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경기는 2010년 2월 16일부터 18일까지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으로 진행되었으며, 2월 27일 갈라 쇼가 열렸다. 에반 라이사첵이 금메달, 예브게니 플루셴코가 은메달, 다카하시 다이스케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예브게니 플루셴코가 1위, 에반 라이사첵과 다카하시 다이스케가 2, 3위를 기록했다. 프리 스케이팅에서 라이사첵은 1위를 차지했고, 플루셴코와 스테판 랑비엘이 그 뒤를 이었다. 경기 후 플루셴코는 채점 방식에 대한 불만을 제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경기는 김연아가 쇼트와 프리 스케이팅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총점 228.56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하고 세계 신기록을 세운 대회이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스노보드 크로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스노보드 크로스는 32강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세스 웨스콧이 금메달, 마이크 로버트슨이 은메달, 토니 라모잉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남자
2010년 동계 올림픽 스켈레톤 남자 경기는 2월 18일과 19일에 걸쳐 4차례의 주행으로 진행되었으며, 존 몽고메리, 마르틴스 두쿠르스, 알렉산드르 트레티야코프가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 조인호 선수는 22위를 기록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
2010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0m 계주는 캐나다가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한 쇼트트랙 종목이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단체 추월
2010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단체 추월 경기는 2010년 2월에 개최되었으며, 독일이 금메달, 일본이 은메달, 폴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8위를 기록했다.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 |
올림픽 | 2010년 동계 올림픽 |
종목 | 피겨 스케이팅 |
세부 종목 | 남자 싱글 |
경기장 | 퍼시픽 콜리세움 , 밴쿠버,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캐나다 |
날짜 | 2010년 2월 16일, 2010년 2월 18일 |
참가 선수 | 30명 |
참가 국가 | 20개국 |
우승 점수 | 257.67점 |
이전 대회 | 2006년 |
다음 대회 | 2014년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에번 라이서첵 , 미국 |
은메달 | 예브게니 플루셴코 , 러시아 |
동메달 | 다카하시 다이스케 , 일본 |
관련 문서 | |
예선 | 예선 |
싱글 | 남자 여자 |
페어 | 혼성 |
아이스 댄스 | 혼성 |
2. 경기 일정
- 일시는 현지 시간(태평양 표준시)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사이에는 하루의 휴식일이 있었으며, 이 기간 동안에는 쇼트트랙 경기와 피겨 스케이팅 경기장의 연습이 진행되었다.
3. 참가 선수
국가 | 선수 |
---|---|
오스트리아 | 빅토르 파이퍼[1] |
벨기에 | 케빈 반 더 페렌[1] |
캐나다 | 패트릭 챈[2] |
본 취퍼[2] | |
체코 | 미칼 브레지나[3] |
토마스 베르너[3] | |
핀란드 | 알리페카 누멘카리[1] |
프랑스 | 플로랑 아모디오[1] |
브리앙 주베르[1] | |
독일 | 스테판 린더만 |
이탈리아 | 사무엘 콘테스티[1] |
파올로 바치니 | |
일본 | 고즈카 다카히코[1] |
오다 노부나리[1] | |
다카하시 다이스케[1] | |
카자흐스탄 | 아브잘 라킴갈리예프[1] |
데니스 텐[1]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리성철[1] |
폴란드 | 프르제미슬라브 도만스키[1] |
루마니아 | 졸탄 켈레멘[1] |
러시아 | 아르템 보로둘린[4] |
예브게니 플루셴코[1] | |
슬로베니아 | 그레고르 우르바스[1] |
스페인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1] |
스웨덴 | 아드리안 슐타이스[1] |
스위스 | 스테판 랑비엘[1] |
우크라이나 | 안톤 코왈레프스키[1] |
미국 | 제레미 에봇[5] |
에반 라이사첵[5] | |
조니 위어[5] |
4. 경기 결과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경기는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스케이팅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는 예브게니 플루셴코가 90.85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에반 라이서첵과 다카하시 다이스케가 90점대의 점수로 그 뒤를 이었다. 프리스케이팅에서는 에반 라이서첵이 167.37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예브게니 플루셴코는 165.51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최종 합계 결과, 에반 라이서첵이 총점 257.67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예브게니 플루셴코가 256.36점으로 은메달, 다카하시 다이스케가 247.23점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다카하시 다이스케는 일본 남자 피겨스케이팅 선수 최초로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4위는 스테판 랑비엘(246.72점), 5위는 패트릭 챈(241.42점), 6위는 조니 위어(238.87점)가 차지했다. 오다 노부나리는 7위(238.54점), 고즈카 다카히코는 8위(231.19점)에 머물렀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24위까지의 선수들이 프리스케이팅에 진출했으며, 25위 이하 선수들은 쇼트 프로그램 순위가 최종 순위가 되었다.
경기 후 예브게니 플루셴코는 채점 방식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며 논란이 일기도 했다.
4. 1. 쇼트 프로그램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쇼트 프로그램은 2010년 2월 16일에 열렸다.순위 | 이름 | 국가 | 총점 | 기술 요소 점수 | 프로그램 구성 점수 | 스케이팅 기술 | 변형 요소 점수 | 연기 점수 | 안무 점수 | 표현력 점수 | 감점 | 연기 순서 |
---|---|---|---|---|---|---|---|---|---|---|---|---|
1 | 예브게니 플루셴코 | 90.85 | 51.10 | 39.75 | 8.20 | 6.80 | 8.65 | 7.85 | 8.25 | 0.00 | 10 | |
2 | 에반 라이사첵 | 90.30 | 48.30 | 42.00 | 8.20 | 7.95 | 8.60 | 8.50 | 8.75 | 0.00 | 28 | |
3 | 다카하시 다이스케 | 90.25 | 48.90 | 41.35 | 8.30 | 7.50 | 8.55 | 8.30 | 8.70 | 0.00 | 17 | |
4 | 오다 노부나리 | 84.85 | 46.00 | 38.85 | 8.00 | 7.15 | 8.00 | 7.80 | 7.90 | 0.00 | 20 | |
5 | 스테판 랑비엘 | 84.63 | 41.48 | 43.15 | 8.50 | 8.20 | 8.65 | 8.65 | 9.15 | 0.00 | 19 | |
6 | 조니 위어 | 82.10 | 42.90 | 39.20 | 7.90 | 7.45 | 7.90 | 7.80 | 8.15 | 0.00 | 25 | |
7 | 패트릭 챈 | 81.12 | 41.42 | 40.70 | 8.30 | 7.85 | 8.00 | 8.25 | 8.30 | 1.00 | 24 | |
8 | 고즈카 다카히코 | 79.59 | 42.14 | 37.45 | 7.60 | 7.25 | 7.55 | 7.60 | 7.45 | 0.00 | 22 | |
9 | 미칼 브레지나 | 78.80 | 42.50 | 36.30 | 7.35 | 7.00 | 7.35 | 7.30 | 7.30 | 0.00 | 30 | |
10 | 데니스 텐 | 76.24 | 41.24 | 35.00 | 7.20 | 6.55 | 7.10 | 6.90 | 7.25 | 0.00 | 16 | |
11 | 플로랑 아모디오 | 75.35 | 41.90 | 33.45 | 6.65 | 6.40 | 6.80 | 6.65 | 6.95 | 0.00 | 4 | |
12 | 케빈 반 더 페렌 | 72.90 | 39.20 | 33.70 | 6.95 | 6.35 | 6.95 | 6.60 | 6.85 | 0.00 | 26 | |
13 | 아르템 보로둘린 | 72.24 | 39.94 | 32.30 | 6.50 | 5.95 | 6.70 | 6.55 | 6.60 | 0.00 | 13 | |
14 | 사무엘 콘테스티 | 70.60 | 36.60 | 35.00 | 7.15 | 6.60 | 7.10 | 7.00 | 7.15 | 1.00 | 23 | |
15 | 제레미 에봇 | 69.40 | 30.70 | 38.70 | 7.90 | 7.75 | 7.30 | 7.85 | 7.90 | 0.00 | 29 | |
16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68.69 | 37.64 | 31.05 | 6.25 | 5.85 | 6.30 | 6.15 | 6.50 | 0.00 | 15 | |
17 | 스테판 린더만 | 68.50 | 37.70 | 30.80 | 6.40 | 5.85 | 6.30 | 6.05 | 6.20 | 0.00 | 14 | |
18 | 브리앙 주베르 | 68.00 | 31.90 | 37.10 | 7.90 | 6.80 | 7.45 | 7.35 | 7.60 | 1.00 | 21 | |
19 | 토마스 베르너 | 65.32 | 30.02 | 36.30 | 7.50 | 7.05 | 7.20 | 7.30 | 7.25 | 1.00 | 27 | |
20 | 파올로 바치니 | 64.42 | 34.82 | 29.60 | 5.90 | 5.55 | 6.00 | 6.00 | 6.15 | 0.00 | 11 | |
21 | 안톤 코왈레프스키 | 63.81 | 36.66 | 27.15 | 5.60 | 4.90 | 5.60 | 5.40 | 5.65 | 0.00 | 2 | |
22 | 아드리안 슐타이스 | 63.13 | 32.78 | 30.35 | 6.25 | 5.85 | 6.25 | 6.00 | 6.00 | 0.00 | 18 | |
23 | 빅토르 파이퍼 | 60.88 | 34.08 | 26.80 | 5.45 | 5.05 | 5.50 | 5.25 | 5.55 | 0.00 | 5 | |
24 | 본 취퍼 | 57.22 | 30.22 | 27.00 | 5.80 | 5.05 | 5.35 | 5.40 | 5.40 | 0.00 | 9 | |
25 | 리성철 | 56.60 | 33.40 | 23.20 | 5.15 | 4.15 | 4.80 | 4.60 | 4.50 | 0.00 | 1 | |
26 | 아브잘 라킴갈리예프 | 55.88 | 32.48 | 23.40 | 5.05 | 4.45 | 4.80 | 4.50 | 4.60 | 0.00 | 6 | |
27 | 그레고르 우르바스 | 53.02 | 28.92 | 24.10 | 5.10 | 4.45 | 4.85 | 4.90 | 4.80 | 0.00 | 3 | |
28 | 프르제미슬라브 도만스키 | 52.14 | 28.44 | 23.70 | 4.80 | 4.60 | 4.80 | 4.80 | 4.70 | 0.00 | 7 | |
29 | 졸탄 켈레멘 | 51.95 | 27.40 | 25.55 | 5.25 | 4.75 | 5.25 | 5.10 | 5.20 | 1.00 | 12 | |
30 | 알리페카 누멘카리 | 44.62 | 22.72 | 22.90 | 5.00 | 4.30 | 4.50 | 4.70 | 4.40 | 1.00 | 8 |
예브게니 플루셴코가 90.85점으로 최고점을 기록하며 선두를 차지했고, 다카하시 다이스케와 에반 라이사첵이 90점대의 높은 점수로 그 뒤를 바짝 쫓았다. 오다 노부나리와 스테판 랑비엘은 80점대 중반의 점수로 1위 그룹과 약 6점 차이를 보였다.
한편, 브라이언 쥬베르와 토마시 베르너는 큰 실수를 범하며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총 30명의 참가 선수 중 상위 24명이 프리스케이팅에 진출했으며, 25위 이하는 쇼트 프로그램 순위가 최종 순위로 결정되었다.
4. 2. 프리 스케이팅
2월 18일에 남자 프리 스케이팅 경기가 열렸다.순위 | 이름 | 국가 | 총점 | 기술 점수 | 프로그램 구성 점수 | 스케이팅 기술 | 전환 | 경기력/수행 | 안무 | 음악 해석 | 감점 | 출발 번호 |
---|---|---|---|---|---|---|---|---|---|---|---|---|
1 | 에반 라이사첵 | 167.37 | 84.57 | 82.80 | 8.20 | 7.95 | 8.50 | 8.35 | 8.40 | 0.00 | 19 | |
2 | 예브게니 플루셴코 | 165.51 | 82.71 | 82.80 | 8.40 | 7.25 | 8.80 | 8.20 | 8.75 | 0.00 | 24 | |
3 | 스테판 랑비엘 | 162.09 | 78.49 | 83.60 | 8.30 | 8.05 | 8.30 | 8.45 | 8.70 | 0.00 | 21 | |
4 | 패트릭 챈 | 160.30 | 79.30 | 82.00 | 8.35 | 7.95 | 8.20 | 8.25 | 8.25 | 1.00 | 17 | |
5 | 다카하시 다이스케 | 156.98 | 73.48 | 84.50 | 8.55 | 8.15 | 8.50 | 8.40 | 8.65 | 1.00 | 22 | |
6 | 조니 위어 | 156.77 | 79.67 | 77.10 | 7.70 | 7.45 | 7.80 | 7.75 | 7.85 | 0.00 | 23 | |
7 | 오다 노부나리 | 153.69 | 79.69 | 77.00 | 8.00 | 7.25 | 7.80 | 7.70 | 7.75 | 3.00 | 20 | |
8 | 고즈카 다카히코 | 151.60 | 78.40 | 74.20 | 7.60 | 7.05 | 7.55 | 7.50 | 7.40 | 1.00 | 13 | |
9 | 제레미 에봇 | 149.56 | 71.56 | 79.00 | 7.90 | 7.80 | 7.80 | 7.95 | 8.05 | 1.00 | 9 | |
10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137.99 | 68.19 | 70.80 | 6.90 | 6.45 | 7.30 | 7.15 | 7.60 | 1.00 | 11 | |
11 | 미칼 브레지나 | 137.93 | 67.43 | 71.50 | 7.30 | 6.80 | 7.20 | 7.30 | 7.15 | 1.00 | 18 | |
12 | 아르템 보로둘린 | 137.92 | 72.62 | 65.30 | 6.60 | 5.95 | 6.95 | 6.50 | 6.65 | 0.00 | 8 | |
13 | 아드리안 슐타이스 | 137.31 | 74.01 | 63.30 | 6.25 | 5.95 | 6.45 | 6.40 | 6.60 | 0.00 | 6 | |
14 | 데니스 텐 | 135.01 | 67.61 | 67.40 | 6.85 | 6.30 | 6.85 | 6.80 | 6.90 | 0.00 | 14 | |
15 | 플로랑 아모디오 | 134.95 | 63.25 | 71.70 | 7.30 | 6.85 | 7.15 | 7.20 | 7.35 | 0.00 | 16 | |
16 | 브리앙 주베르 | 132.22 | 59.12 | 74.10 | 7.80 | 6.75 | 7.40 | 7.55 | 7.55 | 1.00 | 12 | |
17 | 토마스 베르너 | 119.42 | 52.62 | 67.80 | 7.05 | 6.50 | 6.45 | 7.20 | 6.70 | 1.00 | 1 | |
18 | 케빈 반 더 페렌 | 116.94 | 54.04 | 62.90 | 6.55 | 5.90 | 6.20 | 6.35 | 6.45 | 0.00 | 15 | |
19 | 사무엘 콘테스티 | 116.90 | 50.20 | 66.70 | 6.70 | 6.20 | 6.70 | 6.75 | 7.00 | 0.00 | 10 | |
20 | 빅토르 파이퍼 | 115.05 | 61.25 | 54.80 | 5.60 | 5.00 | 5.50 | 5.55 | 5.75 | 1.00 | 3 | |
21 | 본 취퍼 | 113.70 | 55.10 | 58.60 | 6.00 | 5.40 | 5.90 | 5.95 | 6.05 | 0.00 | 4 | |
22 | 파올로 바치니 | 112.79 | 55.19 | 57.60 | 5.95 | 5.20 | 5.95 | 5.75 | 5.95 | 0.00 | 2 | |
23 | 스테판 린더만 | 103.48 | 46.68 | 56.80 | 6.15 | 5.35 | 5.70 | 5.75 | 5.45 | 0.00 | 7 | |
24 | 안톤 코왈레프스키 | 102.09 | 49.99 | 55.10 | 5.70 | 5.30 | 5.45 | 5.60 | 5.50 | 3.00 | 5 |
쇼트 프로그램 다음 날 프리스케이팅이 진행되었다. 2월 17일에는 같은 링크에서 쇼트트랙 경기가 열렸다. 활주 순서는 쇼트 프로그램 성적이 낮은 선수부터 6개 그룹으로 나누어 성적이 낮은 그룹부터 먼저, 같은 그룹 내에서는 추첨으로 결정되었다.
쇼트 프로그램 후 상위 선수 기자 회견에서 고난도 기술인 4회전 점프의 유무에 대한 질문이 집중되었다.
최종 활주 그룹의 첫 번째 주자인 에번 라이서첵은 4회전 점프를 넣지 않은 구성을 고수하면서도 높은 수준의 연기를 선보였고, 이후에도 선두를 유지했다. 라이사첵 다음 세 번째로 등장한 다카하시 다이스케는 연기 초반 4회전 점프를 시도했지만 회전 부족으로 넘어졌고, 스텝과 구성 점에서는 연기자 중 최고 점수를 받았지만 총점에서는 라이사첵에게 미치지 못해 2위를 차지했다. 최종 주자로 등장한 예브게니 플루셴코는 연기 중 1회의 4회전 점프를 성공했고, 다른 점프에서도 넘어지거나 회전 부족은 없었지만, 스핀이나 스텝을 포함해 큰 가점을 얻지 못해 라이사첵에 약간 못 미쳤다. 다카하시 다이스케는 스테판 랑비엘을 근소하게 앞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경기 종료 후 예브게니 플루셴코는 채점 방식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며 물의를 빚었다.
4. 3. 최종 순위
순위 | 이름 | 국가 | 총점 | 쇼트 프로그램 | 프리 스케이팅 | ||
---|---|---|---|---|---|---|---|
순위 | 점수 | 순위 | 점수 | ||||
1 | 에반 라이사첵 | 미국 | 257.67 | 2 | 90.30 | 1 | 167.37 |
2 | 예브게니 플루셴코 | 러시아 | 256.36 | 1 | 90.85 | 2 | 165.51 |
3 | 다카하시 다이스케 | 일본 | 247.23 | 3 | 90.25 | 5 | 156.98 |
4 | 스테판 랑비엘 | 스위스 | 246.72 | 5 | 84.63 | 3 | 162.09 |
5 | 패트릭 챈 | 캐나다 | 241.42 | 7 | 81.12 | 4 | 160.30 |
6 | 조니 위어 | 미국 | 238.87 | 6 | 82.10 | 6 | 156.77 |
7 | 오다 노부나리 | 일본 | 238.54 | 4 | 84.85 | 7 | 153.69 |
8 | 고즈카 다카히코 | 일본 | 231.19 | 8 | 79.59 | 8 | 151.60 |
9 | 제레미 애벗 | 미국 | 218.96 | 15 | 69.40 | 9 | 149.56 |
10 | 미할 브르제지나 | 체코 | 216.73 | 9 | 78.80 | 11 | 137.93 |
11 | 데니스 텐 | 카자흐스탄 | 211.25 | 10 | 76.24 | 14 | 135.01 |
12 | 플로랑 아모디오 | 프랑스 | 210.30 | 11 | 75.35 | 15 | 134.95 |
13 | 아르툠 보로둘린 | 러시아 | 210.16 | 13 | 72.24 | 12 | 137.92 |
14 | 하비에르 페르난데스 | 스페인 | 206.68 | 16 | 68.69 | 10 | 137.99 |
15 | 아드리안 슈울타이스 | 스웨덴 | 200.44 | 22 | 63.13 | 13 | 137.31 |
16 | 브라이언 주베르 | 프랑스 | 200.22 | 18 | 68.00 | 16 | 132.22 |
17 | 케빈 반 데르 페렌 | 벨기에 | 189.84 | 12 | 72.90 | 18 | 116.94 |
18 | 사무엘 콘테스티 | 이탈리아 | 187.50 | 14 | 70.60 | 19 | 116.90 |
19 | 토마시 베르네르 | 체코 | 184.74 | 19 | 65.32 | 17 | 119.42 |
20 | 파올로 바키니 | 이탈리아 | 177.21 | 20 | 64.42 | 22 | 112.79 |
21 | 빅토르 파이퍼 | 오스트리아 | 175.93 | 23 | 60.88 | 20 | 115.05 |
22 | 슈테판 린데만 | 독일 | 171.98 | 17 | 68.50 | 23 | 103.48 |
23 | 보안 치피어 | 캐나다 | 170.92 | 24 | 57.22 | 21 | 113.70 |
24 | 안톤 코발레프스키 | 우크라이나 | 165.90 | 21 | 63.81 | 24 | 102.09 |
다음은 프리 스케이팅에 진출하지 못함 | |||||||
25 | 리송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5 | 56.60 | |||
26 | 압잘 라쿰할리예프 | 카자흐스탄 | 26 | 55.88 | |||
27 | 그리고르 울바스 | 슬로베니아 | 27 | 53.02 | |||
28 | 프셰미스와프 도만스키 | 폴란드 | 28 | 52.14 | |||
29 | 졸탄 케레멘 | 루마니아 | 29 | 51.95 | |||
30 | 알리-페카 누르멘칼리 | 핀란드 | 30 | 44.62 |
참조
[1]
웹인용
Figure Skating Athletes : Vancouver 2010 Winter Olympics and Paralympics
http://www.vancouver[...]
밴쿠버 올림픽 조직 위원회
2010-02-25
[2]
뉴스
Meet the 2010 Olympic Team for Figure Skating
https://web.archive.[...]
Skate Canada
2010-01-18
[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0-01-28
[4]
웹인용
Russia: names Vancouver Olympic team - AFP News : Vancouver 2010 Winter Olympics
http://www.vancouver[...]
2010-04-11
[5]
뉴스
U.S. Figure Skating Announces Men Nominated to 2010 U.S. Olympic Figure Skating Team
https://web.archive.[...]
U.S. Figure Skating
2010-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