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코트디부아르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34번째 대회이다. 2023년 1월 13일부터 2월 11일까지 5개 도시, 6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으며, 코트디부아르가 나이지리아를 꺾고 3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앙골라, 부르키나파소, 모리타니, 알제리, 튀니지 등 24개국이 참가했으며, 에밀리오 은수에가 5골로 득점왕, 윌리엄 트로스트-에콩이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4년 코트디부아르 - 2024년 하계 올림픽 코트디부아르 선수단
2024년 하계 올림픽에 코트디부아르를 대표하여 육상, 펜싱, 유도, 태권도 등 다양한 종목에 6명의 선수가 참가할 예정이며, 현재까지 메달 획득 기록은 없다. - 코트디부아르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8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8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코트디부아르에서 8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아비장과 부아케에서 개최되어 카메룬이 나이지리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이집트의 타헤르 아부제이드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코트디부아르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0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200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은 코트디부아르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국가대표팀 간의 축구 대회로, 30개국이 예선에 참가하여 8개 팀이 본선에 진출, 아비장과 부아케에서 경기를 치른 결과 콩고 민주 공화국이 가나를 꺾고 우승했다. - 2024년 축구 - UEFA 유로 2024
UEFA 유로 2024는 2024년 독일에서 개최된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이며, 스페인이 잉글랜드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2024년 축구 - 2023년 AFC 아시안컵
2023년 AFC 아시안컵은 카타르에서 개최된 제18회 AFC 아시안컵으로, 2024년 1월에 열렸으며 카타르가 우승을 차지했다.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기타 명칭 | Coupe d'Afrique des Nations 2023 |
![]() | |
개최국 | 코트디부아르 |
개최 기간 | 2024년 1월 13일 – 2024년 2월 11일 |
참가 팀 수 | 24 |
경기장 수 | 6 |
개최 도시 수 | 5 |
우승 팀 | 코트디부아르 |
우승 횟수 | 3 |
준우승 팀 | 나이지리아 |
3위 팀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위 팀 | 콩고 민주 공화국 |
총 경기 수 | 52 |
총 득점 수 | 119 |
총 관중 수 | 1109593 |
최다 득점 선수 | 에밀리오 은수에 (5골) |
최우수 선수 | 윌리엄 트루스트에콩 |
신인 선수상 | 시몽 아딩라 |
최우수 골키퍼 | 론웬 윌리엄스 |
페어 플레이상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이전 대회 | 2021 |
다음 대회 | 2025 |
대회 연혁 | |
대회 변경 사항 | 2019년부터 1월 개최에서 6월 개최로 변경 16개 팀에서 24개 팀으로 확대 2023년 대회는 코트디부아르의 우천으로 인해 2024년 1월로 연기 |
관련 정보 | |
공식 웹사이트 | CAF 온라인 |
2. 개최국 선정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집행위원회는 2014년 1월 24일에 열린 회의에서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종 후보 국가로 알제리, 기니, 코트디부아르를 발표했다.[94] 콩고 민주 공화국, 가봉, 잠비아는 유치 신청을 했으나 최종 후보에는 들지 못했다.[94]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코트디부아르의 5개 도시, 6개 경기장에서 개최된다. 아비장에서는 알라산 우아타라 스타디움(60,000석)과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33,000석)[101]이 사용되며, 부아케에서는 스타드 드 라 페(40,000석)가 사용된다. 코로고의 아마두 곤 쿨리발리 스타디움, 산페드로의 로랑 포쿠 스타디움, 야무수크로의 샤를 코난 바니 스타디움은 모두 20,000석 규모이다.
2014년 9월 20일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CAF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은 카메룬으로,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은 코트디부아르로,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은 기니로 각각 선정되었다.[9][94] 그러나 2018년 11월 30일, CAF는 카메룬의 준비 부족과 치안 악화 (보코하람 반군 및 앙글로폰 분쟁)를 이유로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권을 박탈했다.[95] 이후 이집트가 2019년 대회 개최국이 되었다.[12]
아마드 아마드 CAF 회장은 카메룬에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권을 넘기는 대신 코트디부아르에는 2023년 대회, 기니에는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권을 부여했다.[96][97] 2019년 1월 30일, CAF 회장은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알라산 와타라 대통령과 회담하여 2023년 대회를 코트디부아르에서 개최하는 것을 확인했다.[98] 코트디부아르의 요청에 따라 서아프리카와 중앙아프리카의 열대 우기를 피해 대회는 2024년 1월과 2월로 연기되었다.[6]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location map+|Côte d'Ivoire|float=center|width=400|places= 아비장 부아케 알라산 우아타라 스타디움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 스타드 드 라 페 수용정원: 60,000 수용정원: 33,000[101] 수용정원: 40,000 코로고 산페드로 야무수크로 아마두 곤 쿨리발리 스타디움 로랑 포쿠 스타디움 샤를 코난 바니 스타디움 수용정원: 20,000 수용정원: 20,000 수용정원: 20,000
2017년 9월, 코트디부아르 정부는 대회 경기장에 대한 공개 입찰을 시작했다.[32] 여기에는 아비장에 있는 기존의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과 부아케의 스타드 드 라 페를 개보수 및 확장하고, 야무수크로, 코로고, 산페드로에 새로운 경기장을 건설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출전국이 24개국으로 확장된 이후, 6개의 경기장이 필요하게 되었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은 40,000명 수용 규모의 경기장 2개, 20,000명 수용 규모의 경기장 2개, 15,000명 수용 규모의 경기장 2개를 요구했다.[99]
4. 마케팅
4. 1. 스폰서십
타이틀 스폰서 | 공식 스폰서 | 국가 스폰서 |
---|---|---|
style="vertical-align:top;"| | style="vertical-align:top;"| | style="vertical-align:top;"| |
4. 2. 마스코트
[[File:"Akwaba,_Africa_Cup_of_Nations_Egypt_2023_Mascot,_July_2023".jpeg|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공식 마스코트, 아콰바|20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일명 COCAN 2023) 조직위원회는 바울레어(Baoulé languagebau)로 "환영"을 의미하는 "아콰바(Akwaba)"라는 대회 마스코트를 공개했다.[24] 아콰바는 코끼리 모습이며, 유니폼은 개최국인 코트디부아르의 홈 유니폼 색상과 유사하다.[24]4. 3. 공인구
2023년 10월 12일,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과 푸마는 최종 조추첨을 앞두고 "포쿠(Pokou)"를 공식 대회구로 공개했다.[25] 이 이름은 코트디부아르의 전설적인 공격수 로랑 포쿠를 기리기 위해 선택되었다.[25] 로랑 포쿠는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에티오피아를 상대로 6-1 대승을 거두는 경기에서 5골을 넣은 것으로 유명하며, 이 기록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25]4. 4. 공식 주제가
2023년 10월 12일,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는 공식 추첨식에서 이 대회의 공식 주제가인 "아콰바(Akwaba)"를 공개했다.[26][27] 이 노래에는 나이지리아의 가수 예미 알라데(Yemi Alade), 이집트의 래퍼 모하메드 라마단(Mohamed Ramadan), 그리고 코트디부아르의 음악 그룹 매직 시스템(Magic System)이 참여했다.[26][27] 바울레어(Baoulé language) 언어로 "환영"을 뜻하는 이 주제가는 아프로비츠(Afrobeats), 랩, 그리고 주글루(zouglou)를 융합한 곡으로, 스타일 면에서 이전 대회의 주제가들(이전 주제가들)과 유사하게 여겨진다.[26][27]5. 예선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df82156_7f4bd5dd.png|thumb|274px|
- 예선 통과
- 예선 탈락
- 기권 또는 불참
- 자격 정지
- CAF 비회원]]
원래 54개 팀이 예선에 등록했으며, 2019년과 2021년과 마찬가지로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다. 레위니옹과 잔지바르는 CAF의 정회원이 아니었기 때문에 참가가 제외되었다. 에리트레아는 1차 예선 추첨 후 기권했다. 케냐와 짐바브웨는 2차 예선 추첨 당시 FIFA에 의해 자격 정지되었고, 자격 정지가 해제되지 않아 대회에서 제외되었다.
예비 라운드에서는 2021년 12월 FIFA 랭킹에서 가장 순위가 낮은 12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 시스템으로 경쟁했다. 예비 라운드의 6개 승리팀과 나머지 42개 상위 팀은 2022년 4월 12개 조로 나뉘어 추첨되었다. 2차 라운드는 2022년 6월부터 2023년 9월까지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H조를 제외한 모든 12개 조의 조 1위와 조 2위 팀이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다. 코트디부아르 개최국을 제외하고 H조에서는 한 팀만 진출했다.
5. 1. 본선 진출국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총 24개국이 진출했다. 코트디부아르는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으며, 나머지 23개 팀은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합류했다.[28][29]2015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새로운 참가국 없이 이전 대회 참가국들이 본선에 진출했다. 2021년 대회에 참가했던 17개 팀이 다시 본선에 진출했으며, 콩고 민주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앙골라, 나미비아, 탄자니아는 2021년 대회를 놓친 후 복귀했다. 잠비아는 약 9년 만에, 모잠비크는 14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다.[28][29]
반면, 코모로는 2021년 데뷔 후 본선 진출에 실패했고, 케냐와 짐바브웨는 FIFA의 출전 정지로 인해 실격되었다.[30][31] 수단, 말라위, 가봉, 시에라리온, 에티오피아도 2021년 대회 출전 후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팀 | 예선 결과 | 과거 본선 기록 | 마지막 참가 | 역대 최고 성적 |
---|---|---|---|---|
코트디부아르 | 개최국 / H조 2위 | 25회 | 2021 | 우승 (1992, 2015) |
모로코 | K조 1위 | 19회 | 2021 | 우승 (1976) |
알제리 | F조 1위 | 20회 | 2021 | 우승 (1990, 2019) |
남아프리카 공화국 | K조 2위 | 11회 | 2019 | 우승 (1996) |
세네갈 | L조 1위 | 17회 | 2021 | 우승 (2021) |
부르키나파소 | B조 1위 | 13회 | 2021 | 준우승 (2013) |
튀니지 | J조 1위 | 21회 | 2021 | 우승 (2004) |
이집트 | D조 1위 | 26회 | 2021 | 우승 (1957, 1959, 1986, 1998, 2006, 2008, 2010) |
잠비아 | H조 1위 | 18회 | 2015 | 우승 (2012) |
적도 기니 | J조 2위 | 4회 | 2021 | 4위 (2015) |
나이지리아 | A조 1위 | 20회 | 2021 | 우승 (1980, 1994, 2013) |
기니비사우 | A조 2위 | 4회 | 2021 | 조별 리그 (2017, 2019, 2021) |
카보베르데 | B조 2위 | 4회 | 2021 | 8강 (2013) |
말리 | G조 1위 | 13회 | 2021 | 준우승 (1972) |
기니 | D조 2위 | 14회 | 2021 | 준우승 (1976) |
가나 | E조 1위 | 24회 | 2021 | 우승 (1963, 1965, 1978, 1982) |
앙골라 | E조 2위 | 9회 | 2019 | 8강 (2008, 2010) |
탄자니아 | F조 2위 | 3회 | 2019 | 조별 리그 (1980, 2019) |
모잠비크 | L조 1위 | 5회 | 2010 | 조별 리그 (1986, 1996, 1998, 2010) |
콩고 민주 공화국 | I조 1위 | 20회 | 2019 | 우승 (1968, 1974) |
모리타니 | I조 2위 | 3회 | 2021 | 조별 리그 (2019, 2021) |
감비아 | G조 2위 | 2회 | 2021 | 8강 (2021) |
카메룬 | C조 1위 | 21회 | 2021 | 우승 (1984, 1988, 2000, 2002, 2017) |
나미비아 | C조 2위 | 4회 | 2019 | 조별 리그 (1998, 2008, 2019) |
6. 시드 배정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조 추첨은 2023년 10월 12일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의 파르크 데 엑스포지션 다비장에서 진행되었다.[36] 이 행사는 세네갈계 미국인 음악가 아콘/Akon영어이 진행했으며,[37] 추첨은 전 아프리카 축구 선수 디디에 드로그바와 존 오비 미켈, 그리고 현역 국가대표 선수 사디오 마네와 아슈라프 하키미가 함께 진행했다.[38]
24개 팀은 4개 팀씩 6개 조로 나뉘었으며, 4개의 초기 포트는 2023년 9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결정되었다.[39] 개최국 코트디부아르는 자동적으로 1번 시드를 배정받아 A1 자리에 배정되었다.[39]
포트 1 | 포트 2 | 포트 3 | 포트 4 |
---|---|---|---|
코트디부아르 (개최국) 모로코 세네갈 (디펜딩 챔피언) 튀니지 알제리 이집트 | 나이지리아 카메룬 말리 부르키나파소 가나 콩고 민주 공화국 | 남아프리카 공화국 카보베르데 기니 잠비아 적도 기니 모리타니 | 기니비사우 모잠비크 나미비아 앙골라 감비아 탄자니아 |
7. 선수 명단
각 참가국은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참가하기 위해 최대 27명의 선수로 구성된 선수 명단을 제출해야 했다.
8. 조별 리그
모든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각인 GMT (UTC±0)를 따른다.[102][103] 대회의 경기 일정은 2023년 10월 20일 조별 예선 추첨 후 공개되었다.[40][41]
=== 순위 결정 방식 ===
조별 순위는 승점(승리 3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으로 결정되며, 승점이 같은 두 팀은 다음 타이브레이크 기준을 적용하여 순위를 정한다:[104][42]
# 두 팀 간의 상대 전적 승점
# 전체 조별 경기의 득실차
# 전체 조별 경기의 득점
# 추첨
세 팀 이상의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기준이 적용된다.
# 동률 팀 간 경기의 승점
# 동률 팀 간 경기의 득실차
# 동률 팀 간 경기의 득점
# 위 기준을 모두 적용한 후에도 두 팀이 여전히 동률일 경우, 위 기준을 해당 두 팀 간의 경기에 다시 적용한다. 이로써 동률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다음 세 가지 기준을 적용한다.
# 전체 조별 경기의 득실차
# 전체 조별 경기의 득점
# 추첨
=== A조 ===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A조에서는 적도 기니와 나이지리아가 각각 승점 7점으로 1, 2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개최국 코트디부아르는 승점 3점으로 조 3위를 기록, 각 조 3위 팀 간의 결과에 따라 16강 진출 여부가 결정된다. 기니비사우는 3전 전패로 탈락했다.
2023년 1월 13일 아비장의 알라산 와타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개막전에서 코트디부아르는 기니비사우를 상대로 S. 포파나와 크라소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1월 14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적도 기니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살바도르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오시멘이 곧바로 동점골을 기록했다.
1월 18일에는 적도 기니가 기니비사우를 4-2로 꺾었다. 은수에가 해트트릭을 기록하고, 미란다가 한 골을 추가했다. 기니비사우는 에스테반의 자책골과 제 투르부의 골로 추격했지만 역전에 실패했다. 같은 날 코트디부아르는 나이지리아에 0-1로 패했다. 트루스트에콩이 페널티킥 결승골을 기록했다.
1월 22일 적도 기니는 코트디부아르를 4-0으로 대파했다. 은수에가 두 골, 가네트와 부일라가 각각 한 골씩 추가했다. 같은 시간 기니비사우는 나이지리아에 0-1로 패하며 3전 전패로 대회를 마감했다. 상강테의 자책골이 결승골이 되었다.
=== B조 ===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B조에서는 카보베르데가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고, 이집트는 3무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가나와 모잠비크는 각각 2무 1패로 승점 2점을 얻었지만, 골득실에서 밀려 탈락했다.
2023년 1월 14일, 이집트와 모잠비크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같은 날 가나와 카보베르데의 경기는 카보베르데가 2-1로 승리했다. 1월 18일, 이집트와 가나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1월 19일, 카보베르데는 모잠비크를 3-0으로 꺾었다.
1월 22일, 모잠비크와 가나는 2-2로 비겼고, 같은 날 카보베르데와 이집트의 경기도 2-2 무승부로 끝났다.
=== C조 ===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C조에서는 세네갈, 카메룬, 기니, 감비아가 경쟁을 펼쳤다. 세네갈은 3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고, 카메룬(1승 1무 1패)과 기니(1승 1무 1패)가 각각 조 2위와 3위로 16강에 합류했다. 감비아는 3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세네갈은 감비아와의 첫 경기에서 파페 게예와 라민 카마라의 골로 3-0 완승을 거두었다. 카메룬과 기니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으며, 카메룬의 프랑크 마그리와 기니의 모하메드 바요가 각각 득점했다.
세네갈은 카메룬과의 두 번째 경기에서 이스마일라 사르, 하비브 디알로, 사디오 마네의 연속골로 3-1 승리를 기록했다. 카메룬은 장샤를 카스텔레토가 한 골을 만회했다. 기니는 아기부 카마라의 결승골로 감비아를 1-0으로 꺾었다.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세네갈은 기니를 상대로 압둘라예 세크와 일리만 은디아예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확정지었다. 같은 시간, 감비아는 카메룬에 2-3으로 패배했다. 감비아는 애블리 잘로우와 에브리마 콜리가 득점했지만, 카메룬의 카를 토코 에캄비, 제임스 고메즈(자책골), 크리스토페르 우의 득점으로 역전패를 당했다.
=== D조 ===
D조에서는 앙골라가 2승 1무로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부르키나파소는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모리타니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 각 조 3위 팀 중 상위 4팀에게 주어지는 와일드카드를 통해 16강에 진출했다. 반면 알제리는 2무 1패, 조 최하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2023년 1월 15일, 부아케에서 열린 알제리와 앙골라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알제리의 부네자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앙골라의 마불룰루가 페널티킥으로 동점골을 기록했다.
2023년 1월 16일에는 부르키나파소가 트라오레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모리타니를 1-0으로 꺾었다.
2023년 1월 20일에 열린 알제리와 부르키나파소의 경기는 2-2 무승부였다. 부네자가 멀티골을 기록했지만, 부르키나파소는 M. 코나테와 트라오레의 골로 응수했다. 같은 날 모리타니와 앙골라의 경기는 난타전 끝에 앙골라가 3-2로 승리했다. 달라가 멀티골을, 질베르투가 추가골을 넣으며 앙골라의 승리를 이끌었다.
2023년 1월 23일, 앙골라는 마불룰루와 지니의 연속골로 부르키나파소를 2-0으로 제압하고 조 1위를 확정지었다. 같은 날 모리타니는 얄리의 결승골로 알제리를 1-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2 | 1 | 0 | 6 | 3 | +3 | 7 | |
3 | 1 | 1 | 1 | 3 | 4 | -1 | 4 | |
3 | 1 | 0 | 2 | 3 | 4 | -1 | 3 | |
3 | 0 | 2 | 1 | 3 | 4 | -1 | 2 |
=== E조 ===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E조에서는 말리가 1승 2무로 승점 5점을 얻어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나미비아는 각각 1승 1무 1패, 승점 4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골득실에서 앞서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나미비아는 조 3위를 기록했지만, 다른 조 3위 팀들과의 비교에서 상위 4팀 안에 들어 16강에 합류했다. 튀니지는 2무 1패, 승점 2점으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1월 16일, 아마두 곤 쿨리발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튀니지와 나미비아의 경기에서는 나미비아가 호토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말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상대로 H. 트라오레와 시나요코의 연속골로 2-0 승리를 기록했다.
1월 20일, 튀니지와 말리의 경기는 라피아와 시나요코가 각각 한 골씩 주고받아 1-1 무승부로 끝났다. 다음 날,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나미비아를 상대로 타우의 페널티킥 골과 즈와네의 두 골, 마세코의 골을 묶어 4-0 대승을 거두었다.
1월 24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튀니지, 나미비아와 말리의 경기는 모두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 F조 ===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F조에서는 모로코가 2승 1무로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고, 콩고 민주 공화국은 3무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잠비아와 탄자니아는 각각 2무 1패로 탈락했다.
1차전에서 모로코는 탄자니아를 3-0으로 완파했다. 사이스의 선제골, 우나히, 엔네시리의 연속골로 승리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과 잠비아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위사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캉과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2차전에서 모로코와 콩고 민주 공화국은 1-1로 비겼다. 하키미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실라스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잠비아와 탄자니아의 경기도 1-1 무승부로 끝났다. 음수바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다카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3차전에서 탄자니아와 콩고 민주 공화국은 0-0으로 비겼다. 잠비아는 모로코에 0-1로 패배했다. 지예시가 결승골을 기록했다.
===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각 조 3위 팀들은 다음과 같은 성적을 기록했다.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C | 기니 | 3 | 1 | 1 | 1 | 2 | 3 | -1 | 4 | 16강전 진출 |
E | 나미비아 | 3 | 1 | 1 | 1 | 1 | 4 | -3 | 4 | |
D | 모리타니 | 3 | 1 | 0 | 2 | 3 | 4 | -1 | 3 | |
A | 코트디부아르 | 3 | 1 | 0 | 2 | 2 | 5 | -3 | 3 | |
B | 가나 | 3 | 0 | 2 | 1 | 5 | 6 | -1 | 2 | 조별 리그 탈락 |
F | 잠비아 | 3 | 0 | 2 | 1 | 2 | 3 | -1 | 2 |
C조의 기니와 E조의 나미비아는 승점 4점으로 16강에 진출했고, D조의 모리타니와 A조의 코트디부아르는 승점 3점으로 16강에 진출했다. 반면 B조의 가나와 F조의 잠비아는 승점 2점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3위 팀 간의 순위 결정 방식에 따라, A, C, D, E조 3위팀이 16강에 진출하는 조합이 확정되었다.
8. 1. 순위 결정 방식
조별 순위는 승점(승리 3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으로 결정되며, 승점이 같은 두 팀은 다음 타이브레이크 기준을 적용하여 순위를 정한다:[104][42]# 두 팀 간의 상대 전적 승점
# 전체 조별 경기의 득실차
# 전체 조별 경기의 득점
# 추첨
세 팀 이상의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기준이 적용된다.
# 동률 팀 간 경기의 승점
# 동률 팀 간 경기의 득실차
# 동률 팀 간 경기의 득점
# 위 기준을 모두 적용한 후에도 두 팀이 여전히 동률일 경우, 위 기준을 해당 두 팀 간의 경기에 다시 적용한다. 이로써 동률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다음 세 가지 기준을 적용한다.
# 전체 조별 경기의 득실차
# 전체 조별 경기의 득점
# 추첨
8. 2. A조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A조에서는 적도 기니와 나이지리아가 각각 승점 7점으로 1, 2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다. 개최국 코트디부아르는 승점 3점으로 조 3위를 기록, 각 조 3위 팀 간의 결과에 따라 16강 진출 여부가 결정된다. 기니비사우는 3전 전패로 탈락했다.
2023년 1월 13일 아비장의 알라산 와타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개막전에서 코트디부아르는 기니비사우를 상대로 S. 포파나와 크라소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1월 14일 같은 장소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적도 기니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살바도르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오시멘이 곧바로 동점골을 기록했다.
1월 18일에는 적도 기니가 기니비사우를 4-2로 꺾었다. 은수에가 해트트릭을 기록하고, 미란다가 한 골을 추가했다. 기니비사우는 에스테반의 자책골과 제 투르부의 골로 추격했지만 역전에 실패했다. 같은 날 코트디부아르는 나이지리아에 0-1로 패했다. 트루스트에콩이 페널티킥 결승골을 기록했다.
1월 22일 적도 기니는 코트디부아르를 4-0으로 대파했다. 은수에가 두 골, 가네트와 부일라가 각각 한 골씩 추가했다. 같은 시간 기니비사우는 나이지리아에 0-1로 패하며 3전 전패로 대회를 마감했다. 상강테의 자책골이 결승골이 되었다.
8. 3. B조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B조에서는 카보베르데가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고, 이집트는 3무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가나와 모잠비크는 각각 2무 1패로 승점 2점을 얻었지만, 골득실에서 밀려 탈락했다.2023년 1월 14일, 이집트와 모잠비크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같은 날 가나와 카보베르데의 경기는 카보베르데가 2-1로 승리했다. 1월 18일, 이집트와 가나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1월 19일, 카보베르데는 모잠비크를 3-0으로 꺾었다.
1월 22일, 모잠비크와 가나는 2-2로 비겼고, 같은 날 카보베르데와 이집트의 경기도 2-2 무승부로 끝났다.
8. 4. C조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C조에서는 세네갈, 카메룬, 기니, 감비아가 경쟁을 펼쳤다. 세네갈은 3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고, 카메룬(1승 1무 1패)과 기니(1승 1무 1패)가 각각 조 2위와 3위로 16강에 합류했다. 감비아는 3패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세네갈은 감비아와의 첫 경기에서 파페 게예와 라민 카마라의 골로 3-0 완승을 거두었다. 카메룬과 기니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으며, 카메룬의 프랑크 마그리와 기니의 모하메드 바요가 각각 득점했다.
세네갈은 카메룬과의 두 번째 경기에서 이스마일라 사르, 하비브 디알로, 사디오 마네의 연속골로 3-1 승리를 기록했다. 카메룬은 장샤를 카스텔레토가 한 골을 만회했다. 기니는 아기부 카마라의 결승골로 감비아를 1-0으로 꺾었다.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세네갈은 기니를 상대로 압둘라예 세크와 일리만 은디아예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확정지었다. 같은 시간, 감비아는 카메룬에 2-3으로 패배했다. 감비아는 애블리 잘로우와 에브리마 콜리가 득점했지만, 카메룬의 카를 토코 에캄비, 제임스 고메즈(자책골), 크리스토페르 우의 득점으로 역전패를 당했다.
8. 5. D조
D조에서는 앙골라가 2승 1무로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부르키나파소는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모리타니는 1승 2패로 조 3위를 기록, 각 조 3위 팀 중 상위 4팀에게 주어지는 와일드카드를 통해 16강에 진출했다. 반면 알제리는 2무 1패, 조 최하위로 대회를 마감했다.2023년 1월 15일, 부아케에서 열린 알제리와 앙골라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알제리의 부네자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앙골라의 마불룰루가 페널티킥으로 동점골을 기록했다.
2023년 1월 16일에는 부르키나파소가 트라오레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모리타니를 1-0으로 꺾었다.
2023년 1월 20일에 열린 알제리와 부르키나파소의 경기는 2-2 무승부였다. 부네자가 멀티골을 기록했지만, 부르키나파소는 M. 코나테와 트라오레의 골로 응수했다. 같은 날 모리타니와 앙골라의 경기는 난타전 끝에 앙골라가 3-2로 승리했다. 달라가 멀티골을, 질베르투가 추가골을 넣으며 앙골라의 승리를 이끌었다.
2023년 1월 23일, 앙골라는 마불룰루와 지니의 연속골로 부르키나파소를 2-0으로 제압하고 조 1위를 확정지었다. 같은 날 모리타니는 얄리의 결승골로 알제리를 1-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며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2 | 1 | 0 | 6 | 3 | +3 | 7 | |
3 | 1 | 1 | 1 | 3 | 4 | -1 | 4 | |
3 | 1 | 0 | 2 | 3 | 4 | -1 | 3 | |
3 | 0 | 2 | 1 | 3 | 4 | -1 | 2 |
8. 6. E조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E조에서는 말리가 1승 2무로 승점 5점을 얻어 조 1위로 16강에 진출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나미비아는 각각 1승 1무 1패, 승점 4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골득실에서 앞서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나미비아는 조 3위를 기록했지만, 다른 조 3위 팀들과의 비교에서 상위 4팀 안에 들어 16강에 합류했다. 튀니지는 2무 1패, 승점 2점으로 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1월 16일, 아마두 곤 쿨리발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튀니지와 나미비아의 경기에서는 나미비아가 호토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말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상대로 H. 트라오레와 시나요코의 연속골로 2-0 승리를 기록했다.
1월 20일, 튀니지와 말리의 경기는 라피아와 시나요코가 각각 한 골씩 주고받아 1-1 무승부로 끝났다. 다음 날,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나미비아를 상대로 타우의 페널티킥 골과 즈와네의 두 골, 마세코의 골을 묶어 4-0 대승을 거두었다.
1월 24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튀니지, 나미비아와 말리의 경기는 모두 0-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8. 7. F조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F조에서는 모로코가 2승 1무로 1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했고, 콩고 민주 공화국은 3무로 조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합류했다. 잠비아와 탄자니아는 각각 2무 1패로 탈락했다.
1차전에서 모로코는 탄자니아를 3-0으로 완파했다. 사이스의 선제골, 우나히, 엔네시리의 연속골로 승리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과 잠비아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위사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캉과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2차전에서 모로코와 콩고 민주 공화국은 1-1로 비겼다. 하키미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실라스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잠비아와 탄자니아의 경기도 1-1 무승부로 끝났다. 음수바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다카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3차전에서 탄자니아와 콩고 민주 공화국은 0-0으로 비겼다. 잠비아는 모로코에 0-1로 패배했다. 지예시가 결승골을 기록했다.
8. 8.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각 조 3위 팀들은 다음과 같은 성적을 기록했다.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C | 기니 | 3 | 1 | 1 | 1 | 2 | 3 | -1 | 4 | 16강전 진출 |
E | 나미비아 | 3 | 1 | 1 | 1 | 1 | 4 | -3 | 4 | |
D | 모리타니 | 3 | 1 | 0 | 2 | 3 | 4 | -1 | 3 | |
A | 코트디부아르 | 3 | 1 | 0 | 2 | 2 | 5 | -3 | 3 | |
B | 가나 | 3 | 0 | 2 | 1 | 5 | 6 | -1 | 2 | 조별 리그 탈락 |
F | 잠비아 | 3 | 0 | 2 | 1 | 2 | 3 | -1 | 2 |
C조의 기니와 E조의 나미비아는 승점 4점으로 16강에 진출했고, D조의 모리타니와 A조의 코트디부아르는 승점 3점으로 16강에 진출했다. 반면 B조의 가나와 F조의 잠비아는 승점 2점으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3위 팀 간의 순위 결정 방식에 따라, A, C, D, E조 3위팀이 16강에 진출하는 조합이 확정되었다.
9. 결선 토너먼트
'''16강전'''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6강전은 1월 27일부터 1월 30일까지 코트디부아르에서 진행되었다.
1월 27일, 부아케의 스타드 드 라 페에서 열린 앙골라와 나미비아의 경기에서는 앙골라가 젤송 달라의 멀티골과 마불룰루의 골을 묶어 3-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아비장의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카메룬의 경기에서는 나이지리아가 아데몰라 루크먼의 멀티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1월 28일, 아비장의 알라산 와타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적도 기니와 기니의 경기에서는 기니가 후반 추가시간 모하메드 바요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산페드로의 로랑 포쿠 스타디움에서 열린 이집트와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이 8-7로 승리했다.
1월 29일, 아비장의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에서 열린 카보베르데와 모리타니의 경기에서는 카보베르데가 후반 43분 리안 멘데스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야무수크로의 샤를 코난 바니 스타디움에서 열린 세네갈과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코트디부아르가 5-4로 승리했다.
1월 30일, 코로고의 아마두 곤 쿨리발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말리와 부르키나파소의 경기에서는 말리가 전반 3분 에드몽 탑소바의 자책골과 전반 47분 라신 시나요코의 골로, 후반 12분 베르트랑 트라오레가 페널티킥을 성공시킨 부르키나파소를 2-1로 이겼다. 같은 날 산페드로의 로랑 포쿠 스타디움에서 열린 모로코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후반 12분 에비던스 막고파와 후반 추가시간 테보호 모코에나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8강전'''
2023년 2월 2일, 나이지리아는 앙골라와의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 루크먼이 41분에 득점했다. 같은 날, 콩고 민주 공화국은 기니를 3-1로 이겼다. 바요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음벰바, 위사, 마쉬아퀴가 연속 득점하며 콩고 민주 공화국이 승리했다.
2월 3일, 말리와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코트디부아르가 2-1로 승리했다. 도르젤레스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아딩라가 동점골을, 디아키테가 추가 시간에 결승골을 넣었다. 같은 날, 카보베르데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2-1로 승리했다.
'''4강전'''
2023년 2월 7일,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4강전 두 경기가 열렸다.
첫 번째 경기는 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로, 부아케의 스타드 드 라 페에서 17시(현지 시각)에 진행되었다. 트루스트에콩이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기록했고, 모코에나가 경기 종료 직전 페널티킥으로 동점골을 만들어 경기는 연장전으로 이어졌다. 승부차기에서 나이지리아가 4-2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31,227명이었고, 아민 오마르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두 번째 경기는 코트디부아르와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기로, 아비장의 알라산 와타라 스타디움에서 20시(현지 시각)에 진행되었다. 알레가 65분에 득점하여 코트디부아르가 1-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51,020명이었고, 이브라힘 무타즈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3·4위전'''
2023년 2월 10일 아비장의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에서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4위전이 열렸다. 이 경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이 맞붙었다.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고, 승부차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6-5로 승리했다.
승부차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모코에나가 실축했지만, 시비시, 모나레, 모디바, 레파사, 아폴리스, 줄루가 성공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무투사미, 음풀루, 바캄부, 카옘베, 위사가 성공했지만, 음벰바와 엘리아가 실축했다.
이 경기의 주심은 에티오피아의 밤라크 테세마 웨예사가 맡았으며, 21,975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결승전'''
2024년 2월 11일 아비장의 알라산 와타라 스타디움에서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나이지리아는 트루스트에콩이 38분에 골을 넣었지만, 코트디부아르의 케시에가 62분에, 알레가 81분에 골을 넣어 1-2로 코트디부아르가 승리했다. 주심은 모리타니의 다한 베이다가 맡았으며, 57,094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9. 1. 16강전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6강전은 1월 27일부터 1월 30일까지 코트디부아르에서 진행되었다.1월 27일, 부아케의 스타드 드 라 페에서 열린 앙골라와 나미비아의 경기에서는 앙골라가 젤송 달라의 멀티골과 마불룰루의 골을 묶어 3-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아비장의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에서 열린 나이지리아와 카메룬의 경기에서는 나이지리아가 아데몰라 루크먼의 멀티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1월 28일, 아비장의 알라산 와타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적도 기니와 기니의 경기에서는 기니가 후반 추가시간 모하메드 바요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산페드로의 로랑 포쿠 스타디움에서 열린 이집트와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이 8-7로 승리했다.
1월 29일, 아비장의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에서 열린 카보베르데와 모리타니의 경기에서는 카보베르데가 후반 43분 리안 멘데스의 페널티킥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야무수크로의 샤를 코난 바니 스타디움에서 열린 세네갈과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코트디부아르가 5-4로 승리했다.
1월 30일, 코로고의 아마두 곤 쿨리발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말리와 부르키나파소의 경기에서는 말리가 전반 3분 에드몽 탑소바의 자책골과 전반 47분 라신 시나요코의 골로, 후반 12분 베르트랑 트라오레가 페널티킥을 성공시킨 부르키나파소를 2-1로 이겼다. 같은 날 산페드로의 로랑 포쿠 스타디움에서 열린 모로코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후반 12분 에비던스 막고파와 후반 추가시간 테보호 모코에나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9. 2. 8강전
2023년 2월 2일, 나이지리아는 앙골라와의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 루크먼이 41분에 득점했다. 같은 날, 콩고 민주 공화국은 기니를 3-1로 이겼다. 바요가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음벰바, 위사, 마쉬아퀴가 연속 득점하며 콩고 민주 공화국이 승리했다.2월 3일, 말리와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연장전 끝에 코트디부아르가 2-1로 승리했다. 도르젤레스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아딩라가 동점골을, 디아키테가 추가 시간에 결승골을 넣었다. 같은 날, 카보베르데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2-1로 승리했다.
9. 3. 4강전
2023년 2월 7일,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4강전 두 경기가 열렸다.첫 번째 경기는 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기로, 부아케의 스타드 드 라 페에서 17시(현지 시각)에 진행되었다. 트루스트에콩이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기록했고, 모코에나가 경기 종료 직전 페널티킥으로 동점골을 만들어 경기는 연장전으로 이어졌다. 승부차기에서 나이지리아가 4-2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31,227명이었고, 아민 오마르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두 번째 경기는 코트디부아르와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기로, 아비장의 알라산 와타라 스타디움에서 20시(현지 시각)에 진행되었다. 알레가 65분에 득점하여 코트디부아르가 1-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51,020명이었고, 이브라힘 무타즈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9. 4. 3·4위전
2023년 2월 10일 아비장의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에서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3·4위전이 열렸다. 이 경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콩고 민주 공화국이 맞붙었다.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고, 승부차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6-5로 승리했다.승부차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모코에나가 실축했지만, 시비시, 모나레, 모디바, 레파사, 아폴리스, 줄루가 성공했다. 콩고 민주 공화국은 무투사미, 음풀루, 바캄부, 카옘베, 위사가 성공했지만, 음벰바와 엘리아가 실축했다.
이 경기의 주심은 에티오피아의 밤라크 테세마 웨예사가 맡았으며, 21,975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
9. 5. 결승전
2024년 2월 11일 아비장의 알라산 와타라 스타디움에서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나이지리아는 트루스트에콩이 38분에 골을 넣었지만, 코트디부아르의 케시에가 62분에, 알레가 81분에 골을 넣어 1-2로 코트디부아르가 승리했다. 주심은 모리타니의 다한 베이다가 맡았으며, 57,094명의 관중이 경기를 관람했다.10. 우승
코트디부아르
3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