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7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7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전년도 일본 시리즈 우승팀인 니시테쓰 라이온스의 미하라 오사무 감독이 이끄는 퍼시픽 리그와 센트럴 리그를 제패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이 이끄는 센트럴 리그 간의 경기로 진행되었다. 1차전은 퍼시픽 리그가 승리하고, 2차전은 센트럴 리그가 승리하여 두 리그가 1승 1패를 기록했다. 1차전 MVP는 오시타 히로시, 2차전 MVP는 미야모토 도시오가 각각 수상했다. 장마로 인해 올스타전 운영에 지장이 생겨, 이듬해부터는 장마가 끝난 뒤에 올스타전을 개최하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7년 7월 - 제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1957년 개최된 제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제이 카모디가 주요 경쟁 부문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시드니 루멧 감독의 《12인의 성난 사람들》이 황금곰상을 수상했으며, 다큐멘터리 및 단편 영화 경쟁 부문도 진행되었다. - 1957년 야구 - 레드 쇼인딘스트
레드 쇼인딘스트는 "레드"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 코치로, 뛰어난 수비력과 양손 타격 능력으로 10번의 올스타에 선정되었으며, 선수와 감독으로서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하고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인물이다. - 1957년 야구 - 1957년 월드 시리즈
1957년 월드 시리즈는 밀워키 브레이브스가 뉴욕 양키스를 4승 3패로 꺾고 1914년 이후 첫 챔피언십을 달성했으며 루 버데트가 MVP를 수상했고, 양키스가 홈에서 7차전을 치른 마지막 월드 시리즈로 남았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텔레비전 중계가 처음 시작된 해에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이 맞붙어 1, 2차전 모두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으며, 나카니시 후토시와 야마우치 가즈히로가 MVP를 수상했고, 찰리 루이스는 외국인 선수 최초로 포수로 선발 출전했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참가한 2경기 시리즈로, 각 리그가 1승씩을 거두었으며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들과 보충 선수들이 참가했고 TV와 라디오로 중계되었다.
1957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
---|---|
대회 개요 | |
개최 연도 | 1957년 |
감독 (센트럴 리그) | 미즈하라 노부시게 |
감독 (퍼시픽 리그) | 미하라 오사무 |
팬 투표 최다 득표 선수 (센트럴 리그) | 요시다 요시오 |
팬 투표 최다 득표 선수 (퍼시픽 리그) | 야마우치 가즈히로 |
1차전 | |
날짜 | 7월 11일 |
개최지 | 주니치 스타디움 |
원정팀 | 퍼시픽 리그 |
점수 | 5 - 2 |
홈팀 | 센트럴 리그 |
MVP | 오시타 히로시 |
2차전 | |
날짜 | 7월 13일 |
개최지 | 주니치 스타디움 |
원정팀 | 퍼시픽 리그 |
점수 | 4 - 5 |
홈팀 | 센트럴 리그 |
MVP | 미야모토 도시오 |
2. 경기 개요
전년도 일본 시리즈 우승팀인 니시테쓰 라이온스의 미하라 오사무 감독이 퍼시픽 리그 올스타(전파)를 이끌었고, 센트럴 리그 우승팀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미즈하라 엔유 감독이 센트럴 리그 올스타(전세)의 지휘를 맡았다.
이 해 올스타전에는 난카이 호크스의 포수 노무라 가쓰야와 니시테쓰 라이온스의 투수 이나오 가즈히사가 처음으로 출전했다. 노무라 가쓰야는 이후 1980년까지 총 22회 올스타전에 출전하며 역대 최다 출장 기록을 세우게 된다. 이번 대회에서 노무라는 1, 2차전 모두 퍼시픽 리그 5번 타자로 나서 1안타를 기록했다. 이나오 가즈히사는 1차전에서 퍼시픽 리그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해 3이닝 동안 삼진 4개를 잡아내며 무실점으로 호투했으나, 2차전에서는 6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패전 투수가 되었다.
당시 장마 기간과 겹쳐 경기가 계속 비로 연기되는 등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아사히 신문 등 언론에서는 "장마를 피해 올스타전을 개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이러한 지적을 받아들여 다음 해부터는 장마가 끝난 시기에 올스타전을 개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3. 출장 선수
퍼시픽 리그[3] 감독 미하라 오사무 니시테쓰 코치 야마모토 가즈토 난카이 벳토 가오루 마이니치 투수 아라마키 아쓰시 마이니치 6회 미나가와 무쓰오 난카이 첫 출장 기무라 다모쓰 난카이 첫 출장 오노 쇼이치마이니치첫 출장가와무라 히사후미 니시테쓰 4회 이나오 가즈히사 니시테쓰 첫 출장 가지모토 다카오 한큐 3회 마키노 노부루▲ 도에이 첫 출장 포수 노무라 가쓰야 난카이 첫 출장 와다 히로미 니시테쓰 첫 출장 야마모토 하치로 도에이 첫 출장 1루수 에노모토 기하치 마이니치 3회 2루수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4회 3루수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쓰 5회 유격수 도요다 야스미쓰 니시테쓰 3회 내야수 모리시타 마사오 난카이 3회 가쓰라기 다카오 마이니치 첫 출장 고노 아키노부 니시테쓰 첫 출장 고다마 아키토시 긴테쓰 첫 출장 외야수 야마우치 가즈히로 마이니치 4회 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쓰 6회 세키구치 세이지 니시테쓰 3회 다카쿠라 데루유키 니시테쓰 2회 도쿠라 가쓰키 한큐 5회 부스지마 쇼이치 도에이 2회 에다무라 쓰토무 다이에이 첫 출장 3. 1. 센트럴 리그
wikitext
센트럴 리그[3] | |||
---|---|---|---|
감독 | 미즈하라 노부시게 | 요미우리 | |
코치 | 아마치 슌이치 | 주니치 | |
후지무라 후미오 | 오사카 | ||
투수 | 가네다 마사이치 | 고쿠테쓰 | 7회 |
나카야마 도시타케 | 주니치 | 2회 | |
이나 쓰토무 | 주니치 | 첫 출장 | |
벳쇼 다케히코 | 요미우리 | 7회 | |
후지타 모토시 | 요미우리 | 첫 출장 | |
고야마 마사아키 | 오사카 | 2회 | |
하세가와 료헤이 | 히로시마 | 6회 | |
아키야마 노보루 | 다이요 | 2회 | |
포수 | 후지오 시게루 | 요미우리 | 2회 |
도이 기요시 | 다이요 | 2회 | |
요시자와 다케오 | 주니치 | 첫 출장 | |
1루수 | 가와카미 데쓰하루 | 요미우리 | 7회 |
2루수 | 이노우에 노보루 | 주니치 | 2회 |
3루수 | 미야케 히데시 | 오사카 | 첫 출장 |
유격수 | 요시다 요시오 | 오사카 | 4회 |
내야수 | |||
히로오카 다쓰로 | 요미우리 | 4회 | |
후지이 히로무 | 히로시마 | 첫 출장 | |
하코다 준 | 고쿠테쓰 | 2회 | |
오카지마 히로지▲ | 주니치 | 첫 출장 | |
외야수 | 미야모토 도시오 | 요미우리 | 2회 |
다미야 겐지로 | 오사카 | 3회 | |
요나미네 가나메 | 요미우리 | 6회 | |
이이다 도쿠지 | 고쿠테쓰 | 7회 | |
마치다 유키히코 | 고쿠테쓰 | 2회 | |
아오타 노보루 | 다이요 | 6회 |
4. 경기 결과
1957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총 2경기가 열렸다.
- 1차전: 7월 11일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렸으며,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를 5-2로 이겼다. MVP는 니시테쓰 라이온스의 오시타 히로시가 선정되었다.
- 2차전: 7월 13일 주니치 스타디움에서 열렸으며, 센트럴 리그가 퍼시픽 리그를 5-4로 이겼다. MVP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미야모토 도시오가 선정되었다.
4. 1. 1차전
- 일시: 1957년 7월 11일
- 개최 구장: 고라쿠엔 구장
- 경기 시간: 2시간 13분
- 관중: 26,554명
전년도 일본 시리즈 우승팀 니시테쓰 라이온스의 미하라 오사무 감독이 퍼시픽 리그 올스타(전파)를, 센트럴 리그 우승팀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이 센트럴 리그 올스타(전세)의 지휘를 맡았다.
난카이 호크스의 노무라 가쓰야와 니시테쓰의 이나오 가즈히사가 처음으로 올스타전에 출전했다. 노무라는 이후 1980년까지 총 22회 출전하며 역대 최다 출장 기록을 세웠다. 1차전에서 노무라는 5번 타자로 출전하여 1안타를 기록했다. 이나오는 퍼시픽 리그의 두 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3이닝 동안 무실점 4탈삼진의 호투를 펼쳤다.
장마로 인해 경기가 계속 연기되면서 운영에 차질이 생기자, 아사히 신문 등에서는 장마철을 피해 올스타전을 개최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 영향으로 다음 해부터는 장마가 끝난 후에 올스타전이 열리게 되었다.
'''경기 결과'''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퍼시픽 | 0 | 2 | 0 | 1 | 0 | 0 | 0 | 0 | 2 | 5 | 7 | 0 |
센트럴 | 0 | 0 | 0 | 0 | 0 | 0 | 0 | 0 | 2 | 2 | 7 | 0 |
- '''승리 투수''': 가지모토 다카오 (한큐)
- '''패전 투수''': 가네다 마사이치 (고쿠테쓰)
- '''홈런''':
- 퍼시픽: 야마우치 가즈히로 (마이니치, 4회 1점, 상대 투수: 하세가와 료헤이)
- 센트럴: 다미야 겐지로 (오사카, 9회 2점, 상대 투수: 미나가와 무쓰오)
'''출전 선수 명단'''
퍼시픽 리그 | 센트럴 리그 | ||||||
---|---|---|---|---|---|---|---|
타순 | 수비 위치 | 선수 | 소속 | 타순 | 수비 위치 | 선수 | 소속 |
1 | 2루 | 모리시타 마사오 | 난카이 | 1 | 좌익 | 요나미네 가나메 | 요미우리 자이언츠 |
2 | 3루 | 고다마 아키토시 | 긴테쓰 | 2 | 유격 | 요시다 요시오 | 오사카 |
3 | 유격 | 도요다 야스미쓰 | 니시테쓰 | 3 | 우익 | 미야모토 도시오 | 요미우리 자이언츠 |
4 | 중견 | 야마우치 가즈히로 | 마이니치 | 4 | 1루 | 가와카미 데쓰하루 | 요미우리 자이언츠 |
5 | 포수 | 노무라 가쓰야 | 난카이 | 5 | 중견 | 다미야 겐지로 | 오사카 |
6 | 좌익 | 세키구치 세이지 | 니시테쓰 | 6 | 2루 | 이노우에 노보루 | 주니치 드래건스 |
7 | 우익 | 오시타 히로시 | 니시테쓰 | 7 | 3루 | 미야케 히데시 | 오사카 |
8 | 1루 | 에노모토 기하치 | 마이니치 | 8 | 포수 | 후지오 시게루 | 요미우리 자이언츠 |
9 | 투수 | 가지모토 다카오 | 한큐 | 9 | 투수 | 가네다 마사이치 | 고쿠테쓰 |
'''투수진'''
- 퍼시픽 리그: 가지모토 다카오(한큐, 승리 투수), 이나오 가즈히사(니시테쓰), 미나가와 무쓰오(난카이), 아라마키 준(마이니치)
- 센트럴 리그: 가네다 마사이치(고쿠테쓰, 패전 투수), 하세가와 료헤이(히로시마), 이나 쓰토무(주니치 드래건스), 아키야마 노보루(다이요)
'''MVP'''
- 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쓰)
4. 2. 2차전
1957년 7월 13일에 주니치 스타디움에서 열린 올스타전 2차전은 2시간 42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총 27,883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보았다.경기 결과 센트럴 리그가 퍼시픽 리그를 5대 4로 이겼다. 승리 투수는 고쿠테쓰의 가네다 마사이치였고, 패전 투수는 니시테쓰의 이나오 가즈히사였다. 요미우리의 미야모토 도시오는 7회말에 결승 1점 홈런을 기록했다.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퍼시픽 리그 | 0 | 2 | 2 | 0 | 0 | 0 | 0 | 0 | 0 | 4 | 4 | 0 |
센트럴 리그 | 0 | 3 | 0 | 0 | 1 | 0 | 1 | 0 | X | 5 | 7 | 1 |
colspan="13" style="text-align:left" | |
- '''MVP''' : 미야모토 도시오(요미우리)
타순 | 수비 위치 | 선수 (퍼시픽 리그) | 타순 | 수비 위치 | 선수 (센트럴 리그) |
---|---|---|---|---|---|
1 | 중견수 | 부스지마 쇼이치 | 1 | 좌익수 | 요나미네 가나메 |
2 | 유격수 | 도요다 야스미쓰 | 2 | 유격수 | 요시다 요시오 |
3 | 3루수 | 나카니시 후토시 | 3 | 우익수 | 미야모토 도시오 |
4 | 좌익수 | 야마우치 가즈히로 | 4 | 1루수 | 가와카미 데쓰하루 |
5 | 포수 | 노무라 가쓰야 | 5 | 중견수 | 다미야 겐지로 |
6 | 우익수 | 오시타 히로시 | 6 | 2루수 | 이노우에 노보루 |
7 | 2루수 | 모리시타 마사오 | 7 | 3루수 | 오카지마 히로지 |
8 | 1루수 | 에노모토 기하치 | 8 | 포수 | 후지오 시게루 |
9 | 투수 | 기무라 다모쓰 | 9 | 투수 | 고야마 마사아키 |
참조
[1]
서적
オールスターゲームの軌跡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1
[2]
서적
オールスターゲームの軌跡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1
[3]
서적
올스타전의 족적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베이스볼 매거진사
2001
[4]
서적
올스타전의 족적 DREAM GAMES HISTORY since 1951
베이스볼 매거진사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