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7월 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7월 정국은 1917년 7월 러시아에서 일어난 일련의 정치적 사건들을 지칭하며, 2월 혁명 이후 레닌의 귀국과 4월 테제 발표, 볼셰비키의 지지 확대, 케렌스키 공세, 임시 정부의 위기, 7월 봉기로 이어진다. 7월 봉기는 볼셰비키의 주도로 일어났으나, 임시 정부의 진압으로 실패하고 볼셰비키는 탄압을 받았다. 이 사건으로 볼셰비키는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슬로건을 포기하고 무장 봉기를 통한 정권 탈취를 지향하게 되었으며, 이후 코르닐로프 반란을 계기로 세력을 회복하여 10월 혁명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폭동 - 페스트 폭동
    1771년 모스크바에서 발생한 페스트 폭동은 정부의 미흡한 대처와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시민들의 분노가 폭발하여 발생했으며, 암브로시우스 대주교 살해 사건을 계기로 격화되어 러시아 제국군의 과도한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를 낸 역사적 사건이다.
  • 볼셰비키 봉기 - 군사혁명위원회
    군사혁명위원회는 1917년 러시아 혁명 당시 블라디미르 레닌의 아이디어로 창설된 볼셰비키 주도의 무장 봉기 지휘 기관으로,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산하 페트로그라드 군사혁명위원회를 필두로 전국 각지에 설치되어 10월 혁명에서 무장 봉기를 주도,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 볼셰비키 봉기 - 10월 혁명
    10월 혁명은 1917년 러시아에서 볼셰비키당이 주도하여 임시 정부를 무너뜨리고 권력을 장악한 사건으로, 사회적 혼란과 경제난, 차르 체제에 대한 불만을 배경으로 레닌과 트로츠키 등의 지도하에 러시아를 사회주의 국가로 변모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러시아의 정치적 억압 - 피의 일요일 (1905년)
    1905년 피의 일요일은 1905년 1월 22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평화적인 탄원 행진에 참여한 시위대가 황제 군대에 의해 무력 진압당한 사건으로, 열악한 노동 환경에 시달리던 노동자들의 탄원이 거부되고 수백에서 수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여 차르에 대한 환멸과 1905년 러시아 혁명을 촉발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 러시아의 정치적 억압 - 1993년 러시아 헌정위기
    1993년 러시아 헌정 위기는 소련 붕괴 후 옐친 대통령과 최고 소비에트 간 권력 투쟁 심화로 발생, 옐친의 경제 개혁 반발과 대통령 권한 축소 시도에 따른 최고 소비에트 해산 및 무력 충돌로 이어져 옐친이 정국을 장악하고 대통령 중심제를 확립한 사건이다.
7월 정국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1917년 7월 17일 페트로그라드의 네프스키 대로에서 발생한 폭동
1917년 7월 17일 페트로그라드의 네프스키 대로에서 발생한 폭동
발생일1917년 7월 16일~20일 (율리우스력 7월 3일~7일)
장소페트로그라드, 러시아
원인케렌스키 공세의 실패
결과임시 정부의 승리
시위 진압 및 파업 종식
볼셰비키 지도자 체포
교전 세력
시위대볼셰비키
아나키스트
[[File:Калуж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левых эсеров.svg|23px|border]] 좌익 사회혁명가
정부군임시 정부
러시아 공화국 지지 세력
멘셰비키
우익 사회혁명가
지휘관
시위대[[File:Socialist red flag.svg|23px|border]] 블라디미르 레닌
[[File:Socialist red flag.svg|23px|border]] 레프 트로츠키
[[File:Socialist red flag.svg|23px|border]]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File:Socialist red flag.svg|23px|border]] 레프 카메네프
[[File:Socialist red flag.svg|23px|border]] 표도르 라스콜니코프
정부군게오르기 리보프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라브르 코르닐로프
병력 규모
시위대50만 명의 시위대
4,000~5,000명의 적위군 병사
수백 명의 아나키스트 선원
12,000명의 군인
정부군수천 명의 경찰과 군인
사상자
시위대알 수 없음
정부군알 수 없음

2. 배경

2월 혁명 이후, 러시아 임시 정부는 안팎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1917년 4월, 블라디미르 레닌은 독일 정부가 제공한 봉인 열차를 타고 스위스에서 페트로그라드로 돌아와 4월 테제를 발표했다. 4월 테제는 임시 정부를 부르주아의 권력으로, 소비에트를 프롤레타리아의 권력으로 규정하고, 임시 정부에서 소비에트로 권력 이전을 주장하는 내용이었다.[6] 이는 멘셰비키와 기타 자유주의 세력으로부터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6월 16일 (구력 6월 3일)부터 전 러시아 소비에트 대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레닌은 볼셰비키 단독으로 권력을 획득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멘셰비키의 체레텔리는 당시 불안정한 러시아 정세에서 각 정당이 협력하여 거국 일치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현재 러시아에는 우리에게 정권을 넘기라, 당신들은 물러가고 우리에게 자리를 양보하라, 라고 말할 수 있는 정당은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레닌은 "그런 정당은 있습니다!(: Есть такая партия!ru)"라고 외치며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선언했다.[45] 그러나 당시 볼셰비키는 사회혁명당(에스엘)이나 멘셰비키보다 세력이 약했기 때문에, 레닌의 연설은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웃음 속에 묻혔다.[44]

5월부터 6월 사이에는 아나키스트들이 '착취자를 착취한다'는 구호 아래 자산가들의 저택을 습격하고 재산을 빼앗는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했다.[46] 전 내무 장관 표트르 두르노보의 저택을 아나키스트들이 불법 점거하자 임시 정부가 대규모 공격을 가한 사건은 이러한 혼란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러시아는 극심한 혼란과 폭력으로 인해 사회 질서 자체가 무너진 상황이었다.

7월 1일 (구력 6월 18일), 페트로그라드의 마르소보 폴레에서 열린 전 러시아 소비에트 대회의 데모는 약 50만 명의 노동자와 병사가 참가한 가운데, 대부분 볼셰비키의 슬로건으로 채워졌다. "10명의 자본가 장관 즉시 사임!", "전쟁을 끝낼 때가 왔다!",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에게!"와 같은 구호들은 대중의 정서가 임시 정부 및 소비에트 대회 지도부와 크게 엇갈리고 있음을 보여주었다.[47]

지방에서는 러시아인 이외의 소수 민족들이 독립을 요구하며 움직였다.[48] 특히 우크라이나의 독립 요구가 거셌는데,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우크라이나어로 '소비에트'라는 뜻)는 5월부터 임시 정부에 우크라이나의 자치를 인정하라고 요구했다. 에스엘의 케렌스키, 멘셰비키의 체레텔리 등 소비에트 출신 각료들과 우크라이나 출신 재무 장관(테레셴코)은 이에 타협하려 했지만, 우크라이나의 농업과 광업에 이권을 가진 부르주아 정당 입헌민주당(카데트)은 강력하게 반발했다. 결국 7월 15일(구력 7월 2일)에는 카데트 소속 각료 3명이 항의 사임하면서 임시 정부 내 좌우 대립이 격화되어 통일성을 잃어갔다.

제1차 세계 대전동부 전선에서는 7월 1일(구력 6월 18일) 케렌스키 공세라고 불리는 러시아군의 대공세 작전이 실시되었으나, 독일군의 반격으로 러시아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병사들의 사기가 크게 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시 정부는 연합국 측의 압력에 굴복하여 7월 16일(구력 7월 3일) 갈리치아 전선에서 추가 공세를 시작하는 상황이었다.[44]

2. 1. 볼셰비키 지지 확대

1917년 4월, 레닌은 4월 테제를 발표하여 프롤레타리아가 부르주아지를 타도하고 러시아 임시 정부를 몰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6] 초기에는 반발이 있었지만, 무장한 프롤레타리아 혁명이라는 레닌의 주장은 점차 지지를 얻었다.[7]

파벨 밀류코프의 밀류코프 각서로 인해 임시 정부가 전쟁을 계속 지원한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대중의 불만이 커져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9] 이후 임시 정부는 사회혁명당을 포함한 연립 정부를 구성했지만, 볼셰비키는 연립에 참여하지 않았다. 볼셰비키는 4월 위기에서 전쟁 지속에 대한 부정적 인식 없이 나타난 유일한 사회주의 분파였다.[10] 이로 인해 볼셰비키는 임시 정부에 불만을 품은 군인들의 지지를 얻었다.

4월 사건 이후, 볼셰비키는 임시 정부에 대한 공개적인 비판을 통해 주로 군인과 노동자들 사이에서 지지를 확대했다.[11][12] 사회혁명당은 토지 개혁과 분배 문제에 더 집중하여 농민들의 지지를 받았다.

크론시타트 해군 기지는 볼셰비키와 아나키스트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고, 임시 정부에 큰 우려를 안겨주었다. 1917년 5월 초부터 크론시타트 소비에트는 도시의 주요 권한이 되었다. 표도르 라스콜니코프는 크론시타트 해군들의 볼셰비키 지지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3]

당시 러시아 사회에는 "반혁명가"의 사보타주라는 음모론이 흔했는데, 이 용어의 정의는 비난하는 사람에 따라 달랐다. 볼셰비키는 사회주의적 반자본주의 정서를 받아들여 "부르주아" 정부가 전쟁을 지속하는 이유를 설명하며 영국 및 프랑스 동맹국까지 의심했다.[14] 임시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에 대한 불만이 커지면서 "소비에트에게 모든 권력"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이는 볼셰비키와 레닌의 4월 테제에 의해 지지받았다.[12]

2. 2. 케렌스키 공세

1917년 6월 말, 당시 전쟁 장관이었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제1차 세계 대전동부 전선에서 군사 공세를 승인했다. 이는 전쟁에서 승리하여 전쟁 지원을 강화하려는 목적이었다.[15]

이 공세는 1917년 6월 18일에 시작되어 1917년 7월 6일까지 지속되었으며, 7월 혁명과 시기가 일치했다.[16] 러시아군은 초기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상대로 기습에 성공하여 승리를 거두었지만, 곧 독일군의 반격으로 러시아군은 초토화되었다. 이 공세는 국내에서 극심한 반발과 불만을 야기하여, 정부가 의도했던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낳았다. 임시 정부에 대한 지지를 얻기는커녕 전선에서의 혼란은 계속되었고, 정부와 그 재앙적인 정책에 대한 불만이 커졌다.[15]

2월 혁명 이후 발생한 사건으로 연립 정부가 구성된 상황에서, 이 공세에 반대한 유일한 정치 세력은 볼셰비키였다.[17] 제1차 세계 대전동부 전선에서는 7월 1일(러시아 구력: 6월 18일)에 케렌스키 공세라고 불리는 러시아군의 대공세 작전이 실시되었지만, 독일군의 대반격에 의해 러시아군은 막대한 손해를 입어 보병의 사기는 현저히 저하되었다. 그러나 임시 정부는 연합국 측의 압력에 굴복하여 7월 16일(러시아 구력: 7월 3일), 갈리치아 전선에서의 추가 공세를 시작하는 상황이었다.[44]

2. 3. 임시 정부의 위기

1917년 4월, 블라디미르 레닌이 4월 테제를 발표하여 프롤레타리아가 권력을 잡아야 한다고 선언하면서, 임시 정부에 대한 불만이 커지기 시작했다.[6] 파벨 밀류코프의 각서로 임시 정부가 전쟁을 계속 지원한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대중 시위가 발생했고, 이후 임시 정부는 사회혁명당을 포함한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9] 볼셰비키는 연립에 참여하지 않았고, 군인들 사이에서 지지를 얻었다.[10]

표도르 라스콜니코프의 영향으로 크론시타트 해군 기지는 볼셰비키 지지로 전환하여 임시 정부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13] 임시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에 대한 불만이 커지면서,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요구가 증가했다.[12]

7월 정국 직전, 임시 정부는 큰 위기에 직면했다. 카데트는 정부의 실패를 비판하며 연립 정부에서 탈퇴했고,[8] 게오르기 르보프 총리는 7월 7일에 사임할 계획을 발표했다.[18]

2월 혁명 이후, 레닌은 4월 테제를 통해 임시 정부에서 소비에트로 권력 이전을 주장했지만, 멘셰비키 등은 이를 거부했다. 6월 16일부터 열린 제1차 전 러시아 소비에트 대회에서 레닌은 볼셰비키 단독 권력 획득을 주장했지만, 당시에는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44][45] 5월부터 6월 사이, 아나키스트들이 자산가 저택을 습격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사회 질서가 무너졌다.[46]

7월 1일, 페트로그라드에서 열린 데모는 볼셰비키의 슬로건으로 채워졌고, 이는 대중의 불만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47] 지방에서는 소수 민족의 독립 요구가 거세졌고, 특히 우크라이나의 독립 요구에 입헌민주당이 반발하면서 임시 정부 내 좌우 대립이 심화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에서는 케렌스키 공세가 실패로 돌아갔지만, 임시 정부는 연합국의 압력으로 추가 공세를 시작했다.[44]

3. 7월 정국의 전개

1917년 7월 3일 아침, 제1 기관총 연대는 오후에 시위를 계획하고, 볼셰비키 활동가들의 도움을 받아 자원 분배와 지지 확보를 위한 위원회를 선출했다.[35] 같은 날 저녁, 페트로그라드에서 제1 기관총 연대가 주도한 시위가 발생했다. 무장 군인들이 거리를 행진하고, 노동자와 다른 부대 군인들이 합류하여 타우리드 궁전으로 행진하며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를 외쳤다. 시위대는 소비에트의 권력 장악과 행사를 요구했다. 이날 군인들은 공중에 총을 쏘고 차량을 탈취했다.

7월 4일, 시위는 계속되었고, 인근 해군 기지 부대를 포함한 더 많은 군인과 노동자들이 합류했다. 시위대는 아파트를 부수고 총을 쏘며 부유한 행인들을 공격하는 등 폭력적으로 변했다. 타우리드 궁전 밖 군중은 정부 관리를 요구했고, 소비에트 지도자들은 빅토르 체르노프를 보냈다. 체르노프가 군중을 진정시키려 하자, 그들은 그를 붙잡았고, 한 시위자는 "권력을 잡으세요, 이 개자식아, 당신에게 주어졌을 때!"라고 외쳤다.[35] 트로츠키가 군중을 설득하여 체르노프를 풀어줄 때까지, 군중은 그를 인질로 잡았다.



대부분 볼셰비키 지지자였던 시위대는 볼셰비키 당의 지지를 얻으려 했다. 그러나 볼셰비키 본부 근처에 모였을 때, 레닌은 처음에는 만나기를 거부했다.[21] 결국 레닌은 간단한 연설만 하고 지지를 거부했으며, 볼셰비키 당도 곧 지지를 철회했다.[20] 지도부가 없었기 때문에 시위대는 흩어졌다.

7월 3일 자정, 소비에트 지도자들은 비공개 회의를 열고 권력을 잡지 않기로 합의했다. 그들은 시위에 대해 볼셰비키를 비난했지만, 볼셰비키 당의 사건 조작 여부나 볼셰비키 지지자를 포함한 우발적 시위였는지는 불분명하다. 볼셰비키 당은 시위를 공개적으로 지지하지 않았다.[3]

군 당국은 시위대에 군대를 파견했고, 거리 폭력으로 많은 체포와 수백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는 반군 징벌 조치를 지지하며 노동자 무장 해제, 혁명적 군부대 해산, 체포를 시작했다. 7월 5~6일, ''프라우다'' 사무실과 인쇄소, 볼셰비키 중앙위원회 본부가 파괴되었다. 7월 7일, 임시 정부는 레닌 체포 명령을 내렸고, 레닌은 지하로 숨었다.

7월 8일과 7월 21일 (율리우스력 7월 8일), 정권에 충성하는 군대가 전선에서 페트로그라드에 도착했다.[21]

7월 19일, 북부 전선 코사크 부대 도착으로 임시 정부와 볼셰비키 간 세력 균형이 바뀌었다. 볼셰비키 당원 체포 약속은 무효가 되었고, 임시 정부는 볼셰비키 당 간부들을 국가 반역죄 혐의로 체포하기 시작했다.[54] 레닌도 같은 혐의로 쫓겼다.

7월 20일, 파벨 페레베르제프 법무장관이 사임하고, 임시 정부는 겨울 궁전으로 이동했다.[54] 같은 날, 게오르기 르보프 총리도 사임했다.[54]

7월 22일, 레프 카메네프가 체포되었다.[54]

3. 1. 7월 16일 (율리우스력 7월 3일)

1917년 7월 16일(율리우스력 7월 3일), 페트로그라드에서 기관총병 제1연대 병사들의 주도로 자발적인 시위가 발생했다.[35] 이들은 "임시 정부 타도!"와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를 외치며, 아나키스트의 영향을 받아 임시 정부의 명령에 저항하고 있었다.[48][49] 제1연대는 수도의 노동자들을 시위에 참여시키기 위해 오르그를 파견했다.[44]

기관총병들의 주장은 모스크바 연대, 파블로프스키 연대,[50] 척탄병 및 제1예비연대 병사들의 지지를 얻는 데 성공했다. 이들은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구호를 내걸고 시위 행진을 벌였다. 공장 노동자들도 시위에 참여했다. 멘셰비키와 에스엘이 주도하던 전 러시아 중앙 집행 위원회는 시위 금지령을 내렸지만, 시위대는 타우리드 궁전으로 행진했다.

볼셰비키는 시위를 조직적이고 평화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해 지도자들을 보냈으나, 기관총병들의 무장 시위 강행 의지는 확고했다.[44] 마르틴 라치스는 병사에게 칼로 위협을 받았고, 제1연대 임시 혁명 위원장으로 선출된 니콜라이 세마슈코는 "시작된 운동을 멈출 수 없다"라는 단호한 거절을 당했다.[44]

오후 7시경, 기관총병 제1연대, 신 레스넬 공장, 신 파르비아이넨 공장의 노동자들을 선두로 대규모 무장 시위가 시작되었다.[44] 군대에서는 모스크바 연대, 척탄병 연대, 바블로프스키 연대, 공병 제6대대, 보병 제180연대 일부, 보병 제1연대 일부가 뒤따랐다. 노동자 측에서는 루스키 르노, 아이바스, 피닉스, 페트로그라드 금속, 구 파르비아이넨, 발트 조선, 라디오 전신 공장, 페트로그라드 강관, 지멘스-슈커트, 제못 공장 등의 노동자들이 참여했다.

시위대는 크셰신스카야 저택(볼셰비키 당 본부)으로 향했다. 스탈린야코프 스베르들로프 등 볼셰비키 당 간부들은 발코니에서 연설하며 사람들에게 돌아갈 것을 호소했으나,[51] 시위대는 "물러가라!"라고 격노하며 응답했다. 결국 볼셰비키 당 지도부는 시위를 중지시킬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동당 페트로그라드 시 위원회는 긴급히 협의하여 "조직적"이고 "평화적"인 시위를 제안하기로 결정했다. 시위를 중지하려는 중앙위원회의 호소는 인쇄에서 제거되어 당 기관지 『프라우다』는 1페이지가 백지로 배포되었다.

타우리드 궁전에서 오후 7시부터 열린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노동자부회도 시위 지지를 결의하고, "평화적 성격을 부여"하기 위한 위원회를 선출했다. 회의가 끝날 무렵부터 시위대가 도착하기 시작했고, 곧 타브리다 궁전 앞은 시위대로 가득 찼다.

1917년에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위원회가 위치했던 타브리다 궁전

3. 2. 7월 17일 (율리우스력 7월 4일)

1917년 7월 17일(율리우스력 7월 4일), 임시 정부와 소비에트 중앙의 데모 금지령에도 불구하고, 전날보다 더 큰 규모의 무장 데모가 발생했다. 크론슈타트의 해병 1만 명을 포함하여 페체르고프, 리고보, 오라니엔바움, 차르스코예 셀로 등 근교 도시에서도 데모대가 모여들었다. 이들은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에게!"라는 구호를 외치며 50만 명의 노동자, 병사, 해병이 참여하는 평화적인 데모를 벌였다. 모스크바, 니즈니노브고로드, 크라스노야르스크 등 다른 도시에서도 반정부 데모가 일어났다.

정오 무렵부터 데모대는 타브리다 궁전에 모여들어 소비에트 중앙을 압박했다.[44] 그러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를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혁명당(에스엘)과 멘셰비키의 협조파는 물러서지 않았다. 오후 5시 30분, 노병 소비에트 중앙 집행위원회와 전국 농민 소비에트 집행위원회의 합동 회의가 열렸고, 2주 후에 지방 대표를 포함한 합동 회의를 개최하고 그때까지 현 정부의 권력을 인정하기로 결의했다.

이 과정에서 임시 정부 측의 코사크 부대와 데모대 사이에 총격전이 벌어져 사망자가 발생했다. 타브리다 궁전에서는 농업 장관 빅토르 체르노프가 군중에 의해 일시적으로 억류되었다가 레프 트로츠키에 의해 풀려나는 사건도 있었다.[52]

레닌은 병으로 핀란드에서 요양 중이었으나, 17일 이른 아침 6시경 당 중앙 위원회로부터 무장 데모 발생 소식을 듣고 급히 페트로그라드로 돌아왔다.[53] 레닌은 무력으로 정권을 잡아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현재 볼셰비키의 무력이 부족하여 무력 봉기는 실패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다가올 무력 봉기를 대비하여 당분간 평화적인 데모로 정부를 압박하는 노선을 취하면서도, 대중의 지지를 잃지 않기 위해 무력 봉기로의 움직임을 억제해야 했다.

레닌이 크셰신스카야 저택에서 크론슈타트 무장 해병에게 한 연설은 이러한 그의 고뇌를 보여준다.

> "제가 병으로 조금밖에 말하지 못하는 것을 용서해주십시오. 페트로그라드 노동자의 이름으로 혁명적인 크론슈타트의 동지들에게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에게'라는 우리의 슬로건은 우여곡절은 있겠지만 반드시 승리할 것입니다. 여러분, 끈기 있게 견디십시오. 경계를 늦추지 마십시오."

임시 정부는 법무 장관 파벨 페레베르제프가 레닌이 독일의 스파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문서를 공개하는 비장의 카드를 꺼내들었다.[54] 오후 5시경, 페레베르제프는 언론인과 군 대표자들을 초청하여 레닌이 독일군을 위해 일했다는 러시아군 병사의 애매한 증언과 볼셰비키의 베를린과의 금전 관계에 대한 정보를 공개했다.

정세가 긴박해지자 볼셰비키는 충돌을 피하고자 밤에 데모대를 해산시켰고, 오후 9시경 데모대는 타브리다 궁전에서 철수했다.

3. 3. 7월 18일 (율리우스력 7월 5일)

1917년 7월 18일 (율리우스력 7월 5일) 오전 1시, 그 전까지 중립을 지키던 이즈마일로프스키 연대, 프레오브라젠스키 연대, 세묘노프스키 연대가 타브리다 궁전에 나타나 임시 정부 지지를 선언했다.[55] 이는 전날 페레베르제프가 "레닌은 독일의 스파이"라고 발표한 내용을 알고 내린 결정이었다. 또한, 북부 전선에서 강력한 부대가 시위 진압을 위해 수도 페트로그라드로 향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상황은 급변했다. 같은 날 아침, 프라우다 발행소가 급습당했으나, 레닌은 직전에 피신했다. 레프 카메네프와 소비에트 집행위원 리베르는 페트로파블로프스크 요새에 있는 크론슈타트 수병에게 순순히 돌아가도록 설득하는 대신, 볼셰비키 당원은 체포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볼셰비키 간부들은 크론슈타트 수병들에게 기지로 돌아가라고 명령했고, 일부 수병들은 명령에 따랐다.[56] 그러나 크셰신스카야 저택을 지키던 나머지 수병들은 귀환 명령을 거부했지만, 수적으로 우세한 임시 정부 측 군대에 포위되어 항복했다.[54] 무장 시위에 참여했던 부대는 무장이 해제되었고, 공장은 수색을 받아 무기가 압수되었다.[55]

3. 4. 7월 19일 (율리우스력 7월 6일)

1917년 7월 19일(러시아 구력: 7월 6일), 북부 전선에서 코사크 부대가 도착하면서 임시 정부 측과 볼셰비키 측의 세력 균형이 바뀌었다. 전날 볼셰비키 당원을 체포하지 않겠다는 약속은 무효가 되었고, 임시 정부는 볼셰비키 당 간부들을 국가 반역죄 혐의로 체포하기 시작했다.[54] 잠복 활동에 들어간 레닌도 같은 혐의로 쫓기게 되었다.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에 있던 기관총병 연대 장교 바실리에프가 체포되었고[57],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에서 항복한 크론시타트 수병들의 강제 송환이 실시되었다.[58]

3. 5. 7월 20일 (율리우스력 7월 7일)

파벨 페레베르제프 법무장관이 사임하고, 임시 정부는 겨울 궁전으로 이동하였다.[54] 같은 날, 게오르기 르보프 총리도 사임하였다.[54]

3. 6. 7월 21일 (율리우스력 7월 8일)

7월 21일 (율리우스력 7월 8일), 정권에 충성하는 군대가 전선에서 페트로그라드에 도착했다.[21]

3. 7. 7월 22일 (율리우스력 7월 9일)

레프 카메네프가 체포되었다.[54]

4. 볼셰비키의 역할 논란

1917년 7월 3일 아침, 제1 기관총 연대는 시위를 계획했고, 볼셰비키 활동가들의 도움을 받아 위원회를 선출했다.[35] 페트로그라드에서 벌어진 시위는 제1 기관총 연대가 이끌었으며, 무장한 군인들이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구호를 외치며 타우리드 궁전으로 행진했다.[35]

시위대는 볼셰비키의 지지를 얻으려 했으나, 블라디미르 레닌은 처음에는 만남을 거부했고, 결국 짧은 연설만 했을 뿐 지지를 거부했으며, 볼셰비키 당은 곧 지지를 철회했다.[20][21] 7월 3일 자정, 소비에트 지도자들은 비공개 회의를 열고 볼셰비키를 비난했지만, 볼셰비키 당이 사건을 조작했는지, 아니면 우발적인 시위였는지는 불분명하며, 시위를 공개적으로 지지하지 않았다.[3]

군 당국은 시위대에 군대를 파견했고,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는 징벌 조치를 지지했다. 7월 5~6일에는 ''프라우다'' 사무실과 인쇄소, 볼셰비키 중앙위원회 본부가 파괴되었고, 7월 7일 임시 정부는 레닌 체포 명령을 내렸다.[21]

4. 1. 볼셰비키 지도부

7월 정국 당시 볼셰비키 지도부는 블라디미르 레닌, 레프 트로츠키,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레프 카메네프 등으로 구성되었다.[22] 시위대는 볼셰비키 당의 지지를 얻으려 했으나, 레닌은 처음에는 만남을 거부했고, 결국 짧은 연설만 했을 뿐 지지를 거부했으며, 볼셰비키 당은 곧 지지를 철회했다.[20][21]

7월 3일 자정에 소비에트 지도자들은 비공개 회의를 열고 권력을 잡지 않기로 합의했다. 그들은 시위에 대해 볼셰비키를 비난했지만, 볼셰비키 당이 실제로 사건을 조작했는지, 아니면 우발적인 시위였는지는 불분명하며, 볼셰비키는 시위를 공개적으로 지지하지 않았다.[3]

7월 정국에 대한 지도 책임은 논쟁의 대상이며, 볼셰비키와 소비에트 모두 불확실한 입장을 보였다.[23]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구호가 제시되었지만, 7월 정국은 레닌에게 권력이 집중되는 계기가 되지 못했다.[26] 임시 정부는 독일 간첩 혐의를 제기하여 레닌 추종자들의 신뢰를 약화시키려 했다.[27] 결국 7월 정국 당시 볼셰비키의 의도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부적절한 지도력으로 인해 권력을 잡지 못했다.[28]

7월 7일, 임시 정부는 레닌의 체포 명령을 내렸고, 레닌은 지하로 숨어야 했다.[21]

4. 2. 내부 갈등

1917년 7월, 볼셰비키는 7월 시위에 대해 서로 다른 입장을 보였다. 중앙위원회는 시위가 반대 정당의 보복을 불러올 것을 우려하여 시위 지지를 억제하려 했으나, 볼셰비키 군사 조직과 페테르부르크 위원회는 시위를 지지했다.[27]

블라디미르 레닌, 볼셰비키 군사 조직, 페테르부르크 위원회는 모두 시위에 대한 불안감을 느꼈다. 프라우다는 중앙위원회의 입장을 지지하는 대신 불안감을 드러냈다.[29] 중앙위원회는 시위가 절정에 달했을 때 미묘한 감정을 드러냈다.[30] 7월 5일 새벽, 레닌과 볼셰비키 중앙위원회가 참여한 회의에서 페트로그라드 거리 시위를 중단하기로 결정했고, 프라우다는 이 소식을 발표했다.[31]

4. 3. 임시 정부와의 관계

트로츠키의 시각에서, 볼셰비키와 임시 정부 지도부 간의 긴장은 볼셰비키 지도자 루나차르스키와 트로츠키가 인민의 집 환송회에서 마지막 시위대를 전선으로 보내는 것에 대한 명백한 지지를 보여주면서 고조되었다.[32] 트로츠키는 볼셰비키와 임시 정부가 서로를 부정적으로 보이게 하려고 하는 공방전을 묘사했다.[32] 임시 정부는 볼셰비키의 행동을 중단시키고 그들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했는데, 지도자들을 체포했을 뿐만 아니라 프라우다의 운영을 금지하여 그들의 홍보 수단을 막았다.[33] 임시 정부는 7월 폭력 사태에 대한 볼셰비키의 연루에 대한 대중의 비난을 이용하여 볼셰비키 당을 약화시키는 조치를 취했다.[34]

5. 결과 및 영향

7월 정국 결과,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끄는 임시 정부는 7월 사건에 대응하여 더욱 보수적인 정책을 펼치며 시민 질서를 통제하려 했다. 여기에는 폭력적인 7월 사건에 대한 책임을 물어 레닌을 비롯한 볼셰비키 지도자들을 체포하라는 명령이 포함되었다.[35]

블라디미르 레닌핀란드로 도피했고,[36] 레프 트로츠키, 레프 카메네프,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 등 주요 볼셰비키 지도자들은 체포되었다.[37] 트로츠키는 봉기 이후 볼셰비키 이상을 옹호하며 볼셰비키 언론을 위해 글을 쓰기도 했다.[37]

7월 12일, 케렌스키는 사형을 부활시켰고,[35] 7월 18일에는 정부 각료들을 겨울 궁전으로, 소비에트를 스몰니 학원으로 옮겼다.[39]

볼셰비키의 권력은 일시적으로 분산되었고, 시위 진압과 정부 개편은 이중 권력의 종말을 알렸다. 케렌스키의 지도 하에 있던 새로운 사회혁명당 및 멘셰비키 정부는 더욱 보수적인 길로 전환했다.[39]

코르닐로프는 반전을 주장하는 볼셰비키와 협조적인 케렌스키의 태도에 불만을 품고 임시 정부와 대립했다.[44] 결국, 코르닐로프는 반란을 일으켰고, 케렌스키는 반란에 대항하기 위해 볼셰비키 당원을 석방하고 협력했다.[38] 당원 석방으로 볼셰비키는 당세를 회복하고, 10월 혁명으로 권력을 탈취한다.

7월 봉기 실패 후, 레닌은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슬로건을 포기하고, "폭력 혁명"으로 임시 정부로부터 정권을 탈취하는 것을 지향하게 되었다.

5. 1. 임시 정부의 대응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는 7월 사건에 대한 징벌 조치를 지지하며, 노동자 무장 해제, 혁명적 군부대 해산, 관련자 체포를 시행했다.[35] 7월 7일 임시 정부는 레닌 체포 명령을 내렸고, 레닌은 핀란드로 피신했다.[21] 레프 트로츠키, 레프 카메네프,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 등 다른 볼셰비키 지도자들도 체포되었다.[37]

임시 정부는 시민 질서 유지를 위해 페트로그라드 내 거리 행진을 일시 금지하고, 군사적 소요를 선동하는 출판물 폐쇄 권한을 부여받았다.[39] 7월 12일, 케렌스키는 반란, 탈영, 전선에서의 무질서 행위에 대한 사형을 부활시켰다.[35]

7월 15일, 7월 사건 중 사망한 코사크 군인들을 위한 공식 장례식이 거행되었다.[39] 7월 18일, 케렌스키는 정부 각료들을 겨울 궁전으로, 타우리데 궁전에 있던 소비에트는 스몰니 학원으로 이전시켰다.[39]

5. 2. 볼셰비키의 피해와 재기

7월 정국으로 인해 볼셰비키는 큰 피해를 입었다. 시위 진압 과정에서 많은 당원들이 체포되거나 사망했고, 프라우다를 비롯한 당의 주요 기관들이 파괴되었다.[33][35] 블라디미르 레닌은 체포령을 피해 핀란드로 도피했고,[36] 레프 트로츠키, 레프 카메네프,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 등 주요 간부들은 체포되어 투옥되었다.[37]

케렌스키 임시 정부는 7월 폭력 사태에 대한 책임을 물어 볼셰비키를 탄압했다.[34] 케렌스키는 시민 소요를 진압하기 위한 조치를 시행하고, 볼셰비키 지도자들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35]

하지만 볼셰비키는 코르닐로프 반란을 계기로 재기하기 시작했다. 케렌스키는 반란 진압을 위해 볼셰비키 지도자들을 석방하고 무장을 허용했다.[38] 이 과정에서 볼셰비키는 군대와 노동자들 사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며 세력을 회복해 나갔다.

5. 3.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 슬로건의 변화

1917년 7월 초, 페트로그라드에서 제1 기관총 연대를 비롯한 무장 군인들과 노동자들이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라는 구호를 외치며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타우리드 궁전으로 행진하며 소비에트가 즉시 권력을 장악할 것을 요구했다.[35]

그러나 볼셰비키는 시위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고, 지도부를 잃은 시위대는 흩어졌다. 소비에트 지도부는 비공개 회의를 열어 권력 장악을 거부하고 시위에 대해 볼셰비키를 비난했다.[3]

이후 임시 정부는 군대를 동원해 시위를 진압했다. 사회혁명당과 멘셰비키는 노동자 무장 해제, 혁명적 군부대 해산 등 강경 조치를 지지했다. 프라우다 사무실과 볼셰비키 중앙위원회 본부가 파괴되었고, 블라디미르 레닌은 체포령을 피해 핀란드로 도피했다. 레프 트로츠키 등 다른 볼셰비키 지도자들도 체포되었다.[35]

7월 시위의 폭력적인 성격과 볼셰비키의 연루 의혹은 대중의 여론을 악화시켰다.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이끄는 새 임시 정부는 중앙 정부의 권위를 강화하고 시민 소요를 진압하기 위한 조치를 시행했다.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Victor Gollancz Ltd
[2]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05-1921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Voices of Revolution, 1917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Voices of Revolution, 1917 Yale University Press
[5] 서적 Key Themes of the Twentieth Century Stanley Thornes
[6] 웹사이트 The Tasks of the Proletariat in the Present Revolution https://www.marxists[...] 1999
[7] 서적 Voices of Revolution, 1917 Yale University Press
[8] 서적 Voices of Revolution, 1917 Yale University Press
[9] 서적 Voices of Revolution, 1917 Yale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April Crisis http://soviethistory[...] 2015-06-17
[11]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В. Л. Генис А. Я. Семашко, "возвращенец" из Бразилии https://yroslav1985.[...]
[14]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Voices of Revolution, 1917 Yale University Press
[16] 서적 Russian Revolution of 1917 ABC-CLIO
[17]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1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Voices of Revolution, 1917 Yale University Press
[19] 웹사이트 The July Days https://www.jacobinm[...] 2017-07-27
[20] 웹사이트 The July Days http://alphahistory.[...] 2019-08-02
[21] 서적 The Bolsheviks Come to Power: The Revolution of 1917 in Petrograd Haymarket Books and Pluto Press
[22] 웹사이트 July Days of 1917 http://www.encyclope[...] 2004 The Gale Group Inc.
[23] 서적 Voices of Revolution Yale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July Days http://soviethistory[...] 2015-05-22
[25] 웹사이트 The July Days http://alphahistory.[...] 2012-12-04
[26] 웹사이트 The Russian Revolution: March, 1917 http://econfaculty.g[...]
[27] 웹사이트 July Days http://soviethistory[...] 2015-05-22
[28]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05-1921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Prelude to Revolu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30] 서적 Prelude to the Revolu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31] 서적 Prelude to the Revolu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Volume Two: The Attempted Counter-Revolution https://www.marxists[...] eBook published on www.marxists.org
[33] 웹사이트 The July Days demonstration http://www.historyin[...]
[34] 서적 Voices of Revolution, 1917 Yale University
[35]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05-1921 Oxfo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Makers of the Russian revolution George Allen & Unwin
[37] 웹사이트 Tony Cliff: Trotsky 1 - Towards October 1879-1917 (13. The July Days) https://www.marxists[...] 2017-10-18
[38] 서적 Voices of Revolution, 1917 Yale University Press
[39] 서적 Voices of Revolution, 1917 Yale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十月革命/十一月革命 http://www.y-history[...] 教材工房 2017-07-19
[41] 웹사이트 A History of Western Society http://college.hmco.[...] John P. McKay,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Bennett D. Hill, Georgetown University; John Buckler,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42] 웹사이트 July Days http://www.britannic[...] Britannica On-line
[43] 문서
[44] 웹사이트 「7月事件」の様子と経過考 http://www.marino.ne[...] marino.ne.jp 2005-12-17
[45] 웹사이트 'Ленин В. И. Речь об отношении к Временному правительству. ПСС, Том 32' http://leninism.su/w[...] 2017-07-27
[46] 간행물 犯罪,警察,サモスード : ロシア革命下ペトログラードの社会史への一試論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スラブ研究センター 2021-09-01
[47] 문서 'Александр Рабинович. Большевики приходят к власти: Революция 1917 года в Петрограде.' http://scepsis.ru/li[...]
[48] 웹사이트 ロシア革命 第2部その3 https://www.kaho.biz[...] kaho.biz 2017-7-19
[49] url http://www.cultinfo.[...]
[50] 웹사이트 パブロフスキー擲弾兵/ロシア帝国1812年/15mm https://blogs.yahoo.[...] Yahoo!ブログ 2010-02-08
[51] 웹사이트 復刻版・ペレストロイカと十月革命物語 http://www013.upp.so[...] So-net 2017-7-19
[52] 웹사이트 1590/七月三日-五日の事件②-R・パイプス著10章11節。 https://akizukieiji.[...] akizukieiji.blog 2017-7-19
[53] 서적 世界の歴史 ロシアの革命 河出書房新社
[54] 웹사이트 1593/犯罪逃亡者レーニン①-R・パイプス著10章12節。 https://akizukieiji.[...] akizukieiji.blog 2017-7-19
[55] 서적 世界の歴史 ロシアの革命 河出書房新社
[56] 문서
[57] 서적 Кровавые дни. Июльское восстание 1917 года в Петрограде Республика 1992
[58] 문서
[59] 서적 The Bolsheviks Come to Power: The Revolution of 1917 in Petrograd Haymarket Books and Pluto Press
[60] 웹사이트 1595/犯罪逃亡者レーニン②-R・パイプス著10章12節。 https://akizukieiji.[...] akizukieiji.blog 2017-7-19
[61] url Central Committee Meeting—10 Oct 1917 http://www.marxis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