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AFC 아시안컵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6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1976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 대회로, 쿠웨이트와 남예멘은 기권팀 발생으로 인해, 이라크, 중화인민공화국, 말레이시아는 각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태국은 예선 통과 후 기권하였다. 예선은 이라크, 홍콩, 태국에서 개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5년 축구 - 1975년 코파 아메리카
1975년 코파 아메리카는 페루가 콜롬비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1967년 우승팀 우루과이를 포함한 10개 팀이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우승팀을 가렸다. - 1975년 축구 - 197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7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20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 준결승, 결승 토너먼트를 거쳐 인데펜디엔테가 우승을 차지한 대회이다. - AFC 아시안컵 예선 -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2018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방식을 공유하여 4단계로 진행되었고, 총 24개 팀이 3차 예선에 진출하여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다퉜으며, 개최국 참가 및 동티모르 몰수패 등의 사건이 있었다. - AFC 아시안컵 예선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총 10개 조로 나뉜 조별 리그에서 각 조 1위 팀들이 본선에 진출하여 이라크,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중국, 쿠웨이트, 일본, 카타르, 대한민국, 태국, 이란이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1976년 AFC 아시안컵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 대회 요약 | |
| 대회 명칭 | 1976년 AFC 아시안컵 예선 |
| 기간 | 1975년 3월 15일 – 1975년 12월 2일 |
| 참가 팀 수 | 15 |
| 소속 연맹 수 | 1 |
| 이전 대회 | 1972년 |
| 다음 대회 | 1980년 |
2. 참가국 및 지역
1976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4개의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 1조 | 2조 | 3조 | 4조 |
|---|---|---|---|
- * 기권
- ایران|이란fa은 개최국이자 전 대회 우승팀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다.
1조에서는 바레인, 레바논, 파키스탄, 시리아가 기권하여 쿠웨이트와 남예멘이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2조에서는 이라크가 본선에 진출했고, 사우디아라비아는 기권했다. 3조에서는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후 기권했다. 4조에서는 말레이시아가 본선에 진출했고, 태국도 진출했으나 이후 기권했다.
2. 1. 그룹 1
바레인, 레바논, 파키스탄, 시리아가 기권함에 따라 쿠웨이트와 남예멘이 자동으로 진출하였다.
2. 2. 그룹 2
1976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국은 이라크와 사우디아라비아였으나, 사우디아라비아는 이후 기권하였다. 이 조에는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가 참가했다.| 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
| 1975년 4월 2일 | 이라크 | 1 - 0 | 카타르 |
| 1975년 4월 2일 | 사우디아라비아 | 2 - 0 | 아프가니스탄 |
| 1975년 4월 4일 | 이라크 | 4 - 0 | 아프가니스탄 |
| 1975년 4월 4일 | 사우디아라비아 | 2 - 1 | 카타르 |
| 1975년 4월 6일 | 이라크 | 1 - 1 | 사우디아라비아 |
| 1975년 4월 6일 | 카타르 | 2 - 1 | 아프가니스탄 |
| 1975년 4월 10일 | 이라크 | 3 - 0 | 카타르 |
| 1975년 4월 10일 | 사우디아라비아 | 6 - 0 | 아프가니스탄 |
| 1975년 4월 12일 | 이라크 | 2 - 1 | 사우디아라비아 |
| 1975년 4월 12일 | 카타르 | 1 - 1 | 아프가니스탄 |
| 1975년 4월 14일 | 이라크 | 3 - 1 | 아프가니스탄 |
| 1975년 4월 14일 | 사우디아라비아 | 0 - 1 | 카타르 |
2. 3. 그룹 3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중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본선에 진출했으나, 북한은 이후 기권하여 중국이 대신 진출하였다. 3조의 예선 경기는 모두 홍콩에서 진행되었다.3조에는 브루나이,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싱가포르가 참가했다.
- '''조별 리그'''
- 1975년 6월 15일: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1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975년 6월 15일: 싱가포르 6 – 0 브루나이
- 1975년 6월 17일: 홍콩 3 – 0 브루나이
- 1975년 6월 19일: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10 – 1 브루나이
- 1975년 6월 21일: 홍콩 0 – 1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4 | 2 | 2 | 0 | 0 | 2 | 0 | +2 |
| 일본 | 2 | 2 | 1 | 0 | 1 | 2 | 2 | 0 |
| 싱가포르 | 0 | 2 | 0 | 0 | 2 | 1 | 3 | –2 |
- 1975년 6월 1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0 일본 (안세욱 安世煜|안세욱한국어 페널티골)[4]
- 1975년 6월 1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0 싱가포르
- 1975년 6월 21일: 일본 2 – 1 싱가포르 (오치아이, 나가이 득점)
- '''준결승'''
- 1975년 6월 23일: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2 - 1 일본 (리, 커 득점)[2]
- 1975년 6월 24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 3 (승부차기 11 – 10) 홍콩
- '''결승'''
- 1975년 6월 26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0 中華人民共和國|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최종 토너먼트에 진출하였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후 기권하였다.
2. 4. 그룹 4
Group영어 4는 1975년 3월 15일부터 3월 24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진행되었다.| 날짜 | 경기 | 결과 |
|---|---|---|
| 1975년 3월 15일 | 3 – 1 | |
| 1975년 3월 16일 | 2 – 1 | |
| 1975년 3월 17일 | 2 – 1 | |
| 1975년 3월 18일 | 0 – 1 | |
| 1975년 3월 19일 | 1 – 0 | |
| 1975년 3월 20일 | 0 – 0 | |
| 1975년 3월 21일 | 4 – 0 | |
| 1975년 3월 22일 | 1 – 0 | |
| 1975년 3월 23일 | 3 – 0 | |
| 1975년 3월 24일 | 1 – 0 |
1976년 AFC 아시안컵 예선은 여러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말레이시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태국도 본선에 진출했으나, 이후 기권하였다.
3. 경기 결과
2조 (이라크 개최)모든 경기는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치러졌다.날짜 팀 1 결과 팀 2 1975년 4월 2일 이라크 1 – 0 카타르 1975년 4월 2일 사우디아라비아 2 – 0 아프가니스탄 1975년 4월 4일 이라크 4 – 0 아프가니스탄 1975년 4월 4일 사우디아라비아 2 – 1 카타르 1975년 4월 6일 이라크 1 – 1 사우디아라비아 1975년 4월 6일 카타르 2 – 1 아프가니스탄 1975년 4월 10일 이라크 3 – 0 카타르 1975년 4월 10일 사우디아라비아 6 – 0 아프가니스탄 1975년 4월 12일 이라크 2 – 1 사우디아라비아 1975년 4월 12일 카타르 1 – 1 아프가니스탄 1975년 4월 14일 이라크 3 – 1 아프가니스탄 1975년 4월 14일 사우디아라비아 0 – 1 카타르
이라크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도 예선을 통과했으나, 후에 기권하였다.
3조 (홍콩 개최)1975년 6월 14일부터 6월 26일까지 홍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3조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른 후, 각 조 상위 2팀이 준결승에 진출하여 결승 토너먼트를 진행했다.
준결승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홍콩을 승부차기 끝에 꺾었고, 중화인민공화국은 일본을 2-1로 이겼다. 결승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중화인민공화국을 2-0으로 꺾고 3조 1위를 차지했다.
최종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기권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4조 (태국 개최)1975년 3월 15일부터 3월 24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
| 3월 15일 | 태국 | 3 – 1 | 인도네시아 |
| 3월 16일 | 말레이시아 | 2 – 1 | 대한민국 |
| 3월 17일 | 인도네시아 | 2 – 1 | 남베트남 |
| 3월 18일 | 태국 | 0 – 1 | 말레이시아 |
| 3월 19일 | 대한민국 | 1 – 0 | 남베트남 |
| 3월 20일 | 말레이시아 | 0 – 0 | 인도네시아 |
| 3월 21일 | 태국 | 4 – 0 | 남베트남 |
| 3월 22일 | 대한민국 | 1 – 0 | 인도네시아 |
| 3월 23일 | 말레이시아 | 3 – 0 | 남베트남 |
| 3월 24일 | 태국 | 1 – 0 | 대한민국 |
말레이시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태국도 예선을 통과했으나, 후에 기권하였다.[4]
3. 1. 2조 (이라크 개최)
모든 경기는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치러졌다.|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 1975년 4월 2일 | 이라크 | 1 – 0 | 카타르 | 바그다드 |
| 1975년 4월 2일 | 사우디아라비아 | 2 – 0 | 아프가니스탄 | 바그다드 |
| 1975년 4월 4일 | 이라크 | 4 – 0 | 아프가니스탄 | 바그다드 |
| 1975년 4월 4일 | 사우디아라비아 | 2 – 1 | 카타르 | 바그다드 |
| 1975년 4월 6일 | 이라크 | 1 – 1 | 사우디아라비아 | 바그다드 |
| 1975년 4월 6일 | 카타르 | 2 – 1 | 아프가니스탄 | 바그다드 |
| 1975년 4월 10일 | 이라크 | 3 – 0 | 카타르 | 바그다드 |
| 1975년 4월 10일 | 사우디아라비아 | 6 – 0 | 아프가니스탄 | 바그다드 |
| 1975년 4월 12일 | 이라크 | 2 – 1 | 사우디아라비아 | 바그다드 |
| 1975년 4월 12일 | 카타르 | 1 – 1 | 아프가니스탄 | 바그다드 |
| 1975년 4월 14일 | 이라크 | 3 – 1 | 아프가니스탄 | 바그다드 |
| 1975년 4월 14일 | 사우디아라비아 | 0 – 1 | 카타르 | 바그다드 |
이라크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도 예선을 통과했으나, 후에 기권하였다.
3. 2. 3조 (홍콩 개최)
1975년 6월 14일부터 6월 26일까지 홍콩에서 3조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3조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른 후, 각 조 상위 2팀이 준결승에 진출하여 결승 토너먼트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A조'''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브루나이가 맞붙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이 2승으로 1위, 홍콩이 1승 1패로 2위를 기록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 '''3B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싱가포르가 경쟁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승으로 1위, 일본이 1승 1패로 2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홍콩을 승부차기 끝에 꺾었고, 중화인민공화국은 일본을 2-1로 이겼다. 결승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중화인민공화국을 2-0으로 꺾고 3조 1위를 차지했다.
최종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기권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3. 2. 1. 그룹 배정 경기
1975년 6월 14일 홍콩에서 열린 홍콩과 일본의 경기는 0 – 0 무승부로 끝났으며, 승부차기 결과 홍콩이 4 – 3으로 승리했다. 관중 26,000명이 입장했고, 주심은 태국의 와타나였다.[2]1975년 6월 15일 홍콩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는 중화인민공화국이 1 – 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싱가포르와 브루나이의 경기는 싱가포르가 6 – 0으로 크게 이겼다.
1975년 6월 23일 홍콩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의 경기는 중화인민공화국이 2-1로 승리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전반 6분 리유티에, 전반 20분 커우우상의 득점으로 앞서갔고, 일본은 전반 43분 아라이 고조가 만회골을 넣었다. 관중은 20,000명이 입장했다.[3]
1975년 6월 24일 홍콩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홍콩의 경기는 3 – 3 무승부 이후 승부차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1 – 10으로 승리했다.
1975년 6월 26일 홍콩에서 열린 홍콩과 일본의 경기는 일본이 1 – 0으로 승리했다. 일본은 전반 6분 와타나베 미쓰오가 결승골을 넣었다. 관중은 30,000명이 입장했고, 주심은 인도네시아의 하시타였다.
3. 2. 2. 그룹 3A
1975년 6월 14일부터 6월 26일까지 홍콩에서 3A조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1975년 6월 14일, 홍콩 정부 경기장: 홍콩 0 – 0 일본 (승부차기: 홍콩 4 – 3 일본)[2]
- 1975년 6월 15일, 홍콩 정부 경기장: 중화인민공화국 1 – 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975년 6월 15일, 홍콩 정부 경기장: 싱가포르 6 – 0 브루나이
- 1975년 6월 17일, 홍콩 정부 경기장: 홍콩 3 – 0 브루나이
- 1975년 6월 19일, 홍콩 정부 경기장: 중화인민공화국 10 – 1 브루나이
- 1975년 6월 21일, 홍콩 정부 경기장: 홍콩 0 – 1 중화인민공화국
- 1975년 6월 23일, 홍콩 정부 경기장: 중화인민공화국 2 – 1 일본[2]
- 1975년 6월 24일, 홍콩 정부 경기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 3 홍콩 (승부차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1 – 10 홍콩)
- 1975년 6월 26일, 홍콩 정부 경기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0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최종 토너먼트에 진출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기권했다.
3. 2. 3. 그룹 3B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4 | 2 | 2 | 0 | 0 | 2 | 0 | +2 |
| 일본 | 2 | 2 | 1 | 0 | 1 | 2 | 2 | 0 |
| 싱가포르 | 0 | 2 | 0 | 0 | 2 | 1 | 3 | –2 |
- 모든 경기는 홍콩에서 열렸다.
1975년 6월 17일, 홍콩 정부 경기장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일본의 경기에서 안세욱이 페널티골로 득점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 – 0으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에는 30,000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2]
1975년 6월 19일, 홍콩 정부 경기장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싱가포르의 경기가 열렸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 – 0으로 승리하였다.
1975년 6월 21일, 홍콩 정부 경기장에서 일본과 싱가포르의 경기가 열렸다. 오치아이와 나가이가 득점하여 일본이 2 – 1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는 20,000명의 관중이 입장하였고, 탐순룩이 심판을 맡았다.
준결승1975년 6월 23일, 홍콩 정부 경기장에서 열린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의 준결승 경기에서, 리위티에와 커우우상이 득점하고 아라이가 만회골을 넣어 중화인민공화국이 2-1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에는 20,000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4]
1975년 6월 24일, 홍콩 정부 경기장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홍콩의 준결승 경기가 열렸고, 3 – 3 무승부 후 승부차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1 – 10으로 승리하였다.
3. 2. 4. 결선 토너먼트
1975년 6월 14일부터 6월 26일까지 홍콩에서 결선 토너먼트가 진행되었다.| 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비고 |
|---|---|---|---|---|
| 1975년 6월 23일 | 중화인민공화국 | 2 – 1 | 일본 | [5] |
| 1975년 6월 24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3 (승부차기 11 – 10) | 홍콩 | |
| 1975년 6월 26일 | 홍콩 | 0 – 1 | 일본 | [6] |
| 1975년 6월 26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0 | 중화인민공화국 |
- 모든 경기는 홍콩 홍콩 정부 경기장에서 열렸다.
- 당초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하였으나, 이후 기권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이 대신 진출하였다.
3. 3. 4조 (태국 개최)
1975년 3월 15일부터 3월 24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4조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4. 본선 진출국
AFC영어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하는 대회로, 1976년 대회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국이 결정되었다. 개최국인 이란과 전 대회 우승팀인 쿠웨이트는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1조에서는 쿠웨이트와 남예멘을 제외한 다른 팀들이 기권하면서 두 팀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1]
2조에서는 이라크가 6경기에서 5승 1무를 기록하며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3승 1무 2패로 조 2위를 기록했으나, 이후 기권했다. 3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나, 후에 기권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이 대신 진출하였다. 4조에서는 말레이시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결과적으로, 1976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는 개최국 이란, 자동 진출한 쿠웨이트와 남예멘, 그리고 예선을 통과한 이라크, 중화인민공화국, 말레이시아가 참가하게 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본선 진출권을 얻었으나 기권하였다.
5. 참고 사항
이란은 개최국 및 전 대회 우승팀 자격으로 본선에 진출하였다. 이스라엘과 중화민국은 1974년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 추방되어 예선에 참가할 수 없었다. 바레인, 레바논, 파키스탄, 시리아, 방글라데시, 인도, 요르단, 네팔, 미얀마, 스리랑카, 크메르 공화국, 라오스, 필리핀은 예선 도중에 기권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مباريات منتخب العراق الدولية 70-79
http://www.niiiis.co[...]
[2]
웹사이트
Japan International Matches - Details 1970-1979
https://www.rsssf.or[...]
[3]
웹사이트
Japan International Matches - Details 1970-1979
https://www.rsssf.or[...]
[4]
웹사이트
http://www.rsssf.com[...]
[5]
웹사이트
http://www.rsssf.com[...]
[6]
웹사이트
http://www.rsssf.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