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6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1961년에 개최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두 번째 대회이다.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파라과이, 페루, 우루과이 등 9개국 9개 팀이 참가했다. 대회는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우루과이의 페냐롤이 브라질의 SE 파우메이라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오스발도 판주토가 4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5월 - 5·16 군사정변
    1961년 박정희를 중심으로 한 군부 세력이 일으킨 5·16 군사정변은 제2공화국의 불안정과 혼란을 배경으로, 부패한 민정부 타도와 국가 재건을 명분으로 내세워 권력을 장악하고 군사독재 체제를 구축하는 기반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그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1961년 5월 - 머큐리-레드스톤 3호
    머큐리-레드스톤 3호는 앨런 셰퍼드가 탑승한 미국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으로, 1961년 5월 5일 레드스톤 로켓으로 발사되어 약 15분간의 준궤도 비행을 통해 미국을 우주 경쟁의 선두 주자로 만들고 냉전 시대 체제 경쟁에서 자유 진영의 우월성을 과시하는 상징이 되었다.
  • 1961년 6월 - 제11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제11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는 1961년에 개최되었으며,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의 《밤》이 황금곰상을, 강대진 감독의 《마부》가 은곰상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 1961년 6월 - 196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6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대한민국, 일본, 인도네시아가 참가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UEFA/AFC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으며, 인도네시아는 기권하였다.
  • 1961년 4월 - 외교 관계에 관한 빈 협약
    외교 관계에 관한 빈 협약은 외교 관계에 대한 국제법적 기준을 정립하고 외교관의 특권과 면책, 외교 공관의 불가침성 등을 규정하는 조약으로, 국적 취득 및 분쟁 해결에 관한 선택 의정서와 함께 채택되어 2020년 6월 기준 193개국이 가입하였다.
  • 1961년 4월 - 피그스만 침공
    피그스만 침공은 1961년 4월 미국 CIA의 지원을 받은 쿠바 망명자 부대가 피델 카스트로 정권 전복을 위해 쿠바 남서부 피그스 만에 상륙을 시도한 군사 작전으로, 미국의 실패로 끝나고 쿠바-미국 관계를 악화시킨 사건이다.
196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코파 데 캄페오네스 데 아메리카
연도1961
다른 이름해당 없음
기간4월 2일 - 6월 11일
참가 팀 수9
참가 연맹 수9
우승 팀'페냐롤'
우승 횟수2
준우승 팀'파우메이라스'
경기 수16
총 득점52
최다 득점자'오스발도 판주토(4골)'
대회 MVP해당 없음
이전 시즌'1960'
다음 시즌'1962'

2. 참가 팀

1팀인데펜디엔테1960년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첫 출전볼리비아
1팀호르헤 윌스터만1960년 코파 시몬 볼리바르 우승2회1960년예선브라질
1팀파우메이라스1960년 타사 브라질 우승첫 출전칠레
1팀콜로-콜로1960년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첫 출전콜롬비아
1팀산타페1960년 캄페오나토 프로페시오날 우승첫 출전에콰도르
1팀바르셀로나1960년 캄페오나토 에콰도리아노 데 푸트볼 우승첫 출전파라과이
1팀올림피아1960년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2회1960년준우승페루
1팀우니베르시타리오1960년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첫 출전우루과이
1팀페냐롤1960년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2회1960년우승


3. 대회 진행 방식

각 대진은 2팀의 조별 리그로 진행되었다. 참가팀 증가로 인해 예선 조가 도입되었으며, 나머지 경기는 이전 시즌의 형식을 따랐다. 승리 시 2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 주어졌다. 홈 앤드 어웨이 경기를 치른 후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팀이 다음 단계로 진출했다. 승점이 동률일 경우, 골 득실차가 고려되었고, 그래도 동률일 경우 단판 승부가 치러졌다. 추첨은 동점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마지막 수단이었다.

3. 1. 특이사항

각 대진은 두 팀의 조별 리그로 진행되었다. 참가팀 증가로 인해 예선 조가 도입되었으며, 나머지 경기는 이전 시즌의 형식을 따랐다. 승리 시 2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 주어졌다. 홈 앤드 어웨이 경기를 치른 후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팀이 다음 단계로 진출했다.

만약 두 팀의 승점이 동률일 경우, 골 득실차가 고려되었다. 그래도 동률일 경우 단판 승부가 치러졌다. 추첨은 동점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마지막 수단이었다. 논란이 되었지만, 인데펜디엔테 산타페와 호르헤 윌스터만이 승점에서 동률을 이루어 플레이오프가 필요했다. 그러나 CONMEBOL은 이 아이디어를 폐기하고 마지막 준결승 진출 팀을 추첨으로 결정하기로 했고, 콜롬비아 팀이 승리했다.

4. 경기 결과

196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콜로-콜로4-6올림피아2-52-1
페냐롤5-2우니베르시타리오5-00-2
인데펜디엔테0-3파우메이라스0-20-1
호르헤 윌스테르만3-3산타페3-20-1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산타페3-6파우메이라스2-21-4
페냐롤5-2올림피아3-12-1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페냐롤2-1파우메이라스1-01-1


4. 1. 예선 라운드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산타페211052+33
바르셀로나201125−31



1961년 4월 2일, 콜롬비아 보고타의 엘 캄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산타페는 판주토의 2골(25분, 34분)과 페라초의 1골(40분)에 힘입어 바르셀로나를 3-0으로 꺾었다. 약 25,000명의 관중이 이 경기를 관람했으며, 심판은 에콰도르의 라파엘 게레로 파커였다.

1961년 4월 9일, 에콰도르 과야킬의 에스타디오 모델로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 바르셀로나는 로메로의 2골(46분, 58분)로 앞서갔으나, 산타페는 페라초(10분)와 판주토(50분)의 골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약 15,000명의 관중이 이 경기를 관람했으며, 심판은 콜롬비아의 오비디오 오레고였다.

4. 2. 1라운드

196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라운드에서는 총 4개 팀이 2차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준결승 진출팀을 가렸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콜로-콜로4-6올림피아2-52-1
페냐롤5-2우니베르시타리오5-00-2
인데펜디엔테0-3파우메이라스0-20-1
호르헤 윌스테르만3-3산타페3-20-1


4. 2. 1. 1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올림피아210164+22
콜로-콜로210146−22



1961년 4월 9일, 산티아고에스타디오 나시오날에서 열린 콜로-콜로올림피아의 경기에서 올림피아가 5-2로 승리했다. 콜로-콜로의 오르마사발은 45분에, 토로는 88분에 득점했고, 올림피아의 곤잘레스는 12분에, 카브랄은 37분과 79분에, 페레이라는 48분과 54분에 득점했다. 관중은 17,780명이었으며, 우루과이의 에스테반 마리노가 심판을 맡았다.

1961년 4월 16일, 아순시온의 에스타디오 마누엘 페레이라에서 열린 올림피아콜로-콜로의 경기에서 콜로-콜로가 2-1로 승리했다. 올림피아의 곤잘레스가 1분에 득점했고, 콜로-콜로의 오르마사발은 29분에, 알바레스는 67분에 득점했다. 관중은 약 35,000명이었으며, 우루과이의 파블로 빅토르 바가가 심판을 맡았다.

올림피아는 콜로-콜로와 승점 합계 2-2로 동률을 이루었지만, 골득실에서 앞서 준결승에 진출했다.

4. 2. 2. 2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URU|우루과이es 페냐롤210152+32
PER|페루es 우니베르시타리오210125-32



페냐롤은 승점 합계에서 우니베르시타리오와 2-2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득실에서 앞서 준결승에 진출했다.

4. 2. 3. 3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파우메이라스220030+34
인데펜디엔테200203-30



두 경기 모두 파라과이의 호세 디마스 라로사 주심이 맡았다.

4. 2. 4. 4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산타페21013302
호르헤 윌스터만21013302



1961년 4월 30일, 볼리비아 코차밤바의 에스타디오 펠릭스 카프릴레스에서 열린 호르헤 윌스터만과 산타페의 경기에서는 홈팀 호르헤 윌스터만이 3-2로 승리했다. 호르헤 윌스터만의 로페스가 8분과 76분에 득점했고, 산체스가 17분에 득점했다. 산타페에서는 판주토가 13분에, 카스트로가 86분에 득점했다. 이 경기는 칠레의 카를로스 로블레스 심판이 주관했으며, 35,000명의 관중이 참석했다.

1961년 5월 7일, 콜롬비아 보고타의 엘 캄핀에서 열린 산타페와 호르헤 윌스터만의 경기에서는 홈팀 산타페가 1-0으로 승리했다. 산타페의 득점은 26분에 클라우레의 자책골로 기록되었다. 이 경기는 아르헨티나의 루이스 벤트레 심판이 주관했으며, 25,000명의 관중이 참석했다.

인데펜디엔테 산타페와 호르헤 윌스터만은 승점과 골득실에서 2-2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승자를 결정하기 위한 플레이오프는 열리지 않았다. 추첨을 통해 인데펜디엔테 산타페가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4. 3. 준결승전

1961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결승전에서는 네 팀이 두 팀씩 두 개의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1위 팀은 결승전에 진출했다.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산타페 (콜롬비아)3-6파우메이라스 (브라질)2-21-4
페냐롤 (우루과이)5-2올림피아 (파라과이)3-12-1



A조에서는 파우메이라스산타페를 상대로 1승 1무를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했고, B조에서는 페냐롤올림피아를 상대로 2승을 거두며 결승에 진출했다.

4. 3. 1. A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파우메이라스211063+33
산타페201136-31



1961년 5월 21일, 보고타의 엘 캄핀 스타디움에서 열린 산타페와 파우메이라스의 경기에서는 양 팀이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산타페에서는 페라초와 카스트로가 득점했고, 파우메이라스에서는 질도와 치네시뉴가 득점했다. 관중은 35,000명이 입장했고, 주심은 조앙 에첼 필류였다.

1961년 5월 28일, 상파울루의 파카엠부 스타디움에서 열린 파우메이라스와 산타페의 경기에서는 파우메이라스가 4-1로 승리했다. 파우메이라스에서는 로메이로와 토치가 득점했고, 산타페에서는 모투라가 득점했다. 관중은 60,000명이 입장했고, 주심은 오비디오 오레고였다.

4. 3. 2. B조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페냐롤220052+34
올림피아200225-30

4. 4. 결승전

페냐롤파우메이라스를 합계 2-1로 이기고 우승했다.

경기득점실점골득실승점
페냐롤211021+13
SE 파우메이라스201112-11


  • 2차전 (1961년 6월 11일, 에스타디우 두 파카엠부, 상파울루)
  • SE 파우메이라스 1 : 1 페냐롤 (나르도, 사시아 득점)
  • 관중: 50,000명
  • 주심: 호세 루이스 프라다우데 (아르헨티나)

5. 우승

'''2번째 우승'''

6. 득점 순위

순위선수
1오스발도 판주토인데펜디엔테 산타페4
2알베르토 페라초인데펜디엔테 산타페3
베니시오 페레이라클루브 올림피아3
후안 호야페냐롤3
José Francisco Sasía|호세 프란시스코 사시아es페냐롤3
알베르토 스펜서페냐롤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