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8년 아시안 게임 육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아시안 게임 육상은 2018년 8월 25일부터 8월 30일까지 약 6일간 진행되었으며, 총 42개국 793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이 대회에서는 남자, 여자, 혼성 종목에서 다양한 경기가 치러졌으며, 중국, 바레인, 인도 등이 메달 순위 상위권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육상 - 2002년 아시안 게임 육상
    2002년 아시안 게임 육상은 2002년 부산에서 개최되어 39개국 459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46개의 세부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 1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육상 -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육상은 인천에서 41개국 654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49개 세부 종목에서 메달 경쟁을 펼쳤으며, 대한민국은 은메달 4개와 동메달 6개로 종합 14위를 기록했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2018년 아시안 게임 삼보
    2018년 아시안 게임 삼보는 2018년 8월 31일부터 9월 1일까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 2개 체급과 여자 2개 체급으로 나뉘어 총 18개국 71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카자흐스탄, 몽골,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일본 등 5개국이 메달을 획득했다.
  • 2018년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2018년 아시안 게임 골프
    2018년 아시안 게임 골프는 8월 23일부터 26일까지 4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필리핀과 일본이 금메달을 각각 2개씩 획득했다.
2018년 아시안 게임 육상
대회 개요
종목육상
대회2018년 아시안 게임
2018 아시안 게임 육상
2018 아시안 게임 육상
개최지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기간2018년 8월 25일–30일
참가 선수688명
참가 국가43개국
이전 대회2014
다음 대회2022

2. 경기 일정

2018년 아시안 게임 육상 경기는 8월 25일부터 8월 30일까지 약 6일간 진행됐다. 하루 경기는 오전 세션 (Morning Session)과 오후 세션 (Evening Session)으로 나뉜다.

각 경기는 예선과 준결선, 결선 과정을 거치는 것이 보통이나, 높이뛰기, 멀리뛰기, 세단뛰기 종목은 선발전을 치르고 그것을 통과한 선수들로 결선을 치렀다. 5000m와 10000m, 장애물경주, 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해머던지기, 마라톤은 예선 없이 바로 결선이 치러졌다.

선발선발전예선예선준결준결선결선



'''남자 종목'''
날짜 →8/258/268/278/288/298/30
종목 ↓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
100m예선준결
200mcolspan=2|예선준결
400m예선준결
800mcolspan=2|예선준결
1500mcolspan=2|예선
5000mcolspan=2|
10000mcolspan=2|
마라톤colspan=2|
3000m 장애물경주colspan=2|
110m 허들colspan=2|예선준결
400m 허들예선colspan=2|
10종경기
높이뛰기colspan=2|선발
장대높이뛰기colspan=2|
멀리뛰기선발
세단뛰기colspan=2|선발
포환던지기colspan=2|
원반던지기colspan=2|
해머던지기
창던지기colspan=2|
20km 경보colspan=2|
50km 경보colspan=2|
4×100m 계주colspan=2|예선
4×400m 계주colspan=2|예선



'''여자 종목'''
날짜 →8/258/268/278/288/298/30
종목 ↓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
100m예선준결
200mcolspan=2|예선준결
400m예선준결
800mcolspan=2|예선준결
1500mcolspan=2|예선
5000mcolspan=2|
10000m
마라톤colspan=2|
3000m 장애물경주colspan=2|
110m 허들예선준결
400m 허들예선colspan=2|
7종경기colspan="2"|
높이뛰기colspan=2|선발
장대높이뛰기colspan=2|
멀리뛰기선발colspan=2|
세단뛰기colspan=2|선발
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colspan=2|
해머던지기colspan=2|
창던지기colspan=2|
20km 경보colspan=2|
4×100m 계주colspan=2|예선
4×400m 계주colspan=2|예선



'''혼성 종목'''
날짜 →8/258/268/278/288/298/30
종목 ↓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
4×400m 계주colspan=2|예선


2. 1. 경기 세부 일정

2018년 아시안 게임 육상 경기는 8월 25일부터 8월 30일까지 약 6일간 진행됐다. 하루 경기는 오전 세션 (Morning Session)과 오후 세션 (Evening Session)으로 나뉜다.

각 경기는 예선과 준결선, 결선 과정을 거치는 것이 보통이나, 높이뛰기, 멀리뛰기, 세단뛰기 종목은 선발전을 치르고 그것을 통과한 선수들로 결선을 치렀다. 5000m와 10000m, 장애물경주, 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해머던지기, 마라톤은 예선 없이 바로 결선이 치러졌다.

선발선발전예선예선준결준결선결선



'''남자 종목'''
날짜 →8/258/268/278/288/298/30
종목 ↓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
100m예선준결
200mcolspan=2|예선준결
400m예선준결
800mcolspan=2|예선준결
1500mcolspan=2|예선
5000mcolspan=2|
10000mcolspan=2|
마라톤colspan=2|
3000m 장애물경주colspan=2|
110m 허들colspan=2|예선준결
400m 허들예선colspan=2|
10종경기
높이뛰기colspan=2|선발
장대높이뛰기colspan=2|
멀리뛰기선발
세단뛰기colspan=2|선발
포환던지기colspan=2|
원반던지기colspan=2|
해머던지기
창던지기colspan=2|
20km 경보colspan=2|
50km 경보colspan=2|
4×100m 계주colspan=2|예선
4×400m 계주colspan=2|예선



'''여자 종목'''
날짜 →8/258/268/278/288/298/30
종목 ↓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
100m예선준결
200mcolspan=2|예선준결
400m예선준결
800mcolspan=2|예선준결
1500mcolspan=2|예선
5000mcolspan=2|
10000m
마라톤colspan=2|
3000m 장애물경주colspan=2|
110m 허들예선준결
400m 허들예선colspan=2|
7종경기colspan="2"|
높이뛰기colspan=2|선발
장대높이뛰기colspan=2|
멀리뛰기선발colspan=2|
세단뛰기colspan=2|선발
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colspan=2|
해머던지기colspan=2|
창던지기colspan=2|
20km 경보colspan=2|
4×100m 계주colspan=2|예선
4×400m 계주colspan=2|예선



'''혼성 종목'''
날짜 →8/258/268/278/288/298/30
종목 ↓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오전오후
4×400m 계주colspan=2|예선


3. 참가국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육상에는 총 42개국 793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대한민국은 40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4. 메달 집계

wikitable


4. 1. 국가별 메달 순위

순위국가합계
11212933
2126725
3710219
4621018
54217
62103
71214
81157
91146
101135
111102
120314
130213
140202
150101
150101
170011
170011
170011
170011
170011


4. 2. 메달리스트

종목
남자
100m쑤빙톈/쑤빙톈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토신 오구노데 (카타르)야마가타 료타 (일본)
200m고이케 유키 (일본)양쥔한 (중화 타이베이)살렘 에이드 야쿠브 (바레인)
400m압달렐라 하룬 (카타르)무하메드 아나스 (인도)알리 하미스 (바레인)
800m만지트 싱 (인도)진슨 존슨 (인도)아부바케르 하이다르 압달라 (카타르)
1500m진슨 존슨 (인도)아미르 모라디 (이란)무함마드 티왈리 (바레인)
5000m비르하누 발루 (바레인)앨버트 키비치 롭 (바레인)타리크 아흐마드 알암리 (사우디아라비아)
10000m하산 차니 (바레인)아브라함 체로벤 (바레인)자오창훙/자오창훙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110m 허들셰원쥔/셰원쥔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천쿠이루 (중화 타이베이)다카야마 슌야 (일본)
400m 허들압데라흐만 삼바 (카타르)아야사미 다룬 (인도)아베 다카토시 (일본)
3000m 장애물경주호세인 케이하니 (이란)야세르 바가라브 (카타르)시오지리 가즈야 (일본)
4×100m 계주 일본
야마가타 료타
다다 슈헤이
기류 요시히데
케임브리지 아스카
인도네시아
모흣 파들린
랄루 무하맛 조흐리
에코 림바완
바유 케르타네가라
중화인민공화국
쑤하이양/쑤하이양중국어
미훙/미훙 (육상 선수)중국어
쑤빙톈/쑤빙톈중국어
쉬저우정/쉬저우정중국어
4×400m 계주 카타르
압데라흐만 삼바
무함마드 나시르 아바스
무함마드 엘누르
압달렐라 하룬
인도
쿠누 무하메드
아야사미 다룬
무하메드 아나스
아로키아 라지브
(지반 카레코파 수레시)
(지투 바비)
일본
줄리언 월시
고이케 유키
아베 다카토시
이이즈카 쇼타
(기무라 준)
(가와모토 쇼)
마라톤이노우에 히로토 (일본)엘 하산 엘아바시 (바레인)둬부제/둬부제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20km 경보왕카이화/왕카이화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야마니시 도시카즈 (일본)진샹첸/진샹첸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50km 경보가쓰키 하야토 (일본)왕친/왕친 (경보 선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주현명 (대한민국)
높이뛰기왕위/왕위 (육상 선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우상혁 (대한민국)마제데딘 가잘 (시리아)
도베 나오토 (일본)
장대높이뛰기야마모토 세이토 (일본)야오제/야오제 (육상 선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파사퐁 암삼앙 (태국)
멀리뛰기왕자난/왕자난 (육상 선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장야오광/장야오광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삽와투라만 삽와투라만 (인도네시아)
세단뛰기아르핀데르 싱 (인도)루슬란 쿠르바노프 (우즈베키스탄)차오숴/차오숴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포환던지기테진데르 팔 싱 투르 (인도)류양/류양 (포환던지기 선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이반 이바노프 (카자흐스탄)
원반던지기에흐산 하다디 (이란)무스타파 알사마흐 (이라크)에사 무하마드 알잔카위 (쿠웨이트)
해머던지기아슈라프 엘 세이피 (카타르)딜쇼트 나자로프 (타지키스탄)수흐로프 호자예프 (우즈베키스탄)
창던지기니라지 초프라 (인도)류치전/류치전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아르샤드 나딤 (파키스탄)
10종경기우시로 게이스케 (일본)수티삭 싱콘 (태국)나카무라 아키히코 (일본)
여자
100m에디디옹 오디옹 (바레인)두티 찬드 (인도)웨이융리/웨이융리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200m에디디옹 오디옹 (바레인)두티 찬드 (인도)웨이융리/웨이융리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400m살와 에이드 나세르 (바레인)히마 다스 (인도)옐리나 미히나 (카자흐스탄)
800m왕췬위/왕췬위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마르가리타 무카셰바 (카자흐스탄)마넬 엘바라위 (바레인)
1500m칼키단 게자헤그네 (바레인)티기스트 가샤우 (바레인)팔라키질 우니크리슈만 치트라 (인도)
5000m칼키단 게자헤그네 (바레인)다리야 마슬로바 (키르기스스탄)본투 레비투 (바레인)
10000m다리야 마슬로바 (키르기스스탄)유니스 춤바 (바레인)장더순/장더순 (육상 선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100m 허들정혜림 (대한민국)에밀리아 노바 (인도네시아)뤼리야오/뤼리야오중국어 (홍콩)
400m 허들케미 아데코야 (바레인)꽉티란/꽉티란vi (베트남)아미나트 자말 (바레인)
3000m 장애물경주윈프리드 무틸 야비 (바레인)수다 싱 (인도)응우옌티오아인/응우옌티오아인vi (베트남)
4×100m 계주 바레인
이만 에사 자심
에디디옹 오디옹
하자르 알할디
살와 에이드 나세르
중화인민공화국
량샤오징/량샤오징중국어
웨이융리/웨이융리중국어
거만치/거만치중국어
위안치치/위안치치중국어
황구이펀/황구이펀중국어
쿵량웨이/쿵량웨이중국어
카자흐스탄
빅토리야 잡키나
옐리나 미히나
스베틀라나 골렌도바
올가 사프로노바
리마 카샤풋디노바
4×400m 계주 인도
히마 다스
마체티라 라주 푸바마
사리타 가야크와드
벨루바 크로트 비스마야
바레인
아미나트 자말
이만 에사 자심
에디디옹 오디옹
살와 에이드 나세르
베트남
응우옌티오아인/응우옌티오아인vi
응우옌티항/응우옌티항vi
호앙팅옥/호앙팅옥vi
꽉티란/꽉티란vi
마라톤로즈 첼리모 (바레인)노가미 게이코 (일본)최경선 (대한민국)
20km 경보양자위/양자위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체양선제/체양선제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오카다 구미코 (일본)
높이뛰기스베틀라나 라지빌 (우즈베키스탄)나디야 두사노바 (우즈베키스탄)나데즈다 두보비츠카야 (카자흐스탄)
장대높이뛰기리링/리링 (장대높이뛰기 선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수까냐 촘츤디 (태국)임은지 (대한민국)
멀리뛰기부이티투타오/부이티투타오vi (베트남)니나 바라킬 (인도)쉬샤오링/쉬샤오링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세단뛰기올가 리파코바 (카자흐스탄)빠르니야 추이마릉 (태국)부티멘/부티멘vi (베트남)
포환던지기궁리자오/궁리자오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가오양/가오양 (육상 선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누라 자심 (바레인)
원반던지기천양/천양 (원반던지기 선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펑빈/펑빈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시마 안틸 (인도)
해머던지기뤄나/뤄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왕정/왕정 (해머던지기 선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가쓰야마 히토미 (일본)
창던지기류스잉/류스잉 (육상 선수)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뤼후이후이/뤼후이후이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김경애 (대한민국)
7종경기스와프나 바르만 (인도)왕칭링/왕칭링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야마사키 유키 (일본)
혼성
4×400m 계주 바레인
알리 하미스
케미 아데코야
살와 에이드 나세르
아부바카르 아바스
인도
무하메드 아나스
마체티라 라주 푸바마
히마 다스
아로키아 라지브
카자흐스탄
스베틀라나 골렌도바
드미트리 코블로프
옐리나 미히나
미하일 리트빈


5. 주요 사건 및 논란

5. 1. 정혜림 선수 금메달 관련 논란

5. 2. 우상혁 선수 경기 관련 논란

6.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