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가나와 나이지리아가 공동 개최한 대회로, 16개 팀이 참가하여 우승을 다퉜다. 카메룬이 결승에서 나이지리아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3위, 튀니지가 4위를 기록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숀 바틀렛이 5골로 득점왕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한 대회로, 예비 예선과 조별 리그를 거쳐 가나와 나이지리아 공동 개최로 특별 플레이오프가 진행되었으며 최종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연도 | 2000 |
![]() | |
개최국 | 가나, 나이지리아 |
대회 기간 | 2000년 1월 22일 – 2000년 2월 13일 |
참가 팀 수 | 16 |
경기장 수 | 4 |
도시 수 | 4 |
결과 | |
우승팀 | 카메룬 |
우승 횟수 | 3 |
준우승팀 | 나이지리아 |
3위팀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위팀 | 튀니지 |
총 경기 수 | 32 |
총 득점 수 | 73 |
총 관중 수 | 677500 |
개인 기록 | |
득점왕 | 숀 바틀렛 (5골) |
최우수 선수 | 로렌 |
대회 통계 | |
이전 대회 | 1998 |
다음 대회 | 2002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개최 도시 및 경기장 | |||
---|---|---|---|
아크라 | 쿠마시 | 라고스 | 카노 |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 | 쿠마시 스포츠 경기장 | 라고스 국립 경기장 | 사니 아바차 경기장 |
수용 인원: 40,000명 | 수용 인원: 51,500명 | 수용 인원: 55,000명 | 수용 인원: 25,000명 |
![]() | ![]() | ![]() | ![]() |
가나는 아크라와 쿠마시에서 경기를 개최했다.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은 40,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쿠마시 스포츠 경기장은 51,5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라고스와 카노에서 경기가 개최되었다. 라고스 국립 경기장은 55,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사니 아바차 경기장은 25,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2. 1. 가나
가나는 아크라와 쿠마시에서 경기를 개최했다. 아크라 스포츠 스타디움은 40,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바바 야라 스타디움은 51,500명을 수용할 수 있다.2. 2.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에서는 라고스와 카노에서 경기가 개최되었다. 라고스 국립 경기장은 55,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사니 아바차 스타디움은 25,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3. 예선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공동 개최국인 가나/Ghana영어와 나이지리아/Nigeria영어, 그리고 전 대회 우승국인 이집트/Egypt영어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나머지 13개국은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팀 | 예선 통과 자격 | 이전 토너먼트 참가 횟수 |
---|---|---|
공동 개최국 | 12 (1963, 1965, 1968, 1970, '1978', 1980, 1982, 1984, 1992, 1994, 1996, 1998) | |
공동 개최국 | 10 (1963, 1976, 1978, '1980', 1982, 1984, 1988, 1990, 1992, 1994) | |
전 대회 우승국 | 16 (1957, '1959', 1962, 1963, 1970, 1974, 1976,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 |
7조 준우승팀 | 10 (196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 |
5조 우승팀 | 3 (1978, 1996, 1998) | |
1조 우승팀 | 10 (1970, 1972,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 |
6조 준우승팀 | 11 (1965, 1968, 1970, 1972, 1974, 1976, 1988, 1992, 1994, 1996, 1998) | |
3조 준우승팀 | 5 (1968 1972, 1974, 1978, 1992) | |
3조 우승팀 | 13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 |
4조 준우승팀 | 2 (1994, 1996) | |
2조 우승팀 | 8 (1972, 1976, 1978, 1980, 1986, 1988, 1992, 1998) | |
4조 우승팀 | 2 ('1996', 1998) | |
플레이오프 우승팀 | 6 (1965, 1968, 1986, 1990, 1992, 1994) | |
2조 준우승팀 | 3 (1972, 1984, 1998) | |
7조 우승팀 | 8 (1962, 1963, 1965, 1978, 1982, 1994, 1996, 1998) | |
6조 우승팀 | 9 (1974, 1978, 1982, 1986, 1990, 1992, 1994, 1996, 1998) |
3. 1. 본선 진출국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공동 개최국인 가나/Ghana영어와 나이지리아/Nigeria영어, 그리고 전 대회 우승국인 이집트/Egypt영어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나머지 13개국은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팀 | 예선 통과 자격 | 이전 토너먼트 참가 횟수 |
---|---|---|
공동 개최국 | 12 (1963, 1965, 1968, 1970, '1978', 1980, 1982, 1984, 1992, 1994, 1996, 1998) | |
공동 개최국 | 10 (1963, 1976, 1978, '1980', 1982, 1984, 1988, 1990, 1992, 1994) | |
전 대회 우승국 | 16 (1957, '1959', 1962, 1963, 1970, 1974, 1976,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 |
7조 준우승팀 | 10 (1968, 1980,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 |
5조 우승팀 | 3 (1978, 1996, 1998) | |
1조 우승팀 | 10 (1970, 1972, 1982, 1984, 1986, 1988, 1990, 1992, 1996, 1998) | |
6조 준우승팀 | 11 (1965, 1968, 1970, 1972, 1974, 1976, 1988, 1992, 1994, 1996, 1998) | |
3조 준우승팀 | 5 (1968 1972, 1974, 1978, 1992) | |
3조 우승팀 | 13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 |
4조 준우승팀 | 2 (1994, 1996) | |
2조 우승팀 | 8 (1972, 1976, 1978, 1980, 1986, 1988, 1992, 1998) | |
4조 우승팀 | 2 ('1996', 1998) | |
플레이오프 우승팀 | 6 (1965, 1968, 1986, 1990, 1992, 1994) | |
2조 준우승팀 | 3 (1972, 1984, 1998) | |
7조 우승팀 | 8 (1962, 1963, 1965, 1978, 1982, 1994, 1996, 1998) | |
6조 우승팀 | 9 (1974, 1978, 1982, 1986, 1990, 1992, 1994, 1996, 1998) |
4. 선수 명단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참가한 선수 명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라.
5. 조별 리그
녹색으로 강조된 팀은 8강에 진출한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GMT (UTC) 및 WAT (UTC +1))을 따른다.
== A조 ==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A조는 4개 팀(가나,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토고) 모두 3경기에서 승점 4점을 획득하며, 조별 리그에서 유일하게 모든 팀이 동일한 승점을 기록하였다.
2000년 1월 22일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아크라)에서 열린 가나와 카메룬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콰메 아예우(가나)가 후반 57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마르크-앙투안 포에(카메룬)가 전반 19분에 동점골을 기록하였다.
2000년 1월 24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코트디부아르와 토고의 경기도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티에르소수아 겔(코트디부아르)이 전반 38분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란타메 와드자(토고)가 후반 19분 동점골을 성공시켰다.
2000년 1월 27일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에서 가나는 토고를 2-0으로 꺾었다. 콰메 아예우가 전반 28분, 오토 아도가 전반 37분에 득점하였다.
2000년 1월 28일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에서 카메룬은 코트디부아르를 3-0으로 완파했다. 레이몽 칼라가 전반 29분, 사무엘 에토가 전반 45분, 패트릭 음보마가 후반 90분에 득점하였다.
2000년 1월 31일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에서 코트디부아르는 가나를 2-0으로 이겼다. 보나벤투르 칼루가 전반 45분, 도날드-올리비에 시에가 후반 84분에 골을 넣었다.
같은 날 쿠마시 스포츠 경기장(쿠마시)에서 열린 카메룬과 토고의 경기는 토고가 1-0으로 승리했다. 마사마소 창가이가 전반 18분에 결승골을 기록하였다.
== B조 ==
B조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알제리, 콩고 민주 공화국, 가봉이 경기를 치렀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2승 1무(승점 7점)로 조 1위를, 알제리는 1승 2무(승점 5점)로 조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2무 1패(승점 2점), 가봉은 1무 2패(승점 1점)로 탈락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2000년 1월 23일, 쿠마시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가봉의 경기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3-1로 승리했다.
- 2000년 1월 24일, 쿠마시에서 열린 콩고 민주 공화국과 알제리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 2000년 1월 27일, 쿠마시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기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0으로 승리했다.
- 2000년 1월 29일, 쿠마시에서 열린 알제리와 가봉의 경기에서는 알제리가 3-1로 승리했다.
- 2000년 2월 2일, 쿠마시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알제리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 같은 날 아크라에서 열린 콩고 민주 공화국과 가봉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 C조 ==
C조에서는 이집트, 세네갈, 잠비아, 부르키나파소가 경기를 치렀다. 이집트는 3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고, 세네갈은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잠비아는 2무 1패, 부르키나파소는 1무 2패로 각각 조 3위와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이집트 | 3 | 3 | 0 | 0 | 7 | 2 | +5 | 9 |
세네갈 | 3 | 1 | 1 | 1 | 5 | 4 | +1 | 4 |
잠비아 | 3 | 0 | 2 | 1 | 3 | 5 | −2 | 2 |
부르키나파소 | 3 | 0 | 1 | 2 | 4 | 8 | −4 | 1 |
- 2000년 1월 23일, 이집트는 잠비아를 2-0으로 이겼다.
- 2000년 1월 25일, 부르키나파소는 세네갈에 1-3으로 졌다.
- 2000년 1월 28일, 이집트는 세네갈을 1-0으로 이겼다.
- 2000년 1월 29일, 잠비아와 부르키나파소는 1-1로 비겼다.
- 2000년 2월 2일, 이집트는 부르키나파소를 4-2로 이겼고, 같은 날 잠비아와 세네갈은 2-2로 비겼다.
모든 경기는 나이지리아의 카노에 위치한 사니 아바차 경기장에서 진행되었으나, 잠비아와 세네갈의 경기는 라고스 국립 경기장(라고스)에서 열렸다.
== D조 ==
D조의 경기는 라고스 국립 경기장과 사니 아바차 경기장에서 열렸다.
2000년 1월 23일 라고스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튀니지의 경기에서 나이지리아는 오코차와 이크페바의 득점에 힘입어 4-2로 승리하였다. 1월 25일에는 모로코가 바시르의 골로 콩고 공화국을 1-0으로 이겼다.
1월 28일 나이지리아와 콩고 공화국, 튀니지와 모로코는 각각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월 3일에는 나이지리아가 조지와 아가호와의 골로 모로코를 2-0으로 이겼고, 같은 날 카노에서 열린 튀니지와 콩고 공화국의 경기에서는 튀니지가 자이디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5. 1. A조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A조는 4개 팀(가나,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토고) 모두 3경기에서 승점 4점을 획득하며, 조별 리그에서 유일하게 모든 팀이 동일한 승점을 기록하였다.
2000년 1월 22일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아크라)에서 열린 가나와 카메룬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콰메 아예우(가나)가 후반 57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마르크-앙투안 포에(카메룬)가 전반 19분에 동점골을 기록하였다.
2000년 1월 24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코트디부아르와 토고의 경기도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티에르소수아 겔(코트디부아르)이 전반 38분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란타메 와드자(토고)가 후반 19분 동점골을 성공시켰다.
2000년 1월 27일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에서 가나는 토고를 2-0으로 꺾었다. 콰메 아예우가 전반 28분, 오토 아도가 전반 37분에 득점하였다.
2000년 1월 28일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에서 카메룬은 코트디부아르를 3-0으로 완파했다. 레이몽 칼라가 전반 29분, 사무엘 에토가 전반 45분, 패트릭 음보마가 후반 90분에 득점하였다.
2000년 1월 31일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에서 코트디부아르는 가나를 2-0으로 이겼다. 보나벤투르 칼루가 전반 45분, 도날드-올리비에 시에가 후반 84분에 골을 넣었다.
같은 날 쿠마시 스포츠 경기장(쿠마시)에서 열린 카메룬과 토고의 경기는 토고가 1-0으로 승리했다. 마사마소 창가이가 전반 18분에 결승골을 기록하였다.
5. 2. B조
B조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알제리, 콩고 민주 공화국, 가봉이 경기를 치렀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2승 1무(승점 7점)로 조 1위를, 알제리는 1승 2무(승점 5점)로 조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2무 1패(승점 2점), 가봉은 1무 2패(승점 1점)로 탈락했다.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2000년 1월 23일, 쿠마시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가봉의 경기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3-1로 승리했다.
- 2000년 1월 24일, 쿠마시에서 열린 콩고 민주 공화국과 알제리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 2000년 1월 27일, 쿠마시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기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0으로 승리했다.
- 2000년 1월 29일, 쿠마시에서 열린 알제리와 가봉의 경기에서는 알제리가 3-1로 승리했다.
- 2000년 2월 2일, 쿠마시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알제리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 같은 날 아크라에서 열린 콩고 민주 공화국과 가봉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5. 3. C조
C조에서는 이집트, 세네갈, 잠비아, 부르키나파소가 경기를 치렀다. 이집트는 3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8강에 진출했고, 세네갈은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잠비아는 2무 1패, 부르키나파소는 1무 2패로 각각 조 3위와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이집트 | 3 | 3 | 0 | 0 | 7 | 2 | +5 | 9 |
세네갈 | 3 | 1 | 1 | 1 | 5 | 4 | +1 | 4 |
잠비아 | 3 | 0 | 2 | 1 | 3 | 5 | −2 | 2 |
부르키나파소 | 3 | 0 | 1 | 2 | 4 | 8 | −4 | 1 |
- 2000년 1월 23일, 이집트는 잠비아를 2-0으로 이겼다.
- 2000년 1월 25일, 부르키나파소는 세네갈에 1-3으로 졌다.
- 2000년 1월 28일, 이집트는 세네갈을 1-0으로 이겼다.
- 2000년 1월 29일, 잠비아와 부르키나파소는 1-1로 비겼다.
- 2000년 2월 2일, 이집트는 부르키나파소를 4-2로 이겼고, 같은 날 잠비아와 세네갈은 2-2로 비겼다.
모든 경기는 나이지리아의 카노에 위치한 사니 아바차 경기장에서 진행되었으나, 잠비아와 세네갈의 경기는 라고스의 라고스 국립 경기장에서 열렸다.
5. 4. D조
D조의 경기는 라고스 국립 경기장과 사니 아바차 경기장에서 열렸다.2000년 1월 23일 라고스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튀니지의 경기에서 나이지리아는 오코차와 이크페바의 득점에 힘입어 4-2로 승리하였다. 1월 25일에는 모로코가 바시르의 골로 콩고 공화국을 1-0으로 이겼다.
1월 28일 나이지리아와 콩고 공화국, 튀니지와 모로코는 각각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월 3일에는 나이지리아가 조지와 아가호와의 골로 모로코를 2-0으로 이겼고, 같은 날 카노에서 열린 튀니지와 콩고 공화국의 경기에서는 튀니지가 자이디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6. 결선 토너먼트
8강전은 2000년 2월 6일과 2월 7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2월 6일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에서 열린 카메룬과 알제리의 경기는 카메룬이 2-1로 승리했다. 카메룬은 전반 7분 에토의 골과 전반 24분 푀의 골로 앞서나갔고, 알제리는 후반 79분 타스파우트가 한 골을 만회하는 데 그쳤다. 같은 날 쿠마시 스포츠 경기장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가나의 경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0으로 승리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전반 42분 노므베테의 골로 승리했다.
2월 7일 사니 아바차 경기장에서 열린 이집트와 튀니지의 경기는 튀니지가 1-0으로 승리했다. 튀니지는 전반 22분 바드라의 페널티킥 골로 승리했다. 같은 날 라고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세네갈의 경기는 나이지리아가 연장전 끝에 2-1로 승리했다. 세네갈은 전반 7분 파디가의 골로 앞서나갔으나, 나이지리아는 후반 40분과 연장 전반 2분 아가호와의 연속 골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준결승전은 2000년 2월 10일에 진행되었다.
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는 16시 30분(UTC+1)에 라고스의 라고스 국립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티자니 바방이다의 득점에 힘입어 나이지리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의 주심은 이집트의 가말 알-간두르였으며, 60,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였다.
카메룬과 튀니지의 경기는 18시 30분(UTC+0)에 아크라의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패트릭 음보마의 두 골과 사무엘 에토의 한 골로 카메룬이 3-0으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의 주심은 아랍 에미리트의 알리 부자임였으며, 6,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였다.
2000년 2월 12일 16시(UTC+0)에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아크라)에서 3·4위전이 열렸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튀니지가 맞붙었으며, 숀 바틀렛과 시야봉가 노벰베가 득점하고, 튀니지의 알리 지투니가 2골을 넣어 2-2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다. 승부차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4-3으로 튀니지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 이날 경기의 주심은 베냉의 코피 코자가 맡았으며, 1,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2000년 2월 13일, 라고스의 라고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카메룬과 나이지리아가 맞붙었다. 전반 26분 에토의 선제골과 31분 음보마의 추가골로 카메룬이 앞서갔으나, 전반 45분 추쿠와 후반 47분 오코차의 연속골로 나이지리아가 동점을 만들었다. 연장전까지 2-2로 승부를 가리지 못한 양 팀은 승부차기에 돌입했고, 카메룬이 4-3으로 승리하며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는 튀니지의 무라드 다아미 심판이 주관하였고, 60,000명의 관중이 운집했다.
6. 1. 8강전
8강전은 2000년 2월 6일과 2월 7일에 걸쳐 진행되었다.2월 6일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에서 열린 카메룬과 알제리의 경기는 카메룬이 2-1로 승리했다. 카메룬은 전반 7분 에토의 골과 전반 24분 푀의 골로 앞서나갔고, 알제리는 후반 79분 타스파우트가 한 골을 만회하는 데 그쳤다. 같은 날 쿠마시 스포츠 경기장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가나의 경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1-0으로 승리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전반 42분 노므베테의 골로 승리했다.
2월 7일 사니 아바차 경기장에서 열린 이집트와 튀니지의 경기는 튀니지가 1-0으로 승리했다. 튀니지는 전반 22분 바드라의 페널티킥 골로 승리했다. 같은 날 라고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세네갈의 경기는 나이지리아가 연장전 끝에 2-1로 승리했다. 세네갈은 전반 7분 파디가의 골로 앞서나갔으나, 나이지리아는 후반 40분과 연장 전반 2분 아가호와의 연속 골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6. 2. 준결승전
준결승전은 2000년 2월 10일에 진행되었다.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는 16시 30분(UTC+1)에 라고스의 라고스 국립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티자니 바방이다의 득점에 힘입어 나이지리아가 2-0으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의 주심은 이집트의 가말 알-간두르였으며, 60,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였다.
카메룬과 튀니지의 경기는 18시 30분(UTC+0)에 아크라의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패트릭 음보마의 두 골과 사무엘 에토의 한 골로 카메룬이 3-0으로 승리하였다. 이 경기의 주심은 아랍 에미리트의 알리 부자임였으며, 6,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하였다.
6. 3. 3·4위전
2000년 2월 12일 16시(UTC+0)에 아크라 스포츠 경기장(아크라)에서 3·4위전이 열렸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튀니지가 맞붙었으며, 숀 바틀렛과 시야봉가 노벰베가 득점하고, 튀니지의 알리 지투니가 2골을 넣어 2-2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다. 승부차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4-3으로 튀니지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 이날 경기의 주심은 베냉의 코피 코자가 맡았으며, 1,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6. 4. 결승전
2000년 2월 13일, 라고스의 라고스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카메룬과 나이지리아가 맞붙었다. 전반 26분 에토의 선제골과 31분 음보마의 추가골로 카메룬이 앞서갔으나, 전반 45분 추쿠와 후반 47분 오코차의 연속골로 나이지리아가 동점을 만들었다. 연장전까지 2-2로 승부를 가리지 못한 양 팀은 승부차기에 돌입했고, 카메룬이 4-3으로 승리하며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는 튀니지의 무라드 다아미 심판이 주관하였고, 60,000명의 관중이 운집했다.7. 우승
세 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