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은 2018년 2월 8일부터 25일까지 대한민국 평창에서 열린 대회로, 남자, 여자, 믹스더블 종목에서 총 13개국이 참가했다. 남자부에서는 미국이, 여자부에서는 스웨덴이 금메달을 획득했고, 믹스더블에서는 캐나다가 우승했다. 특히,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은 은메달을 획득하며 "영미!" 유행어를 낳는 등 국민적인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러시아 선수단의 도핑 문제와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의 팀 킴 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여자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컬링 여자 경기는 10개국이 참가하여 스웨덴이 금메달, 대한민국이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대한민국은 컬링 열풍을 일으키는 데 기여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믹스더블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믹스더블은 남녀 혼성 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캐나다가 금메달, 스위스가 은메달, 노르웨이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컬링 대회 - 2016 태평양-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
2016년 태평양-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는 2016년에 개최되었으며, 남자부에서는 일본이, 여자부에서는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했다. -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컬링 대회 - 2017년 세계 휠체어 컬링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휠체어 컬링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노르웨이가 금메달을, 러시아가 은메달을, 스코틀랜드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6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컬링 - 1924년 동계 올림픽 컬링
1924년 동계 올림픽 컬링은 영국, 스웨덴, 프랑스가 참가한 리그전으로 영국이 금메달, 스웨덴이 은메달, 프랑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컬링 - 1998년 동계 올림픽 컬링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 컬링이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되어 스위스와 캐나다가 각각 남자부와 여자부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 대회를 계기로 대한민국 컬링이 성장하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여자 컬링 대표팀이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 |
![]() | |
개최지 | 강릉 컬링 센터 |
날짜 | 2018년 2월 8일 ~ 2월 25일 |
참가 선수 | 116명 |
참가 국가 | 13개국 |
세부 종목 | 3개 (남자 1, 여자 1, 혼성 1) |
이전 대회 | 2014년 |
다음 대회 | 2022년 |
남자 컬링 | |
여자 컬링 | |
혼성 2인조 컬링 | |
관련 항목 | |
예선 | 예선 |
통계 | 통계 |
토너먼트 | |
남자 | 남자 |
여자 | 여자 |
혼성 2인조 | 혼성 2인조 |
2. 경기 일정
컬링 경기는 개막식 전날인 2월 8일부터 대회 마지막 날인 2월 25일까지 진행되었다.[4] 모든 시간은 한국 표준시(UTC+09:00) 기준이다.[12]
날짜 종목 | 8일 (목) | 9일 (금) | 10일 (토) | 11일 (일) | 12일 (월) | 13일 (화) | 14일 (수) | 15일 (목) | 16일 (금) | 17일 (토) | 18일 (일) | 19일 (월) | 20일 (화) | 21일 (수) | 22일 (목) | 23일 (금) | 24일 (토) | 25일 (일) |
---|---|---|---|---|---|---|---|---|---|---|---|---|---|---|---|---|---|---|
남자 토너먼트 | colspan="2"| | 예선 | 예선 | 예선 | 예선 | 예선 | 예선 | 예선 | 예선 | 준결 | 동 | 결 | ||||||
여자 토너먼트 | colspan="2"| | 예선 | 예선 | 예선 | 예선 | 예선 | 예선 | 예선 | 예선 | 준결 | 동 | 결 | ||||||
믹스더블 | 예선 | 예선 | 예선 | 예선 | 준결 | 동 | 결 |
2. 1. 경기 방식
4인조 남녀 경기는 10개국, 믹스 더블(혼성 2인조) 경기는 8개국이 참가하여 경기를 진행한다. 경기 방식은 다음과 같다.- 라운드 로빈 (예선): 2월 14일부터 21일까지 10개 팀(4인조), 혹은 8개 팀(믹스 더블)이 풀 리그 방식으로 예선 라운드 로빈을 진행하여 상위 4개 팀 혹은 3개 팀 + 타이브레이크 승리 팀이 준결승에 진출한다.
- 준결승: 라운드 로빈 상위 4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한다.
- 결승 및 3-4위전: 준결승 승리 팀은 결승, 패배 팀은 3-4위전을 치러 메달 색깔을 결정한다.
믹스더블 경기에서는 준결승 마지막 한 자리를 놓고 타이브레이크 경기를 진행했다. 2월 11일에 진행된 타이브레이크 경기에서는 노르웨이가 중국에 9-7로 승리했다.
3. 참가국
2018년 동계 올림픽에는 총 13개국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OAR) 포함)이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권을 획득했다.
다음은 출전국 목록이다. 일부 선수는 남녀 4인조 경기와 믹스더블(혼성 2인조) 경기에 모두 출전했기 때문에, 각국 올림픽 위원회(NOC)가 실제로 올림픽에 파견한 선수 수는 이 목록과 다를 수 있다.
출전 자격은 2016년과 2017년 세계 컬링 선수권 대회의 성적을 통해 주어지는 출전 자격 점수와, 2017년 12월 개최된 올림픽 예선 대회를 통해 결정되었다. 개최국인 대한민국을 제외하고, 세계 선수권 대회 점수로 7개국, 예선 대회로 2개국이 추가로 출전권을 획득했다. 러시아는 도핑 문제로 인해 올림픽 참가가 금지되었지만, 선수들은 개인 자격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으로 참가했다.
3. 1. 출전 자격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 토너먼트 출전 자격은 두 가지 방법으로 결정되었다. 각 국가는 2016년과 2017년 세계 컬링 선수권 대회에서의 성적을 통해 출전 자격 점수를 획득하여 팀을 출전시킬 수 있었다.[3] 또한 2017년 12월에 개최된 올림픽 예선 대회를 통해 출전 자격을 얻을 수도 있었다.[3] 7개 국가는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 자격 점수를 통해, 2개 국가는 예선 대회를 통해 출전 자격을 얻었다.[3] 개최국인 대한민국은 자동으로 출전 자격을 얻어, 컬링 토너먼트에는 성별당 총 10개의 팀이 참가하게 되었다.[3] 혼성 2인조 경기의 경우, 2016년과 2017년 세계 믹스 더블 컬링 선수권 대회에서의 성적을 통해 출전 자격 점수를 획득한 상위 7개 팀과 개최국인 대한민국이 출전 자격을 얻었다.[3]2016년과 2017년의 세계 선수권 대회 순위를 점수로 환산하여, 개최국인 대한민국을 제외한 상위 7개국이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한다. 4인조 남녀 컬링은 나머지 2개국을 세계 최종 예선에서 결정한다. 믹스 더블은 8개국이 경쟁하므로 세계 최종 예선은 열리지 않는다. 영국은 세계 선수권 대회에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웨일스로 나뉘어 출전하므로, 스코틀랜드의 점수를 영국 대표의 것으로 한다. 나머지 2개국을 결정하는 세계 최종 예선에는, 점수에 따라 출전권을 획득하지 못한 국가 중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세계 선수권 대회에 한 번이라도 출전한 적이 있는 국가/지역과, 퍼시픽 아시아 컬링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한 적이 있는 국가/지역이 참가 자격을 갖는다.
러시아는 도핑 문제로 인해 평창 올림픽 참가가 제외되었으므로, 선수들은 개인 자격(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으로 출전했다.
순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포인트 | 14 | 12 | 10 | 9 | 8 | 7 | 6 | 5 | 4 | 3 | 2 | 1 |
Key | |
---|---|
style="background-color: #cfc; width: 1.5em;"| | 세계 선수권 대회 결과로 출전이 확정된 국가 |
style="background-color: #ffc; width: 1.5em;"| | 최종 예선에 출전하는 국가 |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width: 100%;"
| style="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 float: left; margin-right: 1em;" |
| style="text-align: left; vertical-align:top ;float:left; margin-right:1em;" |
순위 | 국가 | 2014 | 2015 | 2016 | 2017 | 합계 |
---|---|---|---|---|---|---|
1 | 출전 | 출전 | 14 | 14 | 28 | |
2 | 출전 | 출전 | 7 | 12 | 19 | |
3 | 출전 | 출전 | 10 | 9 | 19 | |
4 | 출전 | 출전 | 9 | 6 | 15 | |
5 | 출전 | 출전 | 4 | 10 | 14 | |
6 | 출전 | 출전 | 6 | 7 | 13 | |
7 | 출전 | 출전 | 8 | 5 | 13 | |
8 | 출전 | - | 12 | - | 12 | |
9 | 출전 | 출전 | - | 8 | 8 | |
10 | - | 출전 | 5 | - | 5 | |
11 | - | 출전 | - | 4 | 4 | |
12 | 출전 | - | 1 | 3 | 4 | |
13 | 출전 | 출전 | 3 | 1 | 4 | |
14 | - | - | - | 2 | 2 | |
15 | - | - | 2 | - | 2 | |
16 | 출전 | 출전 | - | - | 0 |
|}
{|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width:100%;"
| style=" text-align: left; vertical-align:top ;float:left; margin-right:1em;" |
| style=" text-align: left; vertical-align:top ;float:left; margin-right:1em;" |
순위 | 국가 | 2014 | 2015 | 2016 | 2017 | 합계 | |
---|---|---|---|---|---|---|---|
1 | 출전 | 출전 | 9 | 14 | 23 | ||
2 | 출전 | 출전 | 10 | 12 | 22 | ||
3 | 출전 | 출전 | 14 | 5 | 19 | ||
4 | 출전 | 출전 | 8 | 10 | 18 | ||
5 | 출전 | 출전 | 7 | 8 | 15 | ||
6 | 출전 | 출전 | 4 | 9 | 13 | ||
7 | 출전 | - | 6 | 7 | 13 | ||
8 | - | 출전 | 12 | - | 12 | ||
9 | 출전 | 출전 | 3 | 4 | 7 | ||
10 | 출전 | - | - | 6 | 6 | ||
11 | 출전 | 출전 | 5 | 1 | 6 | ||
12 | - | - | 1 | 3 | 4 | ||
13 | 출전 | 출전 | - | 2 | 2 | ||
14 | - | 출전 | 2 | - | 2 | ||
15 | - | 출전 | - | - | 0 | ||
16 | 출전 | - | - | - | 0 |
|}
4. 결과
2018년 동계 올림픽 컬링의 세부 종목별 최종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가 믹스더블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선수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의 멜도니움 검출로 4위인 노르웨이 팀이 동메달을 승계받았다.[13]

경기 결과 요약
- 남자: 미국 (존 슈스터, 타일러 조지, 맷 해밀턴, 존 랜즈타이너, 조 폴로) 금메달, 스웨덴 (니클라스 에딘, 오스카르 에릭손, 라스무스 브라노, 크리스토페르 순드그렌, 헨리크 레크) 은메달, 스위스 (브누아 슈바르츠, 클라우디오 페츠, 페터 데 크루츠, 발렌틴 타너, 도미니크 메르키) 동메달 획득.
- 여자: 스웨덴 (안나 하셀보리, 사라 맥매너스, 앙네스 크노셴하우에르, 소피아 마베리스, 옌니에 볼린) 금메달, 대한민국 (김은정,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초희) 은메달, 일본 (후지사와 사쓰키, 요시다 지나미, 스즈키 유미, 요시다 유리카, 모토하시 마리) 동메달 획득.
- 믹스더블: 캐나다 (캐슬린 로스, 존 모리스) 금메달, 스위스 (제니 페레, 마르틴 리오스) 은메달, 노르웨이 (크리스틴 스카슬린, 망누스 네드레고텐) 동메달 획득.[13]
4. 1.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1 | 1 | 0 | 2 | |
2 | 1 | 0 | 0 | 1 | |
1 | 0 | 0 | 1 | ||
4 | 0 | 1 | 1 | 2 | |
5 | 0 | 1 | 0 | 1 | |
6 | 0 | 0 | 1 | 1 | |
0 | 0 | 1 | 1 | ||
합계 | 3 | 3 | 3 | 9 |
4. 2. 종목별 결과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남자 | 존 슈스터 타일러 조지 맷 해밀턴 존 랜즈타이너 조 폴로 | 니클라스 에딘 오스카르 에릭손 라스무스 브라노 크리스토페르 순드그렌 헨리크 레크 | 브누아 슈바르츠 클라우디오 페츠 페터 데 크루츠 발렌틴 타너 도미니크 메르키 |
여자 | 안나 하셀보리 사라 맥매너스 앙네스 크노셴하우에르 소피아 마베리스 옌니에 볼린 | 김은정 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초희 | 후지사와 사쓰키 요시다 지나미 스즈키 유미 요시다 유리카 모토하시 마리 |
믹스더블 (혼합 복식) | 캐슬린 로스 존 모리스 | 제니 페레 마르틴 리오스 | 크리스틴 스카슬린 망누스 네드레고텐[13] |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가 믹스더블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선수 알렉산드르 크루셸니츠키의 도핑 샘플에서 멜도니움이 검출되어 4위인 노르웨이 팀이 동메달을 승계받았다.[13]
4. 2. 1. 남자
5-210-4
8-6
3-10
2-7
7-2
11-4
7-3
9-5
2-5
7-9
6-4
6-8
7-4
7-6
8-4
5-3
8-3
4-10
9-7
10-4
8-4
5-8
11-7
2-8
9-10
9-5
10-3
8-6
4-8
5-6
7-5
7-8
6-5
4-7
9-7
6-8
4-6
4-10
6-5
10-3
5-11
6-5
7-6
7-6
7-2
4-7
8-5
3-10
5-7
7-5
4-6
4-6
10-8
2-7
6-7
7-11
11-5
8-7
5-7
10-4
8-6
8-9
4-11
4-8
8-2
5-6
5-6
6-4
4-10
6-5
6-4
3-7
3-5
10-9
6-7
7-4
6-4
6-8
5-6
4-6
5-9
3-8
5-9
6-7
7-9
8-10
9-8
4-6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