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조별 리그
2013년 8월 26일 아부다비의 바브 알 바흐르 호텔에서 19:00(현지 시간, UTC+04:00)에 조별 리그 최종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8][9] 조 추첨에 앞서 FIFA는 개최국인 아랍에미리트가 티켓 판매를 돕기 위해 'A1'으로 배정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0] 아시아 축구 연맹(AFC),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유럽 축구 연맹(UEFA)의 각 대륙 챔피언들은 다른 다섯 그룹에 배정된다. 같은 대륙의 팀들은 조별 리그에서 서로 대결할 수 없다.
1번 시드 | 2번 시드 | 3번 시드 | 4번 시드 |
---|
| | | valign="top"| |
각 조의 1위와 2위 팀, 그리고 4개의 최고 성적을 거둔 3위 팀은 결선 토너먼트(16강)에 진출했다.[14]
각 조에서 각 팀의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모든 조별 경기에서 얻은 승점
# 모든 조별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모든 조별 경기에서 넣은 골 수
만약 위 세 가지 기준에서 두 팀 이상이 동률일 경우,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해당 팀 간의 조별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조별 경기에서의 골득실차
# 해당 팀 간의 조별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FIFA 조직위원회의 추첨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 UTC+04:00 기준이다.[15] 경기는 걸프 표준시(UTC+04:00)[17]에 시작되었다. 각 조 2위까지와 3위 중 상위 4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18]
=== A조 ===
2013년 FIFA U-17 월드컵 A조에서는 브라질, 온두라스, 슬로바키아, 아랍에미리트가 경쟁했다. 브라질은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온두라스와 슬로바키아는 각각 1승 1무 1패를 기록, 승점 4점으로 동률을 이뤘으나, 온두라스가 골득실에서 앞서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아랍에미리트는 3전 전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브라질 | 3 | 3 | 0 | 0 | 15 | 2 | +13 | 9 |
온두라스 | 3 | 1 | 1 | 1 | 4 | 6 | -2 | 4 |
슬로바키아 | 3 | 1 | 1 | 1 | 5 | 8 | -3 | 4 |
아랍에미리트 | 3 | 0 | 0 | 3 | 2 | 10 | -8 | 0 |
- 2013년 10월 17일, 아부다비의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브라질과 슬로바키아의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모스키투의 해트트릭과 나탕의 2골, 카이우의 골을 묶어 6-1 대승을 거뒀다. 슬로바키아는 바우로가 한 골을 만회했다. 같은 날, 같은 경기장에서 열린 아랍에미리트와 온두라스의 경기에서는 온두라스가 메디나와 벨라스케스의 골로 2-1 승리를 거뒀다. 아랍에미리트는 칼판이 한 골을 기록했다.
- 10월 20일, 같은 경기장에서 열린 슬로바키아와 온두라스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슬로바키아는 베스테니츠키가 두 골을 넣었고, 온두라스는 플로레스와 보덴이 골을 넣었다. 같은 날, 같은 경기장에서 열린 아랍에미리트와 브라질의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보실리아와 나탕의 멀티골, 조안데르송과 가브리에우의 골을 묶어 6-1로 대승했다. 아랍에미리트는 자예드가 한 골을 만회했다.
=== B조 ===
2013년 FIFA U-17 월드컵 B조 조별 리그는 2013년 10월 17일부터 10월 23일까지 진행되었다. 우루과이가 2승 1무로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고, 이탈리아가 2승 1패로 2위, 코트디부아르가 1승 1무 1패로 3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하였다. 뉴질랜드는 3패로 탈락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우루과이 | 3 | 2 | 1 | 0 | 10 | 2 | +8 | 7 |
이탈리아 | 3 | 2 | 0 | 1 | 3 | 2 | +1 | 6 |
코트디부아르 | 3 | 1 | 1 | 1 | 4 | 2 | +2 | 4 |
뉴질랜드 | 3 | 0 | 0 | 3 | 0 | 11 | -11 | 0 |
- 2013년 10월 17일, 라스알카이마의 에미리트 클럽 스타디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우루과이는 뉴질랜드를 7-0으로 대파했다. 멘데스가 전반 3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고, 오토르민이 두 골, 아코스타가 두 골, 오스피탈레체와 피시치요가 각각 한 골씩 추가했다. 같은 날 열린 다른 경기에서는 이탈리아가 비도의 결승골로 코트디부아르를 1-0으로 꺾었다.
- 10월 20일, 우루과이와 코트디부아르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코트디부아르의 케이타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우루과이의 아코스타가 후반 추가 시간에 동점골을 넣었다. 이탈리아는 비도의 결승골로 뉴질랜드를 1-0으로 이겼다.
- 10월 23일, 코트디부아르는 바카요코의 두 골과 야쿠의 골로 뉴질랜드를 3-0으로 완파했다. 같은 날 우루과이는 이탈리아를 2-1로 꺾었다. 이탈리아의 파리지니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우루과이의 브레고니스와 베니테스가 연속골을 넣어 역전승을 거두었다.
=== C조 ===
2013년 FIFA U-17 월드컵 C조 조별 리그는 푸자이라 클럽 스타디움(푸자이라)과 샤르자 경기장(샤르자)에서 열렸다. C조에는 모로코, 우즈베키스탄, 크로아티아, 파나마가 편성되었다.
모로코와 우즈베키스탄이 각각 2승 1무로 승점 7점을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모로코는 크로아티아를 3-1로 꺾고, 파나마를 4-2로 이겼으며, 우즈베키스탄과 0-0으로 비겼다. 우즈베키스탄은 파나마를 2-0으로 이기고, 크로아티아를 2-1로 꺾었으며, 모로코와 비겼다. 크로아티아는 파나마를 1-0으로 이겼으나, 모로코와 우즈베키스탄에 패하며 조 3위로 탈락했다. 파나마는 3전 전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 D조 ===
2013년 FIFA U-17 월드컵 D조에서는 일본이 3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튀니지는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러시아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 16강에 진출했다. 베네수엘라는 3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일본 | 3 | 3 | 0 | 0 | 6 | 2 | +4 | 9 |
튀니지 | 3 | 2 | 0 | 1 | 4 | 3 | +1 | 6 |
러시아 | 3 | 1 | 0 | 2 | 4 | 2 | +2 | 3 |
베네수엘라 | 3 | 0 | 0 | 3 | 2 | 9 | -7 | 0 |
10월 18일, 샤르자 경기장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튀니지는 베네수엘라를 2-1로 꺾었다. 튀니지의 즈벨리가 전반 25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벤 라르비가 후반 47분에 페널티킥으로 추가 득점을 기록했다. 베네수엘라는 마르케스가 후반 51분에 한 골을 만회했다. 같은 날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일본이 러시아를 1-0으로 이겼다. 우류가 전반 15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10월 21일, 튀니지는 러시아를 1-0으로 꺾었다. 갑시가 후반 61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일본은 베네수엘라를 3-1로 이겼다. 일본의 스기모토가 전반 7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와타나베가 전반 44분과 후반 78분(페널티킥)에 두 골을 추가했다. 베네수엘라는 카라바요가 전반 17분에 한 골을 넣었다.
10월 24일, 러시아는 베네수엘라를 4-0으로 크게 이겼다. 마카로프가 전반 16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셰이다예프가 전반 39분과 후반 85분에 두 골을 추가했으며, 골로빈이 전반 45+2분에 득점했다. 같은 날 일본은 튀니지를 2-1로 꺾었다. 사카이가 후반 87분에, 와타나베가 후반 90+3분에 득점했고, 튀니지는 드레거가 전반 45+2분에 한 골을 넣었다.
=== E조 ===
E조의 경기들은 2013년 FIFA U-17 월드컵의 조별 리그 경기들 중 하나였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아르헨티나 | 3 | 2 | 1 | 0 | 7 | 3 | +4 | 7 |
이란 | 3 | 1 | 2 | 0 | 3 | 2 | +1 | 5 |
캐나다 | 3 | 0 | 2 | 1 | 3 | 6 | -3 | 2 |
오스트리아 | 3 | 0 | 1 | 2 | 4 | 6 | -2 | 1 |
2013년 10월 19일, 캐나다는 오스트리아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 경기에서 캐나다는 해밀턴과 루보스의 득점으로 앞서갔으나, 오스트리아는 호르바트와 지보티치의 득점으로 동점을 만들었다. 같은 날 이란은 아르헨티나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란은 하셰미의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아르헨티나는 드리우시의 동점골로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다.
10월 22일, 캐나다는 이란과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캐나다는 해밀턴의 골로 앞서갔지만, 이란은 카리미의 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같은 날 아르헨티나는 오스트리아를 3-2로 이겼다. 아르헨티나는 이바녜스, 페레이라, 수아레스의 득점으로 승리했고, 오스트리아는 지보티치와 펠레그리니가 득점했다.
10월 25일, 아르헨티나는 캐나다를 3-0으로 완파했다. 이바녜스와 산체스가 득점하며 아르헨티나의 승리를 이끌었다. 같은 날 오스트리아는 이란에 0-1로 패배했다. 이란은 세예디의 결승골로 승리했다.
최종 결과, 아르헨티나와 이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 F조 ===
2013년 FIFA U-17 월드컵 F조에는 나이지리아, 멕시코, 스웨덴, 이라크가 편성되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나이지리아 | 3 | 2 | 1 | 0 | 14 | 4 | +10 | 7 |
멕시코 | 3 | 2 | 0 | 1 | 5 | 7 | -2 | 6 |
스웨덴 | 3 | 1 | 1 | 1 | 7 | 5 | +2 | 4 |
이라크 | 3 | 0 | 0 | 3 | 2 | 12 | -10 | 0 |
나이지리아는 2승 1무로 F조 1위를 차지했다. 멕시코는 2승 1패로 2위, 스웨덴은 1승 1무 1패로 3위를 기록하여 16강에 진출했다. 이라크는 3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 2013년 10월 19일, 알아인의 세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에서 열린 멕시코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 나이지리아가 이헤아나초의 4골과 은와칼리, 석세스의 득점에 힘입어 6-1 대승을 거두었다. 멕시코는 하이메스가 한 골을 기록했다.
- 같은 날, 같은 경기장에서 열린 이라크와 스웨덴의 경기에서는 스웨덴이 엥발의 2골과 셜레트로시, 술리치의 득점으로 4-1 승리를 거두었다. 이라크는 살람이 한 골을 만회했다.
- 10월 22일, 멕시코는 이라크를 상대로 리세아가, 알만사, 리바스의 득점으로 3-1 승리를 거두었다. 이라크는 칼림이 한 골을 기록했다.
- 같은 날, 스웨덴과 나이지리아는 베리샤의 2골과 할바지치의 골, 그리고 나이지리아 석세스, 야하야, 아워니
5. 1. A조
2013년 FIFA U-17 월드컵 A조에서는 브라질, 온두라스, 슬로바키아, 아랍에미리트가 경쟁했다. 브라질은 3전 전승으로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온두라스와 슬로바키아는 각각 1승 1무 1패를 기록, 승점 4점으로 동률을 이뤘으나, 온두라스가 골득실에서 앞서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아랍에미리트는 3전 전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브라질 | 3 | 3 | 0 | 0 | 15 | 2 | +13 | 9 |
온두라스 | 3 | 1 | 1 | 1 | 4 | 6 | -2 | 4 |
슬로바키아 | 3 | 1 | 1 | 1 | 5 | 8 | -3 | 4 |
아랍에미리트 | 3 | 0 | 0 | 3 | 2 | 10 | -8 | 0 |
- 2013년 10월 17일, 아부다비의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브라질과 슬로바키아의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모스키투의 해트트릭과 나탕의 2골, 카이우의 골을 묶어 6-1 대승을 거뒀다. 슬로바키아는 바우로가 한 골을 만회했다. 같은 날, 같은 경기장에서 열린 아랍에미리트와 온두라스의 경기에서는 온두라스가 메디나와 벨라스케스의 골로 2-1 승리를 거뒀다. 아랍에미리트는 칼판이 한 골을 기록했다.
- 10월 20일, 같은 경기장에서 열린 슬로바키아와 온두라스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슬로바키아는 베스테니츠키가 두 골을 넣었고, 온두라스는 플로레스와 보덴이 골을 넣었다. 같은 날, 같은 경기장에서 열린 아랍에미리트와 브라질의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보실리아와 나탕의 멀티골, 조안데르송과 가브리에우의 골을 묶어 6-1로 대승했다. 아랍에미리트는 자예드가 한 골을 만회했다.
5. 2. B조
2013년 FIFA U-17 월드컵 B조 조별 리그는 2013년 10월 17일부터 10월 23일까지 진행되었다. 우루과이가 2승 1무로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고, 이탈리아가 2승 1패로 2위, 코트디부아르가 1승 1무 1패로 3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하였다. 뉴질랜드는 3패로 탈락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우루과이 | 3 | 2 | 1 | 0 | 10 | 2 | +8 | 7 |
이탈리아 | 3 | 2 | 0 | 1 | 3 | 2 | +1 | 6 |
코트디부아르 | 3 | 1 | 1 | 1 | 4 | 2 | +2 | 4 |
뉴질랜드 | 3 | 0 | 0 | 3 | 0 | 11 | -11 | 0 |
- 2013년 10월 17일, 라스알카이마의 에미리트 클럽 스타디움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우루과이는 뉴질랜드를 7-0으로 대파했다. 멘데스가 전반 3분 만에 선제골을 넣었고, 오토르민이 두 골, 아코스타가 두 골, 오스피탈레체와 피시치요가 각각 한 골씩 추가했다. 같은 날 열린 다른 경기에서는 이탈리아가 비도의 결승골로 코트디부아르를 1-0으로 꺾었다.
- 10월 20일, 우루과이와 코트디부아르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코트디부아르의 케이타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우루과이의 아코스타가 후반 추가 시간에 동점골을 넣었다. 이탈리아는 비도의 결승골로 뉴질랜드를 1-0으로 이겼다.
- 10월 23일, 코트디부아르는 바카요코의 두 골과 야쿠의 골로 뉴질랜드를 3-0으로 완파했다. 같은 날 우루과이는 이탈리아를 2-1로 꺾었다. 이탈리아의 파리지니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우루과이의 브레고니스와 베니테스가 연속골을 넣어 역전승을 거두었다.
5. 3. C조
2013년 FIFA U-17 월드컵 C조 조별 리그는 푸자이라 클럽 스타디움(푸자이라)과 샤르자 경기장(샤르자)에서 열렸다. C조에는 모로코, 우즈베키스탄, 크로아티아, 파나마가 편성되었다.
모로코와 우즈베키스탄이 각각 2승 1무로 승점 7점을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했다. 모로코는 크로아티아를 3-1로 꺾고, 파나마를 4-2로 이겼으며, 우즈베키스탄과 0-0으로 비겼다. 우즈베키스탄은 파나마를 2-0으로 이기고, 크로아티아를 2-1로 꺾었으며, 모로코와 비겼다. 크로아티아는 파나마를 1-0으로 이겼으나, 모로코와 우즈베키스탄에 패하며 조 3위로 탈락했다. 파나마는 3전 전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5. 4. D조
2013년 FIFA U-17 월드컵 D조에서는 일본이 3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튀니지는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러시아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 16강에 진출했다. 베네수엘라는 3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일본 | 3 | 3 | 0 | 0 | 6 | 2 | +4 | 9 |
튀니지 | 3 | 2 | 0 | 1 | 4 | 3 | +1 | 6 |
러시아 | 3 | 1 | 0 | 2 | 4 | 2 | +2 | 3 |
베네수엘라 | 3 | 0 | 0 | 3 | 2 | 9 | -7 | 0 |
10월 18일, 샤르자 경기장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튀니지는 베네수엘라를 2-1로 꺾었다. 튀니지의 즈벨리가 전반 25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벤 라르비가 후반 47분에 페널티킥으로 추가 득점을 기록했다. 베네수엘라는 마르케스가 후반 51분에 한 골을 만회했다. 같은 날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일본이 러시아를 1-0으로 이겼다. 우류가 전반 15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10월 21일, 튀니지는 러시아를 1-0으로 꺾었다. 갑시가 후반 61분에 결승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일본은 베네수엘라를 3-1로 이겼다. 일본의 스기모토가 전반 7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와타나베가 전반 44분과 후반 78분(페널티킥)에 두 골을 추가했다. 베네수엘라는 카라바요가 전반 17분에 한 골을 넣었다.
10월 24일, 러시아는 베네수엘라를 4-0으로 크게 이겼다. 마카로프가 전반 16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셰이다예프가 전반 39분과 후반 85분에 두 골을 추가했으며, 골로빈이 전반 45+2분에 득점했다. 같은 날 일본은 튀니지를 2-1로 꺾었다. 사카이가 후반 87분에, 와타나베가 후반 90+3분에 득점했고, 튀니지는 드레거가 전반 45+2분에 한 골을 넣었다.
5. 5. E조
E조의 경기들은 2013년 FIFA U-17 월드컵의 조별 리그 경기들 중 하나였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아르헨티나 | 3 | 2 | 1 | 0 | 7 | 3 | +4 | 7 |
이란 | 3 | 1 | 2 | 0 | 3 | 2 | +1 | 5 |
캐나다 | 3 | 0 | 2 | 1 | 3 | 6 | -3 | 2 |
오스트리아 | 3 | 0 | 1 | 2 | 4 | 6 | -2 | 1 |
2013년 10월 19일, 캐나다는 오스트리아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 경기에서 캐나다는 해밀턴과 루보스의 득점으로 앞서갔으나, 오스트리아는 호르바트와 지보티치의 득점으로 동점을 만들었다. 같은 날 이란은 아르헨티나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란은 하셰미의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아르헨티나는 드리우시의 동점골로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다.
10월 22일, 캐나다는 이란과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캐나다는 해밀턴의 골로 앞서갔지만, 이란은 카리미의 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같은 날 아르헨티나는 오스트리아를 3-2로 이겼다. 아르헨티나는 이바녜스, 페레이라, 수아레스의 득점으로 승리했고, 오스트리아는 지보티치와 펠레그리니가 득점했다.
10월 25일, 아르헨티나는 캐나다를 3-0으로 완파했다. 이바녜스와 산체스가 득점하며 아르헨티나의 승리를 이끌었다. 같은 날 오스트리아는 이란에 0-1로 패배했다. 이란은 세예디의 결승골로 승리했다.
최종 결과, 아르헨티나와 이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5. 6. F조
2013년 FIFA U-17 월드컵 F조에는 나이지리아, 멕시코, 스웨덴, 이라크가 편성되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나이지리아 | 3 | 2 | 1 | 0 | 14 | 4 | +10 | 7 |
멕시코 | 3 | 2 | 0 | 1 | 5 | 7 | -2 | 6 |
스웨덴 | 3 | 1 | 1 | 1 | 7 | 5 | +2 | 4 |
이라크 | 3 | 0 | 0 | 3 | 2 | 12 | -10 | 0 |
나이지리아는 2승 1무로 F조 1위를 차지했다. 멕시코는 2승 1패로 2위, 스웨덴은 1승 1무 1패로 3위를 기록하여 16강에 진출했다. 이라크는 3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 2013년 10월 19일, 알아인의 세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에서 열린 멕시코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 나이지리아가 이헤아나초의 4골과 은와칼리, 석세스의 득점에 힘입어 6-1 대승을 거두었다. 멕시코는 하이메스가 한 골을 기록했다.
- 같은 날, 같은 경기장에서 열린 이라크와 스웨덴의 경기에서는 스웨덴이 엥발의 2골과 셜레트로시, 술리치의 득점으로 4-1 승리를 거두었다. 이라크는 살람이 한 골을 만회했다.
- 10월 22일, 멕시코는 이라크를 상대로 리세아가, 알만사, 리바스의 득점으로 3-1 승리를 거두었다. 이라크는 칼림이 한 골을 기록했다.
- 같은 날, 스웨덴과 나이지리아는 베리샤의 2골과 할바지치의 골, 그리고 나이지리아 석세스, 야하야, 아워니의 골로 3-3 무승부를 기록했다.
- 10월 25일, 두바이의 알리시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이라크의 경기에서 나이지리아가 무함메드와 은와칼리의 득점, 그리고 야하야의 두 골과 오바시의 골을 묶어 5-0 대승을 거두었다.
- 같은 날, 알아인의 세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에서 열린 스웨덴과 멕시코의 경기에서는 멕시코가 하이메스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5. 7.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3위 팀 순위 결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14]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얻은 승점;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의 골 득실차;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FIFA 조직위원회의 추첨.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F | 스웨덴 | 3 | 1 | 1 | 1 | 7 | 5 | +2 | 4 | 16강전 진출 |
B | 코트디부아르 | 3 | 1 | 1 | 1 | 4 | 2 | +2 | 4 |
A | 슬로바키아 | 3 | 1 | 1 | 1 | 5 | 8 | -3 | 4 |
D | 러시아 | 3 | 1 | 0 | 2 | 4 | 2 | +2 | 3 |
C | 크로아티아 | 3 | 1 | 0 | 2 | 3 | 5 | -2 | 3 | 조별 리그 탈락 |
E | 캐나다 | 3 | 0 | 2 | 1 | 3 | 6 | -3 | 2 |
6.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양 팀이 정규 시간 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한 경우에는 연장전 없이 승부차기를 실시한다.[14]
=== 16강전 ===
2013년 10월 28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16강전에서 멕시코가 이탈리아를 2-0으로 꺾었다. 멕시코는 디아스가 전반 26분에, 오초아가 후반 추가시간 3분에 득점하였다. 같은 날 샤르자의 샤르자 경기장에서는 스웨덴이 일본을 2-1로 이겼다. 스웨덴은 베리샤가 전반 11분, 엥발이 전반 36분에 득점하였고, 일본은 발크비스트의 자책골로 한 점을 만회했다.
같은 날 아부다비의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또 다른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러시아를 3-1로 이겼다. 브라질은 모스키투가 후반 72분, 보실리아가 후반 80분과 추가시간 3분에 득점하였고, 러시아는 마카로프가 후반 추가시간 1분에 한 골을 넣었다. 샤르자의 샤르자 경기장에서는 온두라스가 우즈베키스탄을 1-0으로 꺾었다. 온두라스는 보덴이 후반 74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10월 29일, 라스알카이마의 에미리트 클럽 스타디움에서 우루과이는 슬로바키아를 4-2로 이겼다. 우루과이는 오토르민이 전반 5분과 후반 58분, 멘데스가 전반 34분 페널티킥, 아코스타가 전반 42분에 득점하였고, 슬로바키아는 베스테니츠키가 후반 63분, 시플라크가 후반 85분에 득점하였다. 같은 날 푸자이라의 푸자이라 클럽 스타디움에서는 코트디부아르가 모로코를 2-1로 이겼다. 코트디부아르는 케시가 전반 4분 페널티킥, 아히상이 후반 75분에 득점하였고, 모로코는 브누 마르주크가 후반 60분에 한 골을 넣었다.
같은 날 두바이의 알리시드 스타디움에서는 아르헨티나가 튀니지를 3-1로 이겼다. 아르헨티나는 페레이라가 전반 2분, 이바녜스가 후반 53분, 드리우시가 후반 73분에 득점하였고, 튀니지는 하지 하센이 전반 43분에 한 골을 넣었다. 알아인의 세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에서는 나이지리아가 이란을 4-1로 꺾었다. 나이지리아는 오콘이 전반 23분, 이헤아나초가 전반 25분, 무함메드가 전반 42분, 야하야가 후반 76분에 득점하였고, 이란은 골리자데가 후반 84분에 한 골을 넣었다.
=== 8강전 ===
2013년 11월 1일과 11월 2일에 8강전 경기가 열렸다.
2013년 11월 1일, 세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에서 열린 온두라스와 스웨덴의 경기에서는 스웨덴이 벨라스케스에게 선제골을 허용했으나, 라키프와 베리샤의 연속골로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브라질과 멕시코의 경기는 멕시코가 오초아의 선제골과 브라질 나탕의 동점골로 1-1 무승부를 기록, 승부차기에서 11-10으로 멕시코가 승리했다.
2013년 11월 2일, 샤르자 경기장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코트디부아르의 경기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이바녜스와 모레이라의 골로 케시가 페널티킥 골을 넣은 코트디부아르를 2-1로 이겼다. 같은 날 샤르자 경기장에서 우루과이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나이지리아가 아워니의 두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다.
=== 준결승전 ===
2013년 11월 5일,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아부다비)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멕시코의 경기에서는 멕시코가 오초아의 2골과 그라나도스의 1골에 힘입어 3-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의 관중은 5,621명이었고, 심판은 잔루카 로키 (이탈리아)가 맡았다.
같은 날 라시드 스타디움(두바이)에서 열린 스웨덴과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나이지리아가 아워니와 오콘, 에제의 연속골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관중은 8,800명이 입장했고, 심판은 에베르 로페스 (브라질)였다.
=== 3-4위전 ===
2013년 11월 8일 17시(현지 시각), 아부다비의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스웨덴과 아르헨티나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스웨덴은 베리샤의 해트트릭과 스트란드베리의 골로, 콤파그누치가 한 골을 만회한 아르헨티나를 4-1로 이겼다. 관중 수는 20,018명이었으며, 주심은 세네갈의 바다라 디아타가 맡았다.
=== 결승전 ===
2013년 11월 8일 아부다비의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3년 FIFA U-17 월드컵 결승전에서 나이지리아가 멕시코를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경기에서 나이지리아는 에리크 아기레의 자책골과 켈레치 이헤아나초, 무함메드의 득점에 힘입어 승리했다. 관중 수는 20,018명으로 기록되었으며, 주심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크레이그 톰슨이 맡았다.
6. 1. 16강전
2013년 10월 28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의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16강전에서 멕시코가 이탈리아를 2-0으로 꺾었다. 멕시코는 디아스가 전반 26분에, 오초아가 후반 추가시간 3분에 득점하였다. 같은 날 샤르자의 샤르자 경기장에서는 스웨덴이 일본을 2-1로 이겼다. 스웨덴은 베리샤가 전반 11분, 엥발이 전반 36분에 득점하였고, 일본은 발크비스트의 자책골로 한 점을 만회했다.
같은 날 아부다비의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또 다른 경기에서는 브라질이 러시아를 3-1로 이겼다. 브라질은 모스키투가 후반 72분, 보실리아가 후반 80분과 추가시간 3분에 득점하였고, 러시아는 마카로프가 후반 추가시간 1분에 한 골을 넣었다. 샤르자의 샤르자 경기장에서는 온두라스가 우즈베키스탄을 1-0으로 꺾었다. 온두라스는 보덴이 후반 74분에 결승골을 넣었다.
10월 29일, 라스알카이마의 에미리트 클럽 스타디움에서 우루과이는 슬로바키아를 4-2로 이겼다. 우루과이는 오토르민이 전반 5분과 후반 58분, 멘데스가 전반 34분 페널티킥, 아코스타가 전반 42분에 득점하였고, 슬로바키아는 베스테니츠키가 후반 63분, 시플라크가 후반 85분에 득점하였다. 같은 날 푸자이라의 푸자이라 클럽 스타디움에서는 코트디부아르가 모로코를 2-1로 이겼다. 코트디부아르는 케시가 전반 4분 페널티킥, 아히상이 후반 75분에 득점하였고, 모로코는 브누 마르주크가 후반 60분에 한 골을 넣었다.
같은 날 두바이의 알리시드 스타디움에서는 아르헨티나가 튀니지를 3-1로 이겼다. 아르헨티나는 페레이라가 전반 2분, 이바녜스가 후반 53분, 드리우시가 후반 73분에 득점하였고, 튀니지는 하지 하센이 전반 43분에 한 골을 넣었다. 알아인의 세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에서는 나이지리아가 이란을 4-1로 꺾었다. 나이지리아는 오콘이 전반 23분, 이헤아나초가 전반 25분, 무함메드가 전반 42분, 야하야가 후반 76분에 득점하였고, 이란은 골리자데가 후반 84분에 한 골을 넣었다.
6. 2. 8강전
2013년 11월 1일과 11월 2일에 8강전 경기가 열렸다.
2013년 11월 1일, 세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에서 열린 온두라스와 스웨덴의 경기에서는 스웨덴이 벨라스케스에게 선제골을 허용했으나, 라키프와 베리샤의 연속골로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브라질과 멕시코의 경기는 멕시코가 오초아의 선제골과 브라질 나탕의 동점골로 1-1 무승부를 기록, 승부차기에서 11-10으로 멕시코가 승리했다.
2013년 11월 2일, 샤르자 경기장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코트디부아르의 경기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이바녜스와 모레이라의 골로 케시가 페널티킥 골을 넣은 코트디부아르를 2-1로 이겼다. 같은 날 샤르자 경기장에서 우루과이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나이지리아가 아워니의 두 골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했다.
6. 3. 준결승전
2013년 11월 5일,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아부다비)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 멕시코의 경기에서는 멕시코가 오초아의 2골과 그라나도스의 1골에 힘입어 3-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의 관중은 5,621명이었고, 심판은 잔루카 로키 (이탈리아)가 맡았다.
같은 날 라시드 스타디움(두바이)에서 열린 스웨덴과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나이지리아가 아워니와 오콘, 에제의 연속골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관중은 8,800명이 입장했고, 심판은 에베르 로페스 (브라질)였다.
6. 4. 3-4위전
2013년 11월 8일 17시(현지 시각), 아부다비의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스웨덴과 아르헨티나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스웨덴은 베리샤의 해트트릭과 스트란드베리의 골로, 콤파그누치가 한 골을 만회한 아르헨티나를 4-1로 이겼다. 관중 수는 20,018명이었으며, 주심은 세네갈의 바다라 디아타가 맡았다.
6. 5. 결승전
2013년 11월 8일 아부다비의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3년 FIFA U-17 월드컵 결승전에서 나이지리아가 멕시코를 3-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경기에서 나이지리아는 에리크 아기레의 자책골과 켈레치 이헤아나초, 무함메드의 득점에 힘입어 승리했다. 관중 수는 20,018명으로 기록되었으며, 주심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크레이그 톰슨이 맡았다.
9. 최종 순위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 7 | 6 | 1 | 0 | 26 | 5 | +21 | 19 |
2 | | 7 | 4 | 1 | 2 | 11 | 11 | 0 | 13 |
3 | | 7 | 4 | 1 | 2 | 15 | 11 | +4 | 13 |
4 | | 7 | 4 | 1 | 2 | 13 | 12 | +1 | 13 |
5 | | 5 | 4 | 1 | 0 | 19 | 4 | +15 | 13 |
6 | | 5 | 3 | 1 | 1 | 14 | 6 | +8 | 10 |
7 | | 5 | 2 | 1 | 2 | 7 | 5 | +2 | 7 |
8 | | 5 | 2 | 1 | 2 | 6 | 8 | -2 | 7 |
9 | | 4 | 3 | 0 | 1 | 7 | 4 | +3 | 9 |
10 | | 4 | 2 | 1 | 1 | 8 | 5 | +3 | 7 |
11 | | 4 | 2 | 1 | 1 | 4 | 2 | +2 | 7 |
12 | | 4 | 2 | 0 | 2 | 5 | 6 | -1 | 6 |
13 | | 4 | 2 | 0 | 2 | 3 | 4 | -1 | 6 |
14 | | 4 | 1 | 2 | 1 | 4 | 6 | -2 | 5 |
15 | | 4 | 1 | 1 | 2 | 7 | 12 | -5 | 4 |
16 | | 4 | 1 | 0 | 3 | 5 | 5 | 0 | 3 |
17 | | 3 | 1 | 0 | 2 | 3 | 5 | -2 | 3 |
18 | | 3 | 0 | 2 | 1 | 3 | 6 | -3 | 2 |
19 | | 3 | 0 | 1 | 2 | 4 | 6 | -2 | 1 |
20 | | 3 | 0 | 0 | 3 | 2 | 7 | -5 | 0 |
21 | | 3 | 0 | 0 | 3 | 2 | 9 | -7 | 0 |
22 | | 3 | 0 | 0 | 3 | 2 | 10 | -8 | 0 |
23 | | 3 | 0 | 0 | 3 | 2 | 12 | -10 | 0 |
24 | | 3 | 0 | 0 | 3 | 0 | 11 | -11 | 0 |
나이지리아는 2013년 FIFA U-17 월드컵에서 6승 1무, 26득점 5실점, 골득실 +21, 승점 19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멕시코는 4승 1무 2패, 11득점 11실점, 승점 13점으로 준우승을 기록했다. 스웨덴은 4승 1무 2패, 15득점 11실점, 골득실 +4, 승점 13점으로 3위를 차지했고, 아르헨티나는 4승 1무 2패, 13득점 12실점, 골득실 +1, 승점 13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5위부터 8위는 8강에서 탈락한 브라질, 우루과이, 코트디부아르, 온두라스가 차지했고, 9위부터 16위는 16강에서 탈락한 일본, 모로코, 우즈베키스탄, 튀니지, 이탈리아, 이란, 슬로바키아, 러시아가 차지했다. 17위부터 24위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크로아티아, 캐나다, 오스트리아, 파나마, 베네수엘라, 아랍에미리트, 이라크, 뉴질랜드가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