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대우 매그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M대우 매그너스는 1999년 12월부터 2006년 1월까지 판매된 GM대우의 중형 세단이다. 이탈리아 이탈디자인이 외부 디자인을, 대우자동차 디자인 포럼이 내부 디자인을 담당하여 개발되었으며, 브로엄의 후속 모델로 기획되었으나 고급 중형차로 출시되었다. 2.0L, 2.5L 가솔린 엔진과 LPG 엔진 등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췄으며, 5단 수동 또는 4단 자동 변속기를 제공했다. 매그너스는 대우 에반다, 쉐보레 에반다, 쉐보레 에피카, 스즈키 베로나, 포모사 매그너스 등 다양한 이름으로 해외 시장에 판매되었으며, 드라마와 영화에도 등장하여 대중에게 알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엠대우의 차종 - 한국GM 라보
한국GM 라보는 스즈키 캐리를 기반으로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생산된 경상용차로, 가솔린과 LPG 엔진을 거쳐 소상공인에게 인기를 얻었으나 배기가스 규제로 단종 후 JJ모터스에서 전기차 브라보로 출시되었으며 드라마에도 등장했다. - 지엠대우의 차종 - 한국GM 다마스
한국GM 다마스는 1991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GM에서 생산한 경상용차로, 스즈키 에브리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모델로 출시, 소상공인들의 생계 유지에 기여하며 '서민의 차'로 불렸으나 안전 및 배기가스 규제 문제로 단종되었다. - 2000년 도입된 자동차 - 닛산 X-트레일
닛산 X-트레일은 2000년에 처음 출시되어 4세대에 걸쳐 판매되는 닛산의 소형 SUV로, 오프로드 지향의 각진 디자인에서 르노-닛산 CMF 플랫폼을 적용한 온로드 지향으로 변화했으며, 2세대 e-POWER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제공한다. - 2000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리오
기아 리오는 기아에서 생산하는 소형차로, 1999년 1세대 출시 이후 여러 차례 세대 변경과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2023년 단종되었다. - 대우자동차의 차종 - 대우 르망
대우 르망은 1986년 출시되어 독일 오펠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국GM에서 생산된 소형차로, 대한민국 최초로 디지털 계기판과 공기역학적 디자인을 적용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모델 변형을 거쳐 해외에서도 판매되었다. - 대우자동차의 차종 - 대우 누비라
대우 누비라는 1997년 출시되어 세단, 스테이션 왜건, 해치백 모델로 판매되었으며, 이탈리아 디자인으로 개발되어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었고, 2002년 후속 모델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GM대우 매그너스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GM대우 (제너럴 모터스) |
다른 이름 | 쉐보레 에피카 쉐보레 에반다 대우 에반다 포모사 매그너스 스즈키 베로나 |
생산 기간 | 2000년~2006년 2005년~2006년 (중국) 2002년~2006년 (베트남) |
조립 장소 | 대한민국: 부평구 중국: 옌타이, 산둥성 타이완: 타이베이시 베트남: 하노이 (GM 베트남) |
디자이너 | 조르제토 주지아로 ( 이탈디자인) |
차종 | 중형차 (D-세그먼트) |
차체 스타일 | 4도어 세단 |
구동 방식 | 전륜구동 |
선행 차량 | 대우 레간자 쉐보레 알레로 (유럽) 대우 아카디아 |
후속 차량 | 쉐보레 에피카 (유럽) 대우 토스카 스즈키 키자시 (스즈키 베로나) |
엔진 | |
종류 | 2.0 L L34 SOHC/DOHC I4 (가솔린) 2.0/2.5 L XK6 I6 (가솔린) |
최고 출력 | 155 hp (116 kW) |
최대 토크 | 177 lbft (240 Nm) |
변속기 | |
종류 | 5단 수동 4단 자동 |
차체 크기 | |
축거 | 2,700 mm |
전장 | 4,770 mm |
전폭 | 1,815 mm |
전고 | 에피카: 1,440 mm 베로나: 1,450 mm |
2. 1세대 (V200)
2. 1. 매그너스 (1999년 12월 ~ 2006년 1월)
1997년 레간자 개발 완료 후 24개월 동안 2,200억 원을 투입하여 개발되었다.(개발명 V200) 당초 브로엄의 후속인 준대형차로 개발되었으나, 계획 변경으로 브로엄과 레간자의 고급 사양을 대체하는 고급 중형차로 출시되었다. 외부 디자인은 이탈리아의 이탈디자인, 내부 디자인은 대우자동차 디자인 포럼에서 담당했다.[4] 1999년 11월 23일에 공개되었고, 12월 2일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타이완에서도 현지 생산되었다.[4] 1열 사이드 에어백, 급출발 연료 차단 장치, 자동 외기 차단 시스템, 5.8인치 AV 시스템 등 다양한 편의 사양이 장착되었다. 출시 당시 엔진은 직렬 4기통 2.0L SOHC 가솔린 엔진과 직렬 4기통 2.0L DOHC 가솔린 엔진이 있었고, 이후 직렬 4기통 2.0L SOHC LPG 엔진, 직렬 6기통 2.0L DOHC 가솔린 엔진, 직렬 6기통 2.5L DOHC 가솔린 엔진이 추가되었다. 5단 수동변속기 또는 4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되었다. 직렬 6기통 2.0L DOHC 가솔린 엔진(XK 엔진)은 볼보 S80에 이어 두 번째로 전륜구동 승용차에 가로 배치된 직렬 6기통 엔진이며, 해당 엔진 장착 트림은 L6라는 서브 네임이 붙었다.

2000년 10월에는 3단 가로형 라디에이터 그릴을 벌집 형태로 변경하고, 낮에는 흰색, 밤에는 에메랄드색으로 표시되는 계기판을 적용한 스포티 디자인의 이글 트림이 추가되었다. 기존 트림은 클래식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2년부터 해외 시장에 수출되기 시작하여 유럽에서는 대우 에반다, 일부 동유럽 국가에서는 쉐보레 에반다로 판매되었다.
2002년 11월, GM대우 출범 후 세계 최초로 전륜구동 승용차에 2.5L 직렬 6기통 엔진을 가로 배치한 2.5 트림이 추가되었다.
2004년 8월 29일에는 2005년형이 출시되었고, 2005년 하반기에는 2006년형이 출시되었다.
2006년 1월, 후속 모델인 토스카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SBS 드라마 파리의 연인에서 박신양이 운전하는 차량으로 등장했는데, 해당 차량은 최상급 트림인 그라나다 블랙 & 웜 미드 그레이 투톤 색상의 클래식 L6 2.5 트림이었다. 박신양은 드라마 종영 후 광고 모델로 발탁되기도 했다.[5]
2. 1. 1. 미디어 속의 매그너스
선생 김봉두에서 김봉두(차승원 분)의 차로 나왔다. 튜브에서 장도준(김석훈 분)의 개인용 수사 차량 및 경찰차로도 나왔다. 투사부일체에서 경찰 형사의 수사용 차량으로도 나왔다. 퀵의 초반부 주차장 폭발씬에서 촬영용 차량으로 사용되었고, 중반부 고속도로 가스통씬에서도 등장한다. 더 테러 라이브에서 마포대교 상판에 갇혀있는 차들 중 하나로 나온다. 검은 사제들에서 초반 이탈리아인 신부들이 사용한 자동차로 등장한다. 보안관에서는 주인공 최대호의 차량으로 나온다. 순풍산부인과에서 오지명의 차량으로 나왔다.RNA에서는 조영숙(선우은숙 분)의 차량으로 백진주색 매그너스 클래식 2.0 로얄 모델이 등장한다. 메디컬 센터에서 김상경의 차량으로 나왔다. 천사의 분노에서 이세창의 차량으로 나왔다. 내일은 맑음에서 이창훈의 차량으로 나왔다. 비단향꽃무에서 류진의 차량으로 나왔다. 로펌에서는 정영웅(송승헌 분)의 차량으로 백진주색, 금색 매그너스 클래식 2.0 로얄 모델이 등장한다. 수호천사에서 윤다훈의 차량으로 나왔다. 선물에서 박시은의 차량으로 나왔다. 사랑을 예약하세요에서는 신재원(심형탁 분)의 차량으로 흑색 매그너스 이글 2.0 슈퍼 모델이 등장한다. 파리의 연인에서는 윤수혁(이동건 분)의 차량으로, 드라마 종영 이후 박신양이 광고를 찍을 때 탔던 모델도 매그너스 클래식 L6 2.5 (그라나다 블랙 & 웜 미드 그레이 투톤) 모델이었다. 미안하다 사랑한다에서는 차무혁(소지섭 분)의 차량으로 백진주색 매그너스 이글 L6 2.5 모델이 등장한다. 스파이 명월에서는 최종회에서 북한 스파이인 한명월(한예슬 분)이 탑승한 차량으로 등장했고, 주행 중 저격수의 총격으로 인해 차량이 중심을 잃고 낭떠러지에 떨어져서 폭발한다.
3. 2세대 (V250)
GM대우 토스카 문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다.
4. 해외 시장
4. 1. 쉐보레 에반다
서유럽에서는 '''대우 에반다'''로, GM 브랜드가 사용되지 않은 동유럽 국가에서는 '''쉐보레 에반다'''로 판매되었다. 이는 구형 대우 모델의 현지 생산 버전이 여전히 해당 브랜드로 판매되었기 때문이다. 에반다는 대우 레간자와 쉐보레 알레로를 대체했다. 이후 2004년, 유럽 전역에서 대우 브랜드 전체가 쉐보레로 대체되었고, 모델 이름도 그에 따라 변경되었다.4. 2. 쉐보레 에피카
2004년부터 캐나다에서는 쉐보레 에피카가 LS와 LT의 두 가지 트림으로 판매되었다. 2004년 올즈모빌 브랜드가 단계적으로 폐지되면서 올즈모빌 알레로를 대체했다. 2005년형 모델에는 두 버전 모두 2.5리터 직렬 6기통 엔진이 장착되었고, 전자 제어식 4단 자동 변속기를 통해 앞바퀴를 굴렸다. LS 모델에는 8방향 파워 시트, 15인치 합금 휠, 4륜 디스크 브레이크, 에어컨, 크루즈 컨트롤 및 CD 플레이어가 장착되었다. LT 버전에는 트랙션 컨트롤, ABS 및 선루프가 추가되었으며, LS 모델에서도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었다. 기본 가격은 LS 모델이 24,710 캐나다 달러, LT 모델이 27,400 캐나다 달러였다. 에피카는 캐나다에서 쉐보레의 최고급 세단으로, 말리부와 임팔라 사이에 위치했지만, 크기 면에서는 코발트와 말리부 사이에 위치했다. 에피카의 캐나다 판매량은 저조하여, 임팔라와 말리부의 판매량이 에피카보다 많았다.쉐보레 에피카는 2006년 9월부터 캐나다에서 더 이상 판매되지 않았다. 마지막 해에는 단일 버전인 LTZ가 26,650 달러에 판매되었다. 이 독특한 트림 레벨은 완벽하게 장착되었으며, 측면 에어백과 펄 화이트 색상만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일부 색상은 2006년에만 제공되었는데, 실버와 차콜 그레이가 그 예이다.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의 미국 자치령에서도 판매되었으며, 캐나다 버전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사양을 갖추었다. 캐나다의 에피카와 마찬가지로, 이 역시 시장에서 철수되었다.
GM대우 매그너스는 칠레와 중국과 같은 다른 국제 시장에서도 쉐보레 에피카로 판매되었다.
중동(GCC)에서 판매된 쉐보레 에피카는 이후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쉐보레 말리부로 대체되었다(2012–2022).
쉐보레 에피카라는 차명은 현재 V200 GM대우 매그너스의 후속 모델인 대우 토스카에 글로벌하게 사용되고 있다.
4. 3. 스즈키 베로나
GM대우 매그너스는 미국 시장에서 '''스즈키 베로나'''로 배지 엔지니어링되었다. 스즈키는 낮은 판매량으로 인해 2006년형 모델 이후 베로나를 단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미국 모델이 더 큰 엔진과 수동 변속기를 제공하는 다른 중형차와 비교하여, 단지 2.5리터 6기통 엔진과 자동 변속기만을 제공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베로나는 2010년에 스즈키 키자시로 대체되었다.
4. 4. 포모사 매그너스
대우 매그너스는 대만에서 '''포모사 매그너스'''로도 알려져 있다.5. 제원
(이후 130/5,400으로 변경)
(이후 18.4/4,000으로 변경)
11.1(자동)
(이후 12.0(수동)/
9.0(자동)으로 변경)
11.5(자동)
(이후 12.6(수동)/
9.5(자동)로 변경)
(이후 9.5(자동)로 변경)