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키니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키니우스는 308년부터 324년까지 로마 제국의 동방 황제로 통치했던 인물이다. 다키아 출신으로 갈레리우스 황제의 신임을 받아 페르시아 원정에 참여했으며, 313년 콘스탄티누스 1세의 여동생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와 결혼 후 '밀라노 칙령'을 공동 발효하여 기독교를 공인했다. 콘스탄티누스와의 권력 다툼에서 여러 차례 패배하며 결국 324년 크리소폴리스 전투에서 항복하고 테살로니키로 유폐되었다가 처형되었다. 그의 사후, 그의 정책과 관련된 모든 것은 폐기되었고, 그의 가계는 가계도에 나타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25년 사망 - 동진 명제
    동진 명제는 사마예의 장남으로 왕돈의 난을 진압하고 강남 호족과의 융화 정책을 펼쳤으며 2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325년 사망 - 이암블리코스
    이암블리코스는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초 시리아 출신의 신플라톤주의 철학자로, 플로티노스의 철학을 발전시키고 수 상징주의와 신비주의를 도입하여 후대 철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신과의 합일과 종교적 의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신동술 사상을 옹호했다.
  • 리키니우스 씨족 - 갈리에누스
    갈리에누스는 253년부터 268년까지 로마 황제로 재위했으며, 게르만족 격퇴, 군사 개혁을 시도했으나 여러 반란과 암살을 겪고 사후 로마 제국은 분열되었다.
  • 리키니우스 씨족 - 발레리아누스
    발레리아누스는 3세기 위기 시대에 로마 황제로서 아들 갈리에누스와 공동 통치하며 사산 제국과의 전쟁을 수행했으나, 샤푸르 1세에게 패배하여 포로로 잡히는 치욕을 겪고 기독교 박해 정책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리키니우스
기본 정보
이름발레리우스 리키니아누스 리키니우스
로마자 표기Ballereuseu Likiniahnuseu Likiniuseu
출생명리키니우스 리키니아누스 (?)
출생기원후 265년경
출생지모에시아 수페리오르, 로마 제국
사망325년 봄 (약 60세)
사망지테살로니카
종교고대 로마 종교
통치
칭호로마 황제 (동방 정제)
재위 기간308년 11월 11일 – 324년 9월 19일
선임 황제세베루스 2세
후임 황제콘스탄티누스 1세 (단독 통치)
섭정갈레리우스 (동방, 308–311)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308–324)
막시미누스 다자 (311–313)
발레리우스 발렌스 (316–317)
마르티니아누스 (324)
공동 통치옆에서
가족 관계
배우자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
자녀리키니우스 2세
기타
빈 미술사 박물관에 있는 리키니우스의 거대한 초상 머리
빈 미술사 박물관 소장, 리키니우스의 거대한 초상 머리

2. 초기 생애와 즉위

리키니우스는 다키아인[3][4] 농민 가문 출신으로, 모에시아 수페리오르에서 태어났다.[3] 어릴 적 친구였던 황제 갈레리우스와 함께 298년 페르시아 원정에 참여했다.[3] 307년, 갈레리우스의 신임을 받아 반역자 막센티우스와 합의를 시도하기 위해 로마 이탈리아로 파견되기도 했다.[3]

308년 11월 11일, 갈레리우스는 리키니우스를 서방의 아우구스투스(정제)로 임명하고, 일리리쿰, 트라키아, 판노니아의 발칸 반도를 통치하게 했다.[4] 310년, 리키니우스는 사르마티아인과의 전쟁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6]

월계관을 쓴 리키니우스가 오른쪽을 보고 있는 갈색 동전
폴리스런던에서 주조되었으며, c. 311.


월계관을 쓴 리키니우스가 오른쪽을 보고 있는 금화
솔리두스는 트리어에서 주조되었으며, c. 310–313.



3. 통치와 밀라노 칙령

311년 5월, 갈레리우스 황제가 사망하자, 리키니우스는 막시미누스 다자와 동로마 제국을 분할하기로 합의했다. 이 시점에서 리키니우스는 서로마의 공식적인 ''아우구스투스''(정제)였을 뿐만 아니라 헬레스폰트 해협과 보스포루스 해협을 경계로 하여 리키니우스는 유럽 지역을, 막시미누스는 아시아 지역을 차지하면서 동로마 제국의 일부도 소유하게 되었다.[4]

막시미누스와 막센티우스의 동맹은 리키니우스와 콘스탄티누스 1세가 서로 공식적인 합의를 하도록 만들었다.[5] 313년 3월, 리키니우스는 메디올라눔(현재의 밀라노)에서 콘스탄티누스 1세의 이복 여동생인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와 결혼했다. 그들은 315년에 아들 젊은 리키니우스를 낳았다.

리키니우스와 콘스탄티누스 1세는 공동으로 밀라노 칙령을 발표하여 제국 내에서 기독교를 공인하고, 몰수된 교회 재산을 반환했다.[4] 칙령은 중립적인 언어를 사용하여 "하늘의 좌소에 있는 모든 신성"을 달래려는 의지를 표현했다.[8]

그동안 다자는 리키니우스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시리아를 떠나 7만 명의 병력으로 비티니아에 도착했지만, 그 과정에서 혹독한 날씨로 인해 군대가 심하게 약해졌다. 313년 4월, 그는 보스포루스 해협을 건너 비잔티움으로 갔고, 그곳은 리키니우스의 군대가 지키고 있었다. 그는 이에 굴하지 않고 11일간의 포위 공격 끝에 도시를 점령했다. 그는 헤라클레아로 이동하여 짧은 포위 공격 끝에 점령한 후, 병력을 첫 번째 주둔지로 이동했다. 리키니우스는 훨씬 적은 수의 병력, 아마도 약 3만 명과 함께[11], 다자가 아직 헤라클레아 신티카를 포위하고 있는 동안 아드리아노플에 도착했다. 결정적인 전투 전에 리키니우스는 한 천사가 모든 종교가 채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기도를 읊는 환상을 보았고, 리키니우스는 그것을 병사들에게 반복했다고 한다.[12] 313년 4월 30일, 두 군대는 치라룸 전투에서 충돌했고, 다자의 군대는 격파되었다. 다자는 노예로 위장하여 도망쳐 니코메디아로 갔고,[5] 그곳에서 킬리키아 관문 주변을 요새화했다. 리키니우스의 군대가 돌파했고 다자는 타르수스로 후퇴했으며, 리키니우스는 육지와 바다에서 그를 계속 압박했다. 그들 사이의 전쟁은 313년 8월 다자의 죽음으로 끝났다.[4]

4. 콘스탄티누스와의 갈등과 몰락

314년, 리키니우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와 첫 번째 내전을 벌였다. 콘스탄티누스는 리키니우스가 자신을 전복하려는 음모를 꾸몄다고 비난한 세네키오를 보호하고 있다는 구실을 내세웠다.[5] 리키니우스는 판노니아의 키발라에 전투에서 패배했다.(314년 10월 8일)[4] 두 사람은 315년에 집정관직을 함께 공유하며 일시적으로 화해했지만, 이는 오래가지 못했다. 이듬해 리키니우스가 발레리우스 발렌스를 공동 황제로 임명하면서 두 번째 내전이 발발했고, 리키니우스는 트라키아의 마르디아 전투(캠푸스 아르디엔시스 전투)에서 패배했다. 이후 두 황제는 화해했고, 리키니우스는 공동 황제 발렌스를 살해했다.[4]

이후 10년 동안 두 황제는 불안정한 휴전 상태를 유지했다.[5] 318년, 리키니우스는 사르마티아인에 대한 원정으로 바빴지만,[4] 321년에 콘스탄티누스가 자신의 영토를 약탈하던 사르마티아인들을 다뉴브강을 건너 리키니우스의 영토로 추격하면서 긴장이 다시 고조되었다.[4] 리키니우스는 콘스탄티누스가 고트족의 지도자 라우스모드가 트라키아를 약탈하는 또 다른 침략을 했을 때, 그들 간의 조약을 위반했다고 불평했다.

콘스탄티누스는 즉시 공격에 나섰다. 323년, 리키니우스의 함대 350척은 콘스탄티누스의 함대에 의해 격파되었다. 324년, 콘스탄티누스는 아드리아노플 전투 (324년 7월 3일)에서 리키니우스의 군대 16만 5천 명을 격파하고[13] 비잔티움 성벽 안에 그를 가두는 데 성공했다.[14][4] 콘스탄티누스의 장남이자 카이사르크리스푸스에 의해 헬레스폰트 해전에서 리키니우스의 함대가 패배하면서 그는 비티니아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칼케돈 근처의 크리소폴리스 전투(9월 18일)에서[14] 리키니우스는 최종 항복했다.[5] 이 분쟁에서 리키니우스는 고트족의 왕자 알리카의 지원을 받았다. 콘스탄티누스의 여동생이자 리키니우스의 아내인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의 중재로 리키니우스와 그의 공동 황제 마르티니아누스는 처음에 목숨을 건졌고, 리키니우스는 테살로니키에, 마르티니아누스는 카파도키아에 투옥되었다. 그러나 두 전직 황제는 이후 처형되었다. 리키니우스는 패배 후 고트족의 지원을 받아 권력을 되찾으려 했지만, 그의 계획이 발각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고트족으로 도망치려다 테살로니키에서 체포되었다. 콘스탄티누스는 그를 교수형에 처하고, 이교도들 사이에서 군대를 일으키려 음모를 꾸몄다고 비난했다.[5][15] 아들 리키니우스 2세도 326년에 살해되었다.

5. 평가 및 유산

콘스탄티누스는 리키니우스를 이교도 지지자로 묘사하여 그의 인기를 떨어뜨리려 했다. 그러나 당시의 증거는 리키니우스가 적어도 한때는 기독교의 헌신적인 지지자였음을 보여준다. 그는 대박해를 종식시킨 밀라노 칙령의 공동 저자였으며, 제국의 절반에서 기독교인의 권리를 재확인했다.[17] 또한 그는 군대에 기독교 상징을 추가했으며, 교회의 위계질서에 관한 문제를 규제하려 했다.[17] 그의 아내는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다.[17]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는 콘스탄티누스의 통치하에 글을 쓰면서, 리키니우스가 궁정에서 기독교인들을 추방하고 이교 신에게 군사적 제사를 지내도록 명령했으며, 교회의 내부 절차와 조직을 방해했다고 비난한다.[19] 리키니우스가 원래 콘스탄티누스와 함께 기독교를 지지했지만, 나중에 그들을 배신하고 이교도로 돌아섰다는 이론도 있다.[18]

리키니우스가 죽은 후, 그의 기억은 불명예스럽게 낙인찍혔다. 그의 동상은 쓰러졌고, 칙령에 의해 그의 통치 기간 동안의 모든 법률과 사법 절차가 폐지되었다.[5] 이러한 공적 기록에서의 공식적인 삭제는 ''기억말살''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6. 가계

플라비아 율리아 콘스탄티아와 메디올라눔(현재의 밀라노)에서 결혼하였으며, 315년에 아들 리키니우스 2세를 낳았다.[4]

사두정치 시대의 복잡한 가계는 아래 도표와 같다.

사두 정치 시대의 간략한 가계도
(고: '')


참조

[1] 웹사이트 http://laststatues.classics.ox.ac.uk, LSA-687 (J. Auinger) http://laststatues.c[...]
[2] 서적 The Imperial Families of Ancient Rome Fonthill Media 2019
[3] 서적 The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Vol. I: AD 260–395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Licinius (308–324 A.D.) http://www.roman-emp[...] 1997-02-23
[5]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6] 웹사이트 Licinius https://www.livius.o[...] 2020-03-26
[7] 서적 L'Empire Romain en mutation: des Sévères à Constantin, 192–337 Éditions du Seuil
[8] 문서 Lactantius, De Mort. Pers., ch. 48 http://www.fordham.e[...]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Fordham University 2012-07-31
[9] 웹사이트 History of Rome: And of the Roman People, from Its Origin to the Invasion of the Barbarians https://books.google[...] Dana, Estes & Company 1886
[10] 웹사이트 Oeuvre : Précisions – camée, "Triomphe de Licinius" (camée.308) {{!}} catalogue https://medailleseta[...] 2024-06-30
[11] 문서 Dictionary Of Wars, Revised Edition
[12] 문서 L'Empire Romain en Mutation
[13] 문서
[14] 문서 Licinius
[15] 문서
[16] 웹사이트 British Museum Collection https://www.britishm[...]
[17] 서적 Defending Constantine: The Twilight of an Empire and the Dawn of Christendom Intervarsity Press, Downers Grove, IL
[18] 서적 The History of Christianity
[19] 간행물 "The Persecution of Licinius". MA thesis, University of Calgary, 1999, Chapter 4 http://dspace.ucalga[...] 2012-07-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