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CEBP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EBPB는 류신 지퍼(bZIP) 도메인을 포함하는 전사 인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이다. 이 단백질은 면역 및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조절, 정상적인 대식세포 기능, 세포 분화, 근육 기능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EBPB는 다양한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암과도 관련이 있다. 또한 여러 단백질과 상호 작용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20번 염색체상 유전자 - 옥시토신
    옥시토신은 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자궁 수축 유도, 유즙 분비 촉진, 사회적 유대감 형성, 불안 감소, 뇌 기능 보호 등 생리적, 정신의학적 기능에 관여한다.
  • 인간 20번 염색체상 유전자 - 포스포엔올피루브산 카복시키네이스
    포스포엔올피루브산 카복시키네이스(PEPCK)는 옥살로아세트산을 포스포엔올피루브산과 이산화 탄소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며, 포도당신생합성, 탄소 고정, 대사 과정 등 다양한 생명 현상에 관여하고 호르몬 등에 의해 활성이 조절된다.
  • 전사인자 -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세포 내에서 에스트로겐과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ERα와 ERβ의 두 가지 주요 아이소폼이 존재하며, 유방암, 폐경, 비만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되어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의 표적이 되고 비유전체적 신호 전달 경로에도 관여한다.
  • 전사인자 - 핵 수용체
    핵 수용체는 동물 특이적인 단백질로서, 친유성 물질과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모듈형 구조를 가지며, DNA 결합 방식과 리간드 결합 여부에 따라 분류되어 다양한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들을 조절하는 약물 표적이 된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찰리 채플린
    찰리 채플린은 런던 빈민가 출신으로 뛰어난 코미디 연기와 영화 연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작은 방랑자" 캐릭터, 슬랩스틱 코미디, 판토마임 연기, 사회 비판적 메시지, 매카시즘 시대의 탄압, 아카데미 명예상 수상 등으로 대표되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영국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이다.
  • 위키백과 특수 효과용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CEBPB
기본 정보
C/EBPβ 단백질의 구조
C/EBPβ 단백질의 구조
유전자 기호CEBPB
외부 데이터베이스위키데이터: Q19968499
NCBI: 1051
Ensembl: ENSG00000160255
UniProt: P17675
OMIM: 142990
HGNC: 1836
eGene: 1051
염색체2q32.2
식별
기호CEBPB
대체 기호C/EBP-beta
C/EBPbeta
CEBP-beta
IL6DBP
LAP
NF-IL6
NF-M
CRP2
일반 정보
기능전사 인자 활성
DNA 결합
이종이량체화 활성
DNA 결합 전사 인자 활성
RNA 폴리메라제 II 특이적 DNA 결합 전사 인자 결합
세포 구성 요소세포질
분자 기능DNA 결합
단백질 이량체화
DNA 결합 전사 인자 활성
생물학적 과정세포 증식 조절
전사 조절
세포 분화 조절
면역 반응
염증 반응

2. 기능

CEBPB는 특정 DNA 조절 영역에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이다. 인트론이 없는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이 단백질은 동종 이량체로 결합할 수 있는 bZIP 전사인자이며, CEBP-알파, CEBP-델타, CEBP-감마와 이종 이량체를 형성할 수 있다.[39]

CEBPB는 면역 및 염증 반응, 세포 분화 및 대사, 근육 기능 유지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한다. 신경계에서 특정 역할을 담당하는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거나, 세포에 다약제내성을 부여하는 유전자를 활성화하기도 한다.

''CEBPB'' 유전자는 류신 지퍼(bZIP) 도메인을 포함하며, 암호화된 단백질은 동종이량체로 기능한다. 또한 알파, 델타, 감마와 같은 인핸서 결합 단백질과 이종이량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단백질의 활성은 면역 및 염증 반응과 관련된 유전자 조절에 중요하며, 다른 과정에도 관여한다. 여러 단백질 이소형을 생성하는 "AUG" 시작 코돈"이 존재한다.[15] 이 유전자는 증식과 분리에 필수적인 부분이며, 전사 인자가 면역 및 염증 반응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기 때문에 당 생성 경로와 간 회복을 포함하여 간세포 및 지방세포와 같은 많은 세포 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러나 T 세포에 대해서는 MYC 발현을 억제하고 T 헬퍼 계열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16]

2. 1. 면역 및 염증 반응

CEBPB는 인트론이 없는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로, 특정 DNA 조절 영역에 동종 이량체로 결합할 수 있는 bZIP 전사인자이다. 또한 CEBP-알파, CEBP-델타, CEBP-감마와 같은 관련 단백질과 이종 이량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단백질은 면역 및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 조절에 중요하며, IL-6 유전자의 IL-1 반응 요소 및 몇몇 급성기,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조절 영역에 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모터 및 상류 요소에 결합하여 제1형 콜라겐 유전자 발현을 자극할 수도 있다.[39]

CEBP-베타는 정상적인 대식세포 기능에 필수적이며, 중요한 면역 세포 아형이다. CEBP-베타를 발현할 수 없는 쥐는 대식세포 매개 근육 복구를 포함한 모든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대식세포를 갖는다.[40] 역학 연구에 따르면 혈액 백혈구에서 CEBP-베타 발현은 인간 근력과 긍정적인 관련이 있으며,[41] 이는 근육 기능 유지에 있어 면역계, 특히 대식세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2. 세포 분화 및 대사

CEBPB는 세포 분화 및 특정 세포 유형(예: 간세포, 지방세포)의 기능 유지에 관여한다. 제1형 콜라겐 유전자의 발현을 자극하여 세포 외 기질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39]

CEBP-베타는 정상적인 대식세포 기능에 중요하며, 이는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백혈구의 한 종류이다. CEBP-베타를 발현할 수 없는 생쥐세포 분화 능력이 떨어지는 대식세포를 가지게 되어, 대식세포 매개 근육 복구를 포함한 모든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4] 역학 연구에 따르면 혈액 백혈구에서 CEBP-베타의 발현은 인간의 근력과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이며,[5] 이는 근육 기능 유지에 있어 면역계, 특히 대식세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CEBPB는 전사인자를 암호화하며, 이 전사인자는 면역 및 염증 반응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당 생성 경로와 간 회복을 포함하여 간세포 및 지방세포와 같은 많은 세포 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T 세포에 대해서는 MYC 발현을 억제하고 T 헬퍼 계열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16]

2. 3. 근육 기능 유지

CEBP-베타는 정상적인 대식세포 기능, 중요한 면역 세포 아형에 중요하다.[40] CEBP-베타를 발현 할 수 없는 쥐는 분화 할 수 없고, 모든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대식세포를 갖는다.[40] 역학 연구에 따르면 혈액의 백혈구에서 CEBP-베타의 발현은 인간의 근력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41] 근육 기능 유지에 있어 면역계, 특히 대식세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 4. 기타 기능

CEBPB는 여러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중 일부는 preprotachykinin-1 유전자와 같이 신경계에서 특정 역할을 담당하여 물질 P, 뉴로키닌 A[43],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아세틸콜린의 생합성을 담당하는 콜린아세틸트린스퍼레이스를 유발시킨다.[44] 다른 표적은 인터루킨 4[45], 인터루킨 6[46], 인터루킨 5[47], 종양괴사인자 알파와 같은 사이토카인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포함한다.[48] 또한 세포에 다약제내성을 부여하는 수송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CEBPB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유전자에는 ABCC2[49] 및 ABCB1이 포함된다.[50]

CEBP-베타는 정상적인 대식세포 기능에 매우 중요하며, 면역 세포 백혈구의 하위 유형이다. CEBP-베타를 발현할 수 없는 생쥐분화(특성화) 할 수 없는 대식세포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대식세포 매개 근육 회복을 포함한 모든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4] 역학 연구에 따르면 혈액 백혈구에서 CEBP-베타의 발현인간의 근력과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이며,[5] 근육 기능 유지를 위해 면역 체계, 특히 대식세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CEBPB 유전자의 기능은 독립적인 검증을 기반으로 한 siRNA 녹다운으로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6]

추가 조사 결과, CEBPB는 분자에서 단백질 또는 추상화된 마이크로RNA에 이르기까지 생물학적 조작과 약 8,600개의 유사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백질은 혈액에서 발견되며 급성 골수성 백혈병, 신경교종, 전립선암으로 인해 질병에서 상향 조절된다. 이 아이디어는 세포 내 위치에 기초하며 핵질에 정확하게 국한되어 있다.

3. 표적 유전자

CEBPB는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에는 프리프로타키키닌-1 유전자와 같이 신경계에서 특정 역할을 하는 유전자, 인터루킨 4, 인터루킨 6, 인터루킨 5, 종양괴사인자 알파와 같은 사이토카인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그리고 ABCC2와 ABCB1과 같이 세포에 다약제내성을 부여하는 수송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등이 포함된다.

3. 1. 사이토카인

CEBPB는 인터루킨 4[10], 인터루킨 6[9], 인터루킨 5[11], 종양괴사인자 알파[12]와 같은 사이토카인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2. 신경전달물질

CEBPB는 여러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중 일부는 프리프로타키키닌-1 유전자와 같이 신경계에서 특정 역할을 담당하여 물질 P, 신경키닌 A[43]를 생성하고,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아세틸콜린의 생합성을 담당하는 콜린 아세틸전달효소를 유발시킨다.[44]

3. 3. 다약제내성 관련 단백질

CEBPB는 세포에 다약제 내성을 부여하는 수송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유전자에는 ABCC2[49]와 ABCB1이 포함된다.[50]

4. 인핸서 결합 단백질

CEBPB는 bZIP 도메인을 포함하는 전사인자이다. 이 단백질은 동종이량체로 기능하거나, CEBP-α, CEBP-δ, CEBP-γ와 같은 다른 CEBP 단백질과 이종이량체를 형성하여 DNA에 결합할 수 있다.[39][3]

여러 단백질 이소형을 생성하는 "AUG" 시작 코돈이 존재하며,[15] 이들은 서로 다른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EBPB는 세포 증식, 억제, 생존 등 다양한 세포 과정에 관여한다.[16] 특히 간세포 및 지방세포에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가지며, 당 생성 경로와 간 회복에 중요하다.[16]

CEBPB는 면역 및 염증 반응과 관련된 유전자 조절에 중요하며, IL-6 유전자의 IL-1 반응 요소 및 여러 급성기,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조절 영역에 결합한다.[39][3] 콜라겐 I형 유전자의 프로모터와 상류 요소에 결합하여 발현을 자극하기도 한다.[39][3]

T 세포에서는 MYC 발현을 억제하고 T 헬퍼 계열의 분화를 촉진하는 등 면역 조절 기능을 수행한다.[16] 대식세포 기능에도 중요하며, CEBP-베타를 발현하지 못하는 쥐는 대식세포 매개 근육 복구를 포함한 모든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대식세포를 갖는다.[40][4]

5. 암과의 관련성

CEBPB는 CEBP 전사체의 한 유형이다.[17] CEBPB 유전자는 피부 흑색종(SKCM)의 대식세포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환자의 진단 계층화를 위한 바이오마커가 되어 전이성 암의 예후를 좋게 한다. 단일 세포 및 벌크 RNA 시퀀스 데이터 세트의 통합 분석 결과, CEBPB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이므로, 전이성 흑색종 환자는 CTLA-4 등의 단백질을 차단하거나 CEBPB를 표적으로 하는 등 다른 면역 활성화 경로를 통해 장기적으로 혜택을 볼 수 있다. CEBPB는 여러 다른 암에서 광범위하게 발현된다.

6. 상호 작용

CEBPB는 다양한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여 그 기능을 조절한다. CEBPB와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은 다음과 같다:[51][52][53][54][55][39][56][57][58][59][60][61][62][63][64][65][66][67][68][69]


  • CREB1
  • CRSP3
  • DNA 손상 유도 전사체 3
  • EP300
  •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
  •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 HMGA1
  • HSF1
  • 핵인 소포체 단백질 p130
  • RELA
  • 혈청 반응 인자
  • SMARCA2
  • Sp1 전사 인자
  • TRIM28
  • Zif268

6. 1. 주요 상호 작용 단백질

CEBPB는 다음과 같은 단백질들과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조

[1] 논문 Chromosomal localization in man and rat of the genes encoding the liver-enriched transcription factors C/EBP, DBP, and HNF1/LFB-1 (CEBP, DBP, and transcription factor 1, TCF1, respectively) and of the hepatocyte growth factor/scatter factor gene (HGF) 1992-06
[2] 논문 Regulated expression of three C/EBP isoforms during adipose conversion of 3T3-L1 cells 1991-09
[3] 웹사이트 Entrez Gene: CEBPB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 beta https://www.ncbi.nlm[...]
[4] 논문 A CREB-C/EBPbeta cascade induces M2 macrophage-specific gene expression and promotes muscle injury repair 2009-10
[5] 논문 CCAAT-enhancer-binding protein-beta expression in vivo is associated with muscle strength 2012-04
[6] 논문 Validation of RNAi Silencing Efficiency Using Gene Array Data shows 18.5% Failure Rate across 429 Independent Experiments 2016-09
[7] 논문 C/EBPbeta couples dopamine signalling to substance P precursor gene expression in striatal neurones 2006-09
[8] 논문 Synergistic activation of the human choline acetyltransferase gene by c-Myb and C/EBPbeta 2002-10
[9] 논문 Macrophage differentiation-specific expression of NF-IL6, a transcription factor for interleukin-6 1992-01
[10] 논문 Nuclear factor-IL6 activates the human IL-4 promoter in T cells 1995-12
[11] 논문 A composite C/EBP binding site is essential for the activity of the promoter of the IL-3/IL-5/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receptor beta c gene 1999-09
[12] 논문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hibits type I collagen synthesis through repressive CCAAT/enhancer-binding proteins 2000-02
[13] 논문 The human multidrug resistance protein 2 gene: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5'-flanking region and expression in hepatic cells 1999-12
[14] 논문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nuclear factor for interleukin 6) transactivates the human MDR1 gene by interaction with an inverted CCAAT box in human cancer cells 2004-04
[15] 웹사이트 CEBPB protein expression summary - The Human Protein Atlas https://www.proteina[...] 2023-05-16
[16] 웹사이트 Gene - CEBPB https://maayanlab.cl[...] 2023-05-16
[17] 웹사이트 CEBPB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 beta [Homo sapiens (human)] - Gene - NCBI https://www.ncbi.nlm[...] 2023-05-16
[18] 논문 Synergism between calcium and cyclic GMP in cyclic AMP response element-dependent transcriptional regulation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CREB and C/EBP-beta 2003-06
[19] 논문 Ras induces mediator complex exchange on C/EBP beta 2004-01
[20] 논문 C/EBP homologous protein (CHOP) up-regulates IL-6 transcription by trapping negative regulating NF-IL6 isoform 2003-04
[21] 논문 Physical and functional association between GADD153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during cellular stress 1996-06
[22] 논문 Interaction and functional collaboration of p300 and C/EBPbeta 1997-11
[23] 논문 Repression of the interleukin-6 promoter by estrogen receptor is mediated by NF-kappa B and C/EBP beta 1995-09
[24] 논문 AF-2-dependent potentiation of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 beta-mediated transcriptional activation by glucocorticoid receptor 1998-11
[25] 논문 Heat shock factor 1 represses transcription of the IL-1beta gene through physical interaction with the nuclear factor of interleukin 6 2002-04
[26] 논문 Identification of heterogeneous nuclear ribonucleoprotein K (hnRNP K) as a repressor of C/EBPbeta-mediated gene activation 1998-04
[27] 논문 Transcriptional inhibition of interleukin-8 expression in tumor necrosis factor-tolerant cells: evidence for involvement of C/EBP beta 2003-06
[28] 논문 Cross-talk between transcription factors NF-kappa B and C/EBP in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genes 1997-12
[29] 논문 Ras regulates the association of serum response factor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1999-05
[30] 논문 Regulation of the cfos serum response element by C/EBPbeta 1997-03
[31] 논문 A C/EBP beta isoform recruits the SWI/SNF complex to activate myeloid genes 1999-11
[32] 논문 A nucleoprotein complex containing Sp1, C/EBP beta, and HMGI-Y controls human insulin receptor gene transcription 2003-04
[33] 논문 Functional cooperation of simian virus 40 promoter factor 1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and delta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gene activation of IL-10 in mouse macrophages 2003-07
[34] 논문 TIF1beta functions as a coactivator for C/EBPbeta and is required for induced differentiation in the myelomonocytic cell line U937 2001-11
[35] 논문 Coactivator TIF1beta interacts with transcription factor C/EBPbeta and glucocorticoid receptor to induce alpha1-acid glycoprotein gene expression 1998-10
[36] 논문 Specific interaction of Egr1 and c/EBPbeta leads to the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the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gene 2003-11
[37] 저널 Chromosomal localization in man and rat of the genes encoding the liver-enriched transcription factors C/EBP, DBP, and HNF1/LFB-1 (CEBP, DBP, and transcription factor 1, TCF1, respectively) and of the hepatocyte growth factor/scatter factor gene (HGF) 1992-07
[38] 저널 Regulated expression of three C/EBP isoforms during adipose conversion of 3T3-L1 cells 1991-10
[39] 웹인용 Entrez Gene: CEBPB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 beta https://www.ncbi.nlm[...]
[40] 저널 A CREB-C/EBPbeta cascade induces M2 macrophage-specific gene expression and promotes muscle injury repair
[41] 저널 CCAAT-enhancer-binding protein-beta expression in vivo is associated with muscle strength
[42] 저널 Validation of RNAi Silencing Efficiency Using Gene Array Data shows 18.5% Failure Rate across 429 Independent Experiments 2016-01-01
[43] 저널 C/EBPbeta couples dopamine signalling to substance P precursor gene expression in striatal neurones 2006-09
[44] 저널 Synergistic activation of the human choline acetyltransferase gene by c-Myb and C/EBPbeta 2002-10
[45] 저널 Macrophage differentiation-specific expression of NF-IL6, a transcription factor for interleukin-6 1992-01
[46] 저널 Nuclear factor-IL6 activates the human IL-4 promoter in T cells 1995-12
[47] 저널 A composite C/EBP binding site is essential for the activity of the promoter of the IL-3/IL-5/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receptor beta c gene 1999-09
[48] 저널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hibits Type I Collagen Synthesis through Repressive CCAAT/Enhancer-Binding Proteins https://archive.org/[...] 2000-02
[49] 저널 The human multidrug resistance protein 2 gene: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5'-flanking region and expression in hepatic cells https://archive.org/[...] 1999-12
[50] 저널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nuclear factor for interleukin 6) transactivates the human MDR1 gene by interaction with an inverted CCAAT box in human cancer cells 2004-04
[51] 저널 Synergism between calcium and cyclic GMP in cyclic AMP response element-dependent transcriptional regulation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CREB and C/EBP-beta https://archive.org/[...]
[52] 저널 Ras induces mediator complex exchange on C/EBP beta 2004-01
[53] 저널 C/EBP homologous protein (CHOP) up-regulates IL-6 transcription by trapping negative regulating NF-IL6 isoform 2003-04
[54] 저널 Physical and functional association between GADD153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during cellular stress 1996-06
[55] 저널 Interaction and functional collaboration of p300 and C/EBPbeta https://archive.org/[...] 1997-11
[56] 저널 Repression of the interleukin-6 promoter by estrogen receptor is mediated by NF-kappa B and C/EBP beta https://archive.org/[...] 1995-09
[57] 저널 AF-2-dependent potentiation of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 beta-mediated transcriptional activation by glucocorticoid receptor 1998-11
[58] 저널 Heat shock factor 1 represses transcription of the IL-1beta gene through physical interaction with the nuclear factor of interleukin 6 2002-04
[59] 저널 Identification of heterogeneous nuclear ribonucleoprotein K (hnRNP K) as a repressor of C/EBPbeta-mediated gene activation 1998-04
[60] 저널 Transcriptional inhibition of interleukin-8 expression in tumor necrosis factor-tolerant cells: evidence for involvement of C/EBP beta 2003-06
[61] 저널 Cross-talk between transcription factors NF-kappa B and C/EBP in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genes https://archive.org/[...] 1997-12
[62] 저널 Ras regulates the association of serum response factor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1999-05
[63] 저널 Regulation of the cfos serum response element by C/EBPbeta https://archive.org/[...] 1997-03
[64] 저널 A C/EBP beta isoform recruits the SWI/SNF complex to activate myeloid genes 1999-11
[65] 저널 A nucleoprotein complex containing Sp1, C/EBP beta, and HMGI-Y controls human insulin receptor gene transcription https://archive.org/[...]
[66] 저널 Functional cooperation of simian virus 40 promoter factor 1 and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and delta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gene activation of IL-10 in mouse macrophages 2003-07
[67] 저널 TIF1beta functions as a coactivator for C/EBPbeta and is required for induced differentiation in the myelomonocytic cell line U937
[68] 저널 Coactivator TIF1beta interacts with transcription factor C/EBPbeta and glucocorticoid receptor to induce alpha1-acid glycoprotein gene expression https://archive.org/[...] 1998-10
[69] 저널 Specific interaction of Egr1 and c/EBPbeta leads to the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the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gene 20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