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FIFA 클럽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은 7개 팀이 참가하여 일본의 요코하마, 도쿄, 도요타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부터 개최국 팀을 포함해 출전 팀 수가 7개로 확대되었으며, 같은 국가의 축구 협회에 소속된 팀의 중복 참가를 불허하는 규정이 추가되었다. AC 밀란이 보카 주니어스를 결승전에서 4-2로 꺾고 우승했으며, 카카가 골든볼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 2007년 FIFA U-17 월드컵
2007년 FIFA U-17 월드컵은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어 24개국이 참가, 나이지리아가 우승했으며,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토니 크로스, 매컬리 크리산투스 등의 수상자를 배출한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7년 세계 선수권 대회 - 2007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2007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는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경영, 다이빙,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수구, 오픈 워터 스위밍의 5가지 종목으로 개최되었으며, 박태환의 금메달 획득 등 대한민국 선수들의 활약과 2008년 하계 올림픽 예선전으로서의 의미를 가졌다. - 2007년 12월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는 이명박 후보가 48.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경제 대통령 이미지와 정권 교체 여론, BBK 주가 조작 의혹 논란, 낮은 투표율, 지역별 표심 차이 등이 특징이다. - 2007년 12월 - 삼성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
삼성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는 2007년 삼성중공업 소유의 크레인 바지선과 유조선 허베이 스피릿 호의 충돌로 발생하여 태안 해안 일대에 대규모 원유 유출 피해를 입힌 사건이다. - 2007년 축구 - 2007년 AFC 아시안컵
2007년 AFC 아시안컵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 4개국 공동 개최, 새로운 시드 배정 방식과 디펜딩 챔피언 자동 출전권 폐지 등의 변화, 이라크의 우승과 유니스 마무드의 최우수 선수 선정, 그리고 이라크 전쟁 이후 이라크의 승리라는 의미를 지닌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의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7년 축구 - 2007년 OFC 챔피언스리그
2007년 OFC 챔피언스리그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회원국 클럽들이 참가한 국제 클럽 축구 대회로, 뉴질랜드의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가 피지의 바 FC를 꺾고 우승했으며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의 코민스 메나피 선수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FIFA 클럽 월드컵 2007 |
기타 명칭 | FIFA Club World Cup Japan 2007 presented by Toyota Toyota プレゼンツ FIFAクラブワールドカップ ジャパン2007 |
개최국 | 일본 |
개최 기간 | 2007년 12월 7일 ~ 12월 16일 |
참가 팀 수 | 7 |
참가 연맹 수 | 6 |
개최 도시 수 | 3 |
개최 도시 | 3 |
결과 | |
우승 | AC 밀란 |
우승 횟수 | 1 |
준우승 | 보카 주니어스 |
3위 | 우라와 레즈 |
4위 | 에투알 뒤 사헬 |
통계 | |
경기 수 | 7 |
총 득점 | 21 |
총 관중 수 | 315279 |
최다 득점자 | 와싱통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3골 |
최우수 선수 | 카카 (밀란) |
페어 플레이 상 | 우라와 레즈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06 |
다음 대회 | 2008 |
엠블럼 | |
![]() |
2. 출전 팀
FIFA 클럽 월드컵은 6개 대륙의 클럽 대항전 우승 팀들이 참가하는 대회이다. 2007년 대회에는 각 대륙 챔피언십 우승 팀들이 출전 자격을 얻었다. 특히, 오세아니아 챔피언은 개최국 리그 우승 팀과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 진출을 결정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2] 일본 팀이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할 경우,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비일본 팀이 개최국 자격을 얻는 규정이 적용되었다.[3]
본선에 진출한 7개 팀은 모두 FIFA 클럽 월드컵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2. 1. 출전 팀 선정 방식 변화
이 대회부터 출전 팀 수가 기존의 6개에서 개최국 팀을 포함한 7개로 확대되었다. 다만, 같은 국가의 축구협회에 소속된 팀의 중복 참가는 허용되지 않는 규정이 추가되었다. 만약 개최국의 축구협회에 소속된 팀이 대륙별 클럽 대항전에서 우승하는 경우, 그 팀은 대륙별 클럽 대항전 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한다. 대신 그 대륙별 클럽 대항전에서 개최국의 축구협회에 소속된 팀을 제외하고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팀이 개최국 대표로 참가하는 팀을 대신하여 참가하게 된다.[2][3]2007년 J리그 디비전 1에서 가시마 앤틀러스가 우승하여 본래대로라면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하여 뉴질랜드의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와 플레이오프에서 대결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07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우라와 레즈가 우승함에 따라 개최국 팀의 중복 참가 불허 규정이 적용되어, AFC 챔피언스리그 2007 준우승팀인 이란의 세파한이 대신 참가하게 되었다.[5]
2. 2. 출전 팀 목록
이 대회부터 출전 팀 수가 기존의 6개에서 개최국 팀을 포함한 7개로 확대되었다. 다만, 같은 국가의 축구협회에 소속된 팀의 중복 참가는 불허하는 규정이 추가되었다. 만약 개최국의 축구협회에 소속된 팀이 대륙별 클럽 대항전에서 우승하는 경우, 그 팀은 대륙별 클럽 대항전 우승팀 자격으로 참가한다. 대신 그 대륙별 클럽 대항전에서 개최국의 축구협회에 소속된 팀을 제외하고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팀이 개최국 대표로 참가하는 팀을 대신하여 참가하게 된다.[2][3]2007년 J리그 디비전 1에서 가시마 앤틀러스가 우승하여 본래대로라면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하여 뉴질랜드의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와 플레이오프에서 대결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2007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우라와 레즈가 우승함에 따라 개최국 팀의 중복 참가 불허 규정이 적용되어, AFC 챔피언스리그 2007 준우승팀인 이란의 세파한이 대신 참가하게 되었다.[4]
팀명 | 소속 연맹 | 자격 | 출전 횟수 |
---|---|---|---|
준결승전 자동 진출 | |||
보카 주니어스 | 남미 축구 연맹 | 200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 | 1번째 출전 |
밀란 | 유럽 축구 연맹 | 2006-07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준준결승전 자동 진출 | |||
우라와 레즈 | 아시아 축구 연맹 | 2007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에투알 뒤 사엘 | 아프리카 축구 연맹 | 2007년 CAF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파추카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 2007년 CONCACAF 챔피언스컵 우승 | 1번째 출전 |
준준결승전 진출팀 결정전 진출 | |||
세파한 | 아시아 축구 연맹[5] | 2007년 AFC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 1번째 출전 |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 2007년 OFC 챔피언스리그 우승 | 1번째 출전 |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은 요코하마, 도쿄, 도요타 세 도시의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의 모든 경기는 현지 시간(UTC+9)을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3. 경기장
경기장 도시 수용 인원 요코하마 국제경기장 요코하마 72,327명 국립경기장 도쿄 57,363명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 45,000명
4. 경기 결과
경기 날짜 장소 팀 1 결과 팀 2 8강전 진출 플레이오프 12월 7일 도쿄 세파한 3-1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 8강전 12월 9일 도쿄 에투알 뒤 사엘 1-0 파추카 8강전 12월 10일 도요타 세파한 1-3 우라와 레즈 준결승전 12월 12일 도쿄 에투알 뒤 사엘 0-1 보카 주니어스 준결승전 12월 13일 요코하마 우라와 레즈 0-1 밀란 3·4위전 12월 16일 요코하마 우라와 레즈 2-2 (승부차기 4-2) 에투알 뒤 사엘 결승전 12월 16일 요코하마 밀란 4-2 보카 주니어스
4. 1. 경기 진행 방식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 경기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
경기 | 날짜 | 장소 | 팀 1 | 결과 | 팀 2 |
---|---|---|---|---|---|
8강전 진출 플레이오프 | 12월 7일 | 도쿄 | 세파한영어 (اصفهانfa) | 3-1 |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영어 |
8강전 | 12월 9일 | 도쿄 | 에투알 뒤 샤헬프랑스어 | 1-0 | 파추카es |
8강전 | 12월 10일 | 도요타 | 세파한영어 (اصفهانfa) | 1-3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일본어 |
준결승전 | 12월 12일 | 도쿄 | 에투알 뒤 샤헬프랑스어 | 0-1 | 보카 주니어스es |
준결승전 | 12월 13일 | 요코하마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일본어 | 0-1 | 밀란it |
3위 결정전 | 12월 16일 | 요코하마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일본어 | 2-2 (승부차기 4-2) | 에투알 뒤 샤헬프랑스어 |
결승전 | 12월 16일 | 요코하마 | 밀란it | 4-2 | 보카 주니어스es |
4. 2. 토너먼트표
8강전 진출 플레이오프 |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
12월 9일 - 도쿄 | 12월 10일 - 도요타 | 12월 12일 - 도쿄 | 12월 13일 - 요코하마 | 12월 16일 - 요코하마 | ||
12월 7일 - 도쿄 | 세파한 | 3 | 에투알 뒤 샤헬 | 0 | 보카 주니어스 | 2 |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 | 1 | |||||
에투알 뒤 샤헬 | 1 | 보카 주니어스 | 1 | 밀란 | 4 | |
파추카 | 0 | |||||
세파한 | 1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0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3 | 밀란 | 1 | |||
3위 결정전 | ||||||
12월 16일 - 요코하마 | ||||||
에투알 뒤 샤헬 | 2 (2)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승부차기) | 2 (4) |
- 모든 시간은 한국 시간(UTC+9) 기준이다.
4. 3. 플레이오프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 플레이오프 경기는 2007년 12월 7일 도쿄에서 열렸다. 세파한(이란)과 와이타케레 유나이티드(뉴질랜드)의 경기에서 세파한이 3-1로 승리했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9) 기준이다.
4. 4. 준준결승전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 준준결승전은 두 경기로 진행되었다.- 12월 9일 도쿄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는 에투알 뒤 사엘(튀니지)이 파추카(멕시코)를 1-0으로 꺾었다. 나리가 후반 85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1]
- 12월 10일 도요타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우라와 레즈(일본)가 세파한(이란)을 3-1로 이겼다. 나가이가 전반 32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와싱통이 후반 54분에 추가골을 기록했다. 세파한의 아길리는 후반 70분에 자책골을 넣었으며, 세파한의 카리미가 후반 80분에 만회골을 넣었다.[2]
경기일 | 경기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2007년 12월 9일 | 14:45 | 에투알 뒤 사엘 | 1 - 0 | 파추카 | 국립경기장, 도쿄 | 34,934명 |
2007년 12월 10일 | 19:30 | 세파한 | 1 - 3 | 우라와 레즈 | 도요타 스타디움, 도요타 | 33,263명 |
4. 5. 준결승전
2007년 12월 12일과 13일,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 준결승전 두 경기가 열렸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JST/UTC+9)을 기준으로 한다.- 12월 12일 도쿄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는 에투알 뒤 사엘(튀니지)과 보카 주니어스(아르헨티나)가 맞붙었다. 카르도소가 전반 37분에 득점하여 보카 주니어스가 1-0으로 승리했다.[1] 관중 수는 37,255명이었고, 덴마크 출신 클라우스 보 라르센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 12월 13일 요코하마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우라와 레즈(일본)와 밀란(이탈리아)이 맞붙었다. 세이도르프가 후반 68분에 득점하여 밀란이 1-0으로 승리했다.[2] 관중 수는 67,005명이었고, 우루과이 출신 호르헤 라리온다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날짜 | 시간 | 팀 1 | 득점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심판 |
---|---|---|---|---|---|---|---|
2007년 12월 12일 | 19:30 | 에투알 뒤 사엘 | 0 – 1 | 보카 주니어스 | 국립경기장, 도쿄 | 37,255 | 클라우스 보 라르센 |
2007년 12월 13일 | 19:30 | 우라와 레즈 | 0 – 1 | 밀란 | 국제종합경기장, 요코하마 | 67,005 | 호르헤 라리온다 |
4. 6. 3·4위전
2007년 12월 16일 요코하마 국제종합경기장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우라와 레즈와 에투알 뒤 사엘이 맞붙었다. 경기는 연장전까지 2-2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우라와 레즈가 4-2로 승리했다.[1]
이 경기는 피터 오릴리 (뉴질랜드) 심판이 주관했으며, 53,363명의 관중이 입장했다.[1]
4. 7. 결승전
2007년 12월 16일, 요코하마에서 2007년 FIFA 클럽 월드컵 결승전이 열렸다. 이 경기에서 밀란(이탈리아)이 보카 주니어스(아르헨티나)를 4-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경기 시작 21분 만에 인차기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팔라시오가 곧바로 동점골을 터뜨리며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다. 후반전에는 네스타와 카카의 연속골로 밀란이 앞서나갔고, 인차기가 다시 한 골을 추가하며 승부에 쐐기를 박았다. 보카 주니어스는 암브로시니의 자책골로 한 점을 만회했지만, 경기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 경기에서 카하 칼라제(보카 주니어스)와 파블로 레데스마(AC 밀란)가 퇴장당하는 등 경기는 다소 과열된 양상을 보였다. 관중 수는 68,263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주심은 멕시코 출신의 마르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가 맡았다.
경기 정보 | |
---|---|
날짜 | 2007년 12월 16일 |
시간 | 19:30 (JST/UTC+9) |
경기장 | 국제종합경기장, 요코하마 |
관중 수 | 68,263명 |
주심 | 마르코 안토니오 로드리게스 (멕시코) |
경기 결과 | |
보카 주니어스 | 2 |
밀란 | 4 |
득점 선수 | |
보카 주니어스 | 밀란 |
팔라시오 암브로시니 (자책골) | 인차기 네스타 카카 |
5. 우승 팀
첫 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