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3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3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는 페루 리마에서 개최되었으며, 파라과이가 브라질과의 결승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파라과이와 브라질은 승점이 동률을 이루어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대회 기간 동안 파라과이와 볼리비아의 몰수패 처리, 선수 퇴장 징계 등의 사건이 있었다. 칠레의 프란시스코 몰리나가 7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3월 - 제25회 아카데미상
1953년 2월 9일에 열린 제25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은 로널드 레이건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텔레비전으로 처음 방송되어 약 4천만 명이 시청했고, 《지상 최대의 쇼》가 작품상을, 존 포드가 《콰이어트 맨》으로 감독상을, 가리 쿠퍼와 셜리 부스가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1953년 3월 - 잣골 전투
잣골 전투는 한국 전쟁 중 철의 삼각지대 중심부인 잣골에서 벌어진 전투로, 철도와 가까워 통신 거점으로 중요했던 잣골을 방어하기 위해 벨기에군이 주둔하며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다. - 1953년 4월 - 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1953년 4월 24일 치러졌으며, 자유당이 46석을 얻어 제1당을 유지했으나 과반수에는 미치지 못했고, 투표율은 63.18%를 기록했다. - 1953년 4월 -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요시다 시게루 총리의 "바카야로 해산"으로 치러진 제2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자유당이 제1당이 되었으나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고 야당이 약진하면서 요시다 내각의 불안정과 하토야마 이치로의 집권으로 이어지는 전환점이 되었다.
1953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요약 | |
연도 | 1953년 |
국가 | 페루 |
날짜 | 2월 22일 – 4월 1일 |
참가 팀 수 | 7 |
대륙 연맹 | 1 |
경기장 수 | 1 |
도시 수 | 1 |
결과 | |
우승 | 파라과이 |
준우승 | 브라질 |
3위 | 우루과이 |
4위 | 칠레 |
통계 | |
경기 수 | 22 |
총 득점 | 67 |
최고 득점자 | 프란시스코 몰리나(칠레) (7골) |
대회 기록 | |
이전 시즌 | 1949년 |
다음 시즌 | 1955년 |
2. 대회 진행 방식
2. 1. 참가국 및 조 편성
2. 2. 경기 규칙 및 특이사항
3. 경기 결과
wikitext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파라과이 | 6 | 3 | 2 | 1 | 11 | 6 | +5 | 8 |
브라질 | 6 | 4 | 0 | 2 | 15 | 6 | +9 | 8 |
우루과이 | 6 | 3 | 1 | 2 | 15 | 6 | +9 | 7 |
칠레 | 6 | 3 | 1 | 2 | 10 | 10 | 0 | 7 |
페루 | 6 | 3 | 1 | 2 | 4 | 6 | -2 | 7 |
볼리비아 | 6 | 1 | 1 | 4 | 6 | 15 | -9 | 3 |
에콰도르 | 6 | 0 | 2 | 4 | 1 | 13 | -12 | 2 |
- 1953년 2월 22일: 볼리비아 1 – 0 페루
- 1953년 2월 25일: 파라과이 3 – 0 칠레
- 1953년 2월 25일: 우루과이 2 – 0 볼리비아
- 1953년 2월 28일: 페루 1 – 0 에콰도르
- 1953년 3월 1일: 브라질 8 – 1 볼리비아
- 1953년 3월 1일: 칠레 3 – 2 우루과이
- 1953년 3월 4일: 파라과이 0 – 0 에콰도르
- 1953년 3월 4일: 칠레 0 – 0 페루
- 1953년 3월 8일: 볼리비아 1 – 1 에콰도르
- 1953년 3월 8일: 페루 2 – 2 파라과이
- 1953년 3월 12일: 파라과이 2 – 2 우루과이
- 1953년 3월 12일: 브라질 2 – 0 에콰도르
- 1953년 3월 15일: 브라질 1 – 0 우루과이
- 1953년 3월 16일: 파라과이 2 – 1 볼리비아
- 1953년 3월 19일: 칠레 3 – 0 에콰도르
- 1953년 3월 19일: 페루 1 – 0 브라질
- 1953년 3월 23일: 브라질 3 – 2 칠레
- 1953년 3월 23일: 우루과이 6 – 0 에콰도르
- 1953년 3월 27일: 파라과이 2 – 1 브라질
- 1953년 3월 28일: 칠레 2 – 2 볼리비아
- 1953년 3월 28일: 우루과이 3 – 0 페루
페루와 파라과이의 경기는 파라과이의 부적절한 행동으로 인해 파라과이의 몰수패로 처리되었다. 칠레와 볼리비아의 경기는 볼리비아의 부적절한 행동으로 인해 66분경 중단되었으며, 이후 볼리비아의 몰수패로 처리되었다.
3. 1. 최종 순위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파라과이 | 6 | 3 | 2 | 1 | 11 | 6 | +5 | 8 |
브라질 | 6 | 4 | 0 | 2 | 15 | 6 | +9 | 8 |
우루과이 | 6 | 3 | 1 | 2 | 15 | 6 | +9 | 7 |
칠레 | 6 | 3 | 1 | 2 | 10 | 10 | 0 | 7 |
페루 | 6 | 3 | 1 | 2 | 4 | 6 | -2 | 7 |
볼리비아 | 6 | 1 | 1 | 4 | 6 | 15 | -9 | 3 |
에콰도르 | 6 | 0 | 2 | 4 | 1 | 13 | -12 | 2 |
1953년 3월 8일 페루와 파라과이의 경기에서 파라과이는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여 페루의 승리로 처리되었다.[1] 또한, 파라과이 선수 "밀너 아얄라"는 심판을 발로 찬 행위로 3년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다. 3월 28일 칠레와 볼리비아의 경기는 66분에 중단되었고, 볼리비아의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동으로 인해 칠레의 승리로 처리되었다.
3. 2. 경기 상세 결과
1953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는 모든 경기가 페루 리마의 국립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1953년 2월 22일: 볼리비아 1 – 0 페루 (득점: 우가르테 53'). 관중 50,000명, 심판은 George Rhoden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2월 25일: 파라과이 3 – 0 칠레 (득점: 페르난데스 54', 75', 베르니 78'). 관중 45,000명, 심판은 Richard Maddison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2월 25일: 우루과이 2 – 0 볼리비아 (득점: 푸엔테 11', 카를로스 로메로 88'). 관중 45,000명, 심판은 Charles Dean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2월 28일: 페루 1 – 0 에콰도르 (득점: 고메스 산체스 78'). 관중 50,000명, 심판은 George Rhoden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1일: 브라질 8 – 1 볼리비아 (득점: 줄리뇨 18', 20', 42', 52', 프란시스쿠 호드리게스 25', 44', 핑가 39', 60'; 우가르테 73' (페널티킥)). 관중 45,000명, 심판은 Richard Maddison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1일: 칠레 3 – 2 우루과이 (득점: 몰리나 5', 55', 67'; 모렐 70', 발세이로 81'). 관중 45,000명, 심판은 Charles Dean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4일: 파라과이 0 – 0 에콰도르. 관중 45,000명, 심판은 Mário Vianna (브라질)이였다.
- 1953년 3월 4일: 칠레 0 – 0 페루. 관중 45,000명, 심판은 Richard Maddison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8일: 볼리비아 1 – 1 에콰도르 (득점: 알콘 25'; 구스만 6'). 관중 45,000명, 심판은 Charles McKenna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8일: 페루 2 – 2 파라과이 (득점: 고메스 산체스 47', 테리 53'; 페르난데스 36', 베르니 77'). 관중 45,000명, 심판은 Richard Maddison (잉글랜드)이였다. 이 경기에서 파라과이는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동(추가 교체 1회)을 하여 페루의 승리로 처리되었다.[1] "밀너 아얄라"는 심판을 발로 찬 행위로 3년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다.[1]
- 1953년 3월 12일: 파라과이 2 – 2 우루과이 (득점: Atilio López 5', 베르니 52'; 발세이로 36', 55'). 관중 35,000명, 심판은 David Gregory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12일: 브라질 2 – 0 에콰도르 (득점: 아데미르 18', 클라우디오 55'). 관중 35,000명, 심판은 Richard Maddison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15일: 브라질 1 – 0 우루과이 (득점: 이포주칸 87'). 관중 45,000명, 심판은 Charles McKenna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16일: 파라과이 2 – 1 볼리비아 (득점: 로메로 17', 베르니 22'; Ramon Santos 76'). 관중 15,000명, 심판은 David Gregory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19일: 칠레 3 – 0 에콰도르 (득점: 몰리나 33', 47', 크레마스키 70'). 관중 55,000명, 심판은 Richard Maddison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19일: 페루 1 – 0 브라질 (득점: 나바레테 51'). 관중 55,000명, 심판은 Charles McKenna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23일: 브라질 3 – 2 칠레 (득점: 줄리뇨 1', Zizinho 53', 발타자르 70'; 몰리나 62', 76'). 관중 35,000명, 심판은 Richard Maddison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23일: 우루과이 6 – 0 에콰도르 (득점: 멘데스 12', 푸엔테 51', 펠라에스 58', 모렐 60', 카를로스 로메로 86', 발세이로 88'). 관중 35,000명, 심판은 David Gregory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27일: 파라과이 2 – 1 브라질 (득점: Atilio López 49', 레온 89'; Nílton Santos 12'). 관중 35,000명, 심판은 Charles Dean (잉글랜드)이였다.
- 1953년 3월 28일: 칠레 2 – 2 볼리비아 (득점: 멜렌데스 28', 디아스 카르모나 52'; Ramón Santos 15', 알콘 49'). 관중 45,000명, 심판은 Richard Maddison (잉글랜드)이였다. 이 경기는 66분에 중단되었고, 볼리비아의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동으로 인해 칠레의 승리로 처리되었다.
- 1953년 3월 28일: 우루과이 3 – 0 페루 (득점: 펠라에스 23', 67', 카를로스 로메로 71'). 관중 45,000명, 심판은 Mário Vianna (브라질)이였다.
3. 3. 결승 플레이오프
1953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파라과이와 브라질이 승점 동률을 이루어 우승팀을 결정하기 위한 플레이오프 경기가 열렸다. 1953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1953년 4월 1일 리마의 에스타디오 나시오날에서 열린 경기에서 파라과이가 브라질을 3-2로 이겼다.[2] 파라과이의 아틸리오 로페스, 가빌란, 페르난데스가 득점하였고,[2] 브라질의 발타자르는 두 골을 기록하였다.[2] 이날 경기에는 35,000명의 관중이 입장하였으며, 심판은 잉글랜드의 찰스 딘이 맡았다.[2]
4. 우승
'''파라과이'''
'''첫 번째 우승'''
파라과이가 결승 플레이오프에서 브라질을 3-2로 꺾고 첫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5. 득점 선수
7골을 기록한 몰리나(칠레)를 필두로, 5골을 기록한 줄리뉴(브라질)가 그 뒤를 이었다. 베르니, 페르난데스(파라과이), 발세이로(우루과이)는 각각 4골을 기록했다.
3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발타자르(브라질), 아틸리오 로페스(파라과이), 카를로스 로메로, 펠라에스(우루과이)가 있다.
알콘, 라몬 산토스, 우가르테(볼리비아), 핑가, 프란시스코 호드리게스(브라질), 고메스 산체스(페루), 모렐, 푸엔테(우루과이)는 각각 2골을 기록했다.
1골을 기록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아데미르, 클라우디오, 이포주칸, 닐톤 산토스, 지지뉴(브라질), 크레마스키, 디아스 카르모나, 멜렌데스(칠레), 구스만(에콰도르), 후안 앙헬 로메로, 레온, 가빌란(파라과이), 나바레테, 테리(페루), 멘데스(우루과이).
6. 경기장
리마에 위치한 에스타디오 나시오날의 수용 인원은 50,000명이다.
6. 1. 에스타디오 나시오날 데 리마
리마에 위치한 에스타디오 나시오날의 수용 인원은 50,000명이다.
7. 비판 및 논란
7. 1. 파라과이와 페루 경기 몰수패 논란
7. 2. 칠레와 볼리비아 경기 몰수패 논란
8. 기타
8. 1. 선수 명단
9. 같이 보기
10.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Aquella protesta del 53
https://www.hoy.com.[...]
Diario Hoy
2021-07-02
[2]
서적
The Guinness Record of World Soccer
Guinness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