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EAFF 동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3년 EAFF 동아시안컵은 남자부와 여자부 모두 예선과 결승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남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 중국이 2위, 대한민국이 3위를 차지했고, 여자부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 일본이 2위, 대한민국이 3위를 기록했다. 대회 기간 중 한일전에서 한국 응원단의 정치적 구호가 담긴 현수막 게시와 일본 응원단의 욱일기 사용으로 논란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2년 다이너스티컵
1992년 다이너스티컵은 한국, 중국, 일본, 북한이 참가하여 리그전 후 결승전을 치른 국제 축구 대회로, 일본이 우승, 한국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다카기 다쿠야가 득점왕, 미우라 가즈요시가 MVP를 수상했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1990년 다이너스티컵
1990년 다이너스티컵은 대한민국, 중국, 북한, 일본이 참가하여 리그전과 결승전을 통해 우승팀을 가린 축구 대회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김주성이 MVP를 수상했다. - 2013년 7월 - 게지 공원 시위
게지 공원 시위는 2013년 이스탄불의 게지 공원 재개발 계획에 반대하며 시작되어 에르도안 정부의 권위주의적 행보에 대한 반발로 확산되었고, 터키 사회의 광범위한 불만을 표출하며 터키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큰 파장을 일으킨 대규모 시위이다. - 2013년 7월 - 2013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2013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다이빙, 하이다이빙, 오픈워터 수영, 경영, 아티스틱 수영, 수구 등 다양한 종목으로 개최되었으며, 하이다이빙이 처음으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미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하여 브라질이 우승했으며 아시아 축구 발전의 계기가 된 최초의 아시아 개최이자 2개국 이상 공동 개최 월드컵이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07년 FIFA U-17 월드컵
2007년 FIFA U-17 월드컵은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어 24개국이 참가, 나이지리아가 우승했으며,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고 토니 크로스, 매컬리 크리산투스 등의 수상자를 배출한 국제 축구 대회이다.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
다른 명칭 | 2013 EAFF East Asian Cup |
로마자 표기 | 2013 nyeon EAFF Dongasiankeop |
기타 명칭 | EAFF東アジアカップ2013 EAFF女子東アジアカップ2013 |
![]() | |
개최국 | 대한민국 |
개최 도시 | 서울 |
대회 기간 | 2013년 7월 20일 ~ 2013년 7월 28일 |
참가 팀 수 | 10 (예선: 6, 본선: 4) |
참가 연맹 수 | 2 |
경기장 수 | 3 |
결과 | |
우승 | 일본 |
우승 횟수 | 1회 |
준우승 | 중국 |
3위 | 대한민국 |
4위 | 오스트레일리아 |
총 경기 수 | 6 |
총 득점 | 21 |
총 관중 수 | 117,988 |
득점왕 | 가키타니 요이치로 (일본) |
득점 | 3골 |
최우수 선수 | 야마구치 호타루 (일본) |
대회 통계 | |
이전 대회 | 2010년 |
다음 대회 | 2015년 |
관련 정보 | |
관련 대회 | 2013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여자부 대회) |
2. 대회 구성
2013년 EAFF 동아시안컵은 예선 1라운드, 예선 2라운드, 결승 대회로 구성되었다. 이전 대회인 2010년 대회와 달리 "예선 대회", "준결승 대회"라는 명칭 대신 "예선 1라운드", "예선 2라운드"라는 명칭을 사용했다.[10][11]
몽골은 몽골 축구 협회가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에서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이번 대회에 참가하지 못했다.[14]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협회는 참가를 검토하여 EAFF가 승인, 남녀 모두 예선 2라운드부터 게스트로 참가했다.[10][11][12][15]
라운드 | 남자 | 여자 |
---|---|---|
예선 1라운드 | ||
예선 2라운드 | ||
결승 대회 |
남자부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예선 2라운드를 통과하여 결승 대회에 진출했으나, 여자부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예선 2라운드에서 탈락했다.
2. 1. 남자부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남자부 경기는 예선 1라운드, 예선 2라운드, 결승 대회로 구성되었다.예선 1라운드는 2012년 7월 18일부터 22일까지 괌에서 개최되었다. 괌, 마카오, 북마리아나 제도가 참가했으며, 몽골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으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불참했다.[14] 괌이 1위를 차지하여 2라운드에 진출했다.
예선 2라운드는 2012년 12월 1일부터 9일까지 홍콩에서 개최되었다. 홍콩, 중화 타이베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괌, 그리고 초청팀 오스트레일리아가 참가했다.[12][15] 경기는 웡곡대구장과 홍콩대구장에서 열렸다.
오스트레일리아가 예선 2라운드 1위를 차지하여 결승 대회에 진출하였다.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일본, 대한민국, 중국, 오스트레일리아가 참가했다.
2. 2. 여자부
이전 대회와 달리 여자 예선 라운드는 2라운드로 나뉘어 진행되었다.[10][11]라운드 | 여자 |
---|---|
예선 1라운드 | |
예선 2라운드 | |
결승 대회 |
- = 하위 라운드에서 진출한 팀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협회가 참가를 검토하여, EAFF가 이 국가의 참가를 검토했다.[10][11] 2012년 8월, 오스트레일리아는 남녀 모두 예선 2라운드부터 게스트로 참가하는 것(동아시아 축구 연맹에 가입하지 않고 대회에만 참가)으로 결정되었다.[12][15] 호주 여자 대표팀은 예선 2라운드에서 탈락했다.
3. 남자부 경기 결과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2013년 7월 20일부터 7월 28일까지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FIFA 랭킹 상위 3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였고,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오스트레일리아와 함께 리그전을 통해 순위를 결정했다.
경기는 서울월드컵경기장, 화성종합운동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렸다.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9)을 기준으로 한다.
7월 20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0:0 무승부, 7월 24일 화성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중국의 경기도 0:0 무승부를 기록했다.[1] 7월 28일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린 한일전에서 대한민국은 일본에 1:2로 패배했다.[1]
경기 결과 일본이 2승 1무로 우승을 차지했고,[1] 대한민국은 2무 1패로 3위를 기록했다.[1]
득점상은 3골을 기록한 일본의 가키타니 요이치로가 차지했고,[1] MVP는 일본의 야마구치 호타루가 수상했다.[1]
3. 1. 예선 1라운드 (괌)
2012년 7월 18일부터 7월 22일까지 괌의 레오 팔라스 리조트에서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예선 1라운드가 개최되었다. 몽골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으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참가가 불허되었으며, 괌, 마카오, 북마리아나 제도가 참가하여 리그전을 펼쳤다.[12]모든 경기는 현지 시각(UTC+10)을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레오 팔라스 리조트 |
---|
조냐 |
수용인원: N/A명 |
개최 결과 괌이 2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3. 1. 1. 경기 결과 요약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예선 1라운드는 괌에서 2012년 7월 18일부터 7월 22일까지 개최되었다. 괌은 2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예선 2라운드에 진출했다.[12][16]
;4골
;3골
;1골
- 자카리 디빌
- 마르쿠스 로페스
- 호만호
- 베르농 웡
- 조 왕 밀러
- 커크 슐러
3. 2. 예선 2라운드 (홍콩)
2012년 12월 1일부터 12월 9일까지 홍콩의 웡곡대구장과 홍콩대구장에서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예선 2라운드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초청팀으로 참가하였고, 홍콩, 중화 타이베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괌이 참가하여 리그전을 펼쳤다.[1]경기 장소는 다음과 같다.
웡곡대구장 | 홍콩대구장 |
수용인원: 6,769명 | 수용인원: 40,000명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8)을 기준으로 한다.
최우수 선수는 브렛 에머턴이 선정되었다.
3. 2. 1. 경기 결과 요약
오스트레일리아가 3승 1무로 1위를 차지하여 결승 대회에 진출했다.[1]최다 득점자는 다음과 같다.
선수 | 나라 | 득점 |
---|---|---|
리명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4 |
아치 톰프슨 | 오스트레일리아 | 4 |
박남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엘리 바발 | 오스트레일리아 | 2 |
아지즈 베히치 | 오스트레일리아 | 2 |
리차드 가르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 2 |
에런 무이 | 오스트레일리아 | 2 |
애덤 태가트 | 오스트레일리아 | 2 |
찬시우키 | 홍콩 | 2 |
안일범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박성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로버트 콘트와이트 | 오스트레일리아 | 1 |
브렛 에머턴 | 오스트레일리아 | 1 |
마이클 머룬 | 오스트레일리아 | 1 |
마크 밀리건 | 오스트레일리아 | 1 |
천하오웨이 | 중화 타이베이 | 1 |
뤄즈안 | 중화 타이베이 | 1 |
일라이어스 머팰런 | 괌 | 1 |
딜런 나푸티 | 괌 | 1 |
찬와이호 | 홍콩 | 1 |
리홍림 | 홍콩 | 1 |
안영학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정일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박남철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리광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량용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양차오쉰 | 중화 타이베이 | 1 (자책골) |
3. 3. 결승 대회 (대한민국)
2013년 7월 20일부터 7월 28일까지 서울월드컵경기장, 화성종합운동장,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결승 대회가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일본, 중국, 오스트레일리아가 참가하여 리그전을 펼쳤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UTC+9)을 따른다.
7월 20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1] 7월 24일 화성종합운동장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중국의 경기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1] 7월 28일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열린 한일전에서 대한민국은 일본에 1:2로 패배했다.[1]
3. 3. 1. 경기 결과 요약
2013년 EAFF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2013년 7월 20일부터 7월 28일까지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일본, 중국은 FIFA 랭킹 상위 3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였고,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오스트레일리아와 함께 1차례 리그전을 통해 승자를 결정했다.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style="text-align:left"| | 7 | 3 | 2 | 1 | 0 | 8 | 6 | +2 |
2 | style="text-align:left"| | 5 | 3 | 1 | 2 | 0 | 7 | 6 | +1 |
3 | style="text-align:left"| | 2 | 3 | 0 | 2 | 1 | 1 | 2 | -1 |
4 | style="text-align:left"| | 1 | 3 | 0 | 1 | 2 | 5 | 7 | -2 |
4. 여자부 경기 결과
2012년 11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선전에서 2차 예선 경기가 개최되었다.[12]
- 경기 시작 시간은 모두 현지 시간(UTC+8) 기준이다.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비고 |
---|---|---|---|---|
2012년 11월 20일 | 오스트레일리아 | 7 - 0 | 중화 타이베이 | 캐서린 질 2골, 리사 데 반나 2골, 키야 시몬 2골, 세르베트 우준라르 1골[12] |
2012년 11월 20일 | 중국 | 6 - 0 | 홍콩 | 마샤오쉬 2골, 푸 웨이 1골, 왕 천 1골, 왕산산 1골[12] |
2012년 11월 22일 | 오스트레일리아 | 4 - 0 | 홍콩 | 타메카 버트 1골, 키야 시몬 1골, 캐서린 질 1골, 스테파니 캐틀리 1골[12] |
2012년 11월 22일 | 중화 타이베이 | 0 - 2 | 중국 | 장 루이 1골, 왕산산 1골[12] |
2012년 11월 24일 | 중국 | 2 - 1 | 오스트레일리아 | 왕리시 1골, 장 루이 1골, 캐서린 질 1골[12] |
2012년 11월 24일 | 중화 타이베이 | 2 - 1 | 홍콩 | 라이 리친 2골, 찬 윙 세 1골[12] |
득점왕 | MVP |
---|---|
캐슬린 질 | 푸 웨이 |
4. 1. 예선 1라운드 (괌)
Preliminary Round 1영어은 2012년 7월 17일부터 7월 21일까지 괌 레오 팔라스 리조트에서 개최되었다. 괌, 홍콩, 북마리아나 제도가 참가하여 리그전을 펼쳤다.[18]4. 1. 1. 경기 결과 요약
날짜 | 경기 | 결과 | 경기장 | 비고 |
---|---|---|---|---|
2013년 7월 20일 | vs | 0–0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 [18] |
2013년 7월 21일 | vs | 3–3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 [18] |
2013년 7월 24일 | vs | 0–0 | 화성종합경기타운 (화성시) | [18] |
2013년 7월 25일 | vs | 3–2 | 화성종합경기타운 (화성시) | [18] |
2013년 7월 28일 | vs | 3–4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서울) | [18] |
2013년 7월 28일 | vs | 1–2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서울) | [18] |
4. 2. 예선 2라운드 (중국)
2012년 11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중국 선전 경기장에서 예선 2라운드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초청팀으로 참가하였고, 중화 타이베이, 홍콩이 리그전을 펼쳤다.득점 순위는 다음과 같다.
득점 | 선수 |
---|---|
3골 | 가키타니 요이치로|가키타니 요이치로일본어 |
2골 | 미첼 듀크|미첼 듀크영어, 쑨커, 왕융포, 오사코 유야|오사코 유야일본어 |
1골 | 애덤 태거트|애덤 태거트영어, 토미 유리치|토미 유리치영어, 아론 무이|아론 무이영어, 우레이, 양쉬, 위다바오, 사이토 마나부|사이토 마나부일본어, 구도 쇼지|구도 쇼지일본어, 구리하라 유조|구리하라 유조일본어, 윤일록 |
페이즈 서버|페이즈 서버영어, 찬윙세|찬윙세중국어, 응윙쿰|응윙쿰중국어이 득점왕을, 청와이키|청와이키중국어가 MVP를 차지했다.[19]
4. 2. 1. 경기 결과 요약
예선에서 중국이 3승으로 1위를 차지하여 결승 대회에 진출했다.[19]
4. 3. 결승 대회 (대한민국)
2013년 7월 20일부터 7월 27일까지 서울월드컵경기장, 화성종합경기타운,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결승 대회가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참가하여 리그전을 펼쳤다.7월 28일 대한민국과 일본의 결승전에서 대한민국 응원단은 일본 국가 연주 시 야유를 보냈고,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한국어 현수막을 걸어 일본의 군국주의와 식민지 시대 잘못에 대한 비판을 제기했다.[4] 이 현수막에는 안중근 의사와 임진왜란에서 일본 해군에 맞서 승리한 이순신 장군의 사진도 함께 게시되었다.[5] 대한축구협회(KFA)는 전반전 이후 현수막 철거를 지시했고, 이에 대한민국 축구 서포터즈 그룹 "붉은 악마"는 항의의 표시로 후반전 응원을 중단했다.[6]
다이니 쿠니야 일본 축구 협회 회장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에 철저한 조사와 적절한 조치를 요청했고, 스가 요시히데 일본 내각관방장관은 이 사건을 "매우 유감스럽다"고 표현하며 일본 정부가 FIFA 규칙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7] 시모무라 하쿠분 일본 스포츠 장관은 현수막 내용이 대한민국의 "국민성"에 의문을 제기한다고 발언했고,[8] 대한민국 외교부는 시모무라 장관의 "무례한 발언"에 유감을 표명했다.[8]
7월 31일, KFA는 일본 응원단이 대형 욱일기를 흔든 것이 대한민국 응원단을 자극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4. 3. 1. 경기 결과 요약
2012년 11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선전에서 2차 예선 경기가 개최되었다.[12]- 경기 시작 시간은 모두 현지 시간(UTC+8) 기준이다.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비고 |
---|---|---|---|---|
2012년 11월 20일 | 오스트레일리아 | 7 - 0 | 중화 타이베이 | 캐서린 질 2골, 리사 데 반나 2골, 키야 시몬 2골, 세르베트 우준라르 1골[12] |
2012년 11월 20일 | 중국 | 6 - 0 | 홍콩 | 마샤오쉬 2골, 푸 웨이 1골, 왕 천 1골, 왕산산 1골[12] |
2012년 11월 22일 | 오스트레일리아 | 4 - 0 | 홍콩 | 타메카 버트 1골, 키야 시몬 1골, 캐서린 질 1골, 스테파니 캐틀리 1골[12] |
2012년 11월 22일 | 중화 타이베이 | 0 - 2 | 중국 | 장 루이 1골, 왕산산 1골[12] |
2012년 11월 24일 | 중국 | 2 - 1 | 오스트레일리아 | 왕리시 1골, 장 루이 1골, 캐서린 질 1골[12] |
2012년 11월 24일 | 중화 타이베이 | 2 - 1 | 홍콩 | 라이 리친 2골, 찬 윙 세 1골[12] |
득점왕 | MVP |
---|---|
캐슬린 질 | 푸 웨이 |
5. 논란: 정치적 메시지 표출 및 한일 갈등
2013년 7월 28일, 대한민국과 일본의 남자부 결승전에서 대한민국 응원단이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현수막과 안중근, 이순신 장군의 대형 초상화를 내걸었다. 이는 일본의 과거사 문제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되었으며, 국제축구연맹(FIFA)의 정치적 행위 금지 규정에 위배될 소지가 있어 논란이 되었다.[2] 일본 정부는 이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으며, 대한민국 외교부도 일본 측의 발언에 유감을 표명했다.[2] 대한축구협회(KFA)는 일본 응원단의 욱일기 응원이 대한민국 응원단을 자극했다고 주장했다.[2]
5. 1. 대한민국과 일본의 반응
대한민국은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1승 2패로 3위를 기록했다.[1]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국에 패했으나,[1] 마지막 경기에서 지소연의 2골에 힘입어 일본을 2-1로 꺾고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1]일본은 1승 1무 1패로 2위를 기록했다.[1]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중국을 2-0으로 이기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0-0으로 비겼으나,[1] 대한민국과의 최종전에서 1-2로 패하며 우승에 실패했다.[1]
5. 2. FIFA 및 국제 사회의 반응
국제축구연맹(FIFA)은 이 사건에 대해 공식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지만, 정치적 표현의 심각성에 따라 추후 유사한 사건에 대한 제재 가능성을 시사했다.6. 최종 순위
동아시아 축구 연맹중국어이 주관한 2013년 EAFF 동아시안컵의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남자부에서는 일본이 우승을, 중국이 준우승을 차지했고, 대한민국과 오스트레일리아가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
여자부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을 차지하였고, 대한민국과 중국이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 대회 MVP는 김은주가 차지했으며, 득점왕은 허은별과 지소연이 공동 수상했다.[20][21][22]
6. 1. 남자부
6. 2. 여자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 일본이 준우승을 차지하였고, 대한민국과 중국이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 대회 MVP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은주가 차지했으며, 득점왕은 2골을 기록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허은별과 대한민국의 지소연이 공동 수상했다.[20][21][22]7월 28일 한국 대 일본전에서 한국 응원단은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현수막을 내걸었다.[20] 또한 안중근과 이순신의 대형 초상화를 관중석에 펼쳤다.[21] 7월 21일 한국 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기에서는 통일기가 등장하기도 했다.[22] 이러한 행위는 정치적 주장을 금지한 국제 축구 연맹 규정에 저촉될 가능성이 있었다.[20]
7월 24일 한국 대 중국전에서는 박종우가 장내 아나운서에 의해 "독립 투사"로 소개되기도 했다.[23]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유감을 표명했고, 시모무라 하쿠분 문부과학대신은 한국의 "민도가 문제시된다"는 발언을 했다.[24] 대한민국 외교부는 "무례한 발언"에 유감을 표명했고, KFA는 일본 팬들이 욱일기를 흔들어 한국 팬들을 자극했다고 밝혔다.[24] 일본 서포터 1명이 욱일기를 게양했다가 철거되었지만, 한국 응원단은 현수막을 계속 게양했고, 강제 철거 시도에 반발하며 후반 응원을 보이콧했다.[25] 한국 응원단은 현수막을 이전부터 사용해 왔다고 인정했다.[26]
참조
[1]
웹사이트
Australia to enter EAFF East Asia Cup 2013
http://www.footballa[...]
Football Federation Australia
2012-08-30
[2]
웹사이트
35th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www.eaff.com/[...]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2012-04-20
[3]
웹사이트
Agenda and Decisions of 6th Ordinary Congress and 33rd and 34th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www.eaff.com/[...]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2011-03-19
[4]
뉴스
Banner Controversy Mars Japan-Korea Soccer Match
https://blogs.wsj.co[...]
The Wall Street Journal
2013-07-29
[5]
뉴스
Ahn Jung-geun, Yi Sun-sin banners controversy...Red Devils' "Cheering boycott"
http://news.sbs.co.k[...]
Seoul Broadcasting System
2013-07-28
[6]
뉴스
(2nd LD) S. Korea loses to East Asian Cup champion Japan
http://english.yonha[...]
Yonhapnews
2013-07-28
[7]
뉴스
Japan lodge complaint over Korean banner
http://uk.reuters.co[...]
Reuters
2013-07-29
[8]
뉴스
Football: Banner controversy sparks S Korea-Japan history row
http://www.channelne[...]
MediaCorp
2013-07-31
[9]
뉴스
Despite some continued criticism, Australian football is taking its ASEAN status very seriously
https://www.fourfour[...]
2017-10-24
[10]
웹사이트
第35回東アジアサッカー連盟(EAFF)理事会
http://www.eaff.com/[...]
東アジアサッカー連盟
2012-04-20
[11]
웹사이트
35th East Asian Football Federation Executive Committee Meeting
http://www.eaff.com/[...]
東アジアサッカー連盟
2012-04-20
[12]
웹사이트
Australia to enter EAFF East Asia Cup 2013
http://www.footballa[...]
オーストラリアサッカー連盟
2012-08-30
[13]
웹사이트
W杯前年の13年に東アジア選手権開催へ
https://www.nikkansp[...]
2010-08-19
[14]
웹사이트
第6回総会および第33、34回理事会における協議事項/決定事項について
http://www.eaff.com/[...]
東アジアサッカー連盟
2011-03-19
[15]
문서
EAFF東アジアカップ2013にゲスト参加 ― オーストラリアサッカーに世界が注目-東アジアサッカー連盟公式HP日本語版2012年11月
http://www.eaff.com/[...]
[16]
웹사이트
2013東亞盃外圍賽第二圈賽程
http://www.hkfa.com/[...]
香港サッカー協会
[17]
웹사이트
zh:錯頒神射手賽會收回獎盃
http://hk.sports.yah[...]
Ming Pao
2012-12-10
[18]
웹사이트
Guam Women's Soccer Team Named the "‘Masakåda"
http://www.pacificne[...]
Pacific News Center
2012-07-08
[19]
웹사이트
EAFF Women’s East Asian Cup 2013 Preliminary Competition Round 1 in Guam
https://eaff.com/com[...]
EAFF
2017-10-17
[20]
뉴스
日本非難の巨大横断幕「歴史忘れた民族」 FIFA規定違反の疑い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3-07-28
[21]
뉴스
安重根、李舜臣 バナー論争…赤い悪魔が「応援ボイコット」
http://news.sbs.co.k[...]
SBS (韓国)
2013-07-28
[22]
뉴스
「歴史忘れた民族に未来ない」日韓戦で横断幕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3-07-29
[23]
뉴스
東アジア杯で場内アナウンサー、竹島騒動選手を「独立闘士」と紹介
https://web.archive.[...]
サーチナ
2013-07-29
[24]
뉴스
韓国サッカー協会、横断幕掲示は「日本が原因」
https://www.afpbb.co[...]
AFPBB
2013-07-31
[25]
뉴스
韓国応援団が後半の応援をボイコット、日本側はまた旭日旗=韓国
https://web.archive.[...]
2013-07-28
[26]
뉴스
<サッカー>韓国サポーター「応援ボイコットは遺憾、政治性はなかった」
https://web.archive.[...]
中央日報日本語版
2013-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