 주 및 하위 행정 구역
북동인도는 8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는 다시 여러 하위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주 | 역사적 명칭 | 수도 | 주 지위 획득 |
---|---|---|---|
아루나찰 프라데시 | 북동부 국경 지역 | 이타나가르 | 1987년 (이전에는 인도 연방 준주, 1971년 설립)[37] |
아삼 | 카마루파 | 실롱 (1969년까지), 디스푸르 | 1947년 |
마니푸르 | 캉레이팍[36] | 임팔 | 1971년 (이전에는 인도 연방 준주, 1956년 설립)[37] |
메갈라야 | 카시 언덕, 자인티아 언덕, 가로 언덕 | 실롱 | 1971년[37] |
트리푸라 | 티페라[38] | 아가르탈라 | 1971년 (이전에는 인도 연방 준주, 1956년 설립)[37] |
미조람 | 루샤이 언덕 | 아이자월 | 1987년 (이전에는 인도 연방 준주, 1971년 설립)[37][39] |
나갈랜드 | 나가 언덕 지구 | 코히마 | 1963년 |
시킴 | 식킴 | 강토크 | 1975년 |
각 주의 이름과 그 어원은 다음과 같다.
주 이름 | 어원 | 문자 그대로의 의미 |
---|---|---|
아루나찰 프라데시 (Arunachal Pradesh) | 산스크리트어 | 새벽이 밝아오는 산들의 땅 |
아삼 (Assam) | 고유어 | 아삼(Assam)과 아홈(Ahom) 모두 아삼(asam), 아캄(acam)에서 유래하며, 아홈족이 사용했던 샨(Shan)/샴(Shyam)의 변형이다.[74] |
마니푸르 (Manipur) | 산스크리트어 | 보석이 풍부한 땅, 18세기에 채택됨 |
메갈라야 (Meghalaya) | 산스크리트어 | 구름의 거처, 시바 P. 차터지가 명명 |
미조람 (Mizoram) | 미조어 | 미조족의 땅; 람(Ram)은 땅을 의미함 |
나갈랜드 (Nagaland) | 영어 | 나가족의 땅 |
식킴 (Sikkim) | 림부어 | 새 집 – "수킴(Sukhim)"에서 유래, 수(Su)는 새롭다는 의미이고 킴(Khim)은 집이라는 의미임 |
트리푸라 (Tripura) | 콕보록어 | 고유어의 산스크리트어 버전: 티프라(Tipra), 투이푸라(Tuipura), 트위프라(Twipra) 등. 문자 그대로는 물 가까이에 있는 땅을 의미함 – "트위프라(TWIPRA)"에서 유래, 트위(Twi)는 물을 의미하고 부프라(Bupra)는 가까이를 의미하며, 트리푸라가 벵골 만과 약간 가까이 있기 때문임. |
각 주는 여러 지구(District)로 나뉘며, 지구는 다시 하위 행정 구역으로 구성된다.
주 | 코드 | 주도 | 지구 | 하위 행정 구역 유형 | 하위 행정 구역 수 |
---|---|---|---|---|---|
아루나찰 프라데시(Arunachal Pradesh) | IN-AR | 이타나가르(Itanagar) | 20 | 서클(Circle) | 149 |
아삼(Assam) | IN-AS | 디스푸르(Dispur) | 35 | 하위 행정 구역(Sub-division) | 78 |
마니푸르(Manipur) | IN-MN | 임팔(Imphal) | 16 | 하위 행정 구역(Sub-division) | 38 |
메갈라야(Meghalaya) | IN-ML | 실롱(Shillong) | 12 | 지역 개발 구역(Community Development Block) | 39 |
미조람(Mizoram) | IN-MZ | 아이자월(Aizawl) | 11 | 지역 개발 구역(Community Development Block) | 22 |
나갈랜드(Nagaland) | IN-NL | 코히마(Kohima) | 16 | 서클(Circle) | 33 |
시킴(Sikkim) | IN-SK | 강톡(Gangtok) | 6 | 하위 행정 구역(Sub-division) | 9 |
트리푸라(Tripura) | IN-TR | 아가르탈라(Agartala) | 8 | 하위 행정 구역(Sub-division) | 23 |
또한, 일부 주에는 자치 행정 구역이 존재한다.
7. 4. 자치 행정 구역
북동인도 일부 지역에는 지역 주민들의 자치권을 보장하기 위해 자치 행정 구역이 설치되어 있다.
7. 5. 정부
주 | 수석장관[99] | 주지사[100] | 고등법원 | 수석 판사 |
---|---|---|---|---|
아루나찰프라데시주|페마 칸두|카이발야 트리비크람 파르나이크|구와하티 고등법원(이타나가르 지부)|산딥 메타 | ||||
아삼주|히만타 비스와 사르마|굴랍 찬드 카타리아|구와하티 고등법원|산딥 메타 | ||||
마니푸르주|농톰밤 비렌 싱|아누수이야 우이크예|마니푸르 고등법원|시다르트 미드룰 | ||||
메갈라야주|콘래드 상마|파구 차우한|메갈라야 고등법원|산지브 바네르지 | ||||
미조람주|랄두호마|캄팜파티 하리 바부|구와하티 고등법원(아이자울 지부)|산딥 메타 | ||||
나갈랜드주|네이피우 리오|라 가네산|구와하티 고등법원(코히마 지부)|산딥 메타 | ||||
시킴주|프렘 싱 타망|강가 프라사드|시킴 고등법원|사티시 K. 아그니호트리 | ||||
트리푸라주|마닉 사하|인드라세나 레디|트리푸라 고등법원|T. A. 가우르 |
각 주마다 주지사와 수석장관이 있으며, 고등법원이 설치되어 있다.
8. 경제
북동인도 지역은 동부 히말라야, 파트카이 산맥, 브라마푸트라 및 바락 계곡 평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동식물과 여러 작물 종을 지원하는 열대 우림이 남아있다. 이 지역의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은 인도 총 잠재량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동북부 지역 개발부(MDoNER)는 이 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위한 인도 정부 산하의 의사결정 기구이다.
북동부 지역의 주별 경제 규모는 다음과 같다.
순위 | 주 | NSDP (₹) | NSDP ($) | 1인당 NSDP (₹) |
---|---|---|---|---|
1 | 아삼 | 567조인도 루피 | 6900억달러 | 1,58,734 |
2 | 트리푸라 | 89조인도 루피 | 800억달러 | 2,14,458 |
3 | 시킴 | 47.331조인도 루피 | 388억달러 | 6,85,957 |
4 | 메갈라야 | 46.6조인도 루피 | 500억달러 | 1,39,104 |
5 | 마니푸르 | 45.145조인도 루피 | 552억달러 | 1,39,768 |
6 | 아룬나찰프라데시 | 37.87조인도 루피 | 460억달러 | 2,07,506 |
7 | 나갈랜드 | 37.3조인도 루피 | 379억달러 | 90,666 |
8 | 미조람 | 35.904조인도 루피 | 430억달러 | 2,89,548 |
이 지역은 험준한 지형과 내부 분쟁으로 산업화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북동부 지역은 국내 주요 도시들과 정기 항공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록프리야 고피나트 보르돌로이 국제공항, 비르 티켄드라짓 국제공항, 마하라자 비르 비크람 공항 등 두 곳의 국제공항을 통해 국제선도 운항하고 있다.
철도는 인도 철도의 동북부 국경 철도 지대가 담당하고 있으며, 일부 주를 제외하고는 철도망이 미개발 상태이다.
21세기 이후, 북동부 지역은 불리한 지리적 위치를 극복하기 위해 인도 다른 지역과의 정치적 통합과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와의 경제 통합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8. 1. 산업
이 지역 경제는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정착 농업에 사용할 수 있는 토지는 부족하며, 일부 원주민들은 여전히 화전 농업을 하고 있다.[104][105][106] 접근이 어려운 지형과 내부 분쟁으로 인해 이 지역의 산업화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동북부 지역 개발부(MDoNER)는 동북부 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위한 인도 정부 산하의 의사결정 기구이다. MDoNER 산하의 동북부 평의회는 동북 인도의 지역 통치 기구 역할을 한다. 동북부 개발 금융 공사 유한회사(NEDFi)는 동북부 지역(NER) 내의 초소형, 중소 및 대기업에 지원을 제공하는 주식회사이다. MDoNER 산하 다른 기관으로는 동북부 지역 농업 마케팅 공사 유한회사(NERAMAC), 시킴 광업 공사 유한회사(SMC), 동북부 직조 및 수공예 개발 공사(NEHHDC)가 있다.
인도 북동부(NE) 지역은 여러 발전 지표에서 나머지 지역에 뒤처져 있다. 수년 동안 인프라가 발전했지만, 국가 수준에 도달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산악 지형과 다양한 고도로 인해 철도 운송은 주로 아삼주에 국한되며, 수운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인도의 도로망은 국가 고속도로 개발 사업(NHDP)의 추진으로 큰 혜택을 보았다. 도로교통·고속도로부(MoRTH)는 북동부 지역의 1만 킬로미터가 넘는 도로 개발/개선을 위해 북동부 특별 가속 도로 개발 프로그램(SARDP-NE)을 수립했다. 도로교통·고속도로부(MoRTH)는 이 지역의 국가 고속도로 개발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총 예산의 10%를 북동부 지역에 배정했다.
8. 2. 동방정책 (Look East Policy)
21세기에 들어 지역 정책 입안자들과 경제학자들은 북동부 지역 경제 개발의 주된 걸림돌이 불리한 지리적 위치라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110] 세계화는 영토의 탈중심화와 국경 없는 세계를 가져오며, 이는 종종 경제 통합과 관련된다고 주장되었다. 중국, 미얀마, 부탄, 방글라데시, 네팔과 98%의 국경을 접하고 있는 인도 북동부는 세계화 시대에 개발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111]그 결과, 지식인과 정치인들 사이에서 새로운 정책이 개발되었는데, 북동부 지역이 새로운 발전 방식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인도 다른 지역과의 정치적 통합과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특히 북아시아,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와의 경제 통합에 있다는 것이다. 인도 다른 지역과의 경제 통합 정책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새로운 정책의 개발과 함께 인도 정부는 동방정책을 북동부 지역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정책은 인도 외무부의 2004년 연말 보고서에 반영되어 있는데,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인도의 동방정책은 이제 UPA 정부에 의해 새로운 차원을 부여받았다. 인도는 이제 BIMSTEC 내뿐만 아니라 인도-아세안 정상회담 대화에서도 아세안 국가들과의 파트너십을 추구하고 있으며, 특히 인도 동부와 북동부 지역의 경제적 및 안보적 이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12]
인도 북동부 지역은 여러 발전 지표에서 나머지 지역에 뒤처져 있다. 수년 동안 인프라가 발전했지만, 국가 수준에 도달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인도의 도로망은 국가 고속도로 개발 사업(NHDP)의 추진으로 큰 혜택을 보았다. 도로교통·고속도로부는 북동부 지역의 1만 킬로미터가 넘는 도로 개발/개선을 위해 북동부 특별 가속 도로 개발 프로그램(SARDP-NE)을 수립했다. 도로교통·고속도로부는 이 지역의 국가 고속도로 개발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총 예산의 10%를 북동부 지역에 배정했다.
북동부 지역의 지상 인프라 프로젝트의 또 다른 주요 제약은 특히 방글라데시와 같은 인접 국가의 병행 개발과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분할 이전의 육상 및 수상 교통로를 방글라데시를 통해 복원하고 확장하는 것은 북동부 지역의 교통 인프라에 매우 중요하다. 아삼주의 레도(Ledo)를 미얀마 북부와 연결하고 중국 남동부의 쿤밍까지 연장되는 레도 도로(스틸웰 도로)의 복원, 칼라단 다목적 수송 프로젝트, 아시아 횡단 철도와 같은 다른 국제 협력은 인도의 육지로 둘러싸인 북동부 지역에 동쪽의 창문을 열어줄 수 있다. 방글라데시-중국-인도-미얀마(BCIM) 및 다부문 기술경제협력을 위한 벵골만 이니셔티브(BIMSTEC),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시장을 연결하는 인도-미얀마-태국 3국 고속도로(IMTTH) 프로젝트와 같은 다양한 지역 이니셔티브는 초기 단계에 있다.[113]
8. 3. 개발 및 연결 프로젝트
21세기에 들어 지역 정책 입안자들과 경제학자들은 북동부 지역 경제 개발의 주된 걸림돌이 불리한 지리적 위치라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110] 세계화는 영토의 탈중심화와 국경 없는 세계를 가져오며, 이는 종종 경제 통합과 관련된다고 주장되었다. 중국, 미얀마, 부탄, 방글라데시, 네팔과 98%의 국경을 접하고 있는 인도 북동부는 세계화 시대에 개발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111]
그 결과, 지식인과 정치인들 사이에서 새로운 정책이 개발되었는데, 북동부 지역이 새로운 발전 방식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인도 다른 지역과의 정치적 통합과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특히 북아시아,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와의 경제 통합에 있다는 것이다. 인도 다른 지역과의 경제 통합 정책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새로운 정책의 개발과 함께 인도 정부는 동방정책을 북동부 지역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정책은 인도 외무부의 2004년 연말 보고서에 반영되어 있는데,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인도의 동방정책은 이제 UPA 정부에 의해 새로운 차원을 부여받았다. 인도는 이제 BIMSTEC 내뿐만 아니라 인도-아세안 정상회담 대화에서도 아세안 국가들과의 파트너십을 추구하고 있으며, 특히 인도 동부와 북동부 지역의 경제적 및 안보적 이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12]
인도 북동부(NE) 지역은 여러 발전 지표에서 나머지 지역에 뒤처져 있다. 수년 동안 인프라가 발전했지만, 국가 수준에 도달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북동부 지역의 총 도로망은 약 37만 킬로미터로, 전국 도로 총량의 약 9.94%를 차지한다. 1,000제곱킬로미터당 도로 길이로 나타내는 도로 밀도는 아룬차르프라데시주, 미조람주, 메갈라야주, 시킴주와 같은 산악 주에서는 매우 낮지만, 트리푸라주와 아삼주에서는 상당히 높다. 북동부 지역의 100제곱킬로미터당 도로 길이는 아룬차르프라데시주에서는 10킬로미터 미만에서 트리푸라주에서는 200킬로미터가 넘는 등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철도, 항공, 수운과 같은 다른 교통 수단은 북동부 지역(아삼주 제외)에서는 미미하며, 일부 도시에서만 지역 내 직항 항공편을 이용할 수 있다. 북동부 지역의 총 철도망은 (2011년 기준) 2,602킬로미터로, 전국 철도망의 약 4%에 불과하다. 도로 건설은 개발의 청사진을 구축하며, 도로는 인도 북동부 전체의 유일한 대중 교통 수단이다. 산악 지형과 다양한 고도로 인해 철도 운송은 주로 아삼주에 국한되며, 수운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인도의 도로망은 국가 고속도로 개발 사업(NHDP)의 추진으로 큰 혜택을 보았다. 도로교통·고속도로부는 북동부 지역의 1만 킬로미터가 넘는 도로 개발/개선을 위해 북동부 특별 가속 도로 개발 프로그램(SARDP-NE)을 수립했다. 도로교통·고속도로부는 이 지역의 국가 고속도로 개발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총 예산의 10%를 북동부 지역에 배정했다.
북동부 지역의 지상 인프라 프로젝트의 또 다른 주요 제약은 특히 방글라데시와 같은 인접 국가의 병행 개발과 연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분할 이전의 육상 및 수상 교통로를 방글라데시를 통해 복원하고 확장하는 것은 북동부 지역의 교통 인프라에 매우 중요하다. 아삼주의 레도(Ledo)를 미얀마 북부와 연결하고 중국 남동부의 쿤밍(Kunming)까지 연장되는 레도 도로(스틸웰 도로)의 복원, 칼라단 다목적 수송 프로젝트, 아시아 횡단 철도와 같은 다른 국제 협력은 인도의 육지로 둘러싸인 북동부 지역에 동쪽의 창문을 열어줄 수 있다. 방글라데시-중국-인도-미얀마(BCIM) 및 다부문 기술경제협력을 위한 벵골만 이니셔티브(BIMSTEC),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시장을 연결하는 인도-미얀마-태국 삼각 고속도로(IMTTH) 프로젝트와 같은 다양한 지역 이니셔티브는 초기 단계에 있다.[113]
9. 교통
북동인도 지역의 교통은 크게 항공과 철도로 나뉜다.
항공 교통의 경우, 이 지역에는 여러 공항이 있으며, 주요 도시들과 정기 항공편으로 연결되어 있다. 록프리야 고피나트 보르돌로이 국제공항, 비르 티켄드라짓 국제공항, 마하라자 비르 비크람 공항 등 국제공항도 운영 중이다.
철도의 경우, 인도 철도의 동북부 국경 철도 지대가 이 지역의 철도를 담당하고 있다. 다만, 철도망은 아직 미개발 상태이며, 일부 주는 철도 연결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9. 1. 항공
북동부 지역의 주들은 국내 주요 도시들과 정기 항공편으로 잘 연결되어 있다. 이들 주는 군사 및 민간 목적으로 여러 소규모 활주로를 소유하고 있으며, 파완 한스 헬리콥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이 지역에는 록프리야 고피나트 보르돌로이 국제공항, 비르 티켄드라짓 국제공항, 마하라자 비르 비크람 공항 등 두 곳의 국제공항이 있으며, 태국, 미얀마, 네팔, 부탄으로 가는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 시킴주의 공항은 건설 중이며, 바그도그라 공항은 해당 주에 가장 가까운 국내 공항이다.

주 | 공항 | 도시 | IATA 코드 |
---|---|---|---|
아루나찰프라데시주 | 이타나가르 공항 | 이타나가르 | HGI |
아삼주 | 디브루가르 공항 | 디브루가르 | DIB |
조르하트 공항 | 조르하트 | JRH | |
록프리야 고피나트 보르돌로이 국제공항 | 구와하티 | GAU | |
릴라바리 공항 | 락힘푸르 | IXI | |
룹시 공항 | 두브리 | RUP | |
실차르 공항 | 실차르 | IXS | |
테즈푸르 공항 | 테즈푸르 | TEZ | |
마니푸르주 | 비르 티켄드라짓 국제공항 | 임팔 | IMF |
메갈라야주 | 발젝 공항 | 투라 | VETU (ICAO) |
실롱 공항 | 실롱 | SHL | |
미조람주 | 렝푸이 공항 | 아이자월 | AJL |
나갈랜드주 | 디마푸르 공항 | 디마푸르 | DMU |
시킴주 | 파키용 공항 | 강톡 | PYG |
트리푸라주 | 마하라자 비르 비크람 공항 | 아가르탈라 | IXA |
9. 2. 철도
인도 철도의 동북부 국경 철도 지대는 동북 인도의 철도를 담당한다. 이 지역의 철도망은 미개발 상태이다. 마니푸르주, 메갈라야주, 미조람주, 시킴주는 철도 연결이 거의 단절된 상태이며, 건설 중인 철도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2023년 3월까지 마니푸르주, 미조람주, 나갈랜드주의 주도가 철도와 연결될 것으로 예상된다.[109]
참조
[1]
웹사이트
Indian cities by population
http://censusindia.g[...]
2018-05-30
[2]
웹사이트
Languages Included in the Eighth Schedule of the Indian Constitution
https://rajbhasha.go[...]
2022-07-31
[3]
웹사이트
Manipuri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4-02-25
[4]
웹사이트
Report of the Commissioner for linguistic minorities: 47th report (July 2008 to June 2010)
https://web.archive.[...]
Commissioner for Linguistic Minorities, Ministry of Minority Affairs, Government of India
2012-02-16
[5]
서적
The Muslim Question in Assam and Northeast In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1-03-29
[6]
서적
The Eastern Gate: War and Peace in Nagaland, Manipur and India's Far East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22-01-06
[7]
서적
Problems of Ethnicity in the North-East India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07
[8]
서적
South Asia in the World: An Introduction: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2-18
[9]
서적
Northeast India: A Reader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8-05-11
[10]
서적
Ethnic Issues, Secularism, and Conflict Resolution in North East Asia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06
[11]
서적
Student Britannica India 7 Vols
https://books.google[...]
Popular Prakashan
[12]
서적
Language Diversity Endangered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5-07-31
[13]
서적
General Knowledge 2020
https://books.google[...]
Arihant Publications India limited
2019-06-04
[14]
뉴스
Assam recognises Manipuri as associate official language in four districts
https://www.hindusta[...]
2024-02-26
[15]
뉴스
Assam Cabinet gives nod to recognise Manipuri as associate official language in four districts
https://www.thehindu[...]
2024-02-26
[16]
웹사이트
Legislative assembly
https://sikkim.gov.i[...]
2024-07-31
[17]
웹사이트
State/UT wise Aadhaar Saturation
https://uidai.gov.in[...]
2024-07-31
[18]
웹사이트
Home ,Ministry of Development of North Eastern Region, North East India
https://mdoner.gov.i[...]
2023-09-10
[19]
웹사이트
Problems of border areas in Northeast India
http://fincomindia.n[...]
2018-04-30
[20]
웹사이트
North Eastern Council
https://web.archive.[...]
2012-03-25
[21]
웹사이트
Evaluation of NEC funded projects in Sikkim
https://web.archive.[...]
NEC
2017-06-04
[22]
서적
Geography of Assam
https://www.worldcat[...]
Rajesh Publications
2020-12-22
[23]
논문
Neolithic Culture of Northeast India: A Recent Perspective on the Origins of Pottery and Agriculture
2006
[24]
문서
Chang K'ien had clearly realized the existence of a trade route between Sichuan and India via Yunnan and Burma or Assam
[25]
문서
Besatae in the Schoff translation and also sometimes used by Ptolemy, they are a people similar to Kirradai and they lived in the region between "Assam and Sichuan"
[26]
문서
[27]
문서
The Periplus of the Erythraen Sea (last quarter of the first century A.D) and Ptolemy's Geography (middle of the second century A.D) appear to call the land including Assam Kirrhadia after its Kirata population.
[28]
문서
[29]
간행물
Between South and Southeast Asia Northeast India and Look East Policy
Guwahati
2004
[30]
서적
Welsh Missionaries and British Imperialism: The Empire of Clouds in North-east India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5
[31]
문서
[32]
웹사이트
Formation of Assam during British rule in India
http://indiaheritage[...]
2012-03-25
[33]
웹사이트
Formation of North Eastern states from Assam
http://www.north-eas[...]
2012-03-25
[34]
뉴스
Integration of Sikkim in North Eastern Council
https://timesofindia[...]
2012-03-25
[35]
웹사이트
Shillong becomes the capital of Meghalaya
http://cexstshillong[...]
2012-03-25
[36]
웹사이트
Ancient name of Manipur
http://kanglaonline.[...]
2012-04-09
[37]
웹사이트
The North Eastern Areas (Re-organisation Act) 1971
http://meglaw.gov.in[...]
[38]
웹사이트
Historical evolution of Mizoram
https://landrevenue.[...]
[39]
웹사이트
History of Mizoram
https://rajbhavan.mi[...]
[40]
웹사이트
Revisiting India's forgotten battle of WWII: Kohima–Imphal, the Stalingrad of the East
https://www.cnn.com/[...]
2020-10-04
[41]
웹사이트
Battles of Imphal and Kohima
https://www.nam.ac.u[...]
[42]
뉴스
Kohima: Britain's 'forgotten' battle that changed the course of WWII
https://www.bbc.com/[...]
2021-02-14
[43]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Second World War in North East India
https://www.theindia[...]
2020-11-12
[44]
논문
When Legions Thunder Past: The Second World War and India's Northeastern Frontier
https://www.jstor.or[...]
2018
[45]
뉴스
China says Arunachal Pradesh part of it "since ancient times"
https://economictime[...]
2021-12-31
[46]
서적
Dictionary of Contemporary Chinese Military History
[47]
서적
The Land of seven sisters
Directorate of Information and Public Relations, Assam
[48]
웹사이트
Who are the Seven Sisters of India?
https://htschool.hin[...]
[49]
논문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www.hydrol-ea[...]
[50]
웹사이트
JetStream Max: Addition Köppen-Geiger Climate Subdivisions
https://www.weather.[...]
National Weather Service
[51]
뉴스
At least eight dead as north-east India hit by 6.7 magnitude earthquake
https://www.theguard[...]
2016-01-04
[52]
웹사이트
Shillong Plateau Earthquakes
https://www.research[...]
2006-07
[53]
문서
Hedge 2000, FSI 2003.
[54]
웹사이트
Biodiversity of Northeast India
https://northeastind[...]
2020-05-15
[55]
웹사이트
Kaziranga National Park – a world heritage site, Govt. of Assam
http://www.assamfore[...]
[56]
웹사이트
Khangchendzonga National Park
https://whc.unesco.o[...]
[57]
논문
A note on non-human primates of Murlen National Park, Mizoram, India
http://faunaofindia.[...]
[58]
웹사이트
Orang Tiger Reserve
http://orangtigerres[...]
[59]
웹사이트
Forest types of Mizoram
https://forest.mizor[...]
[60]
뉴스
Nagaland records negative decadal growth
http://www.thehindu.[...]
2011-04
[6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censusind[...]
[62]
문서
Moral 1997, p. 42
[63]
웹사이트
IITG – Hierarchy of North Eastern Languages
http://www.iitg.erne[...]
[64]
문서
Moral 1997, pp. 43–44
[65]
웹사이트
Rethinking Sino-Tibetan phylogeny from the perspective of Northeast Indian languages
https://www.academia[...]
[66]
웹사이트
The Tibeto-Burman languages of Northeast India
https://www.academia[...]
[67]
웹사이트
Language – India, States and Union Territories
http://censusindia.g[...]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68]
웹사이트
C-16 Population By Mother Tongue
http://censusindia.g[...]
[69]
서적
Women in Peace Politics
Sage
[70]
웹사이트
Report on North East India
http://www.mcrg.ac.i[...]
[71]
뉴스
Govt withdraws Assamese as official language from Barak valley
http://www.business-[...]
2014-09-09
[72]
웹사이트
Nagaland State Profile
http://www.nagaland.[...]
[73]
웹사이트
Know Tripura Tripura State Portal
https://tripura.gov.[...]
[74]
서적
Ahoms also gave Assam and its language their name (''Ahom'' and the modern ''ɒχɒm''. 'Assam' comes from an attested earlier form ''asam'', ''acam'', probably from a Burmese corruption of the word ''Shan/Shyam'', cf. ''Siam'': Kakati 1962; 1–4).
1993
[75]
웹사이트
India - C-01: Population by religious community, India - 2011
https://censusindia.[...]
[76]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us Community
http://www.censusind[...]
[77]
웹사이트
Tribal groups in Assam and Northeast India
http://factsanddetai[...]
[78]
서적
van Driem, G. (2012)
2012
[79]
웹사이트
Arunachal Pradesh
http://www.webindia1[...]
[80]
웹사이트
Arts and crafts of North-east India
http://www.ignca.nic[...]
[81]
웹사이트
Northeast India craft forms – biharghata.in
https://www.bihargat[...]
2023-05-30
[82]
웹사이트
Popular dances of Meghalaya
http://www.north-eas[...]
[83]
웹사이트
Meghalaya handicrafts
http://camelcraft.co[...]
[84]
웹사이트
Dances in Mizoram
http://www.ignca.nic[...]
[85]
웹사이트
Mizoram handicrafts
http://www.camelcraf[...]
[86]
웹사이트
Sikkim dances
http://www.bharatonl[...]
[87]
웹사이트
Culture of Sikkim – sikkimonline.in
http://www.sikkimonl[...]
[88]
웹사이트
Folk dances of Sikkim
https://www.bihargat[...]
[89]
잡지
Music a language in itself in north-east India
https://frontline.th[...]
2022-10-20
[90]
웹사이트
Jnanpith Laureates
http://jnanpith.net/[...]
[91]
웹사이트
Assamese, Manipuri, Naga authors have kept alive World War II fought 70 years ago
https://indianexpres[...]
2015-05-08
[92]
웹사이트
..:: SAHITYA : Fellows and Honorary Fellows ::..
http://sahitya-akade[...]
[93]
웹사이트
Press release, election of fellows of Sahitya Akademy.
http://sahitya-akade[...]
2019-01-29
[94]
웹사이트
..:: SAHITYA : Akademi Awards ::..
http://sahitya-akade[...]
[95]
잡지
A Culture Of Sports Brings Northeast Closer To India
https://www.outlooki[...]
2022-08-09
[96]
잡지
'The Only Real Game' Explores Baseball's Long History in India's Manipur
https://www.newsweek[...]
2014-06-12
[97]
웹사이트
Autonomous District Councils of Manipur
http://manipur.gov.i[...]
[98]
웹사이트
Manipur District Council Act 1971
https://lawyerslaw.o[...]
2015-02-22
[99]
웹사이트
http://india.gov.in/[...]
2022-03
[100]
웹사이트
Governors | National Portal of India
http://india.gov.in/[...]
[101]
웹사이트
Seventh Kamal Kumari Memorial Lecture.
http://www.freeindia[...]
[102]
뉴스
11 rebel groups call for Republic Day boycott
http://timesofindia.[...]
2014-01-22
[103]
웹사이트
NE rebels call general strike on I-Day
http://www.thesangai[...]
The Sangai Express
[104]
웹사이트
Living Root Bridges
http://www.cherrapun[...]
[105]
웹사이트
The Living Root Bridge Project
https://livingrootbr[...]
[106]
뉴스
The Living-Root Bridge: The Symbol of Benevolence
https://www.riluk.co[...]
2016-10-10
[107]
뉴스
Why is Meghalaya's Botanical Architecture Disappearing?
https://livingrootbr[...]
2017-04-06
[108]
웹사이트
Living Root Bridges of Nagaland India – Nyahnyu Village Mon District
http://guyshachar.co[...]
[109]
뉴스
By March 2023, Manipur, Mizoram and Nagaland to have rail connectivity
https://www.business[...]
Business Standard
2020-08-29
[110]
서적
Economy of the North-East: Policy, Present Conditions and Future Possibilities
Konark Publishers
2000
[111]
간행물
India’s Northeast Policy: Continuity and Change
http://www.freewebs.[...]
2010
[112]
간행물
Year End Review 2004
Ministry of External Affairs, Government of India
2004
[113]
논문
Road Infrastructure in Economically Underdeveloped North-east India
[114]
웹사이트
紛争、インド、開発への複雑な思い、2人の専門家がインド北東部を語る(笹川平和財団)
https://www.spf.org/[...]
[115]
서적
インド北東部を知るための45章
https://www.akashi.c[...]
明石書店
2024
[116]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us Community
http://www.censusi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