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은 2014년 9월 27일부터 10월 3일까지 대한민국 인천에서 개최되었다. 남자 24개, 여자 23개 총 47개의 세부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총 41개국에서 654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중국이 금메달 15개, 은메달 14개, 동메달 1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 - 2014년 아시안게임 육상 남자 100m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육상 남자 100m에서는 카타르의 페미 오구노데가 아시아 신기록인 9.93초로 금메달을, 중국의 장페이가 은메달, 일본의 키류 요시히데가 동메달을 각각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육상에 관한 - 2014년 아시안게임 육상 남자 100m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육상 남자 100m에서는 카타르의 페미 오구노데가 아시아 신기록인 9.93초로 금메달을, 중국의 장페이가 은메달, 일본의 키류 요시히데가 동메달을 각각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육상 - 2002년 아시안 게임 육상
    2002년 아시안 게임 육상은 2002년 부산에서 개최되어 39개국 459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46개의 세부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 1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게임 육상 - 2014년 아시안게임 육상 남자 100m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육상 남자 100m에서는 카타르의 페미 오구노데가 아시아 신기록인 9.93초로 금메달을, 중국의 장페이가 은메달, 일본의 키류 요시히데가 동메달을 각각 획득했다.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
육상 픽토그램
육상 픽토그램
대회2014년 아시안 게임
종목육상
경기장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날짜2014년 9월 27일 – 10월 3일
참가 선수654명
참가 국가41개국
이전 대회2010년
다음 대회2018년

2. 경기 일정

{

1일차결승일H예선S준결승F결승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 경기는 9월 27일부터 10월 3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경기 일정은 위 표와 같이 예선, 준결승, 결승 순서로 구성되었다.

2. 1. 경기 세부 일정

(토)28일
(일)29일
(월)30일
(화)1일
(수)2일
(목)3일
(금)남자 100mHSF남자 200mHSF남자 400mHSF남자 800mHF남자 1500mHF남자 5000mF남자 10000mF남자 110m 허들HF남자 400m 허들HF남자 3000m 장애물F남자 4 × 100m 계주HF남자 4 × 400m 계주HF남자 마라톤F남자 20km 경보F남자 50km 경보F남자 높이뛰기F남자 장대높이뛰기F남자 멀리뛰기F남자 세단뛰기F남자 포환던지기F남자 원반던지기F남자 해머던지기F남자 창던지기F남자 십종 경기●●여자 100mHF여자 200mHF여자 400mHF여자 800mHF여자 1500mF여자 5000mF여자 10000mF여자 100m 허들HF여자 400m 허들HF여자 3000m 장애물F여자 4 × 100m 계주F여자 4 × 400m 계주F여자 마라톤F여자 20km 경보F여자 높이뛰기F여자 장대높이뛰기F여자 멀리뛰기F여자 세단뛰기F여자 포환던지기F여자 원반던지기F여자 해머던지기F여자 창던지기F여자 7종 경기●●


3. 경기장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 경기는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인천광역시 일대에서 진행되었다. 남자, 여자 마라톤과 경보 경기는 인천광역시 도로를 활용한 코스에서 진행되었다.[1]

3. 1. 경기장 목록

도시경기장수용 인원경기
인천마라톤/경보 코스전 경기
인천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62,818전 경기


4. 메달 집계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 경기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 15개, 은메달 14개, 동메달 1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바레인이 금메달 9개, 은메달 6개, 동메달 3개로 2위를, 카타르가 금메달 6개, 은메달과 동메달 없이 3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은메달 4개, 동메달 6개를 획득하여 종합 10위에 올랐다.

4. 1. 메달 순위

순위나라합계
1중화인민공화국15141140
2바레인96318
3카타르6039
4일본312722
5카자흐스탄3126
6인도23813
7우즈베키스탄2237
8사우디아라비아2114
9이란1102
10이라크1012
11인도네시아1001
11타지키스탄1001
11아랍에미리트1001
14대한민국04610
15베트남0202
16중화 타이베이0101
17홍콩0011
17태국0011


5. 메달리스트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의 각 종목별 메달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남자 !! 여자

|-

|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100m페미 오구노데|페미 오구노데영어 (카타르)쑤빙톈 (중화인민공화국)다카세 케이 (일본)
200m페미 오구노데|페미 오구노데영어 (카타르)파하드 알-수바이 (사우디아라비아)여호수아 (대한민국)
400m유세프 마스라히 (사우디아라비아)아바스 아부바카르 아바스 (바레인)아로키아 라지브 (인도)
800m아드난 타에스 (이라크)텅하이닝 (중화인민공화국)자말 하이렌 (카타르)
1500m모하마드 알-가르니 (카타르)라시드 람지 (바레인)아드난 타에스 (이라크)
5000m모하마드 알-가르니 (카타르)알레무 베켈레 (바레인)알베르트 로프 (바레인)
10,000m엘-하산 엘-아바시 (바레인)오사코 스구루 (일본)아이작 코리르 (바레인)
110m 허들셰원쥔 (중화인민공화국)김병준 (대한민국)잠라스 리티뎃 (태국)
400m 허들알리 카미스 (바레인)기시모토 다카유키 (일본)청원 (중화인민공화국)
3000m 장애물아부바케르 알리 카말 (카타르)타레크 무바라크 타헤르 (바레인)나빈 쿠마르|나빈 쿠마르영어 (인도)
4 × 100m 릴레이중화인민공화국 (천스웨이, 셰전예, 쑤빙톈, 장페이멍)일본 (야마가타 료타, 이이즈카 쇼타, 다카히라 신지, 다카세 케이)홍콩 (탕이춘, 소춘홍, 응카펑, 추이치호)
4 × 400m 릴레이일본 (가네마루 유조, 후지미쓰 겐지, 이이즈카 쇼타, 가토 노부야)대한민국 (박세정, 박봉고, 성혁제, 여호수아)사우디아라비아 (이스마일 알-사비아니, 아흐메드 알-카이리, 모하메드 알-비시, 유세프 마스라히)
마라톤하산 마흐부브 (바레인)마쓰무라 고헤이 (일본)가와우치 유키 (일본)
20km 경보왕전|왕전영어 (중화인민공화국)스즈키 유스케|스즈키 유스케영어 (일본)김현섭 (대한민국)
50km 경보타니이 다카유키 (일본)박칠성 (대한민국)왕전둥 (중화인민공화국)
높이뛰기무타즈 에사 바르심 (카타르)장궈웨이|장궈웨이영어 (중화인민공화국)무아메르 에사 바르심 (카타르)
장대높이뛰기쉐창루이 (중화인민공화국)사와노 다이치 (일본)진민섭 (대한민국)
멀리뛰기리진저 (중화인민공화국)김덕현 (대한민국)가오싱롱 (중화인민공화국)
세단뛰기차오숴 (중화인민공화국)둥빈 (중화인민공화국)김덕현 (대한민국)
포환던지기술탄 알-헤브시 (사우디아라비아)창밍황 (중화 타이베이)인데르지트 싱 (인도)
원반던지기에산 하다디 (이란)비카스 고다 (인도)아흐메드 디브 (카타르)
해머던지기딜쇼드 나자로프 (타지키스탄)왕스주 (중화인민공화국)완융 (중화인민공화국)
창던지기자오칭강 (중화인민공화국)아라이 료헤이|아라이 료헤이영어 (일본)이반 자이체프|이반 자이체프영어 (우즈베키스탄)
십종 경기우시로 게이스케 (일본)레오니트 안드레예프|레오니트 안드레예프영어 (우즈베키스탄)나카무라 아키히코 (일본)



|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100m웨이융리|웨이융리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1]후쿠시마 치사토|후쿠시마 지사토일본어 (일본)[1]올가 사프로노바|올가 사프로노바영어 (카자흐스탄)[1]
200m올가 사프로노바|올가 사프로노바영어 (카자흐스탄)[1]웨이융리|웨이융리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1]후쿠시마 치사토|후쿠시마 지사토일본어 (일본)[1]
400m케미 아데코야|케미 아데코야영어 (바레인)[1]꾸아치 티 란|꾸아치 티 란vi (베트남)[1]M. R. 푸밤마|M. R. 푸밤마영어 (인도)[1]
800m마르가리타 무카셰바|마르가리타 무카셰바영어 (카자흐스탄)[1]틴투 루카|틴투 루카영어 (인도)[1]자오징|자오징영어 (중화인민공화국)[1]
1500m마리암 유수프 자말|마리암 유수프 자말영어 (바레인)[1]미미 베레테|미미 베레테영어 (바레인)[1]O. P. 자이샤|O. P. 자이샤영어 (인도)[1]
5000m마리암 유수프 자말|마리암 유수프 자말영어 (바레인)[1]미미 베레테|미미 베레테영어 (바레인)[1]딩창친|딩창친영어 (중화인민공화국)[1]
10000m알리아 사이드 모하메드|알리아 사이드 모하메드영어 (아랍에미리트)[1]딩창친|딩창친영어 (중화인민공화국)[1]하기와라 아유미|하기와라 아유미일본어 (일본)[1]
100m 허들우수지아오|우수지아오영어 (중화인민공화국)[1]쑨야웨이|쑨야웨이영어 (중화인민공화국)[1]기무라 아야코|기무라 아야코일본어 (일본)[1]
400m 허들케미 아데코야|케미 아데코야영어 (바레인)[1]구보쿠라 사토미|구보쿠라 사토미일본어 (일본)[1]샤오샤|샤오샤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1]
3000m 장애물경주루스 제베트|루스 제베트영어 (바레인)[1]리전주|리전주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1]라리타 바바르|라리타 바바르영어 (인도)[1]
4×100m 계주중화인민공화국 (타오위자, 콩 링웨이|쿵링웨이프랑스어, 린후이쥔|린후이쥔영어, 웨이융리|웨이융리중국어)[1]카자흐스탄 (Svetlana Ivanchukova, 빅토리아 쟈브키나|빅토리야 자브키나영어, Anastassiya Tulapina, 올가 사프로노바|올가 사프로노바영어)[1]일본 (후지모리 안나, 이치카와 카나|이치카와 가나일본어, 아오키 마스미|아오키 마스미일본어, 후쿠시마 치사토|후쿠시마 지사토일본어)[1]
4×400m 계주인도 (프리얀카 파와르, 틴투 루카|틴투 루카영어, 만디프 카우르|만디프 카우르영어, M. R. 푸밤마|M. R. 푸밤마영어)[1]일본 (아오야마 세이카, 마츠모토 나나코|마쓰모토 나나코일본어, 이치카와 카나|이치카와 가나일본어, 치바 아사미|지바 아사미일본어)[1]중화인민공화국 (Li Manyuan, Wang Huan, 천징원|천징원영어, Cheng Chong)[1]
마라톤유니스 제프키루이 키르와|유니스 제프키루이 키르와영어 (바레인)[1]키자키 료코|키자키 료코일본어 (일본)[1]리샨 둘라|리샨 둘라영어 (바레인)[1]
20km 경보뤼슈지|뤼슈지영어 (중화인민공화국)[1]쿠쉬비르 카우르|쿠쉬비르 카우르영어 (인도)[1]전영은|전영은영어 (대한민국)[1]
높이뛰기스베틀라나 라지빌|스베틀라나 라지빌영어 (우즈베키스탄)[1]정싱줸|정싱줸영어 (중화인민공화국)[1]나디야 두사노바|나디야 두사노바영어 (우즈베키스탄)[1]
장대높이뛰기리링|리링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1]아비코 토모미|아비코 토모미일본어 (일본)[1]임은지|임은지영어 (대한민국)[1]
멀리뛰기마리아 나탈리아 론다|마리아 나탈리아 론다영어 (인도네시아)[1]Bui Thi Thu Thao (베트남)[1]장옌페이|장옌페이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1]
세단뛰기올가 리파코바|올가 리파코바영어 (카자흐스탄)[1]알렉산드라 코틀랴로바|알렉산드라 코틀랴로바영어 (우즈베키스탄)[1]이리나 엑토바|이리나 엑토바영어 (카자흐스탄)[1]
포환던지기궁리자오|궁리자오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1]레일라 라자비|레일라 라자비영어 (이란)[1]궈톈첸|궈톈첸영어 (중화인민공화국)[1]
원반던지기시마 푸니아|시마 푸니아영어 (인도)[1]루샤오신|루샤오신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1]탄젠|탄젠영어 (중화인민공화국)[1]
해머던지기장원슈|장원슈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1]왕정|왕정영어 (중화인민공화국)[1]만주 발라|만주 발라영어 (인도)[1]
창던지기장리|장리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1]리링웨이|리링웨이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1]아누 라니|아누 라니영어 (인도)[1]
7종 경기예카테리나 보로니나|예카테리나 보로니나영어 (우즈베키스탄)[1]왕칭링|왕칭링영어 (중화인민공화국)[1]율리야 타라소바|율리야 타라소바영어 (우즈베키스탄)[1]



|}

5. 1. 남자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100m페미 오구노데|페미 오구노데영어 (카타르)쑤빙톈 (중화인민공화국)다카세 케이 (일본)
200m페미 오구노데|페미 오구노데영어 (카타르)파하드 알-수바이 (사우디아라비아)여호수아 (대한민국)
400m유세프 마스라히 (사우디아라비아)아바스 아부바카르 아바스 (바레인)아로키아 라지브 (인도)
800m아드난 타에스 (이라크)텅하이닝 (중화인민공화국)자말 하이렌 (카타르)
1500m모하마드 알-가르니 (카타르)라시드 람지 (바레인)아드난 타에스 (이라크)
5000m모하마드 알-가르니 (카타르)알레무 베켈레 (바레인)알베르트 로프 (바레인)
10,000m엘-하산 엘-아바시 (바레인)오사코 스구루 (일본)아이작 코리르 (바레인)
110m 허들셰원쥔 (중화인민공화국)김병준 (대한민국)잠라스 리티뎃 (태국)
400m 허들알리 카미스 (바레인)기시모토 다카유키 (일본)청원 (중화인민공화국)
3000m 장애물아부바케르 알리 카말 (카타르)타레크 무바라크 타헤르 (바레인)나빈 쿠마르|나빈 쿠마르영어 (인도)
4 × 100m 릴레이중화인민공화국 (천스웨이, 셰전예, 쑤빙톈, 장페이멍)일본 (야마가타 료타, 이이즈카 쇼타, 다카히라 신지, 다카세 케이)홍콩 (탕이춘, 소춘홍, 응카펑, 추이치호)
4 × 400m 릴레이일본 (가네마루 유조, 후지미쓰 겐지, 이이즈카 쇼타, 가토 노부야)대한민국 (박세정, 박봉고, 성혁제, 여호수아)사우디아라비아 (이스마일 알-사비아니, 아흐메드 알-카이리, 모하메드 알-비시, 유세프 마스라히)
마라톤하산 마흐부브 (바레인)마쓰무라 고헤이 (일본)가와우치 유키 (일본)
20km 경보왕전|왕전영어 (중화인민공화국)스즈키 유스케|스즈키 유스케영어 (일본)김현섭 (대한민국)
50km 경보타니이 다카유키 (일본)박칠성 (대한민국)왕전둥 (중화인민공화국)
높이뛰기무타즈 에사 바르심 (카타르)장궈웨이|장궈웨이영어 (중화인민공화국)무아메르 에사 바르심 (카타르)
장대높이뛰기쉐창루이 (중화인민공화국)사와노 다이치 (일본)진민섭 (대한민국)
멀리뛰기리진저 (중화인민공화국)김덕현 (대한민국)가오싱롱 (중화인민공화국)
세단뛰기차오숴 (중화인민공화국)둥빈 (중화인민공화국)김덕현 (대한민국)
포환던지기술탄 알-헤브시 (사우디아라비아)창밍황 (중화 타이베이)인데르지트 싱 (인도)
원반던지기에산 하다디 (이란)비카스 고다 (인도)아흐메드 디브 (카타르)
해머던지기딜쇼드 나자로프 (타지키스탄)왕스주 (중화인민공화국)완융 (중화인민공화국)
창던지기자오칭강 (중화인민공화국)아라이 료헤이|아라이 료헤이영어 (일본)이반 자이체프|이반 자이체프영어 (우즈베키스탄)
십종 경기우시로 게이스케 (일본)레오니트 안드레예프|레오니트 안드레예프영어 (우즈베키스탄)나카무라 아키히코 (일본)


5. 2. 여자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
100m웨이융리|중국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1]후쿠시마 치사토|일본일본어 ( 일본)[1]올가 사프로노바|카자흐스탄영어 ( 카자흐스탄)[1]
200m올가 사프로노바|카자흐스탄영어 ( 카자흐스탄)[1]웨이융리|중국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1]후쿠시마 치사토|일본일본어 ( 일본)[1]
400m케미 아데코야|바레인영어 ( 바레인)[1]꾸아치 티 란|베트남vi ( 베트남)[1]M. R. 푸밤마|인도영어 ( 인도)[1]
800m마르가리타 무카셰바|카자흐스탄영어 ( 카자흐스탄)[1]틴투 루카|인도영어 ( 인도)[1]자오징|중국영어 ( 중화인민공화국)[1]
1500m마리암 유수프 자말|바레인영어 ( 바레인)[1]미미 베레테|바레인영어 ( 바레인)[1]O. P. 자이샤|인도영어 ( 인도)[1]
5000m마리암 유수프 자말|바레인영어 ( 바레인)[1]미미 베레테|바레인영어 ( 바레인)[1]딩창친|중국영어 ( 중화인민공화국)[1]
10000m알리아 사이드 모하메드|아랍에미리트영어 ( 아랍에미리트)[1]딩창친|중국영어 ( 중화인민공화국)[1]하기와라 아유미|일본일본어 ( 일본)[1]
100m 허들우수지아오|중국영어 ( 중화인민공화국)[1]쑨야웨이|중국영어 ( 중화인민공화국)[1]기무라 아야코|일본일본어 ( 일본)[1]
400m 허들케미 아데코야|바레인영어 ( 바레인)[1]구보쿠라 사토미|일본일본어 ( 일본)[1]샤오샤|중국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1]
3000m 장애물경주루스 제베트|바레인영어 ( 바레인)[1]리전주|중국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1]라리타 바바르|인도영어 ( 인도)[1]
4×100m 계주 중화인민공화국 (타오위자, 콩 링웨이|쿵링웨이프랑스어, 린후이쥔|린후이쥔영어, 웨이융리|웨이융리중국어)[1] 카자흐스탄 (Svetlana Ivanchukova, 빅토리아 쟈브키나|빅토리야 자브키나영어, Anastassiya Tulapina, 올가 사프로노바|올가 사프로노바영어)[1] 일본 (후지모리 안나, 이치카와 카나|이치카와 가나일본어, 아오키 마스미|아오키 마스미일본어, 후쿠시마 치사토|후쿠시마 지사토일본어)[1]
4×400m 계주 인도 (프리얀카 파와르, 틴투 루카|틴투 루카영어, 만디프 카우르|만디프 카우르영어, M. R. 푸밤마|M. R. 푸밤마영어)[1] 일본 (아오야마 세이카, 마츠모토 나나코|마쓰모토 나나코일본어, 이치카와 카나|이치카와 가나일본어, 치바 아사미|지바 아사미일본어)[1] 중화인민공화국 (Li Manyuan, Wang Huan, 천징원|천징원영어, Cheng Chong)[1]
마라톤유니스 제프키루이 키르와|바레인영어 ( 바레인)[1]키자키 료코|일본일본어 ( 일본)[1]리샨 둘라|바레인영어 ( 바레인)[1]
20km 경보뤼슈지|중국영어 ( 중화인민공화국)[1]쿠쉬비르 카우르|인도영어 ( 인도)[1]전영은|대한민국영어 ( 대한민국)[1]
높이뛰기스베틀라나 라지빌|우즈베키스탄영어 ( 우즈베키스탄)[1]정싱줸|중국영어 ( 중화인민공화국)[1]나디야 두사노바|우즈베키스탄영어 ( 우즈베키스탄)[1]
장대높이뛰기리링|중국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1]아비코 토모미|일본일본어 ( 일본)[1]임은지|대한민국영어 ( 대한민국)[1]
멀리뛰기마리아 나탈리아 론다|인도네시아영어 ( 인도네시아)[1]Bui Thi Thu Thao ( 베트남)[1]장옌페이|중국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1]
세단뛰기올가 리파코바|카자흐스탄영어 ( 카자흐스탄)[1]알렉산드라 코틀랴로바|우즈베키스탄영어 ( 우즈베키스탄)[1]이리나 엑토바|카자흐스탄영어 ( 카자흐스탄)[1]
포환던지기궁리자오|중국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1]레일라 라자비|이란영어 ( 이란)[1]궈톈첸|중국영어 ( 중화인민공화국)[1]
원반던지기시마 푸니아|인도영어 ( 인도)[1]루샤오신|중국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1]탄젠|중국영어 ( 중화인민공화국)[1]
해머던지기장원슈|중국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1]왕정|중국영어 ( 중화인민공화국)[1]만주 발라|인도영어 ( 인도)[1]
창던지기장리|중국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1]리링웨이|중국중국어 ( 중화인민공화국)[1]아누 라니|인도영어 ( 인도)[1]
7종 경기예카테리나 보로니나|우즈베키스탄영어 ( 우즈베키스탄)[1]왕칭링|중국영어 ( 중화인민공화국)[1]율리야 타라소바|우즈베키스탄영어 ( 우즈베키스탄)[1]


6. 참가국

2014년 아시안 게임 육상에는 총 41개국에서 648명의 선수가 참가했다.[1]

참가국선수 수
아프가니스탄2
바레인28
부탄1
캄보디아3
중화인민공화국79
중화 타이베이28
홍콩18
인도47
인도네시아3
이란19
이라크11
일본52
카자흐스탄29
쿠웨이트20
키르기스스탄8
라오스4
레바논1
마카오8
말레이시아6
몰디브5
몽골13
미얀마3
네팔1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
오만10
팔레스타인3
필리핀9
카타르20
사우디아라비아19
싱가포르11
대한민국65
스리랑카11
시리아3
타지키스탄5
태국37
동티모르2
투르크메니스탄4
아랍에미리트4
우즈베키스탄26
베트남13
예멘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