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외교 관계에 관한 빈 협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교 관계에 관한 빈 협약은 외교관의 지위와 특권, 면제 등을 규정한 국제 조약이다. 이 협약은 1961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채택되었으며, 1964년에 발효되었다. 협약은 외교 공관의 불가침, 외교관의 면책 특권, 외교 행낭의 자유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대한민국은 1970년에 이 협약에 가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발효된 조약 - 조중 변계 조약
    조중 변계 조약은 1962년 북한과 중국이 6.25 전쟁 이후 국경선을 명확히 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백두산 천지의 경계를 획정하고 압록강과 두만강의 귀속을 결정했다.
  • 1961년 체결된 조약 - 무국적자의 감소에 관한 협약
    무국적자의 감소에 관한 협약은 무국적 상태를 줄이기 위해 1961년 뉴욕에서 채택된 국제 협약으로, 출생 시 무국적 방지, 국적 포기 및 상실 제한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며, 국제 연합이 무국적 문제 해결을 위해 제정, 2023년 5월 16일 기준 98개 국가가 가입했다.
  • 1961년 체결된 조약 - 유럽사회헌장
    유럽사회헌장은 1961년 유럽 평의회에서 채택되어 사회 및 경제적 권리를 보장하며, 1996년 개정을 통해 보장 범위를 확대하고 유럽 사회권 위원회가 가입국의 준수 여부를 감시한다.
외교 관계에 관한 빈 협약
조약 개요
조약 이름외교 관계에 관한 빈 협약
원제Convention de Vienne sur les relations diplomatiques (프랑스어)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영어)
Winer Übereinkommen über diplpmatische Beziehungen (독일어)
종류국제 조약
주제외교 관계 및 외교 특권
서명 및 발효
서명일1961년 4월 18일
서명 장소
발효일1964년 4월 24일
발효 조건22개국의 비준
참가국
서명국61개국
비준국193개국 (2021년 6월 기준)
언어
사용 언어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기탁
기탁 기관UN 사무총장
관련 조약
관련 조약영사 관계에 관한 빈 협약
특별 사절단에 관한 협약
기타
참고 자료데이터베이스 《세계와 일본》
유엔

2. 역사

외교관의 특권과 면제는 고대부터 관습적으로 인정되어 왔다. 외교 면제 원칙은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그리스와 로마 정부는 사절에게 특별한 지위를 부여했다. 이러한 기본적인 개념은 수 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까지 외교 관계의 중요한 요소로 남아있다.[5] 다른 국가에서 온 사절은 전통적으로 손님으로 취급받고, 본국과의 통신은 기밀로 취급되며, 접수국에 의한 강압과 예속으로부터의 자유는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외교 면제를 외교법으로 성문화하려는 최초의 시도는 1815년 빈 회의에서 이루어졌다. 그 후 한참 뒤에 외교관에 관한 협약(아바나, 1928년)이 체결되었다.

현재 외교관 처리에 관한 조약은 국제법 위원회의 초안에서 비롯되었다. 이 조약은 1961년 4월 18일 오스트리아 에서 열린 유엔 외교 관계 및 면제에 관한 회의에서 채택되었으며, 1964년 4월 24일에 처음 시행되었다. 같은 회의에서 국적 취득에 관한 선택 의정서, 분쟁의 강제 해결에 관한 선택 의정서, 최종 의정서 및 해당 의정서에 첨부된 4개의 결의안도 채택되었다. 1961년 조약에서 발생한 주목할 만한 측면 중 하나는 바티칸 시국의 다른 국가와의 외교 면제 지위 확립이었다.[6]

2년 후, 유엔은 밀접하게 관련된 조약인 영사 관계에 관한 빈 협약을 채택했다.

3. 주요 내용

국제법 위원회의 초안을 바탕으로 1961년 4월 18일 오스트리아 에서 열린 유엔 외교 관계 및 면제에 관한 회의에서 채택된 이 협약은 1964년 4월 24일에 처음 시행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국적 취득에 관한 선택 의정서, 분쟁의 강제 해결에 관한 선택 의정서, 최종 의정서 및 해당 의정서에 첨부된 4개의 결의안도 함께 채택되었다.[6]

협약은 총 53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항내용
제1조용어 정의
제2조-제19조외교 관계 개설, 외교 사절단의 파견·접수·서열 등
제22조, 제30조외교 공관과 외교관 사적 거주지의 불가침성 보장 및 보호 의무
제24조외교 공관 문서의 불가침성 보장
제27조본국과의 자유로운 통신 보장 및 외교 행낭과 외교 전령의 보호
제29조외교관의 신체와 존엄성 보호
제31조주재국의 민사 및 형사 관할권으로부터의 면제 (단, 예외 조항 존재)
제32조파견국의 면책 특권 포기 가능
제34조, 제36조외교 공관의 세금 및 관세 면제
제37조주재국 거주 외교관 가족 구성원에 대한 동일한 보호 제공
제43조외교관의 임무 종료 조건
제44조무력 충돌 발생 시 안전한 퇴거를 위한 편의 제공 의무
제45조외교 관계 단절 또는 공관 폐쇄 시 공관, 재산 및 문서의 존중 및 보호 의무
제46조제3국의 이익을 임시로 보호 가능
제47조국가 간 차별 금지 (단, 예외 조항 존재)


3. 1. 외교 관계 및 사절단

주권 국가의 역사 전반에 걸쳐, 외교관은 특별한 지위를 누려왔다. 외교 면제 원칙은 고대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그리스와 로마 정부는 사절에게 특별한 지위를 부여했다. 이러한 기본적인 개념은 수 세기 동안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까지 외교 관계의 중요한 요소로 남아있다.[5] 국가 간의 협정을 협상하는 그들의 기능은 특정 특별 특권을 요구한다. 다른 국가에서 온 사절은 전통적으로 손님으로 취급받고, 본국과의 통신은 기밀로 취급되며, 접수국에 의한 강압과 예속으로부터의 자유는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외교 면제를 외교법으로 성문화하려는 최초의 시도는 1815년 빈 회의에서 이루어졌다. 그 후 한참 뒤에 외교관에 관한 협약(아바나, 1928년)이 체결되었다.

현재 외교관 처리에 관한 조약은 국제법 위원회의 초안에서 비롯되었다. 이 조약은 1961년 4월 18일 오스트리아 에서 열린 유엔 외교 관계 및 면제에 관한 회의에서 채택되었으며, 1964년 4월 24일에 처음 시행되었다. 같은 회의에서 국적 취득에 관한 선택 의정서, 분쟁의 강제 해결에 관한 선택 의정서, 최종 의정서 및 해당 의정서에 첨부된 4개의 결의안도 채택되었다. 1961년 조약에서 발생한 주목할 만한 측면 중 하나는 바티칸 시국의 다른 국가와의 외교 면제 지위 확립이었다.[6]

2년 후, 유엔은 밀접하게 관련된 조약인 영사 관계에 관한 빈 협약을 채택했다.

조항내용
제1조정의
제2조-제19조외교 관계 개설, 외교 사절단의 파견·접수·서열 등


3. 2. 외교관의 특권 및 면제


  • 주재국은 언제든, 어떤 이유로든 외교 직원의 특정 구성원을 ''외교적 기피 인물''로 선언할 수 있다. 파견국은 합당한 기간 내에 이 사람을 소환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 사람은 외교 면책 특권을 잃을 수 있다(제9조).[7]
  • 외교 공관의 구내(premises)는 불가침이며, 공관장의 허락 없이는 주재국이 출입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주재국은 구내를 수색하거나 문서 또는 재산을 압수해서는 안 되며, 침입이나 피해로부터 공관을 보호해야 한다(제22조).[7] 제30조는 이 조항을 외교관의 사적 거주지까지 확대 적용한다.[7]
  • 외교 공관의 기록 보관소와 문서는 불가침이며 주재 정부에 의해 압수되거나 개봉되어서는 안 된다(제24조).[7]
  • 주재국은 공관의 외교관과 본국 간의 자유로운 통신을 허용하고 보호해야 한다. 외교 행낭은 오용이 의심되는 경우에도 절대 개봉해서는 안 되며, 외교 전령은 절대 체포되거나 구금되어서는 안 된다(제27조).[7]
  • 외교관은 어떠한 형태의 체포나 구금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지 않으며, 접수국은 그들의 신체와 존엄성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제29조).[7]
  • 외교관은 주재국의 민사 및 형사 관할권으로부터 면제되며, 외교관의 공식 직무 외의 전문적인 활동에 대해서는 예외가 적용된다(제31조).[7] 제32조는 파견국이 이 면책 특권을 포기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7]
  • 외교 공관은 세금(제34조) 및 관세(제36조)가 면제된다.[7]
  • 주재국에 거주하는 외교관의 가족 구성원은 외교관과 동일한 보호를 받는다(제37조).[7]

3. 3. 외교관의 임무 종료 및 기타

제43조는 외교관의 임무가 종료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접수국이 파견국에 통고하거나, 파견국이 접수국에 통고하는 경우 임무가 종료된다.

제44조는 접수국이 자국 내의 파견국 국민과 외교관 및 그 가족들을 무력 충돌 발생 시에도 안전하게 퇴거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야 함을 규정한다.

제45조는 외교 관계가 단절되거나 공관이 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폐쇄되는 경우, 접수국은 파견국의 공관, 재산 및 문서를 존중하고 보호해야 함을 규정한다. 파견국은 제3국에 자국의 이익 보호를 위임할 수 있다.

제46조는 파견국이 접수국의 사전 동의를 얻어, 접수국에 자국 대표 공관이 없는 제3국의 이익을 임시로 보호할 수 있음을 규정한다.

제47조는 이 협약의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 국가 간 차별을 금지한다. 다만, 접수국이 파견국의 공관에 대해 제한적인 조치를 취하는 경우, 이는 차별로 간주되지 않는다.

4. 선택 의정서

1961년 조약이 채택된 해에 두 개의 의정서가 수정안으로 추가되었다. 국가는 이 선택적 협정을 비준하지 않고도 주 조약을 비준할 수 있다.


  • '''국적 취득에 관한 의정서.''' 외교 사절단의 장, 사절단 직원 및 그 가족은 접수국의 국적을 취득하지 않는다.
  • '''분쟁의 강제적 해결에 관한 의정서.''' 이 조약의 해석으로 발생하는 분쟁은 국제사법재판소에 제기될 수 있다.


이 조약과 함께, "분쟁의 의무적 해결에 관한 선택 의정서"와 "국적 취득에 관한 선택 의정서"(일본은 미가입)가 채택되었으며, 일본은 1962년에 서명, 1964년에 비준했다[8]

전자는 이 조약의 해석 또는 적용으로부터 발생하는 분쟁을 국제사법재판소의 의무적 관할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하여, 일방 당사국의 청구에 의해 국제사법재판소에 부칠 수 있음을 규정한다.

5. 비고

일본 관보공포된 이 조약의 일본어 조항 제9조 1항 중간 부분에는 원래 "파견국은"이라고 표기해야 할 곳이 관보의 오자로 인해 "파견단은"으로 표기된 부분이 있었다.[9] 그러나 관보 공포의 전제 조건인 국회 승인 절차에서의 심사·심의 단계 의안 원고(이 역시 관보 호외의 일종인 국회 회의록에 게재[10])에서는 올바르게 "파견국은"으로 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국회 승인은 원래 문구로 얻었으며, 해당 공포의 원본인 "어서명원본(御署名原本)"에서도 올바르게 "파견국은"으로 되어 있어, 해당 오자가 정부 작성 원고에서 기인한 것도 아니고 관보 인쇄 단계에서의 기술적인 오자임이 명백하며, 또한 이 조약에서 일본어 조항은 정본이 아니라는 점(일본 국내에서는 공적으로 통용되지만 다자간 조약으로서의 국제적인 효력에는 이 일본어 오자의 영향은 미치지 않는다)도 있었다. 따라서 이 조약의 해당 부분을 보도·학술 기타 장소에서 인용 표기할 때는 관보 공포의 오자에 따르지 않고, 어서명원본상의 표기이며 조약 정본에 대한 적절한 번역어이기도 한 "파견국은"으로 하는 것이 통례였다.

상기 오류는 2008년 7월 9일 관보의 정오 정정란에서 인쇄 오류로 글자 정정이 이루어졌다.[11]

6. 협약 당사국

협약을 비준한 국가 (녹색), 당사국이 아닌 유엔 회원국 (빨간색)


2020년 6월 기준으로, 바티칸 시국팔레스타인 (UN 옵서버)을 포함하여 193개국이 빈 협약에 가입되어 있으며, 이는 유엔 회원국 전체에 해당한다. 단, 팔라우남수단은 예외이다.[1] 중화민국은 1961년 4월 18일에 협약에 서명했고, 1969년 12월 19일에 비준했지만, 1971년 유엔 총회 결의 2758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에 중국의 자리가 넘어갔다. 조약에 서명했지만 비준하지 않은 국가는 없다.

참조

[1] 서적 A Cornerstone of Modern Diplomacy: Britain and the Negotiation of the 1961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4
[2] 웹사이트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https://www.internat[...] 2007-10-31
[3] 웹사이트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10-04-08
[4] 웹사이트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https://legal.un.org[...] United Nations 2022-01-06
[5] 간행물 Diplomatic and Consular Immunity: Guidance for Law Enforcement and Judicial Authorities https://www.state.go[...] U.S. Department of State 1998-05-00
[6] 뉴스 Holy See waives diplomatic immunity for accused Vatican ambassador to France https://www.catholic[...] 2019-07-08
[7] 웹사이트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http://legal.un.org/[...] United Nations 2010-04-09
[8] 간행물 Optional Protocol to the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concerning Acquisition of Nationality, Depositary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9] 간행물 昭和39年6月26日付け官報本紙第11259号2頁条約欄最下段 1964-06-26
[10] 간행물 昭和39年3月3日付け官報号外・第46回国会参議院外務委員会会議録第6号11頁4段目 1964-03-03
[11] 간행물 2008年(平成20年)7月9日『官報』第4867号32ページ 2008-07-09
[12] 웹인용 Vienna Convention on Diplomatic Relation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10-04-08
[13] 웹인용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https://treaties.un.[...] 2023-10-07
[14] 웹인용 diplomatic immunity https://www.law.corn[...] 2023-10-07
[15] 웹인용 외교관및 그 가족의 면책특권의 범위 https://www.lawtimes[...] 2023-10-07
[16] 저널 The Congress of Vienna and the Concert of Europe ― A Formative European Order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 https://www.kci.go.k[...] 2015
[17] 웹인용 Papers relating to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28, Volume I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023-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