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8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멕시코에서 개최되었으며, 총 16개 팀이 참가하여 7개 도시의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렀다.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결승전에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4강에 진출하여 FIFA 주관 대회 사상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브라질의 제오바니 파리아 다 시우바는 골든볼과 골든슈를 모두 수상했고, 대한민국은 페어플레이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98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198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1983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개최된 제1회 대회로, 동독이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칼 루이스, 야르밀라 크라토츠빌로바 등이 활약했다.
  •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983년 세계 조정 선수권 대회
    1983년 세계 조정 선수권 대회는 여러 종목에서 메달이 수여되었으며, 남자 더블스컬에서는 서독, 남자 무타페어에서는 동독, 여자 개인전에서는 유타 함페가 금메달을 획득했고, 메달 집계에서는 동독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198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정보
대회 명칭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
다른 명칭코파 문디알 후베닐 멕시코 '83
멕시코 83 로고
개최국멕시코
개최 기간1983년 6월 2일 - 6월 19일
참가 팀 수16
참가 연맹 수6
개최 도시 수7
경기장 수7
결과
우승팀브라질 U-20
우승 횟수1회
준우승팀아르헨티나 U-20
3위 팀폴란드 U-20
4위 팀대한민국 U-20
총 경기 수32
총 득점 수91
총 관중 수1155160
득점왕제오바니 (6골)
최우수 선수제오바니
페어플레이 상대한민국 U-20
대회 연혁
이전 대회1981
다음 대회1985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도시경기장
멕시코시티에스타디오 아스테카
과달라하라에스타디오 할리스코
푸에블라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
몬테레이에스타디오 테크놀로히코
톨루카에스타디오 네메시오 디에스
레온에스타디오 레온
이라푸아토에스타디오 세르히오 레온 차베스


3. 본선 진출 팀

198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총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AFC (아시아), CAF (아프리카), CONCACAF (북중미&카리브), CONMEBOL (남아메리카), OFC (오세아니아), UEFA (유럽)의 6개 대륙 연맹별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 팀이 결정되었다.

대륙 연맹예선 순위출전 국가/지역출전 횟수
AFC1위대한민국3회 연속 3회
2위중국첫 출전
CAF1위나이지리아첫 출전
2위코트디부아르3회 만에 2회
CONCACAF개최국멕시코4회 연속 4회
2위미국[4]2회 연속 2회
CONMEBOL1위브라질2회 연속 3회
2위우루과이4회 연속 4회
3위아르헨티나3회 연속 3회
OFC1위호주[5]2회 연속 2회
UEFA1위스코틀랜드첫 출전
2위체코슬로바키아첫 출전
3위소련2회 만에 3회
4위폴란드3회 연속 3회
5위오스트리아3회 만에 2회
5위네덜란드첫 출전


3. 1. 본선 진출 팀 목록

대륙 연맹예선 대회본선 진출 팀
AFC (아시아)1982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대한민국, 중국
CAF (아프리카)1983년 아프리카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코트디부아르, 나이지리아
CONCACAF (북중미&카리브)개최국멕시코
1982년 CONCACAF U-20 토너먼트미국
CONMEBOL (남아메리카)1983년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
OFC (오세아니아)1982년 O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호주
UEFA (유럽)1982년 UEFA U-18 축구 선수권 대회오스트리아, 체코슬로바키아, 네덜란드, 폴란드, 스코틀랜드, 소련


4. 조별 리그

198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에 진출했다.[1]

조별 리그에서는 각 팀이 같은 조의 다른 팀들과 한 번씩 경기를 치렀다. 경기 결과에 따라 승리 팀에게는 승점 3점, 무승부 팀에게는 승점 1점이 주어졌고, 패배 팀에게는 승점이 주어지지 않았다. 각 조에서 승점이 가장 높은 두 팀이 8강에 진출했으며, 승점이 같을 경우 득실차, 득점 순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A조에서는 스코틀랜드대한민국이, B조에서는 우루과이폴란드가 8강에 진출했다. C조에서는 아르헨티나와 체코슬로바키아가, D조에서는 브라질네덜란드가 8강에 진출했다.

4. 1. A조

신연호에스타디오 아스테카 (멕시코시티)1983년 6월 8일오스트레일리아2 - 1 승김종건
김종부에스타디오 네메시오 디에스 (톨루카)


4. 2. B조

승점경기득실차
Selección de fútbol sub-20 de Uruguay|우루과이 20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es5321063+3
Reprezentacja Polski U-20 w piłce nożnej mężczyzn|폴란드 20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pl43201105+5
''United States mens national under-20 soccer team|미국 20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영어'''2310235-2
''Équipe de Côte dIvoire des moins de 20 ans de football|코트디부아르 20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어'''1301228-6



경기 결과
일시팀 1결과팀 2경기장
1983년 6월 3일 14:007 – 2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 푸에블라
1983년 6월 3일 19:003 – 2에스타디오 할리스코, 과달라하라
1983년 6월 5일 14:001 – 0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 푸에블라
1983년 6월 6일 17:003 – 1에스타디오 누에보 캄프, 레온
1983년 6월 8일 14:002 – 0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 푸에블라
1983년 6월 8일 15:000 – 0에스타디오 세르히오 레온 차베스, 이라푸아토


4. 3. C조

순위승점경기득실차
1 스코틀랜드4320142+2
2 대한민국43201440
3 오스트레일리아33111440
4 멕시코1301224-2



스코틀랜드와 대한민국이 승점 4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스코틀랜드가 득실차에서 앞서 조 1위를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멕시코는 탈락했다.

4. 4. D조

승점경기득실차
style="text-align:left;" |7321063+3
style="text-align:left;" |63201105+5
style="text-align:left;" |3310235-2
style="text-align:left;" |1301228-6



경기일시간팀 1득점팀 2경기장
1983년 6월 3일14:007 – 2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 푸에블라
1983년 6월 3일19:003 – 2에스타디오 할리스코, 과달라하라
1983년 6월 5일14:001 – 0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 푸에블라
1983년 6월 5일17:003 – 1에스타디오 누에보 캄프, 레온
1983년 6월 8일14:002 – 0에스타디오 쿠아우테목, 푸에블라
1983년 6월 8일15:000 – 0에스타디오 세르히오 레온 차베스, 이라푸아토


5. 결선 토너먼트

198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를 통과한 8개 팀이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대한민국우루과이를, 폴란드스코틀랜드를, 아르헨티나네덜란드를, 브라질체코슬로바키아를 각각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아르헨티나가 폴란드를 1-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브라질에 1-2로 패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3·4위전에서는 폴란드가 대한민국을 연장 접전 끝에 2-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4위를 기록했다.

결승전에서는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5. 1. 8강전

198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8강전은 6월 11일과 12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경기결과
대한민국우루과이 (몬테레이)신연호의 두 골(, )로 대한민국이 마르티네스()가 한 골을 넣은 우루과이를 연장전 끝에 2-1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1]
폴란드스코틀랜드 (멕시코시티)폴란드가 클레멘츠()의 골로 스코틀랜드를 1-0으로 꺾었다.
아르헨티나네덜란드 (레온)아르헨티나가 보렐리(), 가오나()의 골로 반 바스텐()이 한 골을 넣은 네덜란드를 2-1로 꺾었다.
브라질체코슬로바키아 (과달라하라)브라질이 둥가(), 베베투(), 지오바니(, )의 연속골로 도스탈()이 한 골을 넣은 체코슬로바키아를 4-1로 꺾었다.


5. 2. 준결승전

1983년 6월 15일멕시코에서 198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준결승전 두 경기가 진행되었다.

에스타디오 아스테카(멕시코시티)에서 열린 폴란드아르헨티나의 경기에서는 사라테가 후반 14분에 결승골을 기록하여 아르헨티나가 1-0으로 승리하였다.[2] 이 경기에는 39,896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

에스타디오 테크놀로히코(몬테레이)에서 열린 대한민국브라질의 경기에서는 김종부가 전반 14분 선제골을 넣었으나, 전반 22분 지우마르와 후반 36분 마리뉴 항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대한민국이 1-2로 패배하였다.[2] 이 경기에는 55,914명의 관중이 입장하였다.

5. 3. 3·4위전

198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3·4위전은 1983년 6월 18일 과달라하라의 에스타디오 할리스코에서 열렸다. 대한민국은 폴란드와의 경기에서 이기근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크라우제와 셰판스키에게 연달아 골을 허용하며 1-2로 역전패했다.[1]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대한민국은 4위를 기록했다.

5. 4. 결승전

198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은 1983년 6월 19일 멕시코 멕시코 시티의 에스타디오 아스테카에서 열렸다. 브라질아르헨티나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3] 제오바니가 결승골을 기록했다.[3] 이날 경기에는 110,0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6. 최종 순위

순위국가
1 브라질
2 아르헨티나
3 폴란드
4 대한민국
5 스코틀랜드
6 체코슬로바키아
7 소련
8 네덜란드
9 우루과이
10 코트디부아르
11 미국
12 멕시코
13 오스트레일리아
14 중국
15 나이지리아
16 오스트리아



브라질의 지오바니는 6골을 넣어 골든 부트를 수상했다. 총 61명의 선수들이 91골을 넣었으며, 이 중 1골은 자책골이었다.

7. 수상

수상 선수/팀비고
골든볼 (대회 MVP) 제오바니우승
골든슈 (득점왕) 제오바니6골
페어플레이상 대한민국1회



제오바니는 골든볼과 골든슈를 모두 수상했다.[3]

참조

[1] 문서 Russian Soviet Federative Socialist Republic
[2] 웹사이트 RSSSF https://www.rsssf.or[...]
[3] 웹사이트 Technical Report https://web.archive.[...] FIFA.com 1983-01-01
[4] 문서 優勝したホンジュラスが失格になったため繰り上げ。
[5] 문서 CONCACAFユーストーナメント3位のコスタリカと所属連盟未定のイスラエルとのプレーオフに勝利し本大会出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