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칸 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칸 영화제는 2006년에 개최된 영화제로, 다양한 영화 부문과 심사위원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경쟁 부문에서는 켄 로치 감독의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의 《바벨》,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귀향》 등 다수의 작품이 수상했다.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는 윤종빈 감독의 《용서받지 못한 자》가, 감독 주간에는 봉준호 감독의 《괴물》이 초청되었다. 심사위원으로는 왕가위가 심사위원장을 맡았으며, 다양한 국적의 영화인들이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영화제 - 제63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제63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는 2006년에 개최되었으며, 자장커 감독의 《스틸 라이프》가 황금사자상을 수상했고, 카트린 드뇌브가 심사위원장을 맡았으며 박찬욱 감독도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 2006년 영화제 - 제11회 부산국제영화제
2006년에 개최된 제11회 부산국제영화제는 '새로운 물결', '한국영화의 오늘' 등 다양한 섹션에서 여러 국가의 영화를 상영하고, 유덕화에게 아시아 영화인상을 수여하는 등 다양한 시상을 진행했다. - 2006년 영화상 - 제43회 대종상
제43회 대종상은 2006년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왕의 남자》가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고, 이준익 감독, 감우성, 전도연 등이 각 부문별 상을 받았다. - 2006년 영화상 - 제79회 아카데미상
제79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2007년 2월 25일에 엘렌 드제너러스의 사회로 개최되었으며, 《디파티드》가 작품상 등을 수상하고, 《불편한 진실》이 주제가상과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했다. - 칸 영화제 -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은 1946년부터 수여되어 칸 영화제에서 권위 있는 상 중 하나이며, 이자벨 위페르 등이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1979년부터 1981년까지의 기간을 제외하고는 주연 또는 조연 역할에 대해 시상한다. - 칸 영화제 - 1993년 칸 영화제
1993년 칸 영화제는 루이 말 심사위원장 아래 첸 카이거 감독의 《패왕별희》와 제인 캠피온 감독의 《피아노》가 황금종려상을 공동 수상한 프랑스 칸에서 개최된 영화제이다.
2006년 칸 영화제 | |
---|---|
기본 정보 | |
![]() | |
행사명 | 제59회 칸 영화제 |
개최지 | 칸, 프랑스 |
시작 날짜 | 2006년 5월 17일 |
종료 날짜 | 2006년 5월 28일 |
사회자 | 뱅상 카셀 |
개막작 | 다 빈치 코드 |
폐막작 | 트란실바니아 |
설립 년도 | 1946년 |
이전 행사 | 2005년 |
다음 행사 | 2007년 |
공식 웹사이트 | 칸 영화제 공식 웹사이트 |
주요 경쟁 부문 | |
경쟁 부문 | 20편 |
황금종려상 |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
기타 정보 | |
주목할 만한 시선 | 포스터 |
2. 주요 경쟁 부문
2006년 칸 영화제 주요 경쟁 부문에는 총 20편의 영화가 초청되어 황금종려상을 두고 경쟁했다.[11]
한국어 제목 | 원제 | 감독 | 제작 국가 |
---|---|---|---|
바벨 | Babel |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 미국영어, 멕시코es, 프랑스프랑스어, 모로코ar |
카이만 | Il caimano | 난니 모레티 | 이탈리아it |
찰리 세이즈 | Selon Charlie | 니콜 가르시아 | 프랑스프랑스어 |
탈출의 연대기 | Crónica de una fuga | 이스라엘 아드리안 카에타노 | 아르헨티나es |
클라이미츠 | İklimler | 누리 빌게 제일란 | 터키tr |
거대한 젊음 | Juventude em Marcha | 페드루 코스타 | 포르투갈pt |
영광의 날들 | Indigènes | 라시드 부샤렙 | 프랑스프랑스어, 모로코ar, 벨기에프랑스어, 알제리ar |
가족의 친구 | 'Lamico di famiglia'' | 파올로 소렌티노 | 이탈리아it |
패스트푸드 네이션 | Fast Food Nation | 리처드 링클레이터 | 미국영어, 영국영어 |
플랑드르 | Flandres | 브뤼노 뒤몽 | 프랑스프랑스어 |
황혼의 빛 | Laitakaupungin valot | 아키 카우리스마키 | 핀란드fi, 독일de, 프랑스프랑스어 |
마리 앙투아네트 | Marie Antoinette | 소피아 코폴라 | 미국영어, 프랑스프랑스어, 일본일본어 |
판의 미로 | El laberinto del fauno | 기예르모 델 토로 | 스페인es, 멕시코es |
레드 로드 | Red Road | 앤드리아 아놀드 | 영국영어, 덴마크da |
가장 약자의 권리 | La Raison du plus faible | 루카스 벨보 | 벨기에프랑스어 |
사우스랜드 테일스 | Southland Tales | 리처드 켈리 | 미국영어, 독일de |
여름 궁전 | 頤和園 | 러우 예 | 중국중국어 |
귀향 | Volver | 페드로 알모도바르 | 스페인es |
가수였을 때 | 'Quand jétais chanteur'' | 자비에르 지아놀리 | 프랑스프랑스어 |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 켄 로치 | 아일랜드영어, 영국영어, 이탈리아it, 독일de, 프랑스프랑스어, 스페인es, 스위스de |
켄 로치 감독의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감독의 바벨이 감독상을,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귀향이 각본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2. 1. 황금종려상 수상작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영어 (켄 로치 감독)은 2006년 칸 영화제에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11] 켄 로치 감독은 13번째 출품 만에 처음으로 최고상을 받았다. 이 작품은 아일랜드 독립 투쟁을 배경으로 형제간의 갈등을 그렸다. 유력한 후보로 언급되었던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감독의 Babel|바벨영어은 감독상을,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Volver|귀향es은 여우주연상과 각본상을 받았다.2. 2. 기타 경쟁작
다음은 황금종려상을 두고 경쟁한 장편 영화들이다.[11]한국어 제목 | 원제 | 감독 | 제작 국가 |
---|---|---|---|
바벨 | Babel |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 미국영어, 멕시코es, 프랑스프랑스어, 모로코ar |
카이만 | Il caimano | 난니 모레티 | 이탈리아it |
찰리 세이즈 | Selon Charlie | 니콜 가르시아 | 프랑스프랑스어 |
탈출의 연대기 | Crónica de una fuga | 이스라엘 아드리안 카에타노 | 아르헨티나es |
클라이미츠 | İklimler | 누리 빌게 제일란 | 터키tr |
거대한 젊음 | Juventude em Marcha | 페드루 코스타 | 포르투갈pt |
영광의 날들 | Indigènes | 라시드 부샤렙 | 프랑스프랑스어, 모로코ar, 벨기에프랑스어, 알제리ar |
가족의 친구 | 'Lamico di famiglia'' | 파올로 소렌티노 | 이탈리아it |
패스트푸드 네이션 | Fast Food Nation | 리처드 링클레이터 | 미국영어, 영국영어 |
플랑드르 | Flandres | 브뤼노 뒤몽 | 프랑스프랑스어 |
황혼의 빛 | Laitakaupungin valot | 아키 카우리스마키 | 핀란드fi, 독일de, 프랑스프랑스어 |
마리 앙투아네트 | Marie Antoinette | 소피아 코폴라 | 미국영어, 프랑스프랑스어, 일본일본어 |
판의 미로 | El laberinto del fauno | 기예르모 델 토로 | 스페인es, 멕시코es |
레드 로드 | Red Road | 앤드리아 아놀드 | 영국영어, 덴마크da |
가장 약자의 권리 | La Raison du plus faible | 루카스 벨보 | 벨기에프랑스어 |
사우스랜드 테일스 | Southland Tales | 리처드 켈리 | 미국영어, 독일de |
여름 궁전 | 頤和園 | 러우 예 | 중국중국어 |
귀향 | Volver | 페드로 알모도바르 | 스페인es |
가수였을 때 | 'Quand jétais chanteur'' | 자비에르 지아놀리 | 프랑스프랑스어 |
2006년 칸 영화제에서는 경쟁 부문 외에도 다양한 부문의 영화들이 소개되었다.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서는 왕 차오 감독의 《럭셔리 카(Luxury Car)》가 중국 사회의 변화상을 그려내 주목할 만한 시선 상을 수상했고,[18] 윤종빈 감독의 용서받지 못한 자는 한국 군대 내 폭력을 다룬 작품으로 이 부문에 선정되었다.[11]
3. 그 외 부문
감독 주간에는 니시카와 미와 감독의 유레루와 봉준호 감독의 괴물이 출품되었다.[1]
비경쟁 부문에서는 화제작 및 특별 상영작으로 론 하워드 감독의 《다빈치 코드》가 개막작으로 상영되었고, 두기봉 감독의 《선거 2》, 브렛 래트너 감독의 《엑스맨: 최후의 전쟁》 등이 소개되었다.[11] 데이비스 구겐하임의 《불편한 진실》은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의 환경 운동을 다룬 다큐멘터리로 주목받았다.
3. 1. 주목할 만한 시선
2006년 칸 영화제의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은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영화들을 소개하는 섹션이다.[11]
영어 제목 | 원제 | 감독 | 제작 국가 |
---|---|---|---|
2:37 | 무랄리 K. 탈루리 | 오스트레일리아 | |
977 | Девять семь семь | 니콜라이 호메리키 | 러시아 |
블레드 넘버 원 | 라바 아메르-자이메체 | 알제리, 프랑스 | |
프렌치 캘리포니아 | La Californie | 자크 피에스키 | 프랑스 |
살인자들 | Meurtrières | 패트릭 그랑페레 | 프랑스 |
페이지 터너 | La Tourneuse de pages | 데니 드케르 | 프랑스 |
파라과이 해먹 | Hamaca paraguaya | 파스 엔시나 | 파라과이 |
파리, 나는 당신을 사랑해요 | 구린더 차다, 브루노 포달리데스, 구스 반 산트,코언 형제, 월터 살레스와 다니엘라 토마스, 크리스토퍼 도일, 이자벨 코이셰, 스와 노부히로, 실뱅 쇼메, 알폰소 쿠아론, 올리비에 아사야스, 올리버 슈미츠, 리처드 라그라베네스, 빈센조 나탈리, 웨스 크레이븐, 톰 티크베어, 제라르 드파르디외, 프레데릭 오버틴, 알렉산더 페인 | 프랑스, 독일,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 |
리-사이클 | 鬼域 | 팡 형제 | 홍콩, 태국 |
리트리벌 | Z odzysku | 스와보미르 파비키 | 폴란드 |
살바도르 | Salvador (Puig Antich) | 마누엘 우에르가 | 스페인, 영국 |
어 스캐너 다클리 | 리처드 링클레이터 | 미국 | |
세람비 | 가린 누그로호, 토니 트리마르산토, 비바 웨스티, 리안토 루세노 | 인도네시아 | |
서버번 메이헴 | 폴 골드만 | 오스트레일리아 | |
택시더미아 | 죄르지 팔피 | 헝가리, 오스트리아, 프랑스 | |
텐 카누스 | 롤프 드 히어 | 오스트레일리아 | |
천국에 가려면 먼저 죽어야 한다 | Чтобы Добраться до Небес Сначала, Вы должны Умереть | 잠셰드 우스모노프 | 타지키스탄 |
바이올린 | El violin | 프란시스코 바르가스 | 멕시코 |
세상의 끝에서 보낸 시간 | Cum mi-am petrecut sfârșitul lumii | 커털린 미툴레스쿠 | 루마니아 |
웨딩 디렉터 | Il regista di matrimoni | 마르코 벨로키오 | 이탈리아 |
유 앰 아이 | Aš esi tu | 크리스티요나스 빌지우나스 | 리투아니아 |
우로 | 스테판 팔드바켄 | 노르웨이 |
- '''주목할 만한 시선 심사위원 특별상''': 《텐 카누(Ten Canoes)》, 롤프 드 히어
- '''''여우주연상''''': 도로테아 페트레 - 《내가 세상의 마지막을 보낸 방식(The Way I Spent the End of the World)》
- '''''남우주연상''''': 안헬 타비라 - 《더 바이올린(The Violin)》
- '''''주목할 만한 시선 심사위원장상''''': 《머더러스(Murderers)》, 패트릭 그랑페레
3. 1. 1. 수상작
왕 차오 감독의 《럭셔리 카(Luxury Car)》는 중국 사회의 변화상을 그린 작품으로 주목할 만한 시선 상을 수상했다.[18]3. 1. 2. 한국 영화
윤종빈 감독의 용서받지 못한 자는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선정되었다.[11] 이 영화는 한국 군대 내 폭력을 다룬 작품이다.3. 2. 감독 주간
니시카와 미와 감독의 유레루와 봉준호 감독의 괴물이 출품되었다.[1]3. 2. 1. 한국 영화
봉준호 감독의 괴물이 출품되었다.[1]3. 3. 비경쟁 부문
경쟁 부문 외에 화제작 및 특별 상영작을 소개한다.[11]영어 제목 | 원제 | 감독 | 제작 국가 |
---|---|---|---|
다빈치 코드 (개막작) | 론 하워드 | 미국, 몰타, 프랑스, 영국 | |
선거 2 | 黑社會:以和爲貴 | 두기봉 | 홍콩 |
할림 | حليم | 셰리프 아라파 | 이집트 |
나는 단지 살고 싶었다 | Volevo solo vivere | 미모 칼로프레스티 | 이탈리아 |
Ici Najac, à vous la terre | 장-앙리 뫼니에 | 프랑스 | |
오 라 라! | Nouvelle chance | 앤 퐁텐 | 프랑스 |
엑스맨: 최후의 전쟁 | 브렛 래트너 | 미국 |
3. 3. 1. 주목할 만한 작품
- 불편한 진실 - 데이비스 구겐하임
- 아비다 - 베누아 델핀 외
- 바마코 - 압델라만 씨사코
- 대박! 헐리우드의 대작과 초대작 - 빌 코터리
- 룸 666 - 빔 벤더스
- 지단, 21세기의 초상 - 필립 파레노
- 불타는 집 - 홀게르 에른스트
- 헷지 - 팀 존슨 외
- 트란실베니아 - 토니 갓리프
- 플라이트 93 - 폴 그린그래스
- 커튼 레이저 - 프랑소와 오종
- 볼레보 솔로 비베레 - 미모 칼로프레스티
- 워터 다이어리 - 제인 캠피온
- 스탠리의 여자친구 - 몬테 헬맨
- 프랭크 게리의 스케치 - 시드니 폴락
- 시다 - 가스파 노에
- 레퀴엠 포 빌리 더 키드 - 앤 페인실버
- 숏버스 - 존 카메론 미첼
- 누벨 찬스 - 안 퐁텐
- 기호들 - 유진 그린
- 나작 - 진-앙리 뮈니에르
- 실크 - 수 차오핑
- 흑사회 2 - 두기봉
- 이 소녀들 - 타하니 라체드
- 점원들 2 - 케빈 스미스
- 보이 온 갤러핑 호스 - 애덤 구진스키
데이비스 구겐하임의 《불편한 진실》은 앨 고어 전 미국 부통령의 환경 운동을 다룬 다큐멘터리이다.
4. 심사위원
다음은 여러 부문에서 심사위원으로 임명된 사람들이다.[10]
4. 1. 경쟁 부문
왕가위 (홍콩 영화 감독)가 심사위원장을 맡았으며, 심사위원은 다음과 같다.[10]- 모니카 벨루치 (이탈리아 배우)
- 헬레나 본햄 카터 (영국 배우)
- 새뮤얼 L. 잭슨 (미국 배우)
- 파트리스 르콩트 (프랑스 배우, 감독, 각본가)
- 루크레시아 마르텔 (아르헨티나 영화 감독)
- 팀 로스 (영국 배우)
- 엘리아 술레이만 (팔레스타인 영화 감독)
- 장쯔이 (중국 배우)
경쟁 부문에는 20편의 작품이 출품되었으며, 켄 로치 감독의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로치 감독은 13번째 출품만에 첫 최고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유력 후보로 거론되었던 『바벨』과 『귀향』은 각각 감독상과 여우주연상·각본상 수상에 그쳤다.
4. 2. 시네파운데이션 및 단편 영화 부문
안드레이 콘찰로프스키(러시아 영화감독)가 심사위원장을 맡았으며, 심사위원은 다음과 같다.[1]시네파운데이션에서는 다음 작품들이 수상했다.
- 1등: ''게 & 제타''(Ge & Zeta) - 구스타보 리에트
- 2등: ''슈바르츠 씨, 하젠 씨 & 호를로커 씨''(Mr. Schwartz, Mr. Hazen & Mr. Horlocker) - 스테판 뮐러
- 3등:
- * ''마더''(Mother) - 시안 헤더
- * ''르 비루스''(Le virus) - 아그네스 코시스|Ágnes Kocsishu
5. 한국 영화
2006년 칸 영화제에서는 한국 영화가 경쟁 부문에는 진출하지 못했지만, 봉준호 감독의 괴물이 감독 주간에, 윤종빈 감독의 용서받지 못한 자가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각각 초청되어 작품성을 인정받았다.[1]
5. 1. 《괴물》 (봉준호)
봉준호 감독의 괴물이 감독 주간 부문에 초청되었다.[1]5. 2. 《용서받지 못한 자》 (윤종빈)
윤종빈의 용서받지 못한 자는 2006년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되었다. 한국 군대 내의 폭력과 부조리한 관행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배우 하정우의 강렬한 연기가 돋보이는 작품이다.6. 사회적/정치적 함의
켄 로치 감독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면서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영화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경쟁 부문에 출품된 여러 영화들은 전쟁, 사회 불평등, 환경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다루며, 영화가 현실을 반영하고 변화를 촉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Posters 2006
http://www.festival-[...]
[2]
뉴스
Wong picked as Cannes's first Chinese president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2017-05-26
[3]
웹사이트
59ème Festival de Cannes
http://www.cinema-fr[...]
2017-06-29
[4]
웹사이트
Cannes 2006 / Palmarés
http://www.cannes-fe[...]
2017-06-29
[5]
뉴스
Fast Facts: 59th Cannes Film Festival Winners
https://www.foxnews.[...]
Fox News
2006-05-29
[6]
뉴스
2006 Cannes Film Festival Winners
http://www.strangecu[...]
2017-05-26
[7]
뉴스
Da Vinci Code to open 2006 Cannes film festival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Limited
2017-05-26
[8]
뉴스
Cannes 2006 – Preview
http://www.urbancine[...]
2017-05-26
[9]
웹사이트
Posters 2006
http://www.festival-[...]
[10]
웹사이트
All Juries 2006
http://www.festival-[...]
[11]
웹사이트
Official Selection 2006: All the Selection
http://www.festival-[...]
[12]
웹사이트
Cannes Classics — Documentaries about Cinema
http://www.festival-[...]
2017-07-25
[13]
웹사이트
Cannes Classics — Tribute
http://www.festival-[...]
2017-07-26
[14]
웹사이트
Cannes Classics — Restored prints
http://www.festival-[...]
2017-07-25
[15]
웹사이트
45e Selecion de la Semaine de la Critique - 2006
http://archives.sema[...]
2017-06-28
[16]
웹사이트
Quinzaine 2006
https://www.quinzain[...]
2017-06-28
[17]
웹사이트
Awards 2006: All Awards
http://www.festival-[...]
[18]
웹사이트
Awards 2006: Un Certain Regard
http://www.festival-[...]
[19]
웹사이트
FIPRESCI Awards 2006
http://www.fipresci.[...]
2017-06-29
[20]
웹사이트
Jury Œcuménique Palmarés 2006
http://cannes.juryoe[...]
2017-06-29
[21]
웹사이트
Association Prix François Chalais Cannes 2006
http://www.francois-[...]
2017-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