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0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10년대는 310년부터 319년까지의 10년을 가리킨다. 이 시기에는 로마 제국, 동아시아, 한반도 등지에서 주요 인물들이 활동했다. 로마 제국에서는 갈레리우스, 콘스탄티누스 1세, 리키니우스 등이 황제로 재위했으며, 콘스탄티누스 1세는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공인했다. 동아시아에서는 서진이 멸망하고 동진이 건국되었으며, 한반도 신라에서는 기림 이사금과 흘해 이사금이 왕위에 올랐다. 이 외에도 아르메니아의 티리다테스 3세가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하고, 샤푸르 2세가 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종교 지도자로는 교황 에우세비우스, 교황 밀티아데스, 교황 실베스테르 1세 등이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310년대 | |
---|---|
310년대 | |
세기 | 4세기 |
연대 | 310년대 |
년 | 310년 311년 312년 313년 314년 315년 316년 317년 318년 319년 |
2. 주요 인물
- 로마 제국
갈레리우스는 로마 황제(305-311)로 기독교 박해를 중단시키고 관용령을 선포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로마 황제(306-337)로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공인하고, 제국의 수도를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기는 등 로마 제국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막센티우스는 로마 황제(306-312)였으나, 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패배하여 자결했다. 리키니우스는 로마 황제(308-324)로 콘스탄티누스 1세와 함께 밀라노 칙령을 발표했으나, 이후 콘스탄티누스 1세와 대립하다 패배했다. 막시미누스 다이아는 로마 황제(311-313)였으나, 리키니우스에게 패배하여 자결했다.
- 동아시아
회는 서진 황제(307년 ~ 313년)였다. 팔왕의 난 이후 혼란을 수습하지 못하고 흉노족에게 사로잡혀 처형당했다. 민은 서진 황제(313년 ~ 317년)였다. 장안에서 즉위했으나 흉노족에게 사로잡혀 처형당하며 서진이 멸망했다. 원은 서진 멸망 이후 강남에서 동진을 건국한 황제(317년 ~ 322년)였다. 오진은 일본 천황(270년 ~ 310년, 기록 상)이었다. 닌토쿠는 일본 천황(313년 ~ 399년, 기록 상)이었다.
- 한반도
298년 기림이 신라 왕위에 올랐으며, 310년에는 흘해가 신라 왕위에 올랐다. 흘해 이사금은 신라의 발전에 기여했다.
- 기타 지역
티리다테스 3세는 아르메니아 왕(287-330)으로, 세계 최초로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하였다. 샤푸르 2세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왕(309-379)으로 사산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우스나스는 아크숨 왕(c.310-c.320)이었다. 피아카 스로이프틴은 아일랜드 최고 군주(285-322)였다.
- 종교 지도자
교황 에우세비우스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309-310)이었다. 교황 밀티아데스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311-314)으로, 콘스탄티누스 1세의 기독교 공인 이후 교회를 재건하는 데 힘썼다. 교황 실베스테르 1세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314-335)으로,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에 교황으로 재임하며 기독교의 발전에 기여했다. 알렉산데르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314-337)로, 아리우스파 논쟁에 참여했다. 메트로파네스는 비잔티움 주교(306-314)였다.
2. 1. 로마 제국
갈레리우스는 로마 황제(305-311)로 기독교 박해를 중단시키고 관용령을 선포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로마 황제(306-337)로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공인하고, 제국의 수도를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기는 등 로마 제국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막센티우스는 로마 황제(306-312)였으나, 콘스탄티누스 1세에게 패배하여 자결했다. 리키니우스는 로마 황제(308-324)로 콘스탄티누스 1세와 함께 밀라노 칙령을 발표했으나, 이후 콘스탄티누스 1세와 대립하다 패배했다. 막시미누스 다이아는 로마 황제(311-313)였으나, 리키니우스에게 패배하여 자결했다.2. 2. 동아시아
회는 서진 황제(307년 ~ 313년)였다. 팔왕의 난 이후 혼란을 수습하지 못하고 흉노족에게 사로잡혀 처형당했다. 민은 서진 황제(313년 ~ 317년)였다. 장안에서 즉위했으나 흉노족에게 사로잡혀 처형당하며 서진이 멸망했다. 원은 서진 멸망 이후 강남에서 동진을 건국한 황제(317년 ~ 322년)였다. 오진은 일본 천황(270년 ~ 310년, 기록 상)이었다. 닌토쿠는 일본 천황(313년 ~ 399년, 기록 상)이었다. 기림은 신라 왕(298년 ~ 310년)이었다. 흘해는 신라 왕(310년 ~ 356년)이었다.2. 3. 한반도
298년 기림이 신라 왕위에 올랐으며, 310년에는 흘해가 신라 왕위에 올랐다. 흘해 이사금은 신라의 발전에 기여했다.2. 4. 기타 지역
티리다테스 3세는 아르메니아 왕(287-330)으로, 세계 최초로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하였다. 샤푸르 2세는 사산 왕조 페르시아 왕(309-379)으로 사산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었다.우스나스는 아크숨 왕(c.310-c.320)이었다. 회는 중국 서진 황제(307 - 313), 민은 중국 서진 황제(313 - 317), 원은 중국 서진 황제(317 - 322)였다. 피아카 스로이프틴은 아일랜드 최고 군주(285-322)였다.
오진은 일본 천황(270-310), 닌토쿠는 일본 천황(313-399)이었다.
갈레리우스는 로마 황제(305-311), 콘스탄티누스는 로마 황제(306-337), 막센티우스는 로마 황제(306-312), 리키니우스는 로마 황제(308-324), 막시미누스 다이아는 로마 황제(311-313)였다.
알렉산데르는 비잔티움 주교(314-337)였다. 교황 에우세비우스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309-310), 메트로파네스는 비잔티움 주교(306-314), 밀티아데스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311-314), 실베스테르 1세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314-335)이었다.
기림은 신라 왕(298–310), 흘해는 신라 왕(310–356)이었다.
2. 5. 종교 지도자
교황 에우세비우스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309-310)이었다. 교황 밀티아데스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311-314)으로, 콘스탄티누스 1세의 기독교 공인 이후 교회를 재건하는 데 힘썼다. 교황 실베스테르 1세는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314-335)으로,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에 교황으로 재임하며 기독교의 발전에 기여했다. 알렉산데르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314-337)로, 아리우스파 논쟁에 참여했다. 메트로파네스는 비잔티움 주교(306-314)였다.3. 주요 사건
3. 1. 동아시아
3. 2. 한반도
3. 3. 로마 제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