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 리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as 리간드 (FasL)는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에 속하는 II형 막관통 단백질로, Fas 수용체(CD95)에 결합하여 세포 자멸사를 유도하는 단백질이다. FasL은 T 세포, 자연 살해 세포 등 다양한 세포에서 발현되며, 막 결합형과 가용성 형태로 존재한다. FasL은 Fas 수용체와의 결합을 통해 세포자멸사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하며, 면역계 조절, 특히 T 세포 항상성 유지와 세포독성 T 세포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FasL의 기능 이상은 자가면역 림프증식 증후군, 종양 발생, 약물 내성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표면항원무리 - CD1
CD1은 지질 항원을 제시하는 당단백질로, 지질 고정 방식과 발현 패턴에 따라 그룹 1(CD1a, CD1b, CD1c)과 그룹 2(CD1d)로 나뉘며,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CD1a는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진단에 사용된다. - 세포표면항원무리 - BMPR1A
BMPR1A는 뼈 형태 발생 단백질 수용체 중 하나로,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유전자 변이는 특정 질병과 관련이 있다. - 세포예정사 - 사이토크롬 c
사이토크롬 c는 진핵생물의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존재하는 전자 전달계 구성 요소이자 세포자멸사 관여 단백질로서, 작은 크기와 보존된 서열 덕분에 분자 계통학 연구에 활용되며 항산화 효소 및 저준위 레이저 치료에서의 역할 등 다양한 응용 가능성이 제시된다. - 세포예정사 - 오토파지
오토파지는 세포 내 구성 성분을 분해 및 재활용하여 항상성을 유지하고, 영양 결핍 시 에너지와 물질을 공급하는 과정으로, 거대 자가포식, 미세 자가포식, 샤페론 매개 자가포식의 세 유형으로 나뉘며, 오스미 요시노리의 노벨상 수상 이후 질병 치료 표적으로 연구가 활발하다. - 인간 1번 염색체상 유전자 - 레닌 (효소)
레닌은 혈압과 체액 균형을 조절하는 RAA계의 핵심 효소로서,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 I으로 전환시키며, 과활성화 시 고혈압을 유발하고 유전자 돌연변이는 신장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 인간 1번 염색체상 유전자 - 심방 나트륨이뇨 펩타이드
심방 나트륨이뇨 펩타이드(ANP)는 심방에서 생성되는 28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혈압 조절 및 체액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나트륨 배설 촉진, 알도스테론 분비 억제, 혈관 이완 등의 효과를 나타내 심혈관 질환의 바이오마커 및 급성 심부전 치료제로 활용된다.
| Fas 리간드 |
|---|
2. 구조
Fas 리간드(FasL)는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에 속하는 II형 막관통 단백질이며, 호모트라이머를 형성한다.[2]
2. 1. 구조적 특징
Fas 리간드(FasL)는 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슈퍼패밀리에 속하는 II형 막관통 단백질이다. 호모트라이머로, 3개의 동일한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어 있다. 긴 세포질 도메인, 줄기 영역, 막횡단 도메인, 호모트라이머화를 담당하는 TNF 상동성 도메인(THD)을 가지고 있다. 또한 Fas 수용체(CD95)에 결합하는 C-말단 영역을 포함한다.[2][3]FasL은 Fas에 결합하여 Fas:FasL 복합체의 형성을 유도한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세포자멸사를 초래하는 죽음 유도 신호 복합체의 형성을 시작한다.[2]
FasL은 T 세포, 자연 살해 세포, 단핵구, 호중구 및 혈관 내피 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발현된다. FasL은 막 결합형과 가용성 형태 모두로 존재한다.[1] Fas 리간드는 세포독성 T 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호모삼량체를 형성하는 II형 막관통 단백질이다. 표적 세포의 막을 관통하는 Fas 수용체 (FasR)를 삼량체화함으로써 신호를 전달하며, 이로 인해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
막 결합형 Fas 리간드는 기질 금속 단백분해효소(MMP-7)에 의해 절단되어 가용성 Fas 리간드가 생성된다. 가용성 Fas 리간드는 세포자멸사 유도 능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Fas 리간드의 가용화는 활성 억제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3. 수용체
Fas 리간드와 결합하는 수용체로는 '''FasR'''(Fas 수용체(FasR), CD95)과 '''DcR3'''(미끼 수용체 3(DcR3))가 있다. FasR은 사멸 수용체 계열에서 가장 활발히 연구되는 구성원이며, DcR3는 종양 괴사 인자(TNF) 슈퍼패밀리의 미끼 수용체로 최근에 발견되었다.
3. 1. Fas 수용체 (FasR, CD95)
Fas 수용체(FasR, 별칭: CD95)는 사멸 수용체 계열에서 가장 활발히 연구되는 구성원이다. 이 유전자는 사람에서는 10번 염색체에, 쥐에서는 19번 염색체에 위치한다. 이전 보고서에 따르면 최대 8개의 스플라이스 변이체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단백질의 7가지 단백질 이형체로 번역된다. 이러한 이형체 중 다수는 드문 haplotype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질병 상태와 관련이 있다.[4]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Fas 수용체는 이형체 1로 불리며, I형 막단백질이다. 이는 3개의 시스테인이 풍부한 유사 반복 부위, 막횡단 도메인, 그리고 세포 내 사멸 도메인으로 구성된다.[4] 사람 섬유아세포 FS7을 쥐에 면역하여 얻어진 IgM 클래스의 단일클론 항체에 의해 인식되는 항원으로, 교토 대학의 요네하라 신에 의해 1989년에 발견되었다.[30]
3. 2. 미끼 수용체 3 (DcR3)
미끼 수용체 3(DcR3)은 종양 괴사 인자(TNF) 슈퍼패밀리의 미끼 수용체로, 최근에 발견되었다. FasL, LIGHT (단백질), TL1A와 결합한다. DcR3는 신호 전달 능력이 없는 가용성 수용체이므로 "미끼"라고 불린다. 막 결합 Fas 리간드에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비활성화함으로써 FasR-FasL 상호 작용을 방지한다.[5]4. 신호 전달
Fas 신호 전달 경로는 세포자멸사를 활성화하며, 이는 Fas 수용체와 Fas 리간드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일어난다. Fas 리간드(FasL)는 막 결합형과 가용성 형태 모두 존재할 수 있는 II형 막 단백질이다. 인접한 세포의 FasR과 막 결합형 FasL 간의 상호 작용은 사멸 유도 신호 복합체(DISC) 형성을 유도한다.[6]
Fas 신호 전달은 크게 DISC 형성과 카스파제 활성화, 그리고 추가적인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DISC 형성과 카스파제 활성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4. 1. 사멸 유도 신호 복합체 (DISC) 형성
Fas 신호 전달 경로는 세포자멸사 (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를 활성화하며, 이는 Fas 수용체와 Fas 리간드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일어난다. Fas 리간드(FasL)는 막 결합형과 가용성 형태 모두 존재할 수 있는 II형 막 단백질이다. 인접한 세포의 FasR과 막 결합형 FasL 간의 상호 작용은 삼량체화를 유도하여 사멸 유도 신호 복합체 (DISC)를 형성한다.[6]이후 ''사멸 도메인''(DD)이 응집되면 수용체 복합체는 세포 내 엔도솜 기계를 통해 내재화된다. 이를 통해 어댑터 분자 ''Fas 관련 사멸 도메인''(FADD)은 자체 사멸 도메인(DD)을 통해 Fas의 사멸 도메인(DD)에 결합할 수 있다. FADD는 또한 아미노 말단 근처에 ''사멸 이펙터 도메인''(DED)을 포함하며, 이는 FADD 유사 ICE (FLICE), 일반적으로 caspase-8로 불리는 DED에 결합하는 것을 촉진한다. FLICE는 p10 및 p18 서브유닛으로의 단백질 분해 절단을 통해 자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 중 두 개가 활성 헤테로테트라머 효소를 형성한다. 활성 caspase-8은 DISC에서 세포질로 방출되어 다른 이펙터 카스파제를 절단하여 결국 DNA 분해, 막 블레빙 및 세포자멸사의 다른 특징을 유도한다.[7][6]
일부 보고서에 따르면 외인성 Fas 경로는 사멸 유도 신호 복합체(DISC) 조립 및 후속 caspase-8 활성화를 통해 특정 세포 유형에서 완전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기에 충분하다고 한다.[6] 이러한 세포는 1형 세포로 불리며, Bcl-2 계열의 항세포자멸사 구성원(즉, Bcl-2 및 Bcl-xL)이 Fas 매개 세포자멸사로부터 보호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특징적인 1형 세포에는 H9, CH1, SKW6.4 및 SW480이 포함되며, SW480은 결장 선암종 계통을 제외하고 모두 림프구 계통이다.[6]
Fas(수용체)는 리간드와 결합하여 [세포사멸 유도 신호 전달 복합체](https://ko.wikipedia.org/w/index.php?title=%EC%84%B8%ED%8F%AC%EC%82%AC%EB%A9%B8_%EC%9C%A0%EB%8F%84_%EC%8B%A0%ED%98%B8_%EC%A0%84%EB%8B%AC_%EB%B3%B5%ED%95%A9%EC%B2%B4&action=edit&redlink=1)(DISC)를 형성한다. 접촉하고 있는 세포의 세포막에 결합되어 있는 Fas 리간드 삼량체는 Fas 수용체의 삼량체화를 일으킨다.
4. 2. 카스파제 활성화
세포자멸사 (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는 Fas 수용체와 Fas 리간드의 상호 작용을 통해 활성화된다. Fas 리간드(FasL)는 막 결합형과 가용성 형태 모두 존재할 수 있는 II형 막 단백질이다. 인접한 세포의 FasR과 막 결합형 FasL 간의 상호 작용은 삼량체화를 유도하여 사멸 유도 신호 복합체 (DISC)를 형성한다.[6]이후 ''사멸 도메인''(DD)이 응집되면 수용체 복합체는 세포 내 엔도솜 기계를 통해 내재화된다. 이를 통해 어댑터 분자 ''Fas 관련 사멸 도메인''(FADD)은 자체 사멸 도메인(DD)을 통해 Fas의 사멸 도메인(DD)에 결합할 수 있다. FADD는 아미노 말단 근처에 ''사멸 이펙터 도메인''(DED)을 포함하며, 이는 FADD 유사 ICE (FLICE), 일반적으로 caspase-8로 불리는 DED에 결합하는 것을 촉진한다. FLICE는 p10 및 p18 서브유닛으로의 단백질 분해 절단을 통해 자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 중 두 개가 활성 헤테로테트라머 효소를 형성한다. 활성 caspase-8은 DISC에서 세포질로 방출되어 다른 이펙터 카스파제를 절단하여 결국 DNA 분해, 막 블레빙 및 세포자멸사의 다른 특징을 유도한다.[7][6]
thumbnail
일부 보고서에 따르면 외인성 Fas 경로는 사멸 유도 신호 복합체(DISC) 조립 및 후속 caspase-8 활성화를 통해 특정 세포 유형에서 완전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기에 충분하다고 한다.[6] 이러한 세포는 1형 세포로 불리며, Bcl-2 계열의 항세포자멸사 구성원(Bcl-2 및 Bcl-xL)이 Fas 매개 세포자멸사로부터 보호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특징적인 1형 세포에는 H9, CH1, SKW6.4 및 SW480이 포함되며, SW480은 결장 선암종 계통을 제외하고 모두 림프구 계통이다.[6]
대부분의 세포 유형에서 caspase-8은 세포자멸사 촉진 BH3 단백질 Bid를 절단하여 절단된 형태인 tBid로 만든다. Bcl-2 계열의 BH-3 전용 구성원은 계열의 항세포자멸사 구성원(Bcl-2, Bcl-xL)과 독점적으로 결합하여 Bak과 Bax가 외부 미토콘드리아 막으로 전위하여 이를 투과시키고 시토크롬 c 및 Smac/DIABLO, 세포자멸사 단백질 억제제(IAPs)의 길항제와 같은 세포자멸사 촉진 단백질의 방출을 촉진한다.[6]
caspase-8과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효소 활성이 없는 c-FLIP 단백질은 Fas 유도 세포자멸사에서 이중 역할을 한다. 낮은 농도에서 c-FLIP은 caspase-8 활성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aspase-8이 자체(caspase-8 호모 이량체화)보다 c-FLIP에 더 높은 친화도로 결합하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러나 높은 농도에서 c-FLIP은 FADD에 결합하기 위해 경쟁함으로써 caspase-8의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감소시킨다.[6]
4. 3. 추가적인 신호 전달 경로
Fas 수용체와 Fas 리간드의 상호작용으로 세포자멸사(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가 활성화된다. Fas 리간드(FasL)는 막 결합형과 가용성 형태 모두 존재할 수 있는 II형 막 단백질이다. 인접한 세포의 FasR과 막 결합형 FasL 간의 상호 작용은 삼량체화를 유도하여 사멸 유도 신호 복합체(DISC)를 형성한다.[6]이후 ''사멸 도메인''(DD)이 응집되면 수용체 복합체는 세포 내 엔도솜 기계를 통해 내재화된다. 이를 통해 어댑터 분자 ''Fas 관련 사멸 도메인''(FADD)은 자체 사멸 도메인(DD)을 통해 Fas의 사멸 도메인(DD)에 결합할 수 있다. FADD는 또한 아미노 말단 근처에 ''사멸 이펙터 도메인''(DED)을 포함하며, 이는 FADD 유사 ICE (FLICE), 일반적으로 caspase-8로 불리는 DED에 결합하는 것을 촉진한다. FLICE는 p10 및 p18 서브유닛으로의 단백질 분해 절단을 통해 자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 중 두 개가 활성 헤테로테트라머 효소를 형성한다. 활성 caspase-8은 DISC에서 세포질로 방출되어 다른 이펙터 카스파제를 절단하여 결국 DNA 분해, 막 블레빙 및 세포자멸사의 다른 특징을 유도한다.[7][6]
일부 보고서에 따르면 외인성 Fas 경로는 사멸 유도 신호 복합체(DISC) 조립 및 후속 caspase-8 활성화를 통해 특정 세포 유형에서 완전한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기에 충분하다고 한다.[6] 이러한 세포는 1형 세포로 불리며, Bcl-2 계열의 항세포자멸사 구성원(즉, Bcl-2 및 Bcl-xL)이 Fas 매개 세포자멸사로부터 보호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 특징적인 1형 세포에는 H9, CH1, SKW6.4 및 SW480이 포함되며, SW480은 결장 선암종 계통을 제외하고 모두 림프구 계통이다.[6]
Fas 신호 전달 캐스케이드는 상호 작용에 대한 증거를 나타낸다. 대부분의 세포 유형에서 caspase-8은 세포자멸사 촉진 BH3 단백질 Bid를 절단하여 절단된 형태인 tBid로 만든다. Bcl-2 계열의 BH-3 전용 구성원은 계열의 항세포자멸사 구성원(Bcl-2, Bcl-xL)과 독점적으로 결합하여 Bak과 Bax가 외부 미토콘드리아 막으로 전위하여 이를 투과시키고 시토크롬 c 및 Smac/DIABLO, 세포자멸사 단백질 억제제(IAPs)의 길항제와 같은 세포자멸사 촉진 단백질의 방출을 촉진한다.[6]
caspase-8과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효소 활성이 없는 c-FLIP 단백질은 Fas 유도 세포자멸사에서 이중 역할을 한다. 낮은 농도에서 c-FLIP은 caspase-8 활성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caspase-8이 자체(caspase-8 호모 이량체화)보다 c-FLIP에 더 높은 친화도로 결합하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러나 높은 농도에서 c-FLIP은 FADD에 결합하기 위해 경쟁함으로써 caspase-8의 단백질 분해 활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이중 역할은 Fas 신호 전달의 복잡성과 다양한 농도에서 c-FLIP에 의한 조절을 강조한다.[6]
5. 면역계에서의 기능
FasR-Fas 리간드 결합으로 유발되는 세포자멸사는 면역계 조절에 기본적인 역할을 한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기능 | 설명 |
|---|---|
| T 세포 항상성 | T 세포 활성화는 Fas 리간드 발현을 유도하며, 활성화 기간이 길어질수록 T 세포는 세포자멸사에 민감해져 활성화 유도 세포사멸(AICD)을 초래한다. 이는 과도한 면역 반응을 예방하고 자가 반응성 T 세포를 제거하는 데 필요하다. |
| 세포독성 T 세포 활성 | Fas 유도 세포자멸사와 퍼포린 경로는 세포독성 T 림프구가 외래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에서 세포사를 유도하는 주요 기작이다. |
| 면역 특권 | 각막 또는 고환과 같은 면역 특권 영역의 세포는 Fas 리간드를 발현하고 침투하는 림프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 |
| 모성 내성 | Fas 리간드는 모체와 태아 사이의 백혈구 이동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 종양 반격 | 종양은 Fas 리간드를 과발현하여 침투하는 림프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면역 반응을 회피한다. |
5. 1. T 세포 항상성
T 세포 활성화는 Fas 리간드 발현을 유도한다. T 세포는 초기 클론 확장 과정에서 Fas 매개 세포자멸사에 저항성을 갖지만, 활성화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민감해져 결국 활성화 유도 세포사멸(AICD)을 초래한다. 이 과정은 과도한 면역 반응을 예방하고 자가 반응성 T 세포를 제거하는 데 필수적이다. Fas 또는 Fas 리간드에 유해한 돌연변이가 있는 인간과 쥐는 비정상적인 T 세포 축적으로 인해 림프절병증, 비장비대, 루푸스 홍반이 발생한다.[8]5. 2. 세포독성 T 세포 활성
Fas 유도 세포자멸사와 퍼포린 경로는 세포독성 T 림프구가 외래 항원을 발현하는 세포에서 세포사를 유도하는 두 가지 주요 기작이다.[9]5. 3. 면역 특권
FasR-Fas 리간드 결합으로 시작되는 세포자멸사는 면역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면역 특권은 그 중 하나로, 각막이나 고환과 같은 면역 특권 영역의 세포는 Fas 리간드를 발현하여 침투하는 림프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10] 이는 신체가 면역 특권을 확립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5. 4. 모체 내성
Fas 리간드는 모체와 태아 사이의 백혈구 이동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아직 결함 있는 Fas-Fas 리간드 시스템이 임신 결함의 원인으로 밝혀진 적은 없다.[10]5. 5. 종양 반격
종양은 Fas 리간드를 과발현하여 침투하는 림프구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함으로써 면역 반응의 영향을 벗어날 수 있게 한다.[11] Fas 리간드의 상향 조절은 종종 화학 요법 후에 발생하며, 이를 통해 종양 세포는 세포자멸사 저항성을 얻게 된다.[12]6. 질병에서의 역할
Fas 매개 세포자멸사에 결함이 생기면 종양 형성 및 약물 저항성이 나타날 수 있다. Fas의 생식세포 돌연변이는 자가면역 림프증식 증후군(ALPS)과 관련이 있다.[13] Fas 매개 신호전달이 증가하면 저위험 골수형성이상 증후군(MDS)[14] 및 교모세포종[15]의 병리와 관련이 있다. 더 나아가 FasL 매개 T 세포의 세포자멸사는 PD-1 및 CTLA-4와 같은 억제성 면역 관문과 유사하게, 종양이 T 세포 침윤을 억제하여 면역을 회피하는 기전으로 제안되었다.[16][17][18]
6. 1. 자가면역 림프증식 증후군 (ALPS)
Fas 매개 세포자멸사의 결함은 기존 종양에서 종양 형성 및 약물 저항성을 유발할 수 있다. Fas의 생식세포 돌연변이는 세포자멸사의 소아 질환인 자가면역 림프증식 증후군(ALPS)과 관련이 있다.[13] Fas 유도성 세포자멸사 결손은 종양 발생 및 종양의 약물 내성을 유발한다.6. 2. 기타 질환
Fas 매개 세포자멸사에 결함이 생기면 종양 형성 및 약물에 대한 저항성이 나타날 수 있다. Fas의 생식세포 돌연변이는 세포자멸사에 이상이 생기는 소아 질환인 자가면역 림프증식 증후군(ALPS)과 관련이 있다.[13]Fas 매개 신호전달이 증가하면 저위험 골수형성이상 증후군(MDS)[14] 및 교모세포종의 병리 기전과 관련이 있다.[15]
최근에는 FasL 매개 T 세포의 세포자멸사가 PD-1 및 CTLA-4와 같은 억제성 면역 관문과 유사하게, 종양이 T 세포 침윤을 억제하여 면역을 회피하는 기전으로 제안되었다.[16][17][18]
6. 3. 면역 회피 기전
Fas 매개 세포자멸사의 결함은 기존 종양에서 종양 형성 및 약물 저항성을 유발할 수 있다. Fas의 생식세포 돌연변이는 세포자멸사의 소아 질환인 자가면역 림프증식 증후군(ALPS)과 관련이 있다.[13]Fas 매개 신호전달의 증가는 저위험 골수형성이상 증후군(MDS)[14] 및 교모세포종의 병리와 관련이 있다.[15]
최근에는 FasL 매개 T 세포의 세포자멸사가 PD-1 및 CTLA-4와 같은 억제성 면역 관문과 유사하게 종양이 T 세포 침윤을 억제할 수 있는 면역 회피 기전으로 제안되었다.[16][17][18] Fas 유도성 세포자멸사 결손은 종양 발생 및 종양의 약물 내성을 유발한다. Fas의 생식 세포 계열 변이는 소아 세포자멸사 이상인 자가면역 림프 증식 증후군(ALPS)과 관련이 있다.
7. 상호작용
Fas 리간드는 다음과 같은 단백질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조
[1]
서적
Fas Signaling. Medical Intelligence Unit.
Springer
2006
[2]
논문
CD95 Structure, Aggregation and Cell Signaling
2020
[3]
논문
Structure and function of Fas/Fas ligand
1999
[4]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he Complex of Human FasL and Its Decoy Receptor DcR3
2016-11
[5]
논문
Death and decoy receptors and p53-mediated apoptosis
2000-08
[6]
논문
The many roles of FAS receptor signaling in the immune system
2009-02
[7]
논문
Fas/Fas-Ligand Interaction As a Mechanism of Immune Homeostasis and β-Cell Cytotoxicity: Enforcement Rather Than Neutralization for Treatment of Type 1 Diabetes
2017-03-27
[8]
논문
Cytokines and T-cell homeostasis
2007-06
[9]
논문
Cytotoxic T cells
2006-01
[10]
논문
Apoptosis in the first trimester human placenta: the role in maintaining immune privilege at the maternal-foetal interface and in the trophoblast remodelling
2002-01
[11]
논문
Tumor counterattack: fact or fiction?
2005-11
[12]
논문
Apoptosis as anticancer mechanism: function and dysfunction of its modulators and targeted therapeutic strategies
2016-04
[13]
논문
Apoptosis and oncogenesis: give and take in the BCL-2 family
2011-02
[14]
논문
In vitro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erythroid progenitors from patients with myelodysplastic syndromes: evidence for Fas-dependent apoptosis
2002-03
[15]
논문
Expression of Fas/APO-1 during the progression of astrocytomas
1995-12
[16]
논문
Tumor endothelium FasL establishes a selective immune barrier promoting tolerance in tumors
2014-06
[17]
논문
Resistance to cancer immunotherapy mediated by apoptosis of 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2017-11
[18]
논문
Cancer-associated fibroblasts induce antigen-specific deletion of CD8 + T Cells to protect tumour cells
2018-03
[19]
논문
CD95 (APO-1/Fas) linkage to the actin cytoskeleton through ezrin in human T lymphocytes: a novel regulatory mechanism of the CD95 apoptotic pathway
2000-10
[20]
논문
Cytoskeleton-mediated death receptor and ligand concentration in lipid rafts forms apoptosis-promoting clusters in cancer chemotherapy
2005-03
[21]
논문
Induction of TNF receptor I-mediated apoptosis via two sequential signaling complexes
2003-07
[22]
논문
Interaction of peptides derived from the Fas ligand with the Fyn-SH3 domain
1995-10
[23]
논문
Identification of amino acid residues important for ligand binding to Fas
1997-04
[24]
논문
Characterization of Fas (Apo-1, CD95)-Fas ligand interaction
1997-07
[25]
논문
Identification of interaction partners of the cytosolic polyproline region of CD95 ligand (CD178)
2002-05
[26]
논문
Multiple interactions of the cytosolic polyproline region of the CD95 ligand: hints for the reverse signal transduction capacity of a death factor
2001-12
[27]
논문
A newly identified member of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TR6) suppresses LIGHT-mediated apoptosis
1999-05
[28]
논문
Modulation of dendritic cell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by decoy receptor 3
2002-05
[29]
논문
Genomic amplification of a decoy receptor for Fas ligand in lung and colon cancer
1998-12
[30]
논문
A cell-killing monoclonal antibody (anti-Fas) to a cell surface antigen co-downregulated with the receptor of tumor necrosis factor.
http://jem.rupress.o[...]
[31]
논문
Death and decoy receptors and p53-mediated apoptosis
[32]
논문
Cytotoxic T cells
[33]
논문
Tumor counterattack: fact or fiction?
[34]
논문
CD95 (APO-1/Fas) linkage to the actin cytoskeleton through ezrin in human T lymphocytes: a novel regulatory mechanism of the CD95 apoptotic pathway
2000-10
[35]
논문
Cytoskeleton-mediated death receptor and ligand concentration in lipid rafts forms apoptosis-promoting clusters in cancer chemotherapy
2005-03
[36]
논문
Induction of TNF receptor I-mediated apoptosis via two sequential signaling complexes
2003-07
[37]
논문
Interaction of peptides derived from the Fas ligand with the Fyn-SH3 domain
1995-10
[38]
논문
Identification of amino acid residues important for ligand binding to Fas
1997-04
[39]
논문
Characterization of Fas (Apo-1, CD95)-Fas ligand interaction
1997-07
[40]
논문
Identification of interaction partners of the cytosolic polyproline region of CD95 ligand (CD178)
2002-05
[41]
논문
Multiple interactions of the cytosolic polyproline region of the CD95 ligand: hints for the reverse signal transduction capacity of a death factor
2001-12
[42]
논문
A newly identified member of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TR6) suppresses LIGHT-mediated apoptosis
1999-05
[43]
논문
Modulation of dendritic cell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by decoy receptor 3
2002-05
[44]
논문
Genomic amplification of a decoy receptor for Fas ligand in lung and colon cancer
199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