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년 러시아의 극동 지명 변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2년 러시아의 극동 지명 변경은 소련이 중국과의 관계 악화 및 문화적 영향력 감소를 위해 극동 지역의 지명들을 러시아식으로 변경한 사건이다. 이로 인해 블라디보스토크(해삼위), 포시예트(마활위), 우수리스크(쌍성자) 등 여러 지명이 변경되었으며, 과거 한국 영토였던 사할린(고혈도)을 포함한 주요 지명 목록이 존재한다. 현재까지도 시호테알린 산맥, 한카호, 아무르강 등 만주어, 중국어에서 유래된 지명이 일부 남아있다.
1972년 이전 러시아 극동 지역에는 중국어나 만주어 등에서 유래한 지명이 다수 존재했다. 이는 1860년 베이징 조약 체결 이전에는 청나라의 영토였으며 한족과 만주족이 거주했기 때문이고, 러시아의 지리학자나 개척자들이 토착 지명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1] 중소 국경 분쟁 이후, 소련은 중국과의 분쟁 여지를 줄이고자 중국식 지명을 모두 없애기로 결정하였다.
2. 주요 지명 비교
이에 따라, 쑤이펀허(綏芬河)는 라즈돌나야강으로, 얀치헤(延秋)는 추카노보로 개명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툴라마(tulama) 만과 같은 퉁구스식 지명 역시 슬라뱐카 만으로 개명되었다.[1]
2. 1. 변경된 주요 지명
1972년 이전의 러시아 극동 지역에는 중국어나 만주어 등에서 유래한 지명이 다수 존재했다. 이는 1860년 베이징 조약 체결 이전에는 청나라의 영토였으며 한족과 만주족이 거주했기 때문이고, 러시아의 지리학자나 개척자들이 토착 지명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1] 중소 국경 분쟁 이후, 소련은 중국과의 분쟁 여지를 줄이고자 중국식 지명을 모두 없애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많은 지명이 러시아식으로 개칭되었다.
다음은 변경된 주요 지명들의 목록이다.
원래 지명(한자) | 원래 지명(한국 한자음) | 변경된 지명 |
---|---|---|
海参崴(해삼위) | 하이선웨이 | 블라디보스토크 |
摩阔崴(마활위) | 모훠웨이 | 포시예트 |
双城子(쌍성자) | 솽청쯔 | 우수리스크 |
海兰泡(해란포) | 하이란파오 | 블라고베셴스크 |
野猪河(야저하) | 예주허 | 달네고르스크 |
庙街(묘가) | 먀오제 |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
伯力(백력) | 보리 | 하바로프스크 |
土拉子(토랍자) | 투라쯔 | 슬라뱐카 |
瓦倫(와륜) | 와룬 | 콤소몰스크나아무레 |
雅克薩(아극살) | 야커싸 | 알바지노 |
奴儿干城(노아간성) | 누르간청 | 티르 |
快当别(쾌당별) | 콰이당볘 | 투리이 로그 |
趙老背(조노배) | 자오라오베이 | 그리고롑카 |
灠溝崴(남구위) | 란거우웨이 | 나홋카 |
黃土坎子(황토감자) | 황투칸쯔 | 아르세니예프 |
库页岛(고혈도) | 쿠예다오 | 사할린 |
尼布楚(니포초) | 니부추 | 네르친스크 |
伊曼(이만) | 이만 | 달네레첸스크 |
雅蘭蘇(아란소) | 야란쑤 | 파르티잔스크 |
西南岔(서남차) | 시난차 | 체렘샤니 |
外兴安岭(외흥안령) | 와이싱안링 | 스타노보이산맥 |
Тетюхеru(야저강) | 달네고르스크 | |
Иманru(이만) | 달네레첸스크 | |
Сучанru(소성) | 파르티잔스크 | |
Вангоуru(만구) | 라조 | |
Синанчаru(서남차) | 체렘샤니 | |
Вампаушиru(만박석) | 무이소보이 |
2. 2. 주요 지명 목록
기존 명칭(중국어) | 변경된 명칭(러시아어) | 비고 |
---|---|---|
海参崴(해삼위) | 블라디보스토크 | |
摩阔崴(마활위) | 포시예트 | |
双城子(쌍성자) | 우수리스크 | |
海兰泡(해란포) | 블라고베셴스크 | |
野猪河(야저하) | 달네고르스크 | |
庙街(묘가) |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 | |
伯力(백력) | 하바로프스크 | |
土拉子(토랍자) | 슬라뱐카 | |
瓦倫(와륜) | 콤소몰스크나아무레 | |
雅克薩(아극살) | 알바지노 | |
奴儿干城(노아간성) | 티르 | |
快当别(쾌당별) | 투리이 로그 | |
趙老背(조노배) | 그리고롑카 | |
灠溝崴(남구위) | 나홋카 | |
黃土坎子(황토감자) | 아르세니예프 | |
库页岛(고혈도) | 사할린 | |
尼布楚(니포초) | 네르친스크 | |
伊曼(이만) | 달네레첸스크 | |
雅蘭蘇(아란소) | 파르티잔스크 | |
西南岔(서남차) | 체렘샤니 | |
外兴安岭(외흥안령) | 스타노보이산맥 | |
Тетюхеru (테튜헤, 야저강) | 달네고르스크 | |
Иманru (이만) | 달네레첸스크 | |
Сучанru (수찬, 소성) | 파르티잔스크 | |
Вангоуru (팡고우, 만구) | 라조 | |
Синанчаru (시난차, 서남차) | 체렘샤니 | |
Вампаушиru (팜파우시, 만박석) | 무이소보이 |
1972년 소련 정부의 대대적인 지명 변경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극동 지역에는 여전히 중국어나 만주어에서 유래한 지명이 일부 남아있다.[1]
3. 현재 남아있는 지명
3. 1. 산맥
3. 2. 강/호수
만주어/중국어 명칭 | 한국어 명칭 |
---|---|
시호테알린 (Shikhote Alin, 錫赫特山脈) | 시호테알린 산맥 |
두세알린 (Dusse-Alin, 斗色山脈) | 두세알린 산맥 |
얌알린 (Yam Alin, 楊山脈) | 얌알린 산맥 |
미야오창알린 (Miao-Chan Alin) | 미야오창알린 산맥 |
일후리알린 (Ilkhuri Alin, 伊勒呼里山) | 일후리알린 산 |
한카 (Khanka, 興凱湖) | 한카호 |
우수리 (Ussuri, 烏蘇里江) | 우스리강 |
아무르 (Amur) | 아무르강 (몽골어 유래) |
샨타르 (Shantar) | 샨타르 제도 (니브흐어 유래)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