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PD-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D-1은 T 세포의 세포 자멸사와 관련된 유전자 스크리닝 과정에서 발견된 단백질로, 면역 반응의 음성 조절자 역할을 한다. PD-1은 활성화된 T 세포, B 세포, 대식세포 표면에 발현되며, 리간드인 PD-L1 및 PD-L2와 결합하여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PD-1과 그 리간드의 상호 작용은 종양 세포의 면역 회피를 돕고, T 세포 고갈을 유발하며, 자가면역 질환과 관련이 있다. PD-1을 표적으로 하는 면역 관문 억제제는 암 치료에 사용되며, 특히 항 PD-1과 항 CTLA-4 치료법의 병용은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부상했다. 또한 PD-1 차단은 HIV 감염 및 알츠하이머병 치료에도 잠재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2번 염색체상 유전자 -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
    글리세롤 3-인산 탈수소효소(GPDH)는 지질 생합성 및 산화환원 전위 유지에 관여하는 효소로, 다이하이드록시아세톤 인산을 글리세롤 3-인산으로 환원시키거나 산화하는 반응을 촉매하며,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서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 인간 2번 염색체상 유전자 - 말산 탈수소효소
    말산 탈수소효소는 말산을 옥살로아세트산으로 전환하는 효소로, 세포 내 위치와 기능에 따라 여러 동위효소가 존재하며, 시트르산 회로,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 포도당 신생합성과 같은 대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면역계 - 알레르기
    알레르기는 면역 체계가 무해한 물질에 과도하게 반응하여 아토피 피부염, 비염, 천식, 두드러기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Gell과 Coombs 분류법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심각한 경우 아나필락시스를 유발할 수 있고,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알레르겐 회피, 약물, 면역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 면역계 - 면역억제
    면역억제는 면역계의 활동을 감소시키는 현상으로, 의도적으로는 장기 이식 거부 반응 방지나 자가면역 질환 치료를 위해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고, 비의도적으로는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며 면역결핍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PD-1
기본 정보
PD-1 단백질
PD-1 단백질
유전자 기호PDCD1
유전자 이름programmed cell death 1 (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
염색체 위치2q37.3
온라인 데이터베이스Entrez Gene: 5133
Ensembl: ENSG00000188389
UniProt: Q15116
다른 명칭PD-1
PDCD1
hPD-1
SLEB2
CD279
기능
기능T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면역 관문 단백질
역할자가면역 및 말초 내성에서 역할
임상적 중요성
임상적 중요성면역 관문 억제제의 표적
암 치료에 사용
흑색종 치료에 효과적
추가 정보
관련 질병
자가면역 질환

2. 발견

1992년 교토 대학교의 이시다 야스마사, 혼조 타스쿠와 동료들은 세포 자멸사와 관련된 유전자 스크리닝 과정에서 PD-1을 발견하고 명명했다.[7][8] 1999년, 같은 연구팀은 PD-1이 제거된 쥐들이 자가면역 질환에 걸리기 쉽다는 것을 밝혀냈고, PD-1이 면역 반응의 음성 조절자라고 결론 내렸다.[8]

3. 구조

PD-1은 28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I형 막 단백질이다. PD-1은 T 세포 조절 인자들의 확장된 CD28/CTLA-4 계열의 구성원이다.[7] 이 단백질의 구조는 IgV 도메인으로 시작하여 막횡단 영역과 세포 내 꼬리로 구성된다. 세포 내 꼬리는 인산화 부위 두 개를 포함하는데, 이는 면역수용체 티로신 기반 억제 모티프와 면역수용체 티로신 기반 스위치 모티프에 위치하며, 이는 PD-1이 T 세포 수용체 TCR 신호를 음성 조절한다는 것을 시사한다.[7][9] 이는 리간드 결합 시 SHP-1과 SHP-2 단백질 인산분해효소가 PD-1의 세포질 꼬리에 결합하는 것과 일치한다. 또한, PD-1 리게이션은 T 세포 수용체 하향 조절을 유발하는 E3 유비퀴틴 연결효소인 CBL-b 및 c-CBL을 상향 조절한다.[10] PD-1은 활성화된 T 세포, B 세포, 그리고 대식세포 표면에 발현되는데,[11] 이는 CTLA-4와 비교하여 PD-1이 면역 반응을 더 광범위하게 음성 조절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4. 리간드

PD-1은 리간드PD-L1과 PD-L2를 가지며, 이는 B7 계열에 속한다.[12][13] PD-L1 단백질은 LPS 및 GM-CSF 처리에 반응하여 대식세포와 수지상 세포 (DC)에서 상향 조절되며, TCR 및 B 세포 수용체 신호 전달 시 T 세포와 B 세포에서 상향 조절된다. 반면, 휴지 상태의 쥐에서는 PD-L1 mRNA가 심장, 폐, 흉선, 비장 및 신장에서 감지될 수 있다.[12][14] PD-L1은 IFN-γ 처리 시 PA1 골수종, P815 비만세포종 및 B16 흑색종을 포함한 거의 모든 마우스 종양 세포주에서 발현된다.[15][16] PD-L2의 발현은 더 제한적이며 주로 DC와 소수의 종양 세포주에서 발현된다.[13]

5. 기능

PD-1과 그 리간드는 면역 반응을 부정적으로 조절한다. PD-1 유전자가 제거된 생쥐는 루푸스 유사 사구체신염과 확장된 심근병증을 보인다.[17][18] 시험관 내 실험에서, 항-CD3 자극 T 세포를 PD-L1-Ig로 처리하면 T 세포 증식 및 IFN-γ 분비가 감소한다.[12] IFN-γ는 T 세포 염증 활성을 촉진하는 주요 염증성 사이토카인이다. 감소된 T 세포 증식은 약화된 IL-2 분비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PD-1이 T 세포 반응을 부정적으로 조절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9]

PD-L1 형질전환 DC와 PD-1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Tg) CD4+ 및 CD8+ T 세포를 사용한 실험 결과, CD8+ T 세포가 PD-L1에 의한 억제에 더 민감하지만, 이는 TCR 신호의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CD8+ T 세포 반응을 부정적으로 조절하는 역할과 일치하게, LCMV 바이러스 벡터 만성 감염 모델을 사용하여 PD-1-PD-L1 상호 작용이 바이러스 특이적 CD8+ T 세포의 활성화, 확장 및 이펙터 기능 획득을 억제하며, 이는 PD-1-PD-L1 상호 작용을 차단하여 되돌릴 수 있음을 보였다.[20]

종양 세포에서 PD-L1의 발현은 이펙터 T 세포에서 PD-1의 결합을 통해 항종양 활성을 억제한다.[15][16] 종양에서 PD-L1의 발현은 식도암, 췌장암 및 다른 유형의 암에서 생존율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이 경로가 면역 요법의 표적임을 강조한다.[3][21] 단핵구 활성화 시 상향 조절되는 단핵구에서 발현되는 PD-1을 그 리간드 PD-L1에 의해 유발하면 IL-10 생성이 유도되어 CD4 T 세포 기능을 억제한다.[22]

CD8+ T 세포에서 PD-1의 과발현은 T 세포 고갈의 지표 중 하나이다 (예: 만성 감염 또는 암).[3][23]

6. 임상적 의의

PD-1의 리간드인 PD-L1은 여러 암에서 높게 나타나며, 이는 암 면역 회피에 PD-1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25][26][3] 단클론 항체를 이용해 PD-1을 표적으로 하면 면역 체계를 강화하여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3][27] 많은 종양 세포는 면역을 억제하는 PD-L1을 발현하는데, PD-1과 PD-L1의 상호작용을 막으면 시험관 내(in vitro) T 세포 반응이 좋아지고 항종양 활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면역 관문 억제라고 부른다.

항 PD-1 치료와 항 CTLA4 치료를 함께 사용하는 병용 요법은 관문 억제 분야에서 중요한 종양 치료법으로 떠올랐다. PD-1과 CTLA-4 항체의 조합은 다양한 암 치료에 단독 항체보다 효과적이며, 두 항체의 효과는 서로 겹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3][28][29][30] 항-CTLA-4 치료는 항원 특이적 T 세포 의존성 면역 반응을 강화하고, 항-PD-1은 암 세포를 파괴하는 CD8+ T 세포의 기능을 회복시킨다.[3][31][32] 임상 시험에서 병용 요법은 단일 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의 종양 크기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항-CTLA-4 치료로 인한 독성이 증가했다.[33] PD-1과 CTLA-4의 조합은 종양 조직에 침투하는 CD8+ T 세포 수를 최대 10배까지 늘렸다.[31] 연구자들은 CD8+ T 세포 침윤이 증가한 이유가 항-CTLA-4가 CD4 T 세포의 T 조절 세포로의 전환을 막고, 항-PD-1이 T 조절 억제를 더욱 감소시켰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이러한 조합은 암 크기를 줄이는 강력한 염증 반응을 유도했다. 2015년 10월, FDA는 항-CTLA-4 (이필리무맙)와 항-PD-1 (니볼루맙)을 함께 사용하는 병용 요법을 승인했다.[34]

PD-L1 발현은 항-PD-1 치료 반응과 관련이 있지만, PD-L1 음성 종양 환자도 항-PD-1에 반응하는 경우가 있어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24][33] 종양의 돌연변이 부담이 높을수록 항-PD-1 치료 효과가 크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 상관관계는 아직 불확실하다.[24]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제임스 P 앨리슨과 혼조 타스쿠에게 "음성 면역 조절 억제를 통한 암 치료법 발견"에 대한 공로로 수여되었다.

PD-1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은 HIV, 뇌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 등 다른 질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6. 1. 암



PD-1의 리간드인 PD-L1은 여러 암에서 높은 발현을 보이며, 암 면역 회피에서 PD-1의 역할이 중요하다.[25][26][3] 단클론 항체는 PD-1을 표적으로 하여 면역 체계를 강화시켜 치료를 위해 개발되고 있다.[3][27] 많은 종양 세포는 면역 억제 PD-1 리간드인 PD-L1을 발현하며, PD-1과 PD-L1 간의 상호 작용을 억제하면 시험관 내(in vitro) T 세포 반응을 향상시키고 전임상 항종양 활성을 매개할 수 있다. 이는 면역 관문 억제라고 알려져 있다.

항 PD-1과 항 CTLA4 치료법을 모두 사용하는 병용 요법은 관문 억제 분야에서 중요한 종양 치료법으로 부상했다. PD-1과 CTLA-4 항체의 조합은 다양한 암 치료에 단독 항체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항체의 효과는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3][28][29][30] 항-CTLA-4 치료는 항원 특이적 T 세포 의존성 면역 반응을 강화하는 반면, 항-PD-1은 암 세포를 용해하는 CD8+ T 세포의 능력을 재활성화하는 것으로 보인다.[3][31][32]

임상 시험에서 병용 요법은 단일 공동 억제 차단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의 종양 크기를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항-CTLA-4 치료로 인한 독성 수준이 증가했다.[33] PD-1과 CTLA-4의 조합은 종양 조직을 적극적으로 침투하는 CD8+ T 세포 수를 최대 10배까지 증가시켰다.[31] 저자들은 CD8+ T 세포 침윤 수준이 높은 것은 항-CTLA-4가 CD4 T 세포의 T 조절 세포로의 전환을 억제하고 항-PD-1으로 T 조절 억제를 더욱 감소시켰기 때문이라고 가정했다. 이러한 조합은 암의 크기를 줄이는 종양에 대한 더욱 강력한 염증 반응을 촉진했다. 가장 최근에는, FDA는 2015년 10월에 항-CTLA-4 (이필리무맙)와 항-PD-1 (니볼루맙)을 모두 사용한 병용 요법을 승인했다.[34]

종양이 항-PD-1 치료에 반응하게 하는 데 필요한 분자적 요인과 수용체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암 세포 표면의 PD-L1 발현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PD-L1 양성 종양은 병용 치료에 반응할 가능성이 두 배 더 높았다.[24][33] 그러나 PD-L1 음성 종양 환자도 항-PD-1에 대한 제한적인 반응을 보이며, PD-L1 발현이 치료 효과의 절대적인 결정 요인이 아님을 보여준다.[24]

종양의 돌연변이 부담이 높을수록 항-PD-1 치료의 효과가 더 크다. 임상 시험에서 항-PD-1 치료로 혜택을 받은 환자는 흑색종, 방광암, 위암과 같이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환자보다 평균 돌연변이 수가 더 많았다. 그러나 높은 종양 부담과 PD-1 면역 차단의 임상적 효과 사이의 상관관계는 여전히 불확실하다.[24]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제임스 P 앨리슨과 혼조 타스쿠에게 "음성 면역 조절 억제를 통한 암 치료법 발견"에 대한 공로로 수여되었다.

6. 2. 항 PD-1 치료제

PD-1 및 PD-L1 억제제를 주요 대상으로 하는 여러 가지 암 면역 치료제가 개발되었다.

니볼루맙(옵디보)은 비소세포 폐암, 흑색종, 신세포암 환자에게서 완전 또는 부분 반응을 보였다.[35] 니볼루맙은 2014년 7월 일본에서, 2014년 12월 미국 FDA에서 전이성 흑색종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펨브롤리주맙(키트루다) 역시 PD-1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며, 2014년 9월 FDA에서 전이성 흑색종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2015년 10월 2일, 펨브롤리주맙은 다른 치료법으로 치료 후에도 질병이 진행된 진행성(전이성) 비소세포 폐암(NSCLC) 환자에 대해 FDA 승인을 받았다.[36]

토리팔리맙은 PD-1에 대한 인간화된 IgG4 단클론 항체로, 2018년 중국에서, 2023년 미국에서 승인되었다.[37][38][39]

PD-1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초기 개발 단계의 약물(체크포인트 억제제)에는 피딜리주맙 및 BMS-936559가 있다. 아테졸리주맙 및 아벨루맙은 유사한 PD-L1 수용체를 표적으로 한다.

6. 3. 기타 질환

PD-1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을 다른 음성 면역 관문 수용체, 예를 들어 (TIGIT)와 병용하면 면역 반응을 증폭시키거나 HIV 박멸을 촉진할 수 있다.[40][41] T 림프구는 만성 HIV 감염 시 PD-1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42] PD-1 수용체의 증가는 바이러스와 싸우는 데 중요한 HIV 특이적 CD8+ 세포독성 및 CD4+ 헬퍼 T 세포 집단의 고갈과 관련이 있다. PD-1의 면역 차단은 질병의 진행과 싸우는 데 필요한 T 세포 염증 표현형을 회복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42]

PD-1 차단은 생쥐의 뇌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를 감소시키고 인지 능력을 향상시킨다.[43] PD-1의 면역 차단은 IFN-γ 의존적 면역 반응을 유발하여 단핵구 유래 대식세포를 뇌로 모집하고, 이 대식세포는 조직에서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를 제거할 수 있게 했다. 항 PD-1의 반복 투여는 치료 효과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아밀로이드 섬유는 면역 억제 물질이며, 이러한 발견은 신경 염증성 질환에서 섬유의 영향을 조사하여 별도로 확인되었다.[44][45][46] PD-1은 면역 활성을 증진시키고 뇌 복구를 가능하게 하는 면역 경로를 유발하여 섬유의 효과에 대응한다.[43]

참조

[1] 논문 Structure and chromosomal localization of the human PD-1 gene (PDCD1) 1994-10
[2] 웹사이트 Entrez Gene: PDCD1 programmed cell death 1 https://www.ncbi.nlm[...]
[3] 논문 De-novo and acquired resistance to immune checkpoint targeting 2017-12
[4] 논문 The PD-1 pathway in tolerance and autoimmunity 2010-07
[5] 논문 The role of the PD-1 pathway in autoimmunity and peripheral tolerance 2011-01
[6] 뉴스 New Bristol-Myers Drug Helped Skin-Cancer Patients in Trial Live Longer https://online.wsj.c[...] 2014-11-16
[7] 논문 Induced expression of PD-1, a novel member of the immunoglobulin gene superfamily, upon programmed cell death 1992-11
[8] 논문 The PD1:PD-L1/2 Pathway from Discovery to Clinical Implementation 2016
[9] 논문 Contribution of the PD-L1/PD-1 pathway to T-cell exhaustion: an update on implications for chronic infections and tumor evasion 2007-05
[10] 논문 PD-L1 co-stimulation contributes to ligand-induced T cell receptor down-modulation on CD8+ T cells 2011-10
[11] 논문 Expression of the PD-1 antigen on the surface of stimulated mouse T and B lymphocytes 1996-05
[12] 논문 Engagement of the PD-1 immunoinhibitory receptor by a novel B7 family member leads to negative regulation of lymphocyte activation 2000-10
[13] 논문 PD-L2 is a second ligand for PD-1 and inhibits T cell activation 2001-03
[14] 논문 Expression of programmed death 1 ligands by murine T cells and APC 2002-11
[15] 논문 Involvement of PD-L1 on tumor cells in the escape from host immune system and tumor immunotherapy by PD-L1 blockade 2002-09
[16] 논문 PD-L1/B7H-1 inhibits the effector phase of tumor rejection by T cell receptor (TCR) transgenic CD8+ T cells 2004-02
[17] 논문 Development of lupus-like autoimmune diseases by disruption of the PD-1 gene encoding an ITIM motif-carrying immunoreceptor 1999-08
[18] 논문 Autoimmune dilated cardiomyopathy in PD-1 receptor-deficient mice 2001-01
[19] 논문 PD-1:PD-L inhibitory pathway affects both CD4(+) and CD8(+) T cells and is overcome by IL-2 2002-03
[20] 논문 Restoring function in exhausted CD8 T cells during chronic viral infection 2006-02
[21] 논문 Clinical significance of programmed death-1 ligand-1 and programmed death-1 ligand-2 expression in human esophageal cancer 2005-04
[22] 논문 Programmed death-1-induced interleukin-10 production by monocytes impairs CD4+ T cell activation during HIV infection 2010-04
[23] 논문 Overcoming T cell exhaustion in infection and cancer
[24] 논문 PD-L1: a novel prognostic biomarker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2017-08
[25] 논문 PD-L1 expression in human cancers and its association with clinical outcomes 2016-08
[26] 논문 PD-L1 expression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anti PD-1/PD-L1 antibod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4
[27] 논문 Immune checkpoint proteins: a new therapeutic paradigm for cancer--preclinical background: CTLA-4 and PD-1 blockade 2010-10
[28] 논문 Predictive correlates of response to the anti-PD-L1 antibody MPDL3280A in cancer patients 2014-11
[29] 논문 Genetic basis for clinical response to CTLA-4 blockade in melanoma 2014-12
[30] 논문 CTLA-4 and PD-1 Pathways: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Implications of Their Inhibition 2016-02
[31] 논문 PD-1 and CTLA-4 combination blockade expands infiltrating T cells and reduces regulatory T and myeloid cells within B16 melanoma tumors 2010-03
[32] 논문 Antibody therapeutics in cancer 2013-09
[33] 논문 Oncology meets immunology: the cancer-immunity cycle 2013-07
[34] 논문 Mechanism-driven biomarkers to guide immune checkpoint blockade in cancer therapy 2016-05
[35] 뉴스 Drug Helps Defense System Fight Cancer https://www.nytimes.[...] 2012-06-01
[36] 간행물 FDA approves Keytruda for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https://www.fda.gov/[...] 2015-10-02
[37] 웹사이트 Toripalimab - Shanghai Junshi Biosciences - AdisInsight https://adisinsight.[...] 2019-08-25
[38] 논문 Toripalimab: First Global Approval 2019
[39] 웹사이트 FDA approves toripalimab-tpzi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3-10-27
[40] 논문 Role of PD-1 in HIV pathogenesis and as target for therapy 2012-03
[41] 논문 TIGIT Marks Exhausted T Cells, Correlates with Disease Progression, and Serves as a Target for Immune Restoration in HIV and SIV Infection 2016-01
[42] 논문 Role of PD-1 co-inhibitory pathway in HIV infection and potential therapeutic options 2015-02
[43] 논문 PD-1 immune checkpoint blockade reduces pathology and improves memory in mouse models of Alzheimer's disease 2016-02
[44] 논문 Amyloid fibrils composed of hexameric peptides attenuate neuroinflammation 2013-04
[45] 논문 Amyloid fibrils activate B-1a lymphocytes to ameliorate inflammatory brain disease 2015-12
[46] 논문 Mechanisms of action of therapeutic amyloidogenic hexapeptides in amelioration of inflammatory brain disease 2014-08
[47] 뉴스 면역세포 즉시 출동, 교란공작 막고 암세포 소탕 중앙SUNDAY 2016-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