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704년은 무주, 일본, 발해, 신라 등 여러 국가에서 연호를 사용한 해이다. 동로마 제국은 이슬람의 킬리키아 침공을 막아냈고, 폐위된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2세가 탈출하여 불가르 칸국의 지원을 받았다. 신라와 당나라 간의 사신 왕래가 있었으며, 신라에서는 혜초, 후지와라노 토요나리, 이보국 등이 태어났다. 노섬브리아의 알드프리드 왕이 사망하고, 아랍의 아르메니아 정복이 진행되었으며, 티베트 제국의 실질적 통치자가 교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704년 | |
---|---|
기본 정보 | |
그레고리력 | 704년 |
간지 | 갑자년(甲子年), 쥐띠 |
서기후 | 704년 |
세기 | 8세기 |
십년대 | 700년대 |
문화 | |
일본 | 다이호 4년(大宝四年) |
년도별 | |
이전 년도 | 703년 |
다음 년도 | 705년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동로마 제국은 이슬람의 킬리키아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4][5]
- 당나라 사신 粟田真人가 귀환하였다.[1]
- 신라 사신 波多広足가 귀환하였다.[2]
- 신라에서 사신 幡文通을 파견하였다.[3]
4. 1. 동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은 이슬람의 킬리키아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 폐위된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2세는 10년 가까이 카자르(카자르 족(튀르크계 유목민족)이 지배하는 대초원 제국)에 머물다가 헤르소네소스(크리미아 반도의 헤르손) 유배지에서 탈출했다. 그는 카자르의 지배자(카간) 부시르의 도움을 받아 탈출했으며, 부시르의 여동생 테오도라와 결혼한다.[2]
- 가을 – 티베리우스 3세 황제는 부시르에게 뇌물을 주려고 시도하며, 카자르 관리 파파티스와 발기츠인을 파견하여 유스티니아누스 2세를 죽이려 했다. 아내의 경고를 받은 그는 불가르 칸국으로 도망쳐 테르벨의 도움을 받는다. 그 대가로 재정적 지원을 약속했다.[4][3]
- 아랍-비잔틴 전쟁: 티베리우스 3세의 동생 헤라클리우스가 이끄는 비잔티움 원정군이 시슘(현재 터키의 코잔)에서 우마이야 칼리파 군대(명)에게 패배하여 궤멸되었다. 대부분이 전사하고 나머지는 다마스쿠스로 끌려갔다.[4][5]
4. 2. 비잔티움 제국
- 동로마 제국은 이슬람의 킬리키아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 10년 가까이 카자르(카자르 족(튀르크계 유목민족)이 지배하는 대초원 제국)에 머물렀던 폐위된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2세는 헤르소네소스(크리미아 반도의 헤르손) 유배지에서 탈출했다. 그는 카자르의 지배자(카간) 부시르의 도움을 받아 탈출했으며, 부시르의 여동생 테오도라와 결혼했다.[2]
- 가을 – 티베리우스 3세 황제는 부시르에게 뇌물을 주려고 시도하며, 카자르 관리 파파티스와 발기츠인을 파견하여 유스티니아누스 2세를 죽이려 했다. 아내의 경고를 받은 그는 불가르 칸국으로 도망쳐 테르벨의 도움을 받았다. 그 대가로 재정적 지원을 약속했다.[4][3]
- 아랍-비잔틴 전쟁: 티베리우스 3세의 동생 헤라클리우스가 이끄는 비잔티움 원정군은 시슘(현재 터키의 코잔)에서 우마이야 칼리파 군대 (1만 명)에게 패배하여 궤멸되었다. 대부분이 전사하고 나머지는 다마스쿠스로 끌려갔다.[4][5]
4. 3. 영국
- 메르시아의 에셀레드 1세 왕이 30년의 통치 후 퇴위하고 린컨셔 바드니의 수도원장이 된다. 그의 뒤를 이어 고(故) 울프헤어 왕의 아들인 조카 코엔레드(켄레드)가 메르시아의 통치자가 된다.[1]
- 12월 14일 – 노섬브리아의 알드프리드 왕이 20년의 통치 후 사망한다. 그의 왕위는 혈통이 알려지지 않은 에이드울프 1세가 찬탈한다. 윌프리드는 에이드울프를 지지하기 위해 드리필드로 여행하지만 그의 접근은 거절된다(대략적인 날짜).[2]
4. 4. 아랍 제국
- 동로마 제국은 이슬람의 킬리키아 침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 아랍의 아르메니아 정복: 압드 알-말리크 이븐 마르완 칼리프의 아들 압달라 이븐 압드 알-말리크가 이끄는 무슬림 아랍인들이 아르메니아를 침략하고, 그의 삼촌 무함마드 이븐 마르완과 함께 반(反) 아랍 반란을 진압했다.[4][5]
- 겨울 – 압달라 이븐 압드 알-말리크는 아르메니아에서 소환되어 이집트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행정 업무를 콥트어 대신 아랍어로 처리할 것을 요구했다. 그의 재임 기간은 기근과 부패로 얼룩졌다.
4. 5. 아시아
5. 탄생
- 최호(崔顥), 당나라의 시인 (사망 754년)
- 고시(高適), 당나라의 시인 (추정 연도)
- 이븐 이삭(Ibn Ishaq), 아랍 역사가이자 전기 작가
- 메 아그촘(Me Agtsom), 티베트 제국의 황제 (사망 755년)
- 혜초, 신라 출신의 승려 (사망 787년)
- 후지와라노 토요나리(藤原豊成), 나라 시대의 귀족 (사망 766년)
- 히키 츠마마로(日置蓑麻呂), 나라 시대의 관료 (사망년도 미상)
- 보리선나(菩提僊那), 나라 시대의 귀화 승려 (사망 760년)
- 이보국(李輔国), 당나라의 환관 (사망 762년)
5. 1. 동아시아
- 혜초, 신라 출신의 승려 (+ 787년)
- 후지와라노 토요나리(藤原豊成), 나라 시대의 귀족 (+ 766년)
- 히키 츠마마로(日置蓑麻呂), 나라 시대의 관료 (+ 사망년도 미상)
- 보리선나(菩提僊那), 나라 시대의 귀화 승려 (+ 760년)
- 이보국(李輔国), 당나라의 환관 (+ 762년)
5. 2. 기타 지역
6. 사망
참조
[1]
서적
Gannon
[2]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3]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4]
서적
A Chronology of the Byzantine Empire
Palgrave Macmillan
[5]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6]
서적
Dictionary of Christianity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