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C 챔피언스리그의 기록과 통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FC 챔피언스리그의 기록과 통계는 AFC 챔피언스리그(ACL)와 전신 대회인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의 우승, 클럽별 통산 기록, 선수 기록, 감독 기록, 기타 기록, 관중 기록 등을 포함한다. 알힐랄은 4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 클럽이며, 데얀 담야노비치는 42골로 최다 득점 선수이다. 1999년 결승전에서 에스테글랄과 주빌로 이와타의 경기에는 121,000명의 관중이 입장하여 역대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FC 챔피언스리그 기록과 통계 - AFC 챔피언스리그 클럽별 통산 기록
- AFC 챔피언스리그 기록과 통계 -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기록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기록 문서는 아시아 클럽 축구 대회의 역대 우승 기록을 다루며, 알힐랄이 최다 우승 구단이고 대한민국이 국가별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한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AFC 챔피언스리그의 기록과 통계 |
---|
2. 역대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기록
1967년 대회 시작 이후 총 24개의 클럽이 AFC 챔피언스리그와 전신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알힐랄이 4번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대한민국 클럽이 총 12회 우승으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국가 | 우승 | 준우승 | 우승 클럽 | 준우승 클럽 |
---|---|---|---|---|
12 | 7 | 포항 스틸러스 (3), 성남 FC (2), 수원 삼성 블루윙즈 (2), 전북 현대 모터스 (2), 울산 현대 (2), 부산 아이파크 (1) | 성남 FC (2), FC 서울 (2), 전북 현대 모터스 (1), 양지 (1), 포항 스틸러스 (1) | |
8 | 5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3),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1), 도쿄 베르디 (1), 감바 오사카 (1), 주빌로 이와타 (1), 가시마 앤틀러스 (1) | 주빌로 이와타 (2),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 | |
6 | 10 | 알힐랄 (4), 알 이티하드 (2) | 알힐랄 (5), 알 아흘리 (2), 알 이티하드 (1), 알 나스르 (1), 알 샤밥 (1) | |
3 | 6 | 에스테글랄 (2), PAS 테헤란 (1) | 에스테글랄 (2), 페르세폴리스 (2), 세파한 (1), 조브 아한 (1) | |
3 | 2 | 광저우 (2), 랴오닝 (1) | 랴오닝 (1), 다롄 스더 (1) | |
3 | 1 | 마카비 텔아비브 (2), 하포엘 텔아비브 (1) | 하포엘 텔아비브 (1) | |
2 | 3 | 알 아인 (2) | 알 아인 (2), 샤밥 알아흘리 (1) | |
2 | 1 | 알 사드 (2) | 알 아라비 (1) | |
2 | 1 | 타이 파머스 뱅크 (2) | 폴리스 테로 (1) | |
1 | 1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1)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1) | |
0 | 2 | 알리야트 알 쇼르타 (1), 알 라시드 (1) | ||
0 | 1 | 셀랑고르 (1) | ||
0 | 1 | 오만 클럽 (1) | ||
0 | 1 | 알 카라마 (1) |
클럽별 우승 기록은 클럽별 우승 기록 섹션을 참고.
2. 1. 클럽별 우승 기록
순위 | 클럽 | 우승 | 준우승 | 우승 시즌 | 준우승 시즌 |
---|---|---|---|---|---|
1 | 알힐랄 | 4회 | 5회 | 1991, 1999-2000, 2019, 2021 | 1986, 1987, 2014, 2017, 2022 |
2 | 포항 스틸러스 | 3회 | 1회 | 1996-97, 1997-98, 2009 | 2021 |
3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3회 | 1회 | 2007, 2017, 2022 | 2019 |
4 | 에스테글랄 | 2회 | 2회 | 1970, 1990-91 | 1991, 1998-99 |
성남 FC | 2회 | 2회 | 1995, 2010 | 1996-97, 2004 | |
전북 현대 모터스 | 2회 | 1회 | 2006, 2016 | 2011 | |
알이티하드 | 2회 | 1회 | 2004, 2005 | 2009 | |
8 | 마카비 텔아비브 | 2회 | 1969, 1971 | ||
타이 농민은행 | 2회 | 1993-94, 1994-95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회 | 2000-01, 2001-02 | |||
알사드 | 2회 | 1988-89, 2011 | |||
광저우 헝다 | 2회 | 2013, 2015 | |||
알 아인 | 2회 | 2회 | 2002-03, 2023-24 | 2005, 2016 | |
14 | 주빌로 이와타 | 1회 | 2회 | 1998-99 | 1999-2000, 2000-01 |
FC 서울 | 1회 | 2회 | 2001-02, 2013 | ||
16 | 하포엘 텔아비브 | 1회 | 1회 | 1967 | 1970 |
랴오닝 FC | 1회 | 1회 | 1989-90 | 1990-91 | |
18 | 부산 아이파크 | 1회 | 1985-86 |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 1회 | 1986 | |||
도쿄 베르디 | 1회 | 1987 | |||
파스 테헤란 FC | 1회 | 1992-93 | |||
감바 오사카 | 1회 | 2008 | |||
울산 현대 | 1회 | 2012 |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 1회 | 2014 | |||
가시마 앤틀러스 | 1회 | 2018 | |||
26 | 알아흘리 | 2회 | 1985-86, 2012 | ||
페르세폴리스 | 2회 | 2018, 2020 | |||
28 | 셀랑고르 FA | 1회 | 1967 | ||
양지 | 1회 | 1969 | |||
알쇼르타 | 1회 | 1971 | |||
알라시드 | 1회 | 1988-89 |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 1회 | 1989-90 | |||
알샤바브 | 1회 | 1992-93 | |||
오만 클럽 | 1회 | 1993-94 | |||
알아라비 | 1회 | 1994-95 | |||
알나스르 | 1회 | 1995 | |||
다롄 스더 | 1회 | 1997-98 | |||
BEC 테로 사사나 | 1회 | 2002-03 | |||
알카라마 | 1회 | 2006 | |||
세파한 | 1회 | 2007 |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1회 | 2008 | |||
조브 아한 | 1회 | 2010 | |||
알아흘리 | 1회 | 2015 |
- 전신 구단의 역사와 기록도 공식적으로 승계된다. 부산 아이파크(대우 로얄즈, 부산 대우), 성남 FC(일화 천마, 천안 일화, 성남 일화), FC 서울(안양 LG), 요코하마 F. 마리노스(닛산 FC), 도쿄 베르디(요미우리 FC), 제프 유나이티드(후루카와 전기), 다롄 스더(다롄 완다), 에스테글랄(타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
- 양지, 타이 농민은행, 파스 테헤란은 해체된 구단이다.
2. 2. 리그별 우승 기록
국가 | 우승 | 준우승 | 우승 클럽 | 준우승 클럽 |
---|---|---|---|---|
12 | 7 | 포항 스틸러스 (3), 성남 FC (2), 수원 삼성 블루윙즈 (2), 전북 현대 모터스 (2), 울산 현대 (2), 부산 아이파크 (1) | 성남 FC (2), FC 서울 (2), 전북 현대 모터스 (1), 양지 (1), 포항 스틸러스 (1) | |
8 | 5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3), 제프 유나이티드 지바 (1), 도쿄 베르디 (1), 감바 오사카 (1), 주빌로 이와타 (1), 가시마 앤틀러스 (1) | 주빌로 이와타 (2),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 | |
6 | 10 | 알 힐랄 (4), 알 이티하드 (2) | 알 힐랄 (5), 알 아흘리 (2), 알 이티하드 (1), 알 나스르 (1), 알 샤밥 (1) | |
3 | 6 | 에스테글랄 (2), PAS 테헤란 (1) | 에스테글랄 (2), 페르세폴리스 (2), 세파한 (1), 조브 아한 (1) | |
3 | 2 | 광저우 (2), 랴오닝 (1) | 랴오닝 (1), 다롄 스더 (1) | |
'''' | 3 | 1 | 마카비 텔아비브 (2), 하포엘 텔아비브 (1) | 하포엘 텔아비브 (1) |
2 | 3 | 알 아인 (2) | 알 아인 (2), 샤밥 알아흘리 (1) | |
2 | 1 | 알 사드 (2) | 알 아라비 (1) | |
2 | 1 | 타이 파머스 뱅크 (2) | 폴리스 테로 (1) | |
1 | 1 |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1)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1) | |
0 | 2 | align=center| | 알리야트 알 쇼르타 (1), 알 라시드 (1) | |
0 | 1 | align=center| | 셀랑고르 (1) | |
0 | 1 | align=center| | 오만 클럽 (1) | |
0 | 1 | align=center| | 알 카라마 (1) |
AFC 챔피언스리그와 그 전신인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의 통산 기록은 다음과 같다.
3. 통산 기록
도시 우승 준우승 우승 클럽 준우승 클럽 리야드 4 7 알 힐랄 (4) 알 힐랄 (5), 알 샤밥 (1), 알 나스르 (1) 테헤란 3 4 에스테글랄 (2), PAS 테헤란 (1) 에스테글랄 (2), 페르세폴리스 (2) 텔아비브 3 1 마카비 텔아비브 (2), 하포엘 텔아비브 (1) 하포엘 텔아비브 (1) 포항 3 1 포항 스틸러스 (3) 포항 스틸러스 (1) 사이타마 3 1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3)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1) 제다 2 3 알-이티하드 (2) 알-아흘리 (2), 알-이티하드 (1) 알아인 2 2 알아인 (2) 알아인 (2) 방콕 2 1 타이 파머스 뱅크 (2) BEC 테로 사사나 (1) 도하 2 1 알 사드 (2) 알-아라비 (1) 전주 2 1 전북 현대 모터스 (2) 전북 현대 모터스 (1) 수원 2 0 수원 삼성 블루윙즈 (2) 울산 2 0 울산 현대 (2) 광저우 2 0 광저우 (2) 이와타 1 2 주빌로 이와타 (1) 주빌로 이와타 (2) 서울 1 2 일화 천마 (1) 양지 (1), FC 서울 (1) 요코하마 1 2 후루카와 전기 (1) 요코하마 F. 마리노스 (2) 선양 1 1 랴오닝 (1) 랴오닝 (1) 성남 1 1 성남 일화 천마 (1) 성남 일화 천마 (1) 시드니 1 0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1) 부산 1 0 대우 로얄즈 (1) 도쿄 1 0 요미우리 (1) 오사카 1 0 감바 오사카 (1) 가시마 1 0 가시마 앤틀러스 (1) 이스파한 0 2 세파한 (1), 조브 아한 (1) 바그다드 0 2 알리야트 알-쇼르타 (1), 알-라시드 (1) 슬랑고르 0 1 슬랑고르 (1) 무스카트 0 1 오만 클럽 (1) 다롄 0 1 다롄 완다 (1) 안양 0 1 안양 LG 치타스 (1) 호므스 0 1 알-카라마 (1) 애들레이드 0 1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1) 두바이 0 1 알-아흘리 (1) 클럽 우승 준우승 우승 시즌 준우승 시즌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3 1 2007, 2017, 2022 2019 알 힐랄 2 3 2019, 2021 2014, 2017, 2022 알아인 2 2 2003, 2024 2005, 2016 알 이티하드 2 1 2004, 2005 2009 전북 현대 모터스 2 1 2006, 2016 2011 울산 현대 2 0 2012, 2020 광저우 2 0 2013, 2015 성남 FC 1 1 2010 2004 포항 스틸러스 1 1 2009 2021 감바 오사카 1 0 2008 알 사드 1 0 2011 웨스턴 시드니 원더러스 1 0 2014 가시마 앤틀러스 1 0 2018 페르세폴리스 0 2 2018, 2020 폴리스 테로 0 1 2003 알 카라마 0 1 2006 세파한 0 1 2007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0 1 2008 조브 아한 0 1 2010 알 아흘리 0 1 2012 FC 서울 0 1 2013 샤밥 알아흘리 0 1 2015 요코하마 F. 마리노스 0 1 2024
3. 1. 리그별 통산 기록
리그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자료 없음 |
3. 2. 클럽별 통산 기록
순위 | 클럽 | 참가 횟수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알힐랄 | 17 | 150 | 74 | 40 | 36 | 247 | 152 | +95 | 262 |
2 | 전북 현대 모터스 | 15 | 132 | 69 | 27 | 36 | 264 | 159 | +105 | 234 |
7 | 울산 현대 | 10 | 77 | 47 | 13 | 17 | 139 | 86 | +53 | 154 |
1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0 | 77 | 35 | 23 | 19 | 126 | 81 | +45 | 128 |
20 | FC 서울 | 8 | 76 | 31 | 22 | 23 | 124 | 97 | +27 | 115 |
22 | 포항 스틸러스 | 8 | 65 | 28 | 21 | 16 | 82 | 56 | +26 | 105 |
4. 선수 기록
AFC 챔피언스리그 선수 개인 기록은 다음과 같다.
- 해트트릭: 2003년 3월 9일 성남 일화 천마의 김도훈이 오솟스파 FC를 상대로 AFC 챔피언스리그 첫 해트트릭을 기록했다.[24] 아드리아누와 히카르두 굴라르는 이 대회에서 3번의 해트트릭을 기록하여 최다 해트트릭 기록을 가지고 있다.[24]
- 득점왕: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가장 많은 골을 기록한 선수에게는 최다 득점상이 수여된다. 이 상은 예선 라운드를 제외하고 토너먼트에서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선수에게 주어진다.[24] 성남 일화 천마, 감바 오사카, 광저우 헝다, 알 힐랄은 각각 2번씩 최다 득점상을 수상하여 이 부문에서 가장 많은 상을 받은 클럽들이다.[24]
- 2004년: 김도훈 (성남 일화 천마)[24]
- 2006년: 마그노 알베스 (감바 오사카)[24]
- 2007년: 모타 (성남 일화 천마)[24]
- 2009년: 레안드루 (감바 오사카)[24]
- 2013년: 무히리 (광저우 헝다)[24]
- 2015년: 히카르두 굴라르 (광저우 헝다)[24]
- 2017년: 오마르 카르빈 (알 힐랄)[24]
- 2019년: 바페팀비 고미스 (알 힐랄)[24]
- 최다 출전 선수:
순위 | 선수 | 클럽 | 출전 |
---|---|---|---|
1 | 황보문 | 베이징 궈안, 광저우 FC 전북 현대 모터스 | 91 |
2 | 모하마드 알-샬호브 | 알 힐랄 SFC | 87 |
3 | 가오린 | 상하이 선화, 광저우 FC | 84 |
4 | 펑샤오팅 | 광저우 FC 전북 현대 모터스 | 83 |
5 | 압둘라 알-조리 | 알 힐랄 SFC | 78 |
6 | 사우드 카리리 | 알-이티하드 클럽 (제다) 알 힐랄 SFC | 77 |
6 | 정지 | 산둥 타이산, 광저우 FC | 77 |
8 | 쩡청 | 페르세바야 수라바야 허난 젠예 광저우 FC | 74 |
8 | 이동국 | 전북 현대 모터스 | 74 |
10 | 장린펑 | 광저우 FC | 71 |
11 | 권순태 | 전북 현대 모터스 가시마 앤틀러스 | 69 |
11 | 데얀 담야노비치 | FC 서울 베이징 궈안 수원 삼성 블루윙즈 | 69 |
13 | 잘랄 호세이니 | 사이파 FC 세파한 FC 페르세폴리스 FC | 66 |
13 | 고로키 신조 | 가시마 앤틀러스 우라와 레즈 | 66 |
15 | 이브라힘 디아키 | 알 아인 FC 알 자지라 클럽 | 65 |
16 | 칼리드 에이사 | 알 자지라 클럽 알 아인 FC | 61 |
16 | 야세르 알-카타니 | 알 힐랄 SFC | 61 |
18 | 모하메드 압둘라흐만 | 알 아인 FC | 60 |
19 | 오마르 압둘라흐만 | 알 아인 FC | 59 |
20 | 엔도 야스히토 | 감바 오사카 | 58 |
20 | 메흐디 라흐마티 | 세파한 FC 에스테그랄 FC | 58 |
20 | 모하나드 살렘 | 알 아인 FC | 58 |
23 | 엘케손 | 광저우 FC 상하이 포트 FC | 57 |
23 | 나세르 알-샴라니 | 알 샤밥 FC (리야드) 알 힐랄 SFC 알 아인 FC | 57 |
25 | 오가사와라 미츠오 | 가시마 앤틀러스 | 54 |
4. 1. 해트트릭
선수 | 소속팀 | 상대팀 | 결과 | 날짜 |
---|---|---|---|---|
김도훈 | 성남 일화 천마 | 오솟스파 FC | 6–0 | 2003-03-09 |
하오하이둥4 | 다롄 스더 | 오솟스파 FC | 7–1 | 2003-03-12 |
패트릭 서포 | 알힐랄 | 에스테글랄 FC | 3–2 | 2003-03-12 |
끼앗띠삭 세나므앙 | 호앙아인 잘라이 FC | PSM 마카사르 | 5–1 | 2004-02-11 |
김연건 | 전북 현대 모터스 | BEC 테로 사사나 | 4–0 | 2004-04-07 |
에두 살레스 | 전북 현대 모터스 | BEC 테로 사사나 | 4–0 | 2004-04-20 |
마르조크 알오타이비 | 알이티하드 | 세파한 | 4–0 | 2004-04-20 |
이싸빅4 | 성남 일화 천마 | 페르식 케디리 | 15–0 | 2004-05-11 |
데니스4 | 성남 일화 천마 | 페르식 케디리 | 15–0 | 2004-05-11 |
김도훈 | 성남 일화 천마 | 페르식 케디리 | 15–0 | 2004-05-11 |
모하메드 알제노 | 알자이시 | 알자우라 | 5–1 | 2005-04-05 |
Mohsen Bayatinia영어 | 파스 테헤란 | 알살미야 | 5–1 | 2005-04-06 |
Rasoul Khatibi영어 | 세파한 | 알와흐다 | 3–1 | 2005-04-06 |
정즈 | 산둥 루넝 | PSM 마카사르 | 6–1 | 2005-04-20 |
Onyekachi Nwoha영어 | 알아인 | 선전 FC | 6–0 | 2005-09-28 |
페르난지뉴4 | 감바 오사카 | 다낭 FC | 15–0 | 2006-03-22 |
마그누5 | 감바 오사카 | 다낭 FC | 15–0 | 2006-03-22 |
가오린 | 상하이 선화 | 동떰 롱안 | 4–2 | 2006-05-03 |
알라 후바일 | 알가라파 | 알와흐다 | 5–3 | 2006-05-17 |
Diego Alonsoes | 상하이 선화 | 페르식 케디리 | 6–0 | 2007-05-23 |
Travis Dodd영어 | 애들레이드 유나이티드 | 동떰 롱안 FC | 3–0 | 2007-05-23 |
Marquinhospt | 가시마 앤틀러스 | 끄룽 타이 은행 | 9–1 | 2008-03-12 |
코네 카심4 | 끄룽타이은행 | 남딘 | 9–1 | 2008-04-09 |
난따왓 딴소파 | 끄룽타이은행 | 남딘 | 9–1 | 2008-04-09 |
난따왓 딴소파4 | 끄룽타이은행 | 베이징 궈안 | 5–3 | 2008-05-21 |
Tiagopt | 베이징 궈안 | 끄룽타이은행 | 3–5 | 2008-05-21 |
Luay Salahar | 아르빌 | 카디시야 SC | 4–2 | 2008-05-21 |
José Luis Villanuevaes | FC 부뇨드코르 | 사이파 | 5–1 | 2008-09-24 |
레안드루 | 감바 오사카 | FC 서울 | 4–2 | 2009-03-17 |
아라우조 | 알가라파 | 페르세폴리스 | 5–1 | 2009-04-21 |
Prince Tagoe영어 | 알이티파크 | 알샤바브 | 4–1 | 2009-04-21 |
데얀 다미아노비치 | FC 서울 | 스리위자야 FC | 5–1 | 2009-05-05 |
데닐손 | 포항 스틸러스 | 센트럴코스트 | 3–2 | 2009-05-05 |
나이프 하자지 | 알이티하드 | 움살랄 | 7–0 | 2009-05-19 |
최효진 | 포항 스틸러스 | 뉴캐슬 제츠 | 6–0 | 2009-06-24 |
모하메드 누르 | 알이티하드 | 나고야 그램퍼스 | 6–2 | 2009-10-21 |
로브렉 | 전북 현대 모터스 | 페르시푸라 자야푸라 | 4–1 | 2010-02-23 |
가오린 | 창춘 야타이 | 페르시푸라 자야푸라 | 9–0 | 2010-03-09 |
Johnny Woodly Lambert영어 | 창춘 야타이 | 페르시푸라 자야푸라 | 9–0 | 2010-03-09 |
Leandropt | 알사드 | 알아흘리 | 5–0 | 2010-03-10 |
히라이 쇼키 | 감바 오사카 | Singapore Armed Forces FC영어 | 4–2 | 2010-03-23 |
Odil Ahmedov | 파흐타코르 | 알아인 | 3–2 | 2010-04-13 |
아라우조 | 알가라파 | 알자지라 | 4–2 | 2010-04-14 |
심우연 | 전북 현대 모터스 | 페르시푸라 자야푸라 | 8–0 | 2010-04-14 |
하태균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상하이 선신 | 4–0 | 2011-03-16 |
유니스 마무드 | 알가라파 | 알자지라 | 5–2 | 2011-05-04 |
로브렉 | 전북 현대 모터스 | 아레마 말랑 | 6–0 | 2011-05-10 |
이동국4 | 전북 현대 모터스 | 세레소 오사카 | 6–1 | 2011-09-27 |
Éamon Zayed영어 | 페르세폴리스 FC | Al Shabab Al Arabi Club영어 | 6–1 | 2012-03-21 |
히카르두 올리베이라 | 알자지라 | 나사프 카르시 | 4–1 | 2012-05-02 |
히카르두 올리베이라4 | 알자지라 | 알라얀 | 4–3 | 2012-05-16 |
유병수4 | 알힐랄 | 바니야스 | 7–1 | 2012-05-23 |
Wagner Ribeiropt | 엘자이시 | 알자지라 | 3–0 | 2013-04-24 |
나세르 알샴라니 | 알힐랄 | 알사드 | 5–0 | 2014-04-01 |
침바 | 풀라드 | 알파테흐 | 5–1 | 2014-04-23 |
히카르두 굴라르 | 광저우 에버그란데 | 웨스턴 시드니 | 3–2 | 2015-03-04 |
디오고 | 부리람 유나이티드 | 광저우 푸리 | 5–0 | 2015-05-06 |
아드리아노4 | FC 서울 | 부리람 유나이티드 | 6–0 | 2016-02-23 |
아드리아노 | FC 서울 | 산프레체 히로시마 | 4–1 | 2016-03-01 |
히카르두 굴라르 | 광저우 에버그란데 | 상하이 상강 | 5–1 | 2017-09-12 |
오마르 크르빈 | 알힐랄 | 페르세폴리스 | 4–0 | 2017-09-26 |
아드리아노 | 전북 현대 모터스 | 킷치 | 6–0 | 2018-02-20 |
김신욱 | 전북 현대 모터스 | 톈진 취안젠 | 6–3 | 2018-03-06 |
히카르두 굴라르4 | 광저우 에버그란데 | 제주 유나이티드 | 5–3 | 2018-03-06 |
- 4 1경기 4득점
- 5 1경기 5득점
순위 | 클럽 | 해트트릭 | 선수 |
---|---|---|---|
1 | 전북 현대 모터스 | 8 | 김연건, 에두 살레스, 로브렉 (2회), 심우연, 이동국, 아드리아누, 김신욱 |
2 | 성남 FC | 4 | 김도훈 (2회), 이싸빅, 데니스 |
알가라파 | 알라 후바일, 아라우조 (2회), 유니스 마무드 | ||
감바 오사카 | 페르난지뉴, 마그누, 레안드루, 히라이 쇼키 | ||
알힐랄 | 유병수, 패트릭 서포, 나세르 알샴라니, 오마르 크르빈 | ||
6 | FC 서울 | 3 | 다미아노비치, 아드리아누 (2회) |
광저우 헝다 | 히카르두 굴라르 (3회) | ||
끄룽 타이 은행 | 딴소파 (2회), 코네 카심 | ||
이티하드 FC | 마르조크 알오타이비, 나이프 하자지, 모하메드 누르 |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첫 번째 해트트릭은 2003년 3월 9일 성남 일화 천마의 김도훈이 오솟스파 FC를 상대로 기록했다. 아드리아누와 히카르두 굴라르는 이 대회에서 3번의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4. 2. 득점왕
AFC 챔피언스리그에서 가장 많은 골을 기록한 선수에게는 최다 득점상이 수여된다. 이 상은 예선 라운드를 제외하고 토너먼트에서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선수에게 주어진다.성남 일화 천마, 감바 오사카, 광저우 헝다, 알 힐랄은 각각 2번씩 최다 득점상을 수상하여 이 부문에서 가장 많은 상을 받은 클럽들이다.
- 성남 일화 천마
- 김도훈 (2004년)
- 모타 (2007년)
- 감바 오사카
- 마그노 알베스 (2006년)
- 레안드루 (2009년)
- 광저우 헝다
- 무히리 (2013년)
- 히카르두 굴라르 (2015년)
- 알 힐랄
- 오마르 카르빈 (2017년)
- 바페팀비 고미스 (2019년)
4. 3. 최다 출전 선수
전북 현대 모터스전북 현대 모터스
알 힐랄 SFC
허난 젠예
광저우 FC
가시마 앤틀러스
베이징 궈안
수원 삼성 블루윙즈
세파한 FC
페르세폴리스 FC
우라와 레즈
알 자지라 클럽
알 아인 FC
에스테그랄 FC
상하이 포트 FC
알 힐랄 SFC
알 아인 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