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S크루즈훼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DBS크루즈훼리는 2007년 설립되어 2009년 6월부터 대한민국, 일본, 러시아를 잇는 외항 정기 여객 운송 사업을 시작했다. 두원상선이 이스턴 드림을 인수하여 운영하다가 코로나19 팬데믹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운항이 중단되었으나, 2024년 두원상선이 사카이미나토 기항 면허를 신청하면서 항로가 부활했다. 현재는 동해항을 기점으로 사카이미나토, 블라디보스토크를 오가는 노선을 운항하며, 파나마 국적의 이스턴 드림호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이즈루시의 교통 - 마이즈루항
마이즈루항은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위치하며 군항과 상업항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에도 시대부터 상업항으로, 이후 군항 및 국제 무역항으로 발전했으나 현재는 국내 항로와 해상자위대 기지, 그리고 관광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 마이즈루시의 교통 - 오바마선
오바마선은 후쿠이현 쓰루가역에서 교토부 히가시마이즈루역을 잇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으로, 와카사만 연안을 따라 84.3km를 단선으로 운행하며 지역 주민의 교통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고,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 이후 연계 방안 모색과 관광 노선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 블라디보스토크의 교통 - 아에로 익스프레스
아에로 익스프레스는 2002년 모스크바에서 설립되어 주요 공항과 시내 역을 연결하는 러시아의 공항 철도 운영 회사로, 국제 항공철도 기구의 회원사로서 서비스 품질 향상을 추구한다. - 블라디보스토크의 교통 - 블라디보스토크항
블라디보스토크항은 금각만 북서부 해안에 위치한 러시아의 주요 부동항으로, 한반도와 가장 가까운 러시아 항구로서 지정학적 중요성을 지니며, 1991년 국제 무역항 개방과 2015년 자유항 재지정을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의 교역량 증가 및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해운회사 - HMM (기업)
HMM은 1976년 아시아상선으로 설립되어 현대그룹에 편입된 후 컨테이너선, 벌크선 등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해운 회사로, 세계 3대 해운 동맹 '디 얼라이언스'의 정회원이며, 현대그룹에서 분리되어 한국산업은행이 최대 주주가 되었고, 2023년 매각 시도가 무산되었다. - 대한민국의 해운회사 - 현대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는 고객 화물 운송, 보관, 하역을 담당하는 종합물류 회사이며, 해상, 항공, 내륙 운송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현대자동차그룹의 자회사로서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갖추고 있다.
DBS크루즈훼리 | |
---|---|
기본 정보 | |
회사 명칭 | DBS 크루즈훼리 주식회사 |
영문 명칭 | DBS CRUISE FERRY CO LTD |
국적 | 대한민국 |
본사 우편 번호 | 불명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순화동 5-2 순화빌딩 1303호 |
설립일 | 2009년 7월 12일 |
업종 | 해운업 |
사업 내용 | 불명 |
대표자 | 불명 |
자본금 | 불명 |
발행 주식 총수 | 불명 |
매출액 | 불명 |
영업 이익 | 불명 |
순이익 | 불명 |
순자산 | 불명 |
총 자산 | 불명 |
종업원 수 | 불명 |
결산기 | 불명 |
주요 주주 | 불명 |
주요 자회사 | 불명 |
관련 인물 | 불명 |
외부 링크 | DBS 크루즈훼리 공식 웹사이트 |
특기 사항 | 불명 |
2. 연혁
연도 | 사건 |
---|---|
2007년 12월 | DBS크루즈훼리 법인 설립 |
2008년 2월 | 한일, 한러 3국간의 외항 정기 여객운송사업 면허 취득 |
2009년 3월 | 선박 인수와 동시에 리모델링 착수 |
2009년 6월 29일 | 정식 취항 |
2019년 11월 28일 | 한일 관계 악화에 따른 여객 급감으로 운항 휴지[6] |
2020년 4월 27일 |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에 항로 면허를 반납하고 폐업[9] |
2020년 9월 11일 | 한국의 두원상선이 동 페리로 운항하던 화객선 이스턴 드림을 인수[10] |
2021년 2월 1일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산 방지를 위한 입국 제한 조치의 영향으로, 여객 취급 없이 폐지 신고가 수리[12] |
2021년 5월 | 마이즈루항 - 동해항 - 블라디보스토크 노선으로 한국 측 기항지를 변경하여 운항을 재개 |
2022년 3월 12일 | COVID-19의 장기화가 영향을 미쳐 운휴 |
2023년 12월 | 일본 크루즈 선사에서 "퍼시픽 비너스"를 인수하여 개조, "이스턴 비너스"로 한국 남동부 부산광역시에서 사카이미나토를 기항지로 하는 운항 면허를 신청[17] |
2024년 1월 24일 | 돗토리현의 히라이 신지지사가 정례 기자회견에서 두원상선이 사카이미나토와 한국을 잇는 주 1회 정기 화객선 운항을 목표로 사카이미나토 기항 면허 취득을 한국 당국에 신청했다고 발표[16] |
2. 1. DBS 크루즈훼리
DBS크루즈훼리는 2007년 12월에 설립된 법인이다. 2008년 2월, 한국-일본, 한국-러시아 3국 간의 외항 정기 여객운송사업 면허를 취득했다.[9] 2009년 3월 선박을 인수하고 리모델링을 시작하여, 2009년 6월 29일에 정식으로 취항했다.[9]2009년부터 대한민국 동해항을 중심으로 일본의 사카이항, 마이즈루항과 동해항 사이를 주 1회 왕복하고,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항, 자루비노항과 동해항 사이를 주 1회 왕복하는 페리를 운항했다. 이용객이 가장 많을 때는 연간 3만 3천여 명이 이용했다.[9]
2011년부터는 화물 수집을 위해 일본 간사이 지방의 동해안쪽 관문 항구인 마이즈루항에도 화물 취급 목적으로 주 1회 입항했다. 마이즈루항은 사카이항보다 약 3배 많은 컨테이너 화물을 수집하는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이전에는 후쿠이현 쓰루가항으로 항로를 연장하는 계획이 있었고, 2011년 중반까지 시험 운항을 시작한다는 보도가 있었다.[1][2] 2011년 4월 16일, 5월 12일부터 15일까지 시험 운항을 실시했고,[3][4] 13일 쓰루가항에 입항했지만,[5] 2019년 8월까지 쓰루가항으로의 정기 여객선은 운항되지 않았다.
겨울에는 선박 정비를 위해 운항을 쉬는 기간이 있다. 블라디보스토크항은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 법에 따라 일반 비자 외에 인터넷으로 취득 가능한 전자 비자로도 입국할 수 있다. 전자 비자는 입국한 주 내에서만 유효하며, 다른 주로 이동할 수는 없다.
한일 관계 악화로 여객이 급감하면서 2019년 11월 28일부터 다음 해 2월 말까지 운항을 중단했다.[6] 또한, 코로나19 유행으로 한국인 여행이 감소하면서 2020년 1월 말에 업무를 정지했다.[7][8] 이후 여객 수요 회복 전망이 불투명하여 2020년 4월 27일,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에 항로 면허를 반납하고 폐업했다.[9]
2. 2. 두원상선 인수 후
2020년 9월 11일, DBS크루즈훼리는 한국의 두원상선으로부터 화객선 '이스턴 드림'호를 인수했다. 이 배는 원래 사카이미나토항을 통해 운항되었으나, 인수 후에는 마이즈루항과 한국 포항시,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새로운 항로를 개설했다.[10] 새로운 항로는 주 1회 운항으로, 목요일에는 마이즈루, 금·토요일에는 포항, 일·월·화요일에는 블라디보스토크, 수요일에는 다시 포항에 입항하는 일정이었다.[11]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산으로 인한 입국 제한 조치 때문에 여객 운송은 중단되었고, 2021년 2월 1일에는 운항 폐지 신고가 수리되었다.[12]2021년 5월, 한국 측 기항지를 동해항으로 변경하여 마이즈루항 - 동해항 - 블라디보스토크 노선 운항을 재개했다. 여객 수송은 여전히 중단된 상태였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서방 국가와 러시아 간 교통이 대부분 차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항로는 2022년 3월까지 운항이 지속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13] 하지만, 2022년 3월 12일을 마지막으로 코로나19 장기화의 영향으로 운항이 중단되었다.
같은 해 5월, 동해항 - 블라디보스토크항 간 운항이 재개되었고, 8월에는 여객 운송도 재개되었다.[14] 그러나 마이즈루항에는 기항하지 못해 운휴 상태가 지속되었다.[15]
2024년 1월 24일, 돗토리현의 히라이 신지지사는 정례 기자회견에서 두원상선이 사카이미나토와 한국을 잇는 주 1회 정기 화객선 운항을 목표로 사카이미나토 기항 면허 취득을 한국 당국에 신청했다고 발표했다. 이 계획은 한국 동해시와 블라디보스토크를 운항하는 선박이 토요일 아침에 사카이미나토에 기항하고 일요일 저녁에 출항하는 방식이다.[16]
2023년 12월, 두원상선은 일본 크루즈 선사로부터 "퍼시픽 비너스"를 인수하여 "이스턴 비너스"로 개조하고, 한국 남동부 부산광역시에서 사카이미나토를 기항지로 하는 운항 면허를 신청 중이다.[17] 두원상선의 이석기 사장은 같은 달 3박 4일간 돗토리현을 시찰하며 수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18] 두원상선은 2024년 5월에 '이스턴 드림'호의 시험 운항을 거쳐 7월부터 정식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2월에 공지했다.[19][20][21] 실제로는 8월 3일에 재개 첫 번째 배가 사카이미나토에 입항했다.[22] 이로써 운항 회사는 변경되었지만, 사실상 DBS 크루즈훼리의 항로가 부활하게 되었다.
다만, 사카이미나토 측의 승선장이 "사카이 유메 미나토 터미널"로 변경되면서[23], 가장 가까운 역도 사카이미나토역에서 다카마쓰초역으로 바뀌었고, 택시나 연락 버스 (하마 루프 버스) 이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3. 운항 노선
DBS크루즈훼리는 2020년 운항을 중단했고, 이후 두원상선이 해당 노선을 인수하여 운항을 재개하려 했으나 여러 차례 어려움을 겪었다. 현재 두원상선은 DBS크루즈훼리가 운항했던 노선을 일부 변경하여 운항을 재개했으며, 운항 시간표는 다음과 같다.[24]
rowspan="2" | | 블라디보스토크 방면 | 사카이항 방면 | ||
---|---|---|---|---|
도착 | 출발 | 도착 | 출발 | |
사카이항 (사카이 유메 미나토 터미널) | 일요일 19:00 | 토요일 09:00 | ||
동해항 | 월요일 09:00 | 화요일 15:00 | 금요일 13:00 | 금요일 18:00 |
블라디보스토크항 | 수요일 16:00 | 목요일 14:00 |
사카이항에서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경우, 동해항에서 선상 숙박을 해야 한다. 발권 및 승선 수속 마감 시간은 출발 시각 30분 전이며, 블라디보스토크항은 1시간 전이다.[25]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블라디보스토크항 입항 시 전쟁 할증료가 부과된다.[26]
3. 1. DBS 크루즈훼리 (운항 중단)
DBS 크루즈훼리는 하나의 선박으로 격일 단위로 주 1회 운항하였다.2009년부터 대한민국 동해항을 기점으로 일본의 사카이항·마이즈루항과 동해항 사이를 주 1회 왕복,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항·자루비노항과 동해항 사이를 주 1회 왕복하는 페리를 운항했으며, 최성기에는 연간 3만 3천여 명이 이용했다.[9] 2011년부터는 화물 수집을 위해 관서 지방 동해안쪽 관문 항구인 마이즈루항에도 화물 취급만으로 주 1회 입항했다. 화물량에서는 마이즈루항이 사카이항의 약 3배에 달하는 컨테이너 화물을 수집하는 등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이전에는 후쿠이현쓰루가항으로 항로를 연장하는 구상이 있었고, 2011년 중반까지 시험 운항을 시작한다는 보도가 있었다.[1][2] 2011년 4월 16일, 5월 12일부터 15일에 걸쳐 시험 운항을 실시했으며[3][4], 13일 쓰루가항에 입항했지만[5], 그 후 2019년 8월 현재 쓰루가항으로의 정기 여객선은 운항되지 않았다.
도크 다이아는 동계에 설정되어 있으며, 그 기간 동안은 운휴한다. 블라디보스토크항은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 법에 따라 통상 비자 외에 인터넷으로 취득 가능한 전자 비자로도 입국할 수 있다. 전자 비자는 입국한 주 내에서만 유효하며, 타 주로의 이동 권한은 없다.
한일 관계 악화에 따른 여객 급감으로 2019년 11월 28일부터 다음 해 2월 말까지 운항 휴지를 발표했다.[6]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한국인 여행 감소도 있어 2020년 1월 말로 업무를 정지했다.[7][8] 이후 집객 전망이 보이지 않아 2020년 4월 27일자로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에 항로 면허를 반납하고 폐업했다.[9]
3. 2. 두원상선
2020년 9월 11일, 한국의 두원상선은 DBS크루즈훼리가 운항하던 화객선 이스턴 드림호를 인수하여, 일본 마이즈루항과 한국 포항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을 잇는 항로를 개설할 예정이었다.[10] 그러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입국 제한 조치로 여객 취급 없이 2021년 2월 1일에 폐지되었다.[12]2021년 5월, 마이즈루항 - 동해항 - 블라디보스토크 노선으로 운항을 재개했으나, 여객 수송은 중단되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경제 제재에도 불구하고, 2022년 3월까지 운항이 지속되었으나,[13] 그해 3월 12일을 마지막으로 운휴에 들어갔다.
같은 해 5월, 동해항 - 블라디보스토크항 간 운항을 재개하고 8월에는 여객 운송도 재개했으나,[14] 마이즈루항 기항은 불가능했다.[15]
2024년 1월 24일, 돗토리현 히라이 신지 지사는 두원상선이 사카이미나토와 한국을 잇는 주 1회 정기 화객선 운항을 위해 사카이미나토 기항 면허를 한국 당국에 신청했다고 발표했다.[16]
2023년 12월, 두원상선은 일본 크루즈 선사에서 "퍼시픽 비너스"를 인수하여 "이스턴 비너스"로 개조하고, 부산광역시에서 사카이미나토를 기항지로 하는 운항 면허를 신청 중이다.[17] 두원상선은 "이스턴 드림"호를 2024년 5월 시험 운행 후 7월부터 정식 운행할 예정이었으며,[19][20][21] 실제로는 8월 3일에 재개 첫 배가 사카이미나토에 입항했다.[22]
4. 보유 선박
DBS크루즈훼리가 보유한 유일한 선박은 파나마 국적의 '''이스턴 드림호'''(MV Eastern Dream)이다. 1993년에 진수되었고, 2009년 DBS크루즈훼리가 매입하였다. 대한민국에서 운영하지만, 독도 분쟁 등 주변국과의 외교 갈등을 고려하여 파나마 국적으로 등록한 것으로 보인다.
선내 편의시설에서는 대한민국 원, 일본 엔, 미국 달러,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러시아 루블 등 다른 통화는 사용할 수 없다.
4. 1. DBS 크루즈 훼리
DBS크루즈훼리가 운영하는 유일한 선박은 파나마 국적의 '''이스턴 드림호'''(MV Eastern Dream)이다. 1993년에 최초로 진수되었으며, 2009년 DBS크루즈훼리가 이 선박을 매입하였다. 운영 국가는 대한민국이지만, 독도 분쟁 등 주변국과의 외교 갈등을 의식하여 중립적 관점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 국적을 파나마로 등록한 것으로 추정된다.[1]선내 편의시설 이용 시 대한민국 원, 일본 엔, 미국 달러,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하며, 러시아 루블 등 기타 통화는 사용할 수 없다.[1]
'''이스턴 드림호'''는 2009년6월 29일 취항하였다. 이전 마릭스 라인의 '''퀸 코랄 (2대)'''를 구매하여 선박 갑판의 컨테이너 탑재 설비를 철거하고 선실을 증설하는 등 개조를 거쳤다.[1] 제원은 13,000 총 톤수, 전장 140m, 전폭 20m, 항해 속력 20.15노트, 여객 정원 500명, 승무원 30명, 화물 적재량 130TEU이다.[1]
4. 2. 두원 상선
파나마 국적의 선박인 '''이스턴 드림호'''(MV Eastern Dream)가 있으며, 이 선박은 1993년에 최초로 진수되었고, 2009년 DBS크루즈훼리가 이 선박을 매입하였다.[1] 운영 국가는 대한민국이지만, 독도 분쟁 등 주변국 간의 외교 갈등을 의식하여 국적을 파나마로 등록한 것으로 추정된다.[1]선내 편의시설 이용 시 사용 가능한 결제 수단은 대한민국 원, 일본 엔, 미국 달러 및 신용카드가 가능하며, российский рубль|로시스키 루블ru 등 기타 통화는 사용할 수 없다.[1]
5. 기타 항로 (참고)
DBS크루즈훼리는 하나의 선박으로 격일 단위로 주 1회 운항하고 있다. 운항 노선은 다음과 같다.
2023년 10월에는 시코탄섬을 거점으로 하는 여행사 '보스토크 투어'가 이시카와현 나나오항과 블라디보스토크항 사이에서 여객선 운항을 시작했다.[27] 그러나 11월 7일에 일본 측 도착지를 오타루항으로 변경한 후[28], 3회 왕복 운항만 하고 철수했다.[29]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제재 조치가 발동되었지만, 여객선에 대해서는 제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29] 자세한 내용은 플레이오나(선박)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참조
[1]
뉴스
韓国・東海発の国際クルーズ、敦賀港まで運航延長へ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03-23
[2]
뉴스
敦賀港まで航路延長 DBSが試験運航を計画
http://www.nnn.co.jp[...]
日本海新聞
2011-03-10
[3]
뉴스
5月に敦賀へ試験運航計画 環日本海定期貨客船
http://www.nnn.co.jp[...]
日本海新聞
2011-04-17
[4]
뉴스
境港への国際貨客船、敦賀に航路延長を検討 韓国の会社
http://mytown.asahi.[...]
asahi.com
2011-04-17
[5]
간행물
福井県 フェリー航路延長敦賀に韓国試験船が入港(福井新聞5月14日)
http://www.erina.or.[...]
ERINA Business News No.86 環日本海経済研究所
[6]
뉴스
境港―韓国・ロシアの貨客船運休
https://r.nikkei.com[...]
日本経済新聞
2019-11-14
[7]
뉴스
境港-ウラジオ貨客船 運航会社が業務停止
https://www.nnn.co.j[...]
日本海新聞
2020-02-01
[8]
뉴스
DBSクルーズ、3月運航再開困難に。境港航路、韓国旅客低迷で
https://www.jmd.co.j[...]
日本海事新聞
2020-02-06
[9]
뉴스
鳥取NEWS WEB DBSが免許返納 航路廃止
https://web.archive.[...]
NHK NEWS WEB
2020-04-30
[10]
웹사이트
京都舞鶴港と韓国・ロシアを結ぶ直行フェリー輸送の開始
http://www.pref.kyot[...]
京都府
2020-09-05
[11]
웹사이트
舞鶴~浦項~ウラジオストクを結ぶフェリー「EASTERN DREAM号」が9月17日に就航 週1便、当面は貨物のみ
https://www.traicy.c[...]
TRAICY(トライシー)
2021-02-04
[12]
웹사이트
舞鶴~浦項~ウラジオストク航路、運営会社が韓国政府に廃止届 開設からわずか5か月
https://www.traicy.c[...]
TRAICY(トライシー)
2021-02-04
[13]
Youtube
【ウクライナ侵攻貿易への影響は】舞鶴~ロシア航路は今
https://www.youtube.[...]
テレビ大阪ニュース
2022-03-11
[14]
웹사이트
동해항~일본 사카이미나토 간 국제여객선항로, 이르면 11월 운항 재개 전망
http://www.kado.net/[...]
2024-02-01
[15]
웹사이트
日韓露結ぶ国際フェリー、休航が半年超に 京都・舞鶴港: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2-01
[16]
웹사이트
日韓定期貨客船、復活の動き 韓国の船会社が鳥取・境港への寄港申請: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4-02-01
[17]
뉴스
韓国・ロシアとつなぐ定期船、8月から正式就航…釜山発クルーズ船も申請中
https://www.yomiuri.[...]
[18]
웹사이트
境港-韓国に定期貨客船 現地の企業計画 航路再開に光 {{!}} 山陰中央新報デジタル
https://www.sanin-ch[...]
2024-02-01
[19]
웹사이트
DuWon SHIPPING
http://www.dwship.co[...]
2024-03-09
[20]
웹사이트
동해항-일본 사카이미나토항 중단 4년여 만에 재개
https://news.kbs.co.[...]
2024-03-09
[21]
웹사이트
동해항∼일본 사카이미나토항 카페리 운항 5월 재개
https://www.yna.co.k[...]
김윤구
2024-03-09
[22]
뉴스
鳥取と韓国結ぶ定期貨客船「イースタンドリーム号」、5年ぶりに定期運航を再開
https://www.yomiuri.[...]
2024-08-06
[23]
웹사이트
祝🎊「イースタンドリーム(EASTERN DREAM)」就航!!!🚢✨
https://symt.tottori[...]
2024-08-12
[24]
웹사이트
DuWon SHIPPING
http://www.dwship.co[...]
2024-08-12
[25]
웹사이트
DuWon SHIPPING
http://www.dwship.co[...]
2024-08-12
[26]
웹사이트
240807 기준운임표
https://docs.google.[...]
2024-08-12
[27]
웹사이트
侵攻後初か ロシア極東ウラジオストク~石川 “旅客船”定期便週1で運航― 北方領土・色丹島の旅行会社「行き来する需要があると聞いた」対ロ制裁に抵触せず
https://www.uhb.jp/n[...]
2024-02-01
[28]
웹사이트
ロシア旅客船、小樽に到着地変更 ウラジオ―石川・七尾間10月就航:北海道新聞デジタル
https://www.hokkaido[...]
2024-02-01
[29]
웹사이트
10月就航のロシア旅客船、わずか3往復で撤退 その理由は
https://mainichi.jp/[...]
2024-02-01
[30]
문서
이 항구에서는 [[오키노시마정]]을 위시하고 있는 [[오키 제도]]까지도 접근 가능하며, 한국에서 오키 제도까지 뱃길로 이용하기에 매우 유용한 루트이다.
[31]
문서
이 항구를 통해 시내 교통으로 이동한 뒤, [[블라디보스토크 공항]]을 거쳐 러시아 본토까지로도 접근 가능하다. 다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라선특별시]]와 [[중화인민공화국]]의 [[훈춘시]]까지는 [[일본]]의 [[오키노시마정]]과 달리 통행이 아예 불가능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