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50000 콰오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0000 콰오아는 2002년 발견된 카이퍼 벨트 천체로, 통가족 신화의 창조신 콰오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궤도는 거의 원형이며, 태양을 288.8년에 한 바퀴 공전한다. 콰오아는 위성 웨이워트와 두 개의 좁은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2023년에는 콰오아의 고리가 발견되었다. 콰오아는 현재까지 탐사선이 방문한 적은 없지만, 여러 탐사 임무의 잠재적 대상으로 고려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발견한 천체 - 132524 APL
    132524 APL은 존스 홉킨스 대학교 응용 물리학 연구소를 기리기 위해 명명된 소행성으로, 약 4년 2개월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며, 뉴 호라이즌스 탐사선이 근접 통과하여 S형 소행성으로 밝혀졌다.
  • 2002년 발견한 천체 - 네소 (위성)
    네소는 2002년에 발견되어 S/2002 N 4로 명명되었다가 2007년에 네레이스 중 한 명의 이름을 따 명명된 해왕성의 불규칙 위성이다.
  • 고전적 카이퍼대 천체 - 15760 알비온
    15760 알비온은 1992년에 발견되어 윌리엄 블레이크의 신화 속 인물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카이퍼 벨트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 카이퍼 벨트 소행성이다.
  • 고전적 카이퍼대 천체 - 58534 로고스
    1997년 발견된 58534 로고스는 위성 조이와 쌍성계를 이루는 소행성으로, 각각 영지주의의 로고스(말, 논리)와 조에(영혼)에서 유래되었으며 고전적 카이퍼 벨트 천체로 분류된다.
  • 왜행성 후보 - 704 인테람니아
    704 인테람니아는 태양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소행성이자 가장 큰 F형 소행성으로, 초거대 망원경 관측 결과 지름 약 332km의 타원체 형태이며 표면에 수화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얼음 천체로 추정된다.
  • 왜행성 후보 - 테이아 (천체)
    테이아는 달의 여신 셀레네의 어머니 이름을 딴 가상의 천체로, 지구와 충돌하여 달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50000 콰오아
명칭
이름50000 콰오아
영어 이름50000 Quaoar
가명2002 LM60
발음/ˈkwɑːwɑːr/, /ˈkwɑːoʊ.ɑːr/
명명 유래콰오아/콰와르(통바족 신)
형용사콰오아의
일본어 이름クワオアー
분류
종류태양계 외곽 천체
세부 종류고전적 카이퍼 벨트 천체/큐비와노족, 원거리 미행성, 왜행성
발견
발견자채드윅 A. 트루힐로, 마이클 E. 브라운
발견 장소팔로마 산 천문대
발견일2002년 6월 4일
최초 프리커버리 날짜1954년 5월 25일
궤도 특성
궤도 기준 시점2020년 5월 31일 (JD 2459000.5)
불확실성3
관측 호65.27년 (23,839일)
원일점45.488 천문단위(6.805 Tm)
근일점41.900 천문단위 (6.268 Tm)
근일점 통과 시점대략 2075년 2월 11일 ± 17일
궤도 긴반지름43.694 천문단위 (6.537 Tm)
궤도 이심률0.04106
공전 주기288.83년 (105,495일)
평균 궤도 운동0.0034125° / 일
궤도 경사7.9895°
승교점 경도188.927°
근일점 인수147.480°
물리적 특성
크기1286 x 1080 x 932 km
평균 직경1090 ± 40 km (2024년, 부피 기준)
평균 반지름545 ± 20 km (2024년, 부피 기준)
표면적3.78×10^6 km²
부피6.78×10^8 km³
질량1.20 ± 0.05 × 10^21 kg
밀도1.66 - 1.77 g/cm³
표면 중력0.466 m/s² (극지방) ~ 0.643 m/s² (최장축)
탈출 속도1.20 km/s (극지방) ~ 1.643 km/s (최장축)
분광형IR (중간 정도의 붉은색), B–V=0.94±0.01, V−R=0.64±0.01, V−I=1.28±0.02
알베도0.124 ± 0.006
자전 주기17.6788 ± 0.0004 시간
자전축 기울기13.6° 또는 14.0° (황도 기준, 고리 공면 가정 시)
북극 적경258.47 ± 0.87° (고리 기준) 또는 259.82 ± 0.23° (고리 기준)
북극 적위+54.14 ± 0.11° (고리 기준) 또는 +53.45 ± 0.30° (고리 기준)
겉보기 등급19.0
절대 등급2.737 ± 0.008 (가정 2.4)
각 크기40.4 ± 1.8 밀리초각
표면 온도~44 켈빈
위성
위성 수1 (웨이워트)
기타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콰오아와 위성 웨이워트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콰오아와 위성 웨이워트, 2006년 2월

2. 역사

콰오아는 팔로마 천문대의 새뮤얼 오쉰 망원경을 사용하여 발견되었다.




콰오아는 2002년 6월 4일 미국 천문학자 채드 트루히요와 마이클 E. 브라운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군 팔로마 산맥에 있는 팔로마 천문대에서 발견했다. 이 발견은 팔로마 천문대의 1.22미터 새뮤얼 오쉰 망원경을 사용하여 가장 밝은 카이퍼 벨트 천체를 찾는 캘텍 광역 하늘 조사의 일환이었다. 2002년 6월 5일, 트루히요는 뱀주인자리 별자리 사이에서 천천히 움직이는 어둡고 18.6등급의 천체인 콰오아를 처음 확인했다. 콰오아는 멀리 떨어진 천체 치고는 비교적 밝게 보여 명왕성 지름과 비슷한 크기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콰오아의 궤도를 확인하기 위해 과거 사전 발견 이미지 검색을 통해 1996년과 2000~2002년 사이의 다양한 천문대에서 촬영된 여러 이미지를 얻었다. 특히 1983년 5월 천문학자 찰스 T. 코왈이 촬영한 두 개의 과거 사진 건판도 발견했는데, 그는 당시 팔로마 천문대에서 가설적 제9행성을 찾고 있었다. 가장 초기의 이미지는 1954년 5월 25일 팔로마 천문대 하늘 조사에서 촬영된 사진 건판에서 에드워드 로즈에 의해 발견되었다.

콰오아의 발견은 2002년 10월 7일 소행성 센터의 소행성 전자 회보를 통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으며, 임시 명칭 $2002 LM_{60}$이 부여되었다. 같은 날, 트루히요와 브라운은 앨라배마 버밍햄에서 열린 미국 천문 학회 행성 과학 분과의 제34차 연례 회의에서 콰오아 관측 결과를 발표하며, 콰오아가 이전에 기록 보유자였던 20000 바루나를 능가하는 가장 큰 카이퍼 벨트 천체라고 발표했다.

이름은 로스앤젤레스 지역 원주민인 통가의 창조신 콰오아에서 유래했다. 국제 천문 연맹(IAU)의 명명 규칙에 따라, 공명하지 않는 카이퍼 벨트 천체는 창조 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콰오아는 소행성 번호 50000번을 받았는데, 이는 콰오아의 큰 크기를 기념하기 위함이었다.

2. 1. 발견



콰오아는 2002년 6월 4일 미국 천문학자 채드 트루히요와 마이클 E. 브라운에 의해 샌디에이고 군 (캘리포니아) 팔로마 산맥에 있는 팔로마 천문대에서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팔로마 천문대의 1.22미터 새뮤얼 오쉰 망원경을 사용하여 가장 밝은 카이퍼 벨트 천체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캘텍 광역 하늘 조사의 일부였다. 2002년 6월 5일, 트루히요는 뱀주인자리 별자리의 별들 사이에서 천천히 움직이는 어둡고 18.6등급의 겉보기 등급 물체인 콰오아를 이미지에서 처음 확인했다. 콰오아는 멀리 떨어진 물체 치고는 비교적 밝게 보여 명왕성의 지름과 비슷한 크기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콰오아의 궤도를 확인하기 위해 브라운과 트루히요는 과거 사전 발견 이미지 검색을 시작했다. 그들은 1996년과 2000~2002년 사이의 다양한 천문대에서 근지구 소행성 추적 조사를 통해 촬영된 여러 사전 발견 이미지를 얻었다. 특히 1983년 5월 천문학자 찰스 T. 코왈이 촬영한 두 개의 과거 사진 건판도 발견했는데, 그는 당시 팔로마 천문대에서 가설적 제9행성을 찾고 있었다. 이러한 사전 발견 이미지로부터 브라운과 트루히요는 콰오아의 궤도와 거리를 계산할 수 있었다. 이후 콰오아의 추가 사전 발견 이미지가 확인되었으며, 가장 초기의 이미지는 1954년 5월 25일 팔로마 천문대 하늘 조사에서 촬영된 사진 건판에서 에드워드 로즈에 의해 발견되었다.

콰오아의 발견은 2002년 10월 7일 소행성 센터의 소행성 전자 회보를 통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으며, 2002년 6월 상반기에 발견되었음을 나타내는 임시 명칭 가 부여되었다. 콰오아는 임시 명칭의 앞 글자와 숫자로 표시된 대로 6월 상반기에 발견된 1,512번째 천체였다. 같은 날, 트루히요와 브라운은 버밍햄 (앨라배마)에서 열린 미국 천문 학회 행성 과학 분과의 제34차 연례 회의에서 콰오아 관측 결과를 발표하며, 콰오아가 이전에 기록 보유자였던 20000 바루나와 를 능가하는 가장 큰 카이퍼 벨트 천체라고 발표했다.

2. 2. 명칭

로스앤젤레스 지역 원주민인 통가의 창조신 콰오아에서 유래했다. 통가족 신화에서 콰오아는 성별이 없는 우주의 창조력으로, 노래하고 춤을 추며 신들을 존재하게 한다. 그는 먼저 노래하고 춤을 춰서 웨이워트(Weywot, 하늘 아버지)를 만들고, 그 후 그들은 함께 체후잇(Chehooit, 지구 어머니)과 타밋(Tamit, 할아버지 태양)을 존재하게 했다. 그들이 그렇게 하는 동안, 각 새로운 신이 노래하고 춤을 추면서 창조력은 더욱 복잡해졌다. 마침내 혼돈을 질서로 바꾼 후, 그들은 세상을 지탱하는 일곱 거인을 만들었고, 그 후 동물들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첫 번째 남자와 여자, 토보하르(Tobohar)와 파하빗(Pahavit)를 만들었다.

국제 천문 연맹(IAU)의 명명 규칙에 따라, 공명하지 않는 카이퍼 벨트 천체는 창조 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콰오아는 소행성 번호 50000번을 받았는데, 이는 콰오아의 큰 크기를 기념하기 위함이었다.

콰오아의 위성 웨이워트는 통가족 신화에서 콰오아의 아들인 하늘의 신 웨이워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궤도 및 분류

콰오아는 태양으로부터 평균 40au가 넘는 거리에서 원에 가까운 궤도를 그리며 공전한다. 이는 명왕성처럼 이심률이 큰 타원 궤도와는 대조적이다. 콰오아의 궤도는 해왕성과 비슷하게 명왕성의 근일점과 원일점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어떤 시기에는 명왕성이 콰오아보다 태양에 더 가깝고, 다른 시기에는 콰오아가 더 멀어진다.[1]

4. 물리적 특성

콰오아의 평균 밀도는 4.2 ± 1.3 g/cm3이며, 태양계 외곽 천체로서는 유의미하게 높은 밀도를 가진 천체로 여겨진다. 이는 콰오아가 암석과 얼음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외곽 천체와 달리 얼음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9] 알베도는 0.1 정도로 상당히 낮게 추정되는데, 이는 표면에서 얼음이 손실되었음을 의미한다.

2004년에 콰오아의 표면에 물의 결정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는 최근 1000만 년 이내에 표면 온도가 -160°C 이상으로 상승했음을 보여준다. 콰오아의 원래 온도인 -220°C가 상승한 원인에 대해서는 소천체의 충돌이나 콰오아 중심핵에 포함된 방사성 원소의 붕괴열에 의한 극저온 화산 현상 등이 추정되고 있다.

4. 1. 크기 및 형태

현재, 콰오아의 자전 광도 곡선과 별 엄폐를 통한 형상 측정 결과 콰오아는 평균 지름이 1090km인 삼축 타원체임을 보여준다. 콰오아의 지름은 명왕성의 약 절반이며 카론보다 약간 작다. 콰오아는 원적외선 열 복사와 가시광선의 밝기가 17.68시간마다 크게 변동하며, 이는 콰오아가 적도를 따라 길쭉하다는 것을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

2024년 차바 키스(Csaba Kiss)와 연구진의 분석 결과, 콰오아의 적도 축 길이는 19% (''a''/''b'' = 1.19) 차이가 나고, 극축과 가장 짧은 적도 축 길이는 16% (''b''/''c'' = 1.16) 차이가 나며, 이는 타원체 치수 1286km에 해당한다. 콰오아의 타원체 모양은 이전의 별 엄폐를 통한 크기 및 형상 측정과 일치한다.

콰오아의 타원체 모양


콰오아의 길쭉한 모양은 크기가 크고 자전 속도가 느리다는 점 때문에 유체 정역학적 평형 상태여야 한다는 이론적 예상과 모순된다. 마이클 브라운에 따르면, 지름 약 900km의 암석질 천체는 유체 정역학적 평형 상태로 완화되어야 하며, 얼음질 천체는 200km에서 400km 사이에서 유체 정역학적 평형 상태로 완화되어야 한다. 콰오아의 비평형 모양을 설명하기 위해 키스와 연구진은 콰오아가 원래 빠른 자전을 하고 유체 정역학적 평형 상태였지만, 위성 웨이워트로부터의 조석력으로 인해 자전 속도가 느려지면서 모양이 "고정"되어 변하지 않았다고 가설을 세웠다.

콰오아와 지구, 의 크기 비교

4. 2. 질량, 밀도 및 구성

콰오아의 질량은 약 1.2×1021 kg이며, 위성 웨이워트의 궤도로부터 결정되었다. 밀도는 약 1.66~1.77 g/cm3로, 내부는 약 70%의 암석과 30%의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낮은 다공성을 가짐을 시사한다. 과거에는 콰오아의 밀도가 더 높게 추정되었으나, 이는 부정확한 측정에 의한 것이었다.[9] 2004년에는 콰오아의 표면에서 물의 결정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최근 1000만 년 이내에 표면 온도가 -160°C 이상으로 상승했음을 보여준다. 소천체의 충돌이나 콰오아 중심핵에 포함된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열에 의한 얼음 화산 현상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4. 3. 표면

콰오아는 태양으로부터 받는 가시광선의 약 12%를 반사하는 어두운 표면을 가지고 있다. 이는 콰오아의 표면에서 신선한 얼음이 사라졌음을 나타낼 수 있다. 표면은 붉은색을 띠는데, 이는 콰오아가 짧은 (푸른색) 파장보다 긴 (붉은색) 파장의 빛을 더 많이 반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00 바루나와 28978 이시온과 같은 많은 카이퍼 벨트 천체들이 비슷한 붉은 색을 공유한다.

2004년 데이비드 주윗과 제인 루우의 분광 관측 결과 콰오아 표면에서 결정질 얼음과 수화 암모니아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물질들은 태양 및 우주 방사선에 의해 점차적으로 분해될 것으로 예상되며, 결정질 얼음은 최소 11만°C의 따뜻한 온도에서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콰오아 표면에 결정질 얼음이 존재한다는 것은 지난 천만 년 동안 이 온도까지 가열되었음을 나타낸다. 참고로 콰오아의 현재 표면 온도는 5만°C 미만이다. 주윗과 루우는 콰오아의 가열에 대한 두 가지 가설을 제시했는데, 이는 충돌 사건과 방사성 열원 가열이다.

2004년에 콰오아의 표면에 물의 결정 존재가 확인되어, 연구자들을 놀라게 했다. 이는 최근 1000만 년 이내에 표면 온도가 11만°C 이상으로 상승했음을 보여준다. 어떤 원인으로 -220°C라는 콰오아의 원래 온도가 상승했는지에 대해 몇 가지 추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소천체의 충돌에 의해 온도가 상승했다는 설을 주장하는 연구자도 있지만, 가장 논의된 설은 콰오아의 중심핵에 포함된 방사성 원소의 붕괴열에 의해 극저온 화산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추정하고 있다. 후자의 가설은 콰오아에서 극저온 화산 활동의 가능성을 허용하며, 이는 콰오아 표면에 수화 암모니아의 존재로 뒷받침된다. 수화 암모니아는 극저온 화산 활동에 의해 콰오아 표면에 퇴적된 것으로 여겨진다.

2007년 콰오아의 근적외선 스펙트럼에 대한 더 정확한 관측 결과, 소량(5%)의 고체 메탄과 에탄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냈다. 메탄은 11.2만°C의 끓는점을 감안할 때, 물 얼음이나 에탄과는 달리 콰오아의 평균 표면 온도에서 휘발성 얼음이다. 모델과 관측 모두 소수의 더 큰 천체 (명왕성 등)만이 휘발성 얼음을 유지할 수 있으며, 소수의 해왕성 바깥 천체가 이들을 잃어버린 것으로 나타났다. 콰오아는 소량의 메탄만을 가지고 있어 중간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JWST)에 의한 저해상도 근적외선 (0.7–5 μm) 분광 관측 결과 콰오아 표면에 이산화 탄소 얼음, 복잡한 유기물, 상당량의 에탄 얼음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른 가능한 화학 물질로는 시안화 수소와 일산화 탄소가 있다. JWST는 또한 콰오아의 중간 해상도 근적외선 스펙트럼을 얻었으며 콰오아 표면에 소량의 메탄의 증거를 발견했다. 그러나 JWST의 콰오아에 대한 저해상도 및 중간 해상도 스펙트럼 모두 수화 암모니아의 결정적인 징후를 보여주지 않았다.

콰오아의 평균 밀도는 4.2 ± 1.3 g/cm3이며, 태양계 외곽 천체로서는 유의미하게 높은 밀도를 가진 천체로 여겨진다. 이는 콰오아가 암석과 얼음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외곽 천체와 달리 얼음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9] 알베도는 0.1 정도로 상당히 낮게 추정되는데, 이는 표면에서 얼음이 손실되었음을 의미한다.

4. 4. 대기

콰오아 표면에 메탄 및 기타 휘발성 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은 휘발성 물질의 승화로 생성된 희박한 대기가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측정된 평균 온도가 약 4.4만°C이므로 콰오아의 대기압 상한은 몇 마이크로바 범위일 것으로 예상된다. 콰오아의 작은 크기와 질량으로 인해 질소일산화 탄소로 이루어진 대기가 존재할 가능성은 배제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기체들이 콰오아에서 빠져나갈 것이기 때문이다. 메탄 대기의 가능성은 상한이 1 마이크로바 미만인 것으로, 2013년까지 고려되었지만, 콰오아가 15.8등급의 별을 엄폐하면서 실질적인 대기의 징후를 보이지 않아, 콰오아의 평균 온도가 4.2만°C이고 대기가 주로 메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최소 20 나노바까지 상한을 설정했다. 2019년 또 다른 별 엄폐 후, 대기압 상한은 10 나노바로 좁혀졌다.

2019년 6월, 도쿄 대학 기소 관측소의 구경 105cm 슈미트식 망원경에 탑재된 초광시야 고속 카메라 "토모에고젠"을 사용한 엄폐의 고감도 동영상 관측에 의해, 콰오아에 대기가 거의 존재하지 않음이 밝혀졌다.

5. 위성

콰오아는 2006년에 발견되었고 콰오아의 아들인 하늘의 신 웨이워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하나의 위성 웨이워트 (전체 명칭: ''(50000) 콰오아 I 웨이워트'')를 가지고 있다.[6] 웨이워트는 콰오아를 약 13300km 거리에서 공전하며, 지름은 약 170km로 추정된다.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2006년 2월 14일에 촬영된 이미지에서 마이클 E. 브라운과 T.-A. Suer의 분석에 의해 위성이 발견된 것이 2007년 2월 22일자 국제천문연맹 회보 (IAUC) 8812호에서 보고되었다. 이 위성에는 '''S/2006 (50000) 1'''이라는 임시 명칭이 붙여진 후 2009년에 '''웨이워트(Weywot)'''((50000) 콰오아 I 웨이워트) 라고 명명되었다. 이 이름은 통그바족의 신화에서 콰오아에 의해 창조된 신의 한 기둥에서 유래한다.

6. 고리

2023년 2월, 콰오아 주변에 고리가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과학 잡지 네이처에 발표되었다. 행성 이외의 천체에서 고리를 가진 것이 명확하게 확인된 것은 (10199) 카리클로와 (136108) 하우메아에 이어 3번째이다. (혜성·소행성 전이 천체로 알려진 카이론도 고리를 가질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10]). 이 고리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발생한 콰오아에 의한 엄폐 관측에서 발견되었다. 고리는 콰오아로부터 4,148.4 ± 7.4 km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행성을 포함한 다른 천체의 고리와는 달리, 모천체의 로슈 한계에서 2배 이상 떨어진 거리에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11]

콰오아 주변에 존재하는 고리와 위성 웨이워트의 상상도


정확한 크기와 모양을 결정하는 것 외에도, 외태양계의 작은 천체 주위에 고리 및/또는 대기를 탐색하기 위해 장기적인 차원에서 별 엄폐 관측 캠페인이 계획되었다. 이 캠페인은 프랑스, 스페인, 브라질의 다양한 팀의 노력을 결집하여 유럽 연구 위원회 프로젝트 ''Lucky Star''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콰오아의 최초로 알려진 고리인 Q1R의 발견에는 2018년에서 2021년 사이에 관측된 별 엄폐 동안 사용된 다양한 기기가 포함되었다. 나미비아의 고에너지 입체 시각 시스템(HESS)의 로봇 ATOM 망원경, 10.4m 그란 테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스페인 라 팔마 섬), ESA CHEOPS 우주 망원경, 그리고 해왕성형 고리의 보고가 시작되었고 Q1R의 밀집된 호가 처음 관측된 호주 시민 천문학자들이 운영하는 여러 관측소가 그것이다. 이 관측 결과들은 콰오아 주위에 부분적으로 밀집되고 대부분 희미하며 독특하게 멀리 떨어진 고리의 존재를 보여주었으며, 2023년 2월에 발견이 발표되었다.

광도 곡선 그래프로, 2022년 8월 9일 콰오아와 두 개의 고리에 의한 제미니 북쪽 천문대가 관측한 별의 밝기를 나타낸다. 중심에 있는 콰오아에 의한 엄폐 전후의 밝기 하락에서 외부 Q1R 고리의 불투명도의 비대칭성이 나타난다.


2023년 4월, ''Lucky Star'' 프로젝트의 천문학자들은 콰오아의 또 다른 고리인 Q2R의 발견을 발표했다. Q2R 고리는 2022년 8월 9일 별 엄폐에서 콰오아의 Q1R 고리를 확인하기 위한 관측 캠페인 동안 하와이 마우나 케아에 있는 고감도 8.2m 제미니 북쪽과 4.0m 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에 의해 감지되었다. 콰오아는 10199 카리클로, 2060 키론, 하우메아에 이어 고리 계를 가진 것으로 알려지고 확인된 네 번째 소행성이다.

7. 탐사

콰오아는 현재까지 탐사선이 방문한 적이 없는 천체이다. 목성 중력 보조를 이용한 콰오아 근접 비행 임무는 약 13.6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9] 뉴 호라이즌스 탐사선이 2016년에 약 14 AU 거리에서 콰오아의 이미지를 촬영한 바 있다. 2030년대에 콰오아를 근접 비행한 후 성간매질로 진입하는 성간 탐사선 임무가 제안되기도 했다. 콰오아는 메탄 대기 누출, 극저온 화산 활동 가능성, 헬리오스피어 코와의 근접성 등 흥미로운 연구 주제를 제공한다.[9]

참조

[1] 웹사이트 JPL Horizons http://ssd.jpl.nasa.[...]
[2] 웹사이트 Quaoar https://solarsystem.[...] NASA/JHUAPL/SwRI 2016
[3] 웹사이트 Unicode request for dwarf-planet symbols https://www.unicode.[...] 2022-01-29
[4] 웹사이트 Proposed New Characters: The Pipeline https://www.unicode.[...] 2022-01-29
[5] 웹사이트 Out of this World: New Astronomy Symbols Approved for the Unicode Standard http://blog.unicode.[...] The Unicode Consortium 2022-08-06
[6] 간행물 Heavenly Bodies and the People of the Earth http://www.searchmag[...] Search Magazine 2008-07
[7] 뉴스 China to launch a pair of spacecraft towards the edge of the solar system https://spacenews.co[...] SpaceNews 2021-04-29
[8] 웹사이트 全世界の観測成果 ver.2 http://sendaiuchukan[...] 薩摩川内市せんだい宇宙館 2019-03-11
[9] 뉴스 Is densest Kuiper belt object a wayward asteroid?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 2010-04-07
[10] 뉴스 James Webb Space Telescope spies rings around centaur Chariklo https://astronomy.co[...] 2023-02-20
[11] 논문 A dense ring of the trans-Neptunian object Quaoar outside its Roche limit
[12] 문서 http://www.gps.cal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